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모음 : 기본자, 2합자, 3합자
(2) 모음 : 가운뎃 소리(중성)로만 쓰는 11자
(2) 모음 : 가운뎃소리로만 쓰는 11자
<보통학교 언문철자법>을 정할 때에 아래 아(ㆍ)를 정식으로 제외함. 3년 뒤 1933년 발표된 <조선어 철자법 통일안>에는 자음 14자, 모음 10자 합24자의 차례를 현재와 같이 배열하기로 함 |
[訓民正音] 해례본(한문본) 체재
- 해례본의 가치 (1) 字體의 상형설 확인 (2) 정연한 제자원리 및 자모의 조직, 운용법 확인 (3) 창제 당초의 자체(字體)밝혀줌. |
(1) 창제 - 세종 25(1443년) 음력 12월
3.2.1 ![]() . 자형은 상형(象形)에 의해 제정 . 사람의 소리가 오행, 계절, 음계와 맞음 예) 아음 - 木 - 春 - 角 . 성음의 청탁을 중국 운서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예) 전청 : ㄱ, ㄷ, ㅂ, ㅈ, ㅅ, ㄴ . 'ㅸ'의 구조 . 중성에서 '아래 아, ㅡ, ㅣ'의 세 소리에 대해 혀의 오그라짐과 소리의 깊고 낮음을설명 . 중성의 글자는 '아래 아, ㅡ, ㅣ'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 삼재(三才) = 삼극(三極) 중에서 '아래 아'가 으뜸이 됨 . 중국 역경에 나오는 천수(天數)와 지수(地數)를 중성에 적용 . 초성과 중성의 비교 (초성 : 地의 功, 중성 : 天의 用) . 초성이 종성으로 쓰임은 만물의 회전에 비유 3.2.2 ![]() 3.2.3 ![]() . 합용 : 두 자 이상을 합해서 쓰는 것 . 기본자 : 3자 , 초출자 4자, 재출자 4자 (모두 11자) . 이 외에 중모음으로 쓰이는 2자, 3자 합용을 풀이함 3.2.4 ![]()
. 합용, 각자 병서의 규정 . 한글과 한자의 혼용시에 보충하는 경우 . 방점으로 사성을 표시 . 초성에서의 ㄴ과 ㅇ는 소리가 비슷해서 통용됨 . 반설음 ㄹ에도 경중이 있다. ( ㄱ : 반설경음 ) . 2중모음의 가능성 제시( ! 등) 3.2.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