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운론을 공부하기 위한 가장 기본규칙이라 할 수 있는 표준발음법을 싣습니다. 자료실에 따로 올리고 여기서는 장별로 올리겠습니다.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자음 19개 모음 21개 그리고 모음 중 단모음은 10개 상식이겠죠? <표준 발음법> 제1장 총칙 제1항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합을 원칙으로 한다. 제2장 자음과 모음 제2항 표준어의 자음은 다음 19개로 한다. ᄀ,ᄁ,ᄂ,ᄃ,ᄄ,ᄅ,ᄆ,ᄇ,ᄈ,ᄉ,ᄊ,ᄋ,ᄌ,ᄍ,ᄎ,ᄏ,ᄐ,ᄑ,ᄒ 제3항 표준어의 모음은 다음 21개로 한다. ㅏ,ㅐ,ㅑ,ㅒ,ㅓ,ㅔ,ㅕ,ㅖ,ㅗ,ㅘ,ㅙ,ㅚ,ㅛ,ㅜ,ㅝ,ㅞ,ㅟ,ㅠ,ㅡ,ㅢ,ㅣ 제4항 ‘ㅏ,ㅐ,ㅓ,ㅔ,ㅗ,ㅚ,ㅜ,ㅟ,ㅡ,ㅣ’는 단모음(單母音)으로 발음한다. [붙임] ‘ㅚ,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 제5항 ‘ㅑ,ㅒ,ㅕ,ㅖ,ㅘ,ㅙ,ㅛ,ㅝ,ㅞ,ㅠ,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다만1]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가지어 → 가져[가저] 찌어 → 쪄[쩌] 다치어 → 다쳐[다처] [다만2]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집[계ː집/게ː집] 계시다[계ː시다/게ː시다] 시계[시계/시게](時計) 연계[연계/연게](連繫) 몌별[몌별/메별](袂別) 개폐[개폐/개페](開閉) 혜택[혜ː택/헤ː택](惠澤) 지혜[지혜/지헤](智慧) [다만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늴리리 닁큼 무늬 띄어쓰기 씌어 틔어 희어 희떱다 희망 유희 [다만4]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주의[주의/주이] 협의[혀븨/혀비] 우리의[우리의/우리에] 강의의[강ː의의/강ː이에] |
첫댓글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