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세 밀성군(密城君) |
2세 운산군(雲山君) |
3세 광성정(光城正) |
4세 광능수(廣陵守) |
5세 극성(克誠) |
6세 덕윤(德潤) |
7세 규(戣) |
8세 대순(大純) |
9세 정지 |
※ 신빈 김씨 (밀성군의 어머니)
1406년(영락 4년) 출생
1417년(12세) 입궁
1428년(선덕 3년) 소용
1432년( ″ 7년) 숙의
1433년( ″ 8년) 소의
1439년(정통 4년) 귀인
※. 불천위(不遷位) = 불천지위
큰 공훈이 있어 영원히 사당에 모시기를 나라에서 허락한 신위.(임금님이 하사함)
3) 세(世)와 대(代)
시조(始祖)를 1세로 하여 차례대로 따져서 정하는 것이 세(世)이며 본인을 빼고 나머지를 차례대로 따지는 것이 대(代)이다.
선조(先祖)에는 세(世)를 쓰지 아니하고 몇 대조라 한다.
4) 촌수법(寸數法) (숫자는 촌수)
⑤종증조부 |
⑥재종조부 |
⑦재종숙부 |
⑧삼종형제 |
⑨삼 종 질 |
⑩사 종 손 | |||||||||||||
⑥재종대고모 |
⑦재종고모 |
⑧삼종자매 |
⑨삼종질녀 |
⑩사종손녀 | ||||||||||||||
④종 조 부 |
⑤당숙부 |
⑥재종형제 |
⑦재 종 질 |
⑧삼 종 손 | ||||||||||||||
⑤당고모 |
⑥재종자매 |
⑦재종질녀 |
⑧삼종손녀 | |||||||||||||||
③백숙부 |
④종 형 제 |
⑤당질․녀 |
⑥재종손․녀 | |||||||||||||||
④종 자 매 |
⑤종 생 질 |
⑥생재손녀 | ||||||||||||||||
②형 제 |
③질․질녀 |
④종손․녀 | ||||||||||||||||
④고조부 |
③증조부 |
②조 부 |
①부․모 |
|||||||||||||||
자 기 |
①자 |
②손자․녀 | ||||||||||||||||
l |
||||||||||||||||||
①녀 |
②외종자․녀 | |||||||||||||||||
②자 매 |
③생질․녀 |
④생 종 손 | ||||||||||||||||
③고 모 |
④내종형제․자매 |
⑤내당질․녀 |
⑥내재종손․녀 | |||||||||||||||
③증대고모 |
||||||||||||||||||
④대 고 모 |
⑤내 종 숙 |
⑥내재종형재 |
⑦내재종질․녀 |
⑧내삼종손자․녀 | ||||||||||||||
④장증조부 |
⑤처당숙부 |
⑥처재종형제 |
⑦처재종질․녀 |
⑧처삼종손 | ||||||||||||
③처 고 모 |
④처내종형제 |
⑤처 내 질 |
⑥처내제종손 | |||||||||||||
③처 백 숙 |
④사촌처남 |
⑤처당질․녀 |
⑥처재종손 | |||||||||||||
④장고조부 |
③장증조부 |
②장조부 |
①장 인 |
②처 남 |
③처질․녀 |
④처 종 손 | ||||||||||
처 |
||||||||||||||||
④처외고조부 |
③처외증조부 |
②처외조부 |
①장모 |
②처형․처제․동서 |
③처 이 질 |
④처이종손 | ||||||||||
③처외숙부 |
④처외종형제 |
⑤처외종질 |
⑥처이재종손 | |||||||||||||
③처 이 모 |
④처이종형제 |
⑤처이종질 |
⑥처외재종손 | |||||||||||||
④장증조부 |
⑤외당숙부 |
⑥외재종형제 |
⑦외재종질․녀 |
⑧외삼종손․녀 | ||||||||||
③외 숙 부 |
④외종형제자매 |
⑤외종질․녀 |
⑥외재종손․녀 | |||||||||||
④외고조부 |
③외증조부 |
②외 조 부 |
①모 |
자 기 |
||||||||||
③이 모 |
④이종형제자매 |
⑤이종질․녀 |
⑥외재종손․녀 | |||||||||||
5) 항렬표(行列表) ※ 윗자리 세는 시조(이한 공)로부터
二十五世 (一世) |
琛 |
三十五世 (十一世) |
祥 能 |
四十五世 (二十一世) |
圭 南 ○ |
五十五世 (三十一世) |
○ 載 |
二十六世 (二世) |
誡 |
三十六世 (十二世) |
英 稷 |
四十六世 (二十二世) |
○ 錫 寧 |
五十六世 (三十二世) |
○ 鉉 |
二十七世 (三世) |
鏗 |
三十七世 (十三世) |
○ 元 憲 |
四十七世 (二十三世) |
淳 盛 ○ |
五十七世 (三十三世) |
○ 泳 |
二十八世 (四世) |
鎬 |
三十八世 (十四世) |
○ 秉 |
四十八世 (二十四世) |
○ 根 紀 |
||
二十九 (五世) |
彪 |
三十九世 (十五世) |
容 ○ |
四十九世 (二十五世) |
炳 康 ○ |
||
三十世 (六世) |
忄(부수) |
四十世 (十六世) |
○ 重 |
五十世 (二十六世) |
○ 均 宰 |
||
三十一世 (七世) |
東 |
四十一世 (十七世) |
○ 鎬 鍾 |
五十一世 (二十七世) |
鎔 聖 ○ |
||
三十二世 (八世) |
(부수)老 |
四十二世 (十八世) |
○ 洙 |
五十二世 (二十八世) |
○ 泰 |
||
三十三世 (九世) |
相 斗 |
四十三世 (十九世) |
柱 愚 ○ |
五十三世 (二十九世) |
東 ○ |
||
三十四世 (十世) |
炫 |
四十四世 (二十世) |
○ 煥 九 |
五十四世 (三十世) |
○ 熙 |
2. 제 례
1) 제례란?
선대 선조들을 추도하기 위하여 돌아가신 날 또는 사시명절(四時名節)에 제사를 올리는 의식절차를 말한다.
제사는 형편에 맞도록 차리되 정성을 다한다.
종류는 상중(喪中)의 우제(虞祭),소상(小喪),대상(大喪)과 시제(時祭), 차례(茶禮), 기제(忌祭)등이 있다.
○ 시제는 철따라 1년에 4번 지내던 제사였으나 현재는 거의 지내지 않는다.
○ 차례는 정월 초하루와 추석에 지낸다.
○ 기제는 해마다 돌아가신 날에 지내며 닭이 울기 전 자시(子時 : 밤12시부터 1시 사이)에 행하는 것이 관례이다.
2) 제례(祭禮) 순서
◎降神禮(강신례)
1. 집사 각위치
2. 進饌(진찬)(집사가 제사상의 덮개를 벗긴다.)
◎焚香禮(분향례)
3. 초헌관 三上香(삼상향)(향을 세 번 올림)
4. 초헌관 재배 (조금물러나) 부복.
5. 작주. 삼관우지우(관지구에 세 번 붓다.)
6. 초헌관 재배
7. 전체 재배
◎初獻禮(초헌례)
8. 酌酒(작주), 獻盞(헌잔), 奉進炙(봉진적)
9. 계반개삽시서병정저(啓飯蓋揷匙西柄正箸) (메를 열어 숫가락을 꽂고 저는 서쪽으로 반듯하게 놓는다.)
10. 俯伏(부복) (엎드린다.)
11. 讀祝(독축)
12. 초헌관 재배
◎亞獻禮(아헌례)
13. 작주(술을따르고), 헌잔, 봉진적(적을올림)
14. 아헌관 재배(대개 차남)
◎終獻禮(종헌례)
15. 작주, 헌잔(잔을 올리고), 봉진적
16. 종헌관 재배(대개 큰며느리)
◎侑食禮(유식례)
17. 철갱진숙수(撤羹進熟水)
(국을내리고 숭냉을 올린다)
18. 부복(엎드린다.)
19. 철시저합반개(撤匙箸盒飯蓋)
(수저를내리고 메뚜껑을 닫는다.)
◎辭神禮(사신례)
20. 전체 재배
21. 분축 (축문을 태운다.)
22. 禮畢(예필) (모두 끝낸다.)
메 |
국 |
시접 |
메 |
국 |
편 | ||||||
국수 |
잔대 |
잔대 |
꿀 | ||||||||
초대 |
두부 |
육전 |
적 |
어포전 |
녹두전 |
초대 | |||||
잡탕 |
|||||||||||
포 |
김 |
나물 |
간장 |
물김치 |
자반 |
식혜 | |||||
밤 |
배 |
산자 |
약과 |
사과 |
감 |
대추 |
4) 축문과 지방 쓰는 법
(1) 축문 쓰는 법
維歲次( 1 )( 2 )月( 3 )朔( 4 )( 5 )
유세차 월 삭
( 6 ) 敢紹告于
감소고우
顯( 7 )( 8 )府君
현 부군
顯( 9 )( 10 )氏 歲序薦易
현 씨 세서천역
顯( 11 )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현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勤以 淸酌庶羞 恭伸 奠獻 尙
근이 청작서수 공신 전헌 상
饗
향
1. 제사 지내는 해의 간지(干支)
2. 제사 든 달
3. 제사 든 달의 초하룻날 일진(日辰)
4. 제사 일자
5. 제사 일자의 일진(日辰)
6. 제주(祭主)의 이름(조부모 이상(효손), 부모(효자)를 앞에)
7. 아버지는 고(考), 할아버지는 조고(祖考), 증조할아버지는증조고(曾祖考), 고조할아버지는 고조고(高祖考)라 쓴다.
8. 관직이 있는 사람은 그 관명(官名)을 쓰고 없으면 학생(學生)이라 쓴다.
9. 남편이 관직에 있으면 처도 품계를 얻어 호칭했으나 없으면 유인(孺人)이라 쓴다.
10. 여자의 경우 본관과 성을 쓴다.
11. 남자의 제사인 경우에는 7, 8을 쓰고,
여자의 제사인 경우에는 9를 쓴다.
(2) 지방 쓰는 법
顯현 顯현
( 1 )
考고 妣비
( 2 )
附부
君군 氏씨
神신 神신
位위 位위
1. 남자(좌) : 고조, 증조, 조, 부친은 그냥 고(考)이다.
여자(우) : 고조, 증조, 조, 어머니는 그냥 비(妣)
2. 남자(좌) : 관직, 관직이 없으면 학생(學生)
여자(우) : 남자가 관직과 본관이 있으면 표기하고, 관직이
없으면 본관과 성을 쓴다.
5) 제향일(祭享日)
순 |
존호(尊號) |
제 향 일 |
소 재 지 |
비 고 |
1 |
조 경 단 |
4월 10일 |
전주 덕진구 |
시조 이한공의 사당 |
2 |
조 경 묘 |
9월 9일 |
전주 풍남구 |
시조 이한공의 묘소 |
3 |
준 경 묘 |
4월 20일 |
삼척 미노면 |
태조의 고조부 |
4 |
종묘 대제 |
5월 첫번째 일요일 |
서울 종로구 |
열성조(列聖祖) |
5 |
건 원 능 |
6월 27일 |
구리 동구능 |
태조 고황제 |
6 |
헌 능 |
6월 8일 |
서초구 내곡동 |
태종대왕 |
7 |
영 능 |
4월 8일 |
여주 능서면 |
세종대왕 |
8 |
애 기 능 |
9월 첫 번째 일요일(음) |
화성시청 옆 |
신빈 청풍 김씨 |
9 |
효 희 사 |
10월 1일(음) |
하남 초이동 |
밀성군 → 광능수 |
10 |
구포리 문중 |
10월 1일(음)지난 첫 번째 일요일 |
비봉 구포리 |
극성공 → 대순공 |
11 |
청요리 문중 |
비봉 청요리 |
정상공 → 우섭공 | |
12 |
융 능 |
4월 둘째주 일요일 |
화성 태안읍 |
장조(사도세자) |
13 |
건 능 |
5월 둘째주 일요일 |
″ |
정 조 |
祭 享 別 제 향 별 |
陽 曆 양 력 |
陰 曆 음 력 |
豊德郡夫人驪興閔氏 忌辰祭 풍덕군부인여흥민씨 기신제 |
2007. 1. 22 正午 |
丙戌 12. 4 正午 |
雲山郡 忌辰祭 운산군 기신제 |
2007. 2. 4 正午 |
丙戌 12. 17 正午 |
密城郡 忌辰祭 밀성군 기신제 |
2007. 2. 18 正午 |
丁亥 1. 1 正午 |
密城郡 雲山郡 節祀 밀성군 운산군 절사 |
2007. 2. 18 正午 |
丁亥 1. 1 正午 |
密城郡 雲山郡 春享祭 밀성군 운산군 춘향제 |
2007. 4. 5 正午 |
丁亥 2. 18 正午 |
信川郡夫人玄風郭氏 忌辰祭 신천군부인현풍곽씨 기신제 |
2007. 7. 6 正午 |
丁亥 5. 22 正午 |
烏川郡夫人延日鄭氏 忌辰祭 오천군부인연일정씨 기신제 |
2007. 8. 11 正午 |
丁亥 6. 29 正午 |
密城郡 雲山郡 節祀 밀성군 운산군 절사 |
2007. 9. 25 正午 |
丁亥 8. 15 正午 |
密城郡 雲山郡 秋享祭 밀성군 운산군 추향제 |
2007. 11. 10 正午 |
丁亥 10. 1 正午 |
鐵城郡.匡城正.廣陵守 秋享祭 철성군 광성정 광능수 추향제 |
2007. 11. 10 正午 |
丁亥 10. 1 正午 |
|
첫댓글 좋은자료 올리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