|
과 목 |
달력 만들기 (첫 해) |
담 당 교 사 |
| ||
공 부 목 표 |
● 달력을 통해서 시간, 절기, 생활의 규칙을 이해하고 삶의 기준을 정해간다. ● 달력을 만들면서 수의 규칙을 익힌다. | ||||
자 료 |
보통 달력(음력이 표시된 달력), 달력 관련 자료 | ||||
뽑 은 까 닭 |
한 달 생활을 계획하는 습관을 배이게 하고, 6년 생활을 기록하고, 삶을 설계하는 힘을 기른다. | ||||
공 부 기 간 |
1학년~6학년 달마다 첫 날에 한 시간씩 | ||||
차례 |
배움 내용 (다달이 그 달 달력 만들고, 달마다 국경일과 가족 기념일 이야기 나누기) |
공부도구 스케치북 72장(12장 이상), 미술도구 | |||
전
체
학
년 |
1회 (3/2) |
공부목표 : (미리 공부할 내용)달력 만들기를 하는 이유, 만드는 방법(그림달력, 사진달력 등) 결정. 요일에는 무엇이 있고 왜 그렇게 정했을까? |
- 보통 달력 (다양하게) - 요일 결정 자료 (인터넷 검색) | ||
공부내용/방법 : 1. 자기 달력을 어떻게 만들지 생각하게 합니다.(보통 달력 살펴보기) 2. 신문지나, 이면지에 먼저 만들어 보게 한다. 3. 일요일~토요일로 요일을 정한 까닭 알기 (동양 음양오행, 서양의 행성관측) 4. 3.1절 이야기 | |||||
2회 (4/1) |
공부목표 : 달력에 있는 수는 어떻게 놓여 있는지 알아본다. 숫자 7에 얽힌 이야기. |
- 숫자 7 관련 자료 (학년 마다 다양하게) | |||
공부내용/방법 : 1.같은 요일은 7을 더하면 되는 것을 알고, 요일 기준으로 달력 만들기 2. 4.5 식목일 이야기, 4.19 이야기 3. 숫자 7에 얽힌 이야기 들려주기 | |||||
3회 (5/1) |
공부목표 : 음력 이해(관찰)하기, 한 달 계획 이야기하기 |
- 보통 달력 | |||
공부내용/방법 : 1. 노동자의 날 , 어린이 날, 어버이날, 석가 탄신일 이야기. 2. 석가 탄신일은 음력이므로 자연스럽게 음력을 관찰하게 한다. 3. 5월은 여러 행사가 있으므로 한 달 계획을 이야기 나눈다. | |||||
4회 (6/1) |
공부목표 : 요일마다 7로 나누면 나머지가 같다(3학년)/ 큰 달과 작은 달 이해(관찰) |
| |||
공부내용/방법 : 1. 6월 달 날씨는 어떨까? 2. 요일마다 7로 나눈 나머지가 같고, 다음 달을 이어 써도 똑 같다. 3. 큰 달, 작은 달이 있고, 2월은 28일, 6월은 작은 달 (주먹 쥐고 볼록 튀어 나온 곳을 짚어 가며 달을 세어 봐.) | |||||
5회 (7/1) |
공부목표 : 규칙 찾기(오른쪽 대각선, 왼쪽 대각선 수) |
| |||
공부내용/방법 : 1. 자기가 만든 달력에서 어떤 규칙이 있는지 살핀다. 2. 오른쪽 대각선은 8을 더하는 규칙이다. 왜 그럴까? 3. 왼쪽 대각선은 6을 더하는 규칙이다. 왜 그럴까? 4. 다른 규칙은 어떤 게 있나? (한 요일의 날짜는 홀수와 짝수가 번갈아 가며 생겨. 왜 그럴까?) | |||||
6회 (7월 말) |
공부목표 : 방학 계획 짜기(8월 달력을 방학 날이나 그 앞날에 만든다). |
| |||
공부내용/방법 : 1. 방학 때 뭐 할거니? 2. 자연속 학교 따위 학교 일정을 잘 살펴보자. 3. 8.15 이야기 | |||||
7회 (9/1) |
공부목표 : 2학기 이야기. 학교의 큰 계획 이해하기. 추석이야기==>음력이해하기 |
- 달력 역사와 기준 | |||
공부내용/방법 :1. 추석이야기==>음력의 기준과 발전과정 말해주기 2. 12간지 이해하기(말해주기) 3. 절기 이야기(양력이 기준) | |||||
8회 (10/1) |
공부목표 : 달력에서 수의 규칙 찾기 |
- 마방진 자료 | |||
공부내용/방법 :1. 3×3칸의 가로 세로 합은 전체의 합은 가운데 수 × 9 왜 그럴까? 2. 3차 마방진 해 보기(높은 학년), 다른 규칙은 없을까? (일주일 날짜를 다 더하면 수요일 날짜×7이야. 왜 그럴까?) 3. 같은 요일에 쓰인 숫자들의 평균은?(높은 학년) =>평균은 높은 학년을 중심으로 가르친다. 4. 개천절 이야기 | |||||
9회 (11/1) |
공부목표 : 달력 꾸미기, 새로운 달력 만들기 |
| |||
공부내용/방법 : 1. 일요일은 빨강, 다른 요일은 검정인 색을 다르게 만들어본다. 2. 요일 기준이 아니라 날짜기준으로 달력을 만들어 본다. 3. 신문, 잡지에 나와 있는 숫자를 오려서 달력 날짜를 만들어 본다. | |||||
10회 (12/1) |
공부목표 : 살아 온 날 계산해 보기, 일년은 몇 일 인가? |
| |||
공부내용/방법 : 1. 성탄절 이야기 2. 태어나서 지금까지 살아 온 날 더해 보기 3. 일년은 몇 일이고, 그 기준은 무엇일까? 4. 윤년이 생기는 까닭. | |||||
11회 (12월 말) |
공부목표 : 일 년 되돌아보기, 자기 달력 관찰하기, 방학계획하기, 새해 달력 만들기, 12간지 이해 |
- 12간지 이야기, - 한 장에 들어 있는1년 달력 | |||
공부내용/방법 : 1. 자기 달력으로 1년 돌아보며 이야기 나누기 2. 학교 일정과 방학 계획 나누기 3. 새 해는 무슨 띠고 12간지는 무엇일까? 4. 한눈에 볼 수 있는 일 년 달력은 어떻게 만들까? | |||||
12회 (2/1) |
공부목표 : 집에서 식구들이랑 달력 만들며 새해 이야기 나누기, 설날 이야기(숙제) |
| |||
공부내용/방법 : 1. 설날 이야기, 새 해 계획이야기 2. 세뱃돈 따위 용돈에 관한 이야기. 3. 정월 대보름이야기, 어머니 아버지 어릴 때 이야기 | |||||
* 덧붙이는 말 1. 달마다 만드는 달력에는 아이들의 개성이 녹아 있고, 식구와 학교의 삶이 살아 있게 만들어야 . 2. 달력의 형식에 매달리지 않되 아이들 마다 달력의 일관성이 있게 지도. 3. 철에 따른 특징이 있게 꾸미기. 4. 수 계산이나 도형 공부 내용을 달력 만들기 속에서 자연스럽게 알아본다. 5. 달력의 역사, 양력 음력 기준, 절기, 명절 따위들은 백과사전에서 찾아보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