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⑴ㄱ. 쇠고기를 데쳐 낸 가다랑어 육수에 간장·설탕·맛술·물엿을 넣은 다음 감자를 넣고 익을 때까지 조렸다. ㄴ. 그는 간장 양념을 해서 무와 함께 조려 낸 고등어를 가장 좋아했다. ⑵ㄱ. 엿을 너무 많이 졸였다 싶으면 타지 않게 잘 저어가면서 마무리하는 게 좋습니다. ㄴ. 브라운 루(brown roux)를 볶은 팬에 설렁탕 두 국자를 부어 갈색으로 말라붙을 때까지 졸였다. |
이러한 문장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조리다’와 ‘졸이다’의 의미 차이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인 듯합니다. 그렇다면 두 단어는 어떠한 차이를 가지고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조리다’와 ‘졸이다’는 음식의 국물이 줄어든다는 점에서 비슷한 의미를 지니고 있긴 하지만, ‘조리다’는 양념의 맛이 재료에 푹 스며들도록 국물이 거의 없을 정도로 바짝 끓여내는 것을 이르는 반면, ‘졸이다’는 단순히 찌개나 국의 국물을 줄게 하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따라서 ‘생선을 ~’의 경우는 ‘조리다’와 어울려 쓰이는 것이 적합하며, ‘국물을 ~’의 경우는 ‘졸이다’와 어울려 쓰이는 것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조리다’와 ‘졸이다’의 의미 차이는 ‘졸이다’의 형성 과정을 통해 볼 때 좀 더 분명해집니다. ‘졸이다’는 “찌개, 국, 한약 따위의 물이 증발하여 분량이 적어지다.”라는 뜻을 지닌 ‘졸다’의 사동형이기 때문입니다.
한편, ‘졸이다’는 ‘졸다’의 사동형으로서가 아니라, 별개의 의미를 지닌 동사로서 “마음’이나 ‘가슴’ 따위와 함께 쓰여 속을 태우다시피 초조해하다.”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합니다. 다음이 그 예입니다.
⑶ㄱ. 이날 류 감독은 마지막까지 마음을 졸였다. ㄴ. 앉으락누우락 일어서서 거닐어 보다가, 발랑 나동그라져 보다가, 바작바작 애를 졸이며 간신히 그 낮을 보내고 말았다.≪현진건, 무영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