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의 설명
- 개암 또는 헤이즐넛(Hazelnut)은 개암나무속 나무의 열매이다. 모양은 도토리와 비슷하다.
식용으로 제공되는 견과류로 세계에 널리 유통된다.
엔하위키 미러의 설명
- 특유의 향 때문에
아이스크림,
초콜릿,
쿠키,
커피 등 서양식 음료수나
과자를 만들 때 많이 이용된다.
누텔라에도 헤이즐넛이 들어간다. 또한 이탈리아의 리큐르의 일종인 프란젤리코(Frangelico)는
주정에 헤이즐넛을 넣고 숙성시킨 것이다.
다만 편의점이나 대형마트에서 많이 파는 헤이즐넛 커피에는 헤이즐넛이
안 들어간다.
헤이즐넛이 커피보다 단가가 높은 탓에 이윤이 안 맞는다. 헤이즐넛 커피는 유통기간이 얼마 남지 않은 원두에 헤이즐넛 인공향을 입혀 파는 것. 헤이즐넛이랑은 전혀 상관없다. 그런데도 헤이즐넛 커피가 하도 많이 유통되다 보니 헤이즐넛을 커피 품종으로 아는 사람도 간혹 나온다.
칼로리는 100그램에 371칼로리 정도이며
지방 함량은 60% 가량으로 높은 편. 견과류 자체가 한번에 많은 양을 섭취하는 음식이 아닌 것을 감안하면 그럭저럭이다. 단 요리에 사용될 때면 으레
시럽 등 고칼로리 첨가물과 함께 섭취하게 되는지라.
헤이즐넛이 가장 많이 생산되는 국가는
터키로, 전 세계 생산량의 약 75%가 터키에서 생산된다. 터키 한 나라에서 2004년에 거둔 헤이즐넛의 양이 약 62만 5천 톤(!)이다.
그래서 종종 터키의 작황이 안좋으면 헤이즐넛의 값이 널뛰기를 한다.
한국에서는
개암나무로 자주 번역되며, 헤이즐넛을 개암과 동의어로 생각하는 사람도 많다. 실제로
위키백과 등에서는 개암을 검색하면 헤이즐넛 항목으로 넘겨준다. 그러나 서양 요리에 사용되는 헤이즐넛은 정확히는 서양 개암나무(Corylus Avellana)의 열매로, 한국에 자생하는 개암나무(Corylus heterophylla)와는 같은 개암나무속이긴 해도 종이 다르다.
사실 "헤이즐넛"이라는 이름 자체가 개암나무속(Hazel)의 열매(nut)라는 뜻인지라 개암나무속의 나무가 맺는 열매는 대부분 헤이즐넛이라 부를 수 있기에 아주 오용이라 보기도 힘든 애매한 상황.
우리나라에 야생으로 자생하는 개암나무도 있지만 [헤이즐넛]이라고 하는걸 보면 좀 다른 품종인 것 같다.
견과류 중 최고라는 수식어가 늘 따라다니고 영양면이나 상품성도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사진출처 / 위키백과
첫댓글 어린시절 산을 제집처럼 뛰어놀때 개암을 처음으로 따서
먹은 기억이 있읍니다~
입싹이는 신맛이 강해서 진저리가 쳐질정도였고 아침이슬이 맺혀 있을땐
뱀이 개암나무에 자주 올라있는걸 보곤 놀란적도 많이 있었읍니다~
정말 고소하고 밤처럼 오독오독 씹히는맛이 일품이었는데,,,,,,
예, 우리나라 야생개암과는 좀 다른 개량종입니다. 주로 터키산을 개량한 것인데 높은 영양가와 맛으로 인기가 있다고 합니다. 처음인데 잘 키워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