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마 혈맥론 번역본 - 법상스님 진흥원 혈맥론 강의자료
1.
三界混起 同歸一心 前佛後佛 以心傳心 不立文字
삼계혼귀 동귀일심 전불후불 이심전심 불입문자
“삼계(三界)가 어지럽게(혼돈) 일어나지만, 모두가 한 마음(一心)으로 돌아간다. 앞서 깨달은 분이나 뒤에 깨달은 분이 모두 마음으로 마음을 전한 것이지(이심전심) 문자를 세우지 않았다.(불립문자)”
問曰 若不立文字 以何爲心
문왈 약불입문자 이하위심
묻는다.
“만약 문자를 세우지 않는다면, 무엇으로 마음을 삼습니까?”
答曰 汝問吾 卽是汝心 吾答汝 卽是吾心 吾若無心 因何解答汝 汝若無心
답왈 여문오 즉시여심 오문여 즉시오심 오약무심 인하해답여 여약무심
因何解問吾 問吾卽是 汝心 從無始曠大劫以來 乃至施爲運動 一切時中
인하해문오 문오즉시 여심 종무시광대겁이래 내지시위운동 일체시중
一切處所 皆是汝本心 皆是汝本佛 卽心是佛 亦復如是
일체처소 개시여본심 개시여본불 즉심시불 역부여시
답한다.
“그대가 나에게 묻는 것이 곧 그대의 마음이고, 내가 그대에게 대답하는 것이 바로 나의 마음이다. 나에게 마음이 없다면 어찌 그대에게 대답할 수 있으며, 그대에게 마음이 없다면 어떻게 나에게 물을 수 있겠느냐?
나에게 묻는 것이 곧 그대의 마음이다. 시작 없는 옛날부터 움직이고 활동하는 것이, 언제든지(일체시중) 어디서든지(일체처소) 모두 그대의 근본 마음이며, 근본 부처이다. 마음이 곧 부처라 함(즉심시불)이 바로 이와 같느니라.
除此心外 終無別佛可得 離此心外 覓菩提涅槃 無有是處 自性眞實
제차심외 종무별불가득 이차심외 멱보리열반 무유시처 자성진실
非因非果 法卽是心義 自心 是菩提 自心是涅槃 若言心外 有佛及菩提可得
비인비과 법즉시심의 자심 시보리 자심시열반 약언심외 유불급보리가득
無有是處 佛及菩提 皆在何處 譬如有人 以手捉 虛空得否
무유시처 불급보리 개재하처 비여유인 이수착 허공득부
마음을 떠나서 부처를 찾을 수 없으니, 마음을 떠나 보리와 열반을 구한다면 옳지 못하다. 자성(自性)은 진실하여, 원인(因)도 아니고 결과(果)도 아니며, 법 그대로가 바로 마음이다. 자기 마음이 바로 보리요 열반이니, 만약 마음을 떠나 부처가 있고 보리를 얻는다 한다면 옳지 않다. 도대체 부처와 보리가 어디에 있는가? 비유하자면 어떤 사람이 손으로 허공을 잡을 수 있겠는가?
2
虛空但有名 亦無相貌 取不得 是捉空不得 除此心外 覓佛終不得也
허공단유명 역무상모 취부득 시착공부득 제차심외 멱불종부득야
佛是自心作得 因何離此心外 覓佛 前佛後佛 只言其心 心卽是佛
불시자심작득 인하이차심외 멱불 전불후불 지언기심 심즉시불
佛卽是心 心外無佛 佛外無心 若言心外有佛 佛在何處
불즉시심 심외무불 불외무심 약언심외유불 불재하처
心外旣無佛 何起佛見 遞相△惑 不能了本心 被他無情物攝 無自由
심외기무불 하기불견 체상광혹 불능요본심 피타무정물섭 무자유
若也不信 自△無益
약야불신 자광무익
허공은 이름일 뿐 모양이나 형상이 없어서, 취할 수도 없고 버릴 수도 없으니(취부득 사부득), 이렇듯 허공을 잡을 수 없듯이, 이 마음을 떠나서 부처를 찾을 수는 결코 없다. 부처는 스스로의 마음으로 깨달아 얻는 것이거늘, 마음을 떠나 어찌 따로 부처를 찾겠는가.
먼저 깨달은 분이나 뒤에 깨달은 분들이 단지 마음 하나만을 말씀하였으니, 마음이 곧 부처요(심즉시불) 부처가 곧 마음이며, 마음 떠나 부처 없고(심외무불) 부처 떠나 마음 없다. 만약 마음을 떠나 부처가 있다고 한다면, 부처는 도대체 어디에 있는가? 마음을 떠나 따로 부처가 없는데, 어찌 부처라는 견해를 일으키겠는가? 미혹하게 서로 (분별에) 속고 속여 본래 마음을 깨닫지 못한다면, 저 무정물(불상 등)에게 사로잡혀 자유로울 수 없다. 만약 이 말을 믿지 못한다면 스스로를 속이는 것일 뿐이니 전혀 이익이 없다.
佛無過患 衆生顚倒不覺 不知自心是佛 若知自心是佛
불무과환 중생전도불각 부지자심시불 약지자심시불
不應心外覓佛 佛不度佛 將心覓佛 不識佛 但是外佛者 盡是不識自心是佛
불응심외멱불 불부도불 장심멱불 불식불 단시외불자 진시불식자심시불
亦不得將佛禮佛 不得將心念佛 佛不誦經 佛不持戒 佛不犯戒
역부득장불예불 부득장심염불 불불송경 불불지계 불불범계
佛無持犯 亦不造善惡
불무지계 역불조선악
부처는 허물이 없으나 중생이 거꾸로 전도(顚倒)되어 자기 마음이 부처인 줄을(자심시불) 깨달아 알지 못한다. 만약 자기 마음이 부처인 줄을 안다면, 마음 밖에서 부처를 찾지는 않을 것이다. 부처가 부처를 제도하지 못하니, 마음을 가지고 부처를 찾으면 부처를 알지 못한다. 그럼에도 바깥에서 부처를 찾는 것은, 자기 마음이 부처인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부처를 가지고 부처에게 예불(禮佛)할 것도 없고, 마음을 가지고 부처를 염불(念佛)할 것도 없다. 부처는 경을 읽지 않으며, 부처는 계를 지키지 않으며, 그렇다고 부처가 계를 범하지도 않는다. 부처는 지키고 범하는 것이 없으며, 또한 선악(善惡)을 짓지도 않는다.
若欲覓佛 須是見性卽是佛 若不見性 念佛誦經持齋持戒
약욕멱불 수시견성즉시불 약불견성 염불송경지재지계
亦無益處 念佛得因果 誦經得聰明 持戒得生天 布施得福報
역무익처 염불득인과 송경득총명 지계득생천 보시득복보
覓佛終不得也 若自己不明了 須參善知識 了却生死根本
멱불종부득야 약자기불명료 수참선지식 요각생사근본
若不見性 卽不名善知識 若不如此 縱說得十二部經
약불견성 즉불명선지식 약불여차 종설득십이부경
亦不免生死 輪廻三界受苦 無出期時
역불면생사 윤회삼계수고 무출기시
만약 부처를 찾고자 한다면 반드시 견성(見性)해야 하니, 견성이 곧 부처다. 만약 본성을 보지 못한다면, 염불하거나 경을 외우고 재계(齋戒)를 지키거나 계를 지키더라도 아무 이익이 없다. 염불하면 왕생하는 인과(因果)를 얻고, 경을 외우면 총명해지며, 계를 지키면 하늘에 태어나고(生天), 보시하면 복의 과보를 받지만, 이런 것으로는 끝내 부처를 찾지 못한다.
만약 스스로 밝게 깨닫지 못했다면, 모름지기 선지식을 찾아가 생사의 근본을 깨달아야 한다. 만약 견성하지 못했다면 선지식이라 할 수 없다.
만약 이와 같지 못하다면, 12부경을 다 외운다 해도 생사를 벗어날 수 없고, 삼계를 윤회하며 고통을 받을 뿐이니, 여전히 세간을 벗어날 기약은 없을 것이다.
3
昔有善星比丘 誦得十二經部 猶自不免輪廻 緣爲不見性 善星旣如此 今時人
석유선성비구 송득십이경부 유자불면윤회 연위불견성 선성기여차 금시인
講得三五本經論以 爲佛法者愚人也 若不識得自心 誦得閒文書 都無用處 若要覓佛
강득삼오본경론이 위불법자우인야 약불식득자심 송득한문서 도무용처 약요멱불
直須見性 性卽是佛 佛卽是自在人 無事無作人 若不見性 終日茫茫
직수견성 성즉시불 불즉시자재인 무사무작인 약불견성 종일망망
向外馳求 覓佛元來不得
향외치구 멱불원래부득
옛날에 선성(善星)이란 비구는 12부경을 다 외웠으나 여전히 윤회를 면치 못했으니, 이는 성품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선성도 그러한데 요즘 사람들은 겨우 서너 권의 경전을 읽고 불법을 알았다고 하니 참으로 어리석다. 만일 자기의 마음을 알지 못하면서 부질없이 경전의 문구나 외운다면 이는 아무런 소용이 없다. 만일 부처를 찾고자 한다면 모름지기 본성을 보아야만 하니, 본성이 곧 부처이다. 부처는 곧 자재한 사람(自在人)이며, 일 없는 사람(無事人)이고, 조작함이 없는 사람(無作人)이다.
만약 견성하지 못한다면, 종일토록 아득하게 밖을 향해 치달려 구하면서(치구심) 부처를 찾더라도 여전히 얻지는 못하니, 원래 부처는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雖無一物可得 若未會亦須參善知識 切須苦求 令心會解 生死事大
수무일물가득 약미회역수참선지식 절수고구 영심회해 생사사대
不得空過 自■無益 縱有珍寶如山 眷屬如恒河沙 開眼卽見
부득공과 자광무익 종유진보여산 권속여항하사 개안즉견
合眼還見■ 故知有爲之法 如夢幻等 若不急尋師 空過一生然卽
합안환견마 고지유위지법 여몽환등 약불급심사 공과일생연즉
佛性自有 若不因師 終不明了 不因師悟者 萬中希有
불성자유 약불인사 종불명료 불인시오자 만중희유
비록 한 물건도 얻을 것이 없다고는 하지만, 아직 깨닫지 못했다면, 선지식을 찾아가 간절한 마음으로 공부하여 마음이 열리게 해야 한다. 생사 문제는 큰 것이니 헛되이 보내지 말라. 스스로 속이는 것은 이익될 것이 없다.
비록 진귀한 보물이 산처럼 쌓여 있고, 일가 권속이 갠지스강의 모래알처럼 많다 하더라도, 눈을 뜨면 보이지만 눈을 감으면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유위법(有爲法)은 꿈과 같고 허깨비 같음을 알아야 한다.
만약 서둘러 스승을 찾지 않는다면 헛되이 일생을 보내게 될 것이다. 불성은 스스로에게 있으나 스승을 말미암지 않는다면 끝내 밝혀낼 수가 없다. 스승 없이 깨닫는 것은 매우 희유한 일이다.
若自己 以緣會合 得聖人意 卽不用參善知識 此卽是生而知之勝學也
약자기 이연회합 득성인의 즉불용참선지식 차즉시생이지지승학야
若未悟解 須勸苦參學 因敎 方得悟 若自明了 不學亦得 不同迷人 不能分別■白
약미오해 수권고참학 인교 방득오 약자명료 불학역득 부동미인 불능분별조백
妄言宣佛勅 謗佛妄法 如斯等類 說法如雨 盡是魔說 卽非佛說 師是魔王
망언선불칙 방불망법 여사등류 설법여우 진시마설 즉비불설 사시마왕
弟子是魔民 迷人任他指揮 不覺墮生死海
제자시마민 미인임타지휘 불각타생사해
만약 스스로 인연 따라 깨달아서 성인의 뜻을 얻은 사람이 있다면 선지식을 찾을 필요가 없으니, 이런 이는 태어나면서부터 남다른 수승한 공부인일 것이다. 그러나 만약 아직 깨닫지 못한 이라면, 반드시 선지식을 찾아 근면하게 힘써 배워야 하니, 가르침으로 말미암아 깨달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스스로 분명히 깨달았다면, 배우지 않아도 되니, 그는 어리석은 이와는 같지 않다.
그러나 검고 흰 것을 분간하지도 못하면서, 삿된 말로 불법을 전하는 이가 있다면 그는 부처님을 비방하고 법을 욕되게 하는 것이니, 이런 무리는 내리는 비처럼 설법을 잘 하더라도 모두가 악마의 소리요 부처님의 말씀은 아니다. 이런 스승은 마왕이요, 제자는 악마의 백성이 되니, 이런 미혹한 사람은 그의 지휘에 따라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생사의 바다에 헤매게 된다.
4
但是不見性人 妄稱是佛 此等衆生 是大罪人 ■他一切衆生 令入魔界
단시불견성인 망칭시불 차등중생 시대죄인 광타일체중생 영입마계
若不見性 說得十二部經敎 盡是魔說 魔家眷屬 不是佛家弟子 旣不辨■白
약불견성 설득십이부경교 진시마설 마가권속 불시불가제자 기불변조백
憑何免生死 若見性卽是佛 不見性卽是衆生 若離衆生性 別有佛性可得者
빙하면생사 약견성즉시불 불견성즉시중생 약리중생성 별유불성가득자
佛今在何處 卽衆生性 卽是佛性也 性外無佛 佛卽是性 除此性外
불금재하처 즉중생성 즉시불성야 성외무불 불즉시성 제차성외
無佛可得者 佛外無性可得
무불가득자 불외무성가득
만약 견성하지 못한 사람이 함부로 부처라 일컫는다면, 이런 중생은 큰 죄인이니 많은 사람들을 속여서 악마의 세계로 떨어지게 한다. 만약 견성하지 못하면 12부 경을 모두 설법한다 해도 다 악마의 말이요, 악마의 권속이지 부처의 제자는 아니다. 이렇듯 검고 흰 것도 분간할 줄 모르는데 무엇에 의지해 생사를 면하겠는가. 만약 견성하면 부처요 견성하지 못하면 중생이다. 그러나 중생의 성품을 떠나서 따로 얻을 부처의 성품이 있다고 한다면, 부처는 지금 어디 있는가. 중생의 성품이 곧 부처의 성품이다.(衆生性卽是佛性) 성품 밖에 부처가 없으니, 부처가 바로 이 성품이다. 그러므로 이 성품을 떠나서는 부처가 될 수 없고 부처를 떠나서 성품을 얻을 수도 없는 것이다.”
問曰 若不見性 念佛頌經 布施持戒精進 廣興福利 得成佛否
답왈 약불견성 염불송경 보시지계정진 광흥복리 득성불부
答曰 不得 又問 因何不得 答曰 有少法可得 是有爲法
답왈 부득 우문 인하부득 담왈 유소법가득 시유위법
是因果 是受報 是輪廻法 不免生死 何時得成佛道 成佛須是見性
시인과 시수보 시윤회법 불면생사 하시득성불도 성불수시견성
若不見性 因果等語 是外道法 若是佛不習外道法 佛是無業人 無因果
약불견성 인과등어 시외도법 약시불불습외도법 불시무업인 무인과
但有少法可得 盡是謗佛 憑何得成 但有住着一心一能一解一見 佛都不許
단유소법가득 진시방불 빙하득성 단유주착일심일능일해일견 불도불허
묻는다.
“만약 견성하지 못했더라도, 염불하고, 경 읽고, 보시하고, 계행을 지키고, 정진하며 널리 복을 닦고 이로운 일을 한다면 부처가 될 수 있습니까?”
답한다.
“될 수 없다.”
다시 묻는다.
“어찌하여 안됩니까?”
답한다.
“작은 것이라도 얻을 법이 있다면, 이는 유위법(有爲法)이요 인과법이어서 과보를 받는 것이니, 이는 곧 윤회하는 법이라서 생사를 면치 못하는데 언제 부처를 이루겠는가. 성불(成佛)하려면 모름지기 견성(見性)해야 한다. 견성하지 못하면 인과 등의 말이 모두가 외도(外道)의 법이 된다. 만약 부처라면 외도의 법을 익히지 않는다. 부처는 업(業) 짓는 사람이 아니며, 부처에게는 인과도 없다. 조금이라도 얻을 법이 있다고 한다면 이는 모두 부처를 비방하는 짓이니, 어찌 부처가 되겠는가. 하나의 마음이라든가, 하나의 능력, 하나의 이해, 하나의 견해 따위에 조금이라도 집착함이 있다면, 부처는 이 모두를 허용하지 않는다.
5
佛無犯持 心性本空 亦非垢淨諸法 無修無證 無因無果 佛不持戒
불무범지 심성본공 역비구정제법 무수무증 무인무과 불불지계
佛不修善 佛不造惡 佛不精進 佛不懈怠 佛是無作人 但有住着心見
불불수선 불불조악 불불정진 불불해태 불시무작인 단유주착심건
佛卽不許也 佛不是佛 莫作佛解 若不見此義 一切時中 一切處所
불즉불허야 불불시불 막작불해약불견차의 일체시중일체처소
皆是不了本心
개시불료본심
부처는 범할 것도 지킬 것도 없다. 심성(心性)이 본래 공(空)하여, 더럽지도 않고 깨끗하지도 않다. 모든 법은 닦을 것도 없고 증득할 것도 없으며(無修無證), 원인도 없고 결과도 없다.(無因無果) 부처는 계를 지킬 것도 없고, 닦을 선도 없고, 지을 악도 없으며, 정진할 것도 없고, 게으름도 없다. 부처는 조작(造作)함이 없는 사람이니,(佛是無作人) 만약 집착하여 머무는 마음이 있다면 부처는 이를 허락하지 않는다. 부처는 부처가 아니니 부처라는 견해를 짓지 말라. 만약 이러한 뜻을 알지 못하면 어느 때, 어느 곳에서든 본심을 깨닫지 못할 것이다.
若不見性 一切時中 擬作無作想 是大罪人
약불견성 일체시중 의작무작상 시대죄인
是癡人 落無記空中 昏昏如醉人 不辨好惡
시치인 낙무기공중 혼혼여취인 불변호오
若擬修無 作法 先須見性然後 息緣慮 若不見性 得成佛道
약의수무 작법 선수견성연후 식연려 약불견성 득성불도
無有是處 有人 撥無因果 熾然作惡業 妄言本空
무유시처 유인 발무인과 치연작악업 망언본공
作惡無過 如此之人 墮無間黑闇地獄
작악무과 여차지인 타무간흑암지옥
永無出期 若是智人 不應如是見解
영무출기 약시지인 불응여시견해
만약 성품을 보지도 못했으면서, ‘언제나 조작(造作)함이 없다’는 생각을 한다면, 이것은 큰 죄인이며 어리석은 사람이다. 이는 무기공(無記空: 이것도 저것도 아닌 공)에 빠져서 캄캄한 것이 마치 취한 사람 같아서 좋고 나쁨을 분간 조차 못한다. 만약 조작함이 없는 법을 닦으려 한다면, 먼저 견성 한 뒤에야 반연하는 모든 생각이 쉬어지는 것이니, 견성하지 못하고 불도를 이룬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어떤 사람이 인과를 무시하고 온갖 악업을 지으면서, ‘본래 공(空)한 것이니 악업을 지어도 허물이 없다.’라며 헛소리를 한다면, 이런 이는 무간지옥, 흑암지옥에 떨어져 영원히 벗어날 길이 없다. 만약 지혜로운 사람이라면 이런 견해를 내지 않는다.”
問曰 旣若施爲運動 一切時中 皆是本心 色身無常之時 云何不見本心
문왈 기약시위운동 일체시중 개시본심 색신무상지시 운하불견본심
答曰 本心常現前 汝自不見 問曰 心旣見在 何故不見
답왈 본심상현전 여자불견 문왈 심기견재 하고불견
師云 汝曾作夢否 答曰 曾作夢
사운 여증작몽부 답왈 증작몽
묻는다.
“만일 움직이과 활동하는 것이 언제나 모두 본래마음이라면, 육신이 무상(無常)한 때에 어째서 본래마음을 보지 못합니까?”
답한다.
“본래마음은 항상 눈 앞에 나타나 있지만 그대가 보지 못할 뿐이다.”(本心常現前 汝自不見)
묻는다.
“마음이 이미 드러나 있다면, 어째서 보이지 않습니까?”
도리어 물었다.
“그대는 꿈을 꾼 적이 있는가?”
답한다.
“있습니다.”
6
問曰 汝作夢之時 是汝本身否 答曰 是本身 又問 汝言語施爲運動
문왈 여작몽지시 시여본신부 답왈 시본신 우문 여언어시위운동
以汝別不別 答曰 不別
이여별불별 답왈 불별
묻는다.
“그대가 꿈을 꿀 때, 꿈 속의 그것은 그대의 본래 몸인가?”
답한다.
“예 저의 본래 몸입니다.”
다시 묻는다.
“그대가 말하고 움직이며 활동하는 것이 그대와 다른가, 다르지 않은가?”
답한다.
“다르지 않습니다.”
師云 旣若不別 卽此身 是汝本法身 卽此法身 是汝本心
사운 기약불별 즉차신 시여본법신 즉차법신 시여본심
此心從無始曠大劫來 與如今不別 未曾有生死 不生不滅
차심종무시광대겁래 여여금불별 미증유생사 불생불멸
不增不減 不垢不淨 不好不惡 不來不去 亦無是非 亦無男女相
부증불감 불구부정 불호불오 불래불거 역무시비 역무남여상
亦無僧俗老少 無聖無凡 亦無佛亦無衆生 亦無修證 亦無因果 亦無筋力
역무승속노소 무성무범 역무불역무중생 역무수증 역무인과 역무근력
亦無相貌 猶如虛空 取不得捨不得 山河石壁 不能爲碍
역무상모 유여허공 취부득사부득 산하석벽 불능위애
出沒往來 自在神通 透五蘊山 渡生死河 一切業 拘此法身不得
출몰왕래 자재신통 투오온산 도중생하 일체업 구차법신부득
스님이 답한다.
“이미 다르지 않다면 이 몸 그대로가 그대의 근본 법신이며, 이 법신이 곧 그대의 본래 마음이다. 이 마음은 끝없는 과거로부터 지금과 전혀 다른 것이 없어서, 나고 죽는 것이 없다. 생멸도 없고(不生不滅), 늘지도 줄지도 않으며(不增不減), 더럽지도 않고 깨끗함도 없으며(不垢不淨),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없으며(不好不惡), 오거나 가는 것도 없으며(不來不去), 옳고 그름도 없으며(無是非), 남자도 여자도 없으며, 승속(僧俗)이나 노소(老少)도 없으며, 성인도 범부도 없으며, 부처도 중생도 없으며, 닦을 것도 증득할 것도 없으며(無修證), 인과(因果)도 없으며, 힘도 없고 모양도 없다. 마치 허공과 같아서 취할 수도 없고 버릴 수도 없다.(取不得捨不得) 산이나 강, 석벽(石壁) 따위도 장애가 되지 않으며, 나타나거나 숨거나 가고 옴이 자재하여 신령스럽게 통한다.(出沒往來 自在神通) 오온(五蘊 : 물질과 정신의 양면에 걸치는 일체의 유위법)의 산을 벗어나서, 생사의 바다를 건너게 하므로 어떤 업도 이 법신을 구속하지 못한다.
此心微妙難見 此心不同色相 此心是佛 人皆欲得見 於此光明中 運手動足者
차심미묘난견 차심부동색상 차심시불 인개욕득견 어차광명중 운수동족자
如恒河沙 及乎問着 憁道不得 猶如木人相似 憁是自己受用 因何不識
여항하사 급호문착 총도부득 유여목인상사 총시자기수용 인하불식
이 마음은 미묘해서 보기 어려우니, 이 마음은 물질의 모습과는 같지 않기 때문이다. 이 마음이 곧 부처이다.(此心是佛), 사람들은 모두 보기를 바라지만, 광명 속에서 헤아릴 수 없이 손발을 움직임에도, 물어보면 전혀 대답하지 못하는 것이 마치 허수아비 같다. 이 모두가 자기의 활동인데도 어째서 알지 못하는가.
7
佛言一切衆生 盡是迷人 因此作業 墮生死河 欲出還沒 只爲不見性
불언일체중생 진시미인 인차작업 타생사하 욕출환몰 지위불견성
衆生若不迷 因何問着 其中 無有一人得會者 自家運手動足
중생약불미 인하문착 기중 무유일인득회자 자가운수동족
因何不識 故知聖人語不錯 迷人自不會曉 故知此心難明
인하불식 고지성인어불착 미인자불회효 고지차심난명
唯佛一人 能會此心 餘人天及衆生等 盡不明了 若智慧 明了此心
유불일인 능회차심 여인천급중생등 진불명료 약지혜 명료차심
方名法性 亦名解脫 生死不拘 一切法 拘他不得 是名大自在王如來
방명법성 역명해탈 생사불구 일체법 구타부득 시명대자재왕여래
亦名不思議 亦名聖體 亦名長生不死 亦名大仙 名雖不同 體卽是一
역명불사의 역명성체 역명장생불사 역명대선 명수부동 체즉시일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모든 중생은 다 미혹한 사람이다. 이로 인해 업을 지으므로, 생사의 바다에서 빠져나오려 하다가도 도리어 빠지게 되는 것은 단지 성품을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셨다.
만약 중생이 미혹하지 않다면, 어째서 물음에 대해 한 사람도 아는 이가 없는가. 스스로의 손과 발이 움직이면서도 어찌하여 알지 못하는가.
그러므로 성인의 말씀은 틀리지 않건만 미혹된 사람 스스로가 깨달아 알지 못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마음은 밝히기 어려워서 오직 부처님 한 분만이 이 마음을 아실 뿐, 그 밖의 인간과 하늘 사람과 중생의 무리는 밝히지 못한다.
만일 지혜로써 이 마음을 밝게 깨달으면, 비로소 법성(法性)이라 하고 해탈이라고도 한다. 생사에도 구속받지 않고, 모든 법에도 구속되지 않으므로, 이를 일컬어 대자재왕여래(大自在王如來)라 하며, 부사의(不思議)라고도 하며, 성체(聖體:성스러운 바탕)라고도 하며, 장생불사(長生不死)라고도 하며, 큰 신선(大仙)이라고도 한다. 비록 이름은 다르지만 그 본체는 곧 하나이다.
聖人種種分明 皆不離自心 心量廣大 應用無窮 應眼見色
성인종종분별 개불리자심 심량광대 응용무궁 응안견색
應耳聞聲 應鼻嗅香 應舌知味 乃至施爲運動 皆是自心 一切時中
응이문성 응비후향 응설지미 내지시위운동 개시자심 일체시중
但有語言道斷 卽是自心 故云如來色無盡 智慧亦復然 色無盡是自心
단유어언도단 즉시자심 고운여래색무진 지혜역부연 색무진시자심
心識善能分別一切 乃至施爲運用 皆是智慧 心無形相 智慧亦無盡故
심식선능분별일체 내지시위운용 개시지혜 심무형상 지혜역무진고
云如來色無盡 智慧亦復然 四大色身 卽是煩惱 色身卽有生滅
운여래색무진 지혜역부연 사대색신 즉시번뇌 색신즉유생멸
法身常住無所住 如來法身 常不變異故 經云衆生應知佛性
법신상주무소주 여래법신 상불변이고 경운중생응지불성
本身有之 迦葉只是悟得本性 本性卽是心 心卽是性 卽此同諸佛心
본시유지 가섭지시오득본성 본성즉시심 심즉시성 즉차동제불심
성인들은 갖가지로 분명하니, 모두 자기 마음을 떠나지 않는다. 마음의 크기는 광대하여 응용함이 끝이 없다. 눈에 응하면 색(色)을 보고, 귀에 응하면 소리를 듣고, 코에 응하면 냄새를 맡고, 혀에 응하면 맛을 안다. 나아가 온갖 움직임과 활동함이 다 자기 마음이며, 언제나 언어로 나타낼 길이 끊어진 것(語言道斷)이 곧 자기 마음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부처의 색(色)이 다함이 없으며, 지혜도 그러하다.’하였으니, 색이 다함이 없음이 곧 자기의 마음이다. 마음이 모든 것을 분별할 줄 아는 것과 나아가 온갖 활동이 다 지혜이다. 마음은 모습이 없고, 지혜 역시 다함이 없다. 그러므로 ‘부처의 색이 다함이 없고 지혜 역시 그러하다.’고 한 것이다.
사대색신(四大色身)은 곧 번뇌이니, 색신에는 생멸이 있으나, 법신(法身)은 항상 머무르되 머무는 바가 없어서(法身常住無所住) 여래의 법신은 변함이 없다. 그러므로 경에 이르기를, ‘중생은 응당 불성(佛性)이 자기 스스로에게 있음을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
가섭은 다만 본성을 깨달았을 뿐이다. 본성이 곧 마음이요, 마음이 바로 본성이다. 이것이 바로 모든 부처님의 마음이다.
8
前佛後佛 只傳此心 除此心外 無佛可得 顚倒衆生 不知自心是佛
전불후불 지차전심 제차심외 무불가득 전도중생 부지자심시불
向外馳求 終日忙忙 念佛禮佛 佛在何處 不應作如是等見
향외치구 종일망망 염불예불 불재하처 불응작여시등견
但識自心 心外更無別佛 經云凡所有相 皆是虛妄
단식자심 심외경무별불 경운범소유상 개시허망
又云所在之處 卽爲有佛 自心是佛 不應將佛禮佛
우운소재지처 즉위유불 자심시불 불응장불예불
앞의 부처님이나 뒤의 부처님들이 단지 이 마음을 전했을 뿐이니, 이 마음 밖에서 부처는 찾을 수 없다. 전도(顚倒)된 중생은 자기 마음이 부처인 줄 알지 못하고, 하루 종일 바쁘게 염불하고 예불하면서 밖을 향해 부처를 찾지만, 그 부처가 어디에 있는가. 이러한 견해를 가지지 말라.
단지 자기 마음을 알면, 마음 밖에 다른 부처는 없다.
경에 말하기를 ‘모든 형상 있는 것은 다 허망하다(凡所有相 皆是虛妄)’하였고, 또 ‘가는 곳마다 부처가 있다’고 하였다.
자기 마음이 바로 부처이니, 부처를 지니고 부처에게 절하지 말라.
但是有佛及菩薩相貌 忽爾現前 切不用禮敬 我心空寂 本無如是相貌
단시유불급보살상모 홀이현전 절불용예경 아심공적 본무여시상모
若取相 卽是魔攝 盡落邪道 若知幻從心起 卽不用禮
약취상 즉시마섭 진락사도 약지환종심기 즉불용례
禮者不知 知者不禮 禮被魔攝 恐學人 不知故 作如是辨
예자부지 지자불례 예피마섭 공학인 부지고 작여시변
諸佛如來本相 體上 都無如是相貌 切須在意 但有異境界 切不用採括
제불여래본상 체상 도무여시상모 절수재의 단유이경계 절불용채괄
亦莫生 怖 不要疑惑 我心本來淸淨 何處 有如許相貌
역막생파포 불요의혹 아심본래청정 하처 유여허상모
만일 부처와 보살의 모습(佛及菩薩相貌)이 홀연히 나타나더라도, 결코 예경(禮敬)할 필요는 없다. 이 마음은 공적(空寂)하니, 본래 그 어떤 형상도 없다. 만약 그런 형상을 취하면 곧 마귀에 포섭되어 삿된 도(邪道)에 떨어진다. 만약 환상(幻相)이 마음을 따라 일어난 것인 줄 안다면, 따로 예경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절하는 이는 알지 못하는 것이고, 아는 이는 절하지 않는다. 예경하면 곧 마귀에 포섭되는 것임을 행여나 학인(學人)이 알지 못할까 걱정되어 이렇게 밝혀둔다.
모든 부처님의 근본 성품 바탕 위에는 도무지 이런 모습(佛及菩薩相貌)이 없으니 꼭 명심해야 한다. 만일 이상한 경계가 나타나더라도 결코 붙잡아 집착하지 말고, 두려워하지도 말고 궁금해 할 것도 없다. 내 마음이 본래 청정한데 어디에 이런 모습이 있겠는가.
乃至天龍夜叉鬼神 帝釋梵王等相 亦不用心生敬重 亦莫▲懼
내지천룡야차귀신 제석범왕등상 역불용심생경중 역막파구
我心本來空寂 一切相貌 皆是妄相 但莫取相 若起佛見
아심본래공적 일체상모 개시망상 단막취상 약기불견
法見及佛菩薩等相貌而生敬重 自墮衆生位中 若欲眞會
법견급불보살등상모이생경중 자타중생위중 약욕진회
但莫取一切相 卽得更無別語
단막취일체상 즉득갱무별어
나아가 천룡·야차·귀신·제석천·범천왕 등의 모습에 대해서도 공경하는 마음도 내지 말고, 두려워하지도 말라. 이 마음이 본래 공적(空寂)하여, 일체의 형상이나 모습은 다 허망한 것이니, 결코 형상을 취하지는 말라.
만일 부처라는 견해나 법이라는 견해를 일으키거나, 불·보살 등의 형상에 공경할 생각을 낸다면 스스로가 중생으로 떨어진다. 만일 진실로 깨닫고자 한다면, 다만 일체의 상을 취하지 않으면 될 뿐이니(但莫取一切相), 달리 할 말은 없다.
9
故云經 凡所有相 皆是虛妄 都無定實 幻無定相 是無常法
고운경 범소유상 개시허망 도무정실 환무정상 시무상법
但不取相 合他聖意故 經云 離一切相 卽名諸佛
단불취상 합타성의고 경운 이일체상 즉명제불
그러므로 경에 말하기를 ‘무릇 형상이 있는 것은 모두가 허망하다.(凡所有相 皆是虛妄)’고 하였다. 도무지 정해진 진실이 따로 없고, 환일 뿐이어서 정해진 모습도 없으니, 이것이 곧 무상(無常)의 법이다. 단지 형상을 취하지만 않으면 성인의 뜻에 부합될 것이다. 그러므로 경에서 ‘온갖 형상을 떠나면 곧 부처라 한다.(離一切相 卽名諸佛)’고 하였다.”
問曰 因何不得禮佛菩薩等 答曰 天魔波旬 阿修羅 示現神通 皆作得菩薩相貌
문왈 인하부득예불보살등 답왈 천마파순 아수라 시현신통 개시득보살상모
種種變化 是外道 摠不是佛 佛是自心 莫錯禮拜 佛是西國語 此土云覺性
종종변화 시외도 총불시불 불시자심 막착예배 불시서국어 차토운각성
覺者是靈覺 應機接物 揚眉瞬目 運手動足 皆是自己靈覺之性
각자시영각 응기접물 양미순목 운수동족 개시자기영각지성
性卽是心 心卽是佛 佛卽是道 道卽是禪 禪之一字 非凡夫所測
성즉시심 심즉시불 불즉시도 도즉시선 선지일자 비범부소측
묻는다.
“무엇 때문에 부처님과 보살들에게 절을 하지 말라고 하십니까?”
답한다.
“천마(天魔)와 파순과 아수라가 신통을 나타내어 보살의 모습을 짓는 것 같은 갖가지의 변화를 보이는 것이니, 이는 이는 외도의 짓이지 부처는 아니다.
부처란 자기 마음이니, 잘못 예배하지 말라. 부처란 인도어이고, 중국에서는 이를 각성(覺性)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각(覺)이란 신령스럽게 깨어있는 것(靈覺)이다. 인연 따라 사물을 대하며(應機接物), 눈썹을 치켜뜨거나 눈을 깜빡이고(揚眉瞬目), 손발을 움직이는 것(運手動足)이 다 자기의 신령스럽게 깨어있는 본성이다.(自己靈覺之性)
성품은 곧 마음이고, 마음이 곧 부처이며, 부처가 곧 도(道)이고, 도가 곧 선(禪)이다. ‘선’이라는 한 글자는 범부가 헤아릴 수는 없다.
又云見本性爲禪 若不見本性 卽非禪也
우운견본성위선 약불견본성 즉비선야
假使說得千經萬論 若不見本性 只是凡夫
가사설득천경만론 약불견본성 지시범부
非是佛法 至道幽深 不可話會 典敎憑何所及 但見本性 一字不識亦得
비시불법 지도유심 불가화회 전교빙하소급 단견본성 일자불식역득
見性卽是佛 聖體本來淸淨 無有雜濊 所有言說 皆是聖人
견성즉시불 성체본래청정 무유잡예 소유언설 개시성인
從心起用 用體本來空 名言尙不及 十二部經 憑何得及
종심기용 용체본래공 명언상불급 십이부경 빙하득급
또 ‘본성을 보는 것이 선(禪)이다(見本性爲禪)’ 했으니 본성을 보지 못하면 선이 아니다. 설사 많은 경론을 설한다 해도 본성을 보지 못하면 다만 범부일 뿐, 불법(佛法)은 아니다.
지극한 도는 깊고 그윽하여 말로는 깨달을 수 없는데, 어찌 경전으로 미칠 수 있겠는가. 그러나 본성을 보는 것은 한 글자도 모르는 무식한 이도 가능하다. 견성하면 곧 부처이다. 그 성스러운 본바탕(聖體)은 본래 청정하여 더러움이 없다.
모든 말씀이 다 성인의 마음에서 일어난 작용이지만, 작용이니 본체니 하는 것도 본래는 다 공하다. 말로는 미칠 수가 없으니, 12부경이 어찌 미칠 수 있겠는가.
10
道本圓成 不用修證 道非聲色 微妙難見 如人飮水 冷暖自知
도본원성 불용수증 도비성색 미묘난견 여인음수 냉난자지
不可向人說也 唯有如來能知 餘人天等類 都不覺知 凡夫智不及
불가향인설야 유유여래능지 여인천등류 도불각지 범부지불능
所以有執相 不了自心 本來空寂 妄執相及一切法 卽墮外道
소이유집상 불료자심 본래공적 망집상급일체법 즉타외도
若知諸法 從心生 不應有執 執卽不知 若見本性 十二部經
약지제법 종심생 불응유집 집즉부지 약견본성 십이부경
總是閑文字 千經萬論 只是明心 言下契會 敎將何用
총시한문자 천경만론 지시명심 언하계회 교장하용
도(道)는 본래 원만히 이루어진 것이니, 닦거나 증득할 것이 없다.(道本圓成 不用修證) 도는 소리나 빛도 아니고, 미묘하여 보기가 어렵다.(道非聲色 微妙難見) 마치 사람이 물을 마시면 차고 더운 것을 스스로 알 뿐(如人飮水 冷暖自知), 남에게 말로서 설명 할 수 없는 것과 같다.
오직 여래만이 능히 알 수 있을 뿐, 그 밖의 사람이나 천인 등의 무리는 도무지 깨달아 알지 못한다. 범부는 지혜로는 미치지 못하니, 모양(相)을 취하기 때문이다. 자기 마음이 본래 공적함을 알지 못하고, 망령되이 겉모양과 일체법에 집착하니 곧 외도에 떨어진다.
만약 모든 법이 마음으로부터 생겨난 것임을 알면 집착하지 말아야 하니, 집착하면 알지 못한다. 만약 본성을 보게 되면 십이부경이 모두 부질없는 문자일 뿐이다. 천 가지 경전과 만 가지 논서가 다만 마음을 밝힌 것일 뿐이니, 언하(言下)에 깨닫는다면 교법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至理絶言 敎是語詞 實不是道 道本無言 言說是妄 若夜夢
지리절언 교시어사 실불시도 도본무언 언설시망 약야몽
見樓閣 宮殿 象馬之屬 及樹木叢林池亭 如是等相 不得起一念樂着
견루각 궁전 상마지속 급수목총림지정 여시등상 부득기일념악착
盡是托生之處 切須在意 臨終之時 不得取相 卽得除疑 心瞥起卽魔攝
진시탁생지처 절수재의 임종지시 부득취상 즉득제의 심별기즉마섭
法身本來淸淨無受 只緣迷故 不覺不知 因玆故 妄受報 所以有樂着 不得自在
법신본래청정무수 지연미고 불각부지 인자고 망수보 소이유락착 부득자재
지극한 진리는 말을 떠난 것인데, 교법은 말이니 말은 도가 아니다. 도는 본래 말이 없고, 말이란 허망할 뿐이다.
만약 꿈 속에서 누각이나 궁전, 코끼리나 말을 보거나, 나무, 숲, 연못, 정자 등을 보더라도, 그것은 모양(相)일 뿐이어서 얻을 수 없으니 한 생각 일으켜 즐겨 집착하지 말라. 이 모두는 다 의탁하여 생기는 것일 뿐이니 명심해야 한다. 임종할 때에 형상을 취하지 않으면 즉시 의혹을 떨어버리겠지만, 잠시라도 분별을 일으키면 마귀에게 사로잡힌다.
법신은 본래 청정하여 받을 것이 없지만, 다만 미혹된 까닭에 깨닫지도 알지도 못한다. 이런 까닭으로 망령되이 업보를 받고, 그로인해 즐기고 집착하여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只今若悟得 本來身心 卽不染習 若從聖入凡 示現種種雜類等
지금약오득 본래신심 즉불염습 약종성입범 시현종종잡류등
自爲衆生故 聖人逆順 皆得自在 一切業 拘他不得
자위중생고 성인역순 개득자재 일체업 구타부득
聖成久 有大威德 一切品類業 被他聖人轉 天堂地獄 無奈何他
성성구 유대위덕 일체품류업 피타성인전 천당지옥 무나하타
지금이라도 만약 깨닫는다면, 본래의 몸과 마음은 습기(習氣)에 물들지 않는다.
성인이 범부의 경계에 들어가 갖가지 모습을 나타내 보이는 것은 본래 중생을 위해서이다. 성인은 순역의 경계에 자재하여 온갖 업이 그를 구속하지 못한다. 그 성스러움은 영원하며 큰 위덕이 있어서, 온갖 종류의 중생업을 저 성인이 부리니, 천당과 지옥도 그를 어찌하지 못한다.
11
凡夫神識昏昧 不同聖人內外明徹 若有疑卽不作 作卽流浪生死
범부신식혼매 부동성인내외명철 약유위즉부작 작즉유랑생사
後悔無相救處 貧窮困苦 皆從妄相生 若了是心 遞相勤勉
후회무상구처 빈궁곤고 개종망상생 약료시심 체상근면
但無作而作 卽入如來知見 初發心人 神識總不定
단무작이작 즉입여래지견 초발심인 신식총부정
若夢 頻見異境 輒不用疑 皆是自心起故 不從外來
약몽 빈견이몽 첩불용의 약시자심기고 부종외래
범부는 아는 것이 어두워서 성인이 안팎으로 밝게 통하는 것과는 같지 않다. 만약 의심이 생기거든 애써 행하지 말라.(유위조작) 행하게 되면 생사의 바다에 떠돌게 되어 후회하여도 구제할 길이 없다.
가난과 고통이 다 망상에서 생겼으니, 만약 이 마음을 깨달아서 서로 경책하여 행함 없이 행한다면, 곧 여래의 지견(知見)에 들 것이다.
처음 발심한 사람은 아직 정신이 안정되지 못하니, 자주 꿈 속에서 이상한 경계를 보더라도 선뜻 의심하지 말라. 이 모두가 자기 마음에서 일어난 것이지 밖에서 온 것이 아니다.
夢若見光明出現 過於日輪 卽餘習頓盡 法界性現 若有此事
몽약견광명출현 과어일륜 즉여습돈진 법계성현 약유차사
卽是成佛之因 唯自知 不可向人說 或靜園林中行住坐臥
즉시성불지인 유자지 불가향인설 혹정원림중행주좌와
眼見光明 或大或小 莫與人說 亦不得取 亦是自性光明
안견광명 혹대혹소 막여인설 역부득취 역시자성광명
或夜靜暗中行住坐臥 眼見光明 與晝無異 不得怪 ▲是自心 欲明顯
혹야정암중행주좌와 안견광명 여주무이 부득괴 병시자심 욕명현
만약 꿈에 광명(光明)이 나타나는 것이 햇빛보다 밝은 것을 보면 곧 남은 습기(習氣)가 다 없어지고 법계의 성품이 나타나리라. 만일 이런 일이 있으면 도를 이루는 원인일 수 있지만, 오직 자기만 알 뿐 남에게 말하지는 말라.
혹은 고요한 숲 속에서 가고 머물고 앉고 누울 때, 눈에 크거나 작은 광명이 보이더라도 남에게 말하지도 말고 또 거기에 집착하지도 말라. 이는 자기의 마음이 밝게 드러나고자 하는 것이다.
혹은 어두운 밤에 가고 머물고 앉고 누울 때, 대낮 같은 광명이 눈에 보이더라도 이상하게 여기지 말라. 모두가 자기 마음이 밝아지려는 징조인 것이다.
或夜夢中 見星月分明 亦自心諸緣欲息 亦不得向人說
혹야몽중 견성월분명 역자심제연욕심 역부득향인설
夢若昏昏 猶如陰暗中行 亦是自心煩惱障重
몽약혼혼 유여음암중행 역시자심번뇌장중
亦自知 若見本性 不用讀經念佛 廣學多知無益 神識轉昏
역자지 약견본성 불용독경염불 광학다지무익 신식전혼
設敎只爲標心 若識心 何用看敎 若從凡入聖 卽須息業養神
설교지위표심 약식심 하용간교 약종범입성 즉수식업양신
隨分過日 若多嗔喜 令性轉 與道相偉 自▲無益
수분과일 약다진희 영성전 여도상위 자잠무익
또한 꿈에 별과 달이 분명하게 보이면 자기 마음의 모든 반연이 쉬려는 조짐이니 역시 남에게 말하지 말라.
꿈이 어두워 밤에 다니는 것 같으면 마음의 번뇌가 무겁다는 뜻이니 스스로 알아라.
만약 본성을 보았거든 경을 읽거나 염불할 필요가 없다. 많이 아는 것은 별로 이익될 것이 없고 도리어 정신만 혼미해 질 뿐이다.
교법이란 마음을 표방하기 위한 것이니, 마음을 알면 교법을 볼 필요가 없다. 범부로서 성인의 경지에 들고자 한다면 업을 쉬고 정신을 길러서 분수대로 세월을 보내어라.
너무 성내거나 기뻐함이 많으면 성품이 변해서 도와는 어긋나니, 자기를 깨닫는 길에 이익될 것이 없다.
12
聖人於生死中 自在出沒 隱顯不定 一切業 拘他不得
성인어생사중 자재출몰 은현불정 일체업 구타부득
聖人破邪魔 一切衆生 但見本性 餘習頓滅
성인파사마 일체중생 단견본성 여습돈멸
神識不昧 欲眞會道 莫執一法 息業養神 餘習亦盡 自然明白
신식불매 욕진회도 막집일법 식업양신 여습역진 자연명백
不假用功 外道不會佛意 用功最多 違背聖意 終日驅驅 念佛轉經
불가용공 외도불회불의 용공최다 위배성의 종일구구 염불전경
昏於神性 不免輪廻
혼어신성 불면윤회
성인은 생사 속에서 자재하여, 나타나고 사라지며, 숨고 드러남에 정해진 것이 없으니, 일체의 업이 그를 구속하지 못하고, 성인은 도리어 삿된 마귀를 물리친다.
모든 중생들이 본성을 보기만 하면, 남은 습기가 문득 사라지고, 정신이 어둡지 않다. 참으로 도를 알고자 한다면 어떤 법에도 집착하지 말고 업을 쉬고 정신을 길러라. 나머지 습기가 다하면 자연히 밝아져서 공부할 필요가 없다.
외도는 부처의 뜻을 알지 못하므로 힘써 공부하는 것을 최고로 삼지만, 이는 성인의 뜻과는 어긋나는 것이니, 하루 종일 바쁘게 염불하고 경을 읽어도 본성에는 어두워 윤회를 면치 못한다.
佛是閑人 何用驅驅 廣求名利 後時何用 但不見性人 讀經念佛
불시한인 하용구구 광구명리 후시하용 단불견성인 독경념불
長學精進 六時行道 長學坐不臥 廣學多聞 以爲佛法 此等衆生
장학정진 육시행도 장학좌불와 광학다문 이위불법 차등중생
盡是謗佛法人 前佛後佛 只言見性 若不見性 妄言我得阿▲菩提 此是大罪人
진시방불법인 전불후불 지언견성 약불견성 망언아득아뇩보리 차시대죄인
부처는 한가한 사람인데, 어찌 바삐 다니며 명성과 이익을 구하는가? 구한들 나중에 어디에 쓰겠는가. 견성하지 못한 사람은 경을 읽고 염불하며, 오래 배워 정진하고, 하루 종일 수행하며, 오래 앉아 눕지 않고, 널리 배워 많이 아는 것을 불법으로 여기니, 이런 중생은 다 불법을 비방하는 사람이다.
앞 부처와 뒷 부처가 다만 견성만을 말할 뿐이다. 견성하지 못하고 “나는 위없는 깨달음을 얻었다” 한다면 이 사람은 큰 죄인이다.
十代弟子 阿難 聲聞中得第一 佛責之 只令聲聞外道
십대제자 아난 성문중득제일 불책지 지령성문외도
無識 識數修證 墮在因果中 是衆生業報 不免生死
무식 식수수증 타재인과중 시중생업보 불면생사
違背佛意 卽是謗佛衆生 殺却無罪過 經云闡提人
위배불의 즉시방불중생 살각무죄과 경운천제인
不生信心 殺却無罪過 若有信心 此是佛位人
불생신심 살각무죄과 약유신심 차시불위인
若不見性 卽不用取次 謗他良善 自▲無益 善惡歷然 因果分明
약불견성 즉불용취차 방타양선 자잠무익 선악역연 인과분명
天堂地獄 只在眼前
천당지옥 지재안전
십대제자 중에 아난은 법문을 가장 많이 듣기로는 첫째였지만 ‘많이 듣기만 할 뿐 알지 못하면 외도’일 뿐이라는 부처님의 꾸짖음을 받았다.
차례로 여럿을 닦아서 증득해 아는 것이라고 한다면, 인과에 떨어진다. 이는 중생의 업보일 뿐이어서 생사를 면치 못하니 부처님의 뜻과는 어긋난다. 이는 곧 부처를 비방하는 중생이니, 물리쳐도 허물이 없다.
경에 말하기를 “천제(闡提: 악을 행하는 사람. 즉 성불할 성품이 없는 사람)는 신심을 내지 않으니 물리쳐도 허물이 없다”라고 하였다. 만약 신심만 있다면 그는 이미 부처의 지위에 있는 사람이다.
만약 견성하지 못했다면, 점차적으로 공부를 취해 나가는 것이 별 소용이 없다. 다른 선량한 성인을 비방하지 말지니, 스스로에게도 이익될 것이 없으며, 선과 악이 뚜렷하고 인과가 분명하여 천당과 지옥이 눈 앞에 있다.
13
愚人不信 見墮黑暗地獄中 不覺不知 只緣業重故 所以不信 譬如無目人
우인불신 견타흑암지옥중 불각부지 지연업중고 소이불신 비여무목인
不信道日有光明 縱向伊說 亦不信 只緣盲故 憑何辨得日光 愚人亦復如是
불신도일유광명 종향이설 역불신 지연맹고 빙하변득일광 우인역부여시
見今墮畜生雜類 誕在貧窮下賤 求生不得 求死不得 雖受是苦
견금타축생잡류 탄재빈궁하천 구생부득 구사부득 수수시고
直問着 亦言我今快樂 不異天堂 故知一切衆生 生處爲樂 亦不覺不知
직문착 역언아금쾌락 불이천당 고지일체중생 생처위락 역불각부지
어리석은 사람은 믿지 않는다. 깜깜한 지옥(흑암지옥)에 떨어져 있으면서도 알아차리지 못하니, 이는 다만 업이 두껍기 때문에 못 믿는 것이다.
마치 눈 없는 사람이 빛이 밝다는 말을 믿지 않는 것과 같으니, 비록 그에게 말해주어도 역시 믿지 않는다. 맹인이 어떻게 햇빛을 알 수 있겠는가.
어리석은 사람도 이와 같아서, 지금 축생의 무리에 떨어졌거나 빈궁하고 하천하게 태어나 있어서, 살고 싶어도 살 수가 없고 죽고 싶어도 죽을 수도 없다.
이런 고통을 받고 있으면서도, 직접 물어보면, “나는 지금 즐거운 것이 천당과 다름없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알라. 모든 중생은 살아있는 것으로 즐거움을 삼을 뿐, 역시 깨닫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한다.
如斯惡人 只緣業重 若見自心是佛 不在剃除鬚髮
여사악인 지연업중 약견자심시불 부재체제수발
白衣亦是佛 若不見性 剃除鬚髮 亦是外道
백의역시불 약불견성 체제수발 역시외도
問曰 白衣有妻子 狀慾不除 憑何得成佛
문왈 백의유처자 음욕불제 빙하득성불
이런 악한 사람은 업장이 두텁기 때문이다.
만약 자기 마음이 부처임(自心是佛)을 보면, 머리를 깎을 필요가 없으니, 속인(白衣)도 또한 부처다. 그러나 견성하지 못하면 머리를 깎았다 해도 역시 외도일 뿐이다.”
묻는다.
“속인은 처자식이 있고, 음욕도 없애지도 않았는데, 어찌 성불할 수 있습니까?”
答曰 只言見性 不言狀慾 但得見性 狀慾本來空寂
답왈 지언견성 불어음욕 단득견성 음욕본래공적
不假斷除 亦不樂着 縱有除習 不能爲害 何以故 性本淸淨故
불가단제 역불락착 종유제습 불능위해 하이고 성본청정고
雖處在五蘊色身中 其性本來淸淨 染汚不得 法身本來無受
수처재오온색신중 기성본래청정 염오부득 법신본래무수
無飢無渴 無寒熱 無病 無恩愛 無眷屬 無苦樂 無好惡 無長短
무기무갈 무한열 무병 무은애 무권속 무고락 무호오 무장단
無强弱 本來無有一物可得 只緣有此色身 卽有飢渴寒 熱 病等相 若不 卽一任作
무강약 본래무유일물가득 지연유차색신 즉유기갈한 열장병등상 약불잠 즉일임작
답한다.
“다만 견성을 말할 뿐, 음욕은 말하지 않는다. 다만 견성하기만 하면, 음욕이란 본래 공적한 것이기에 없애려고 애쓸 필요도 없고 그렇다고 즐겨 집착하지도 않는다. 비록 남은 습기가 있다고 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성품은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다.
비록 오온(五蘊)의 몸 가운데 있더라도, 그 성품은 본래 청정하여 물들지 않는다.
법신은 본래 감각을 받아들이지 않으니, 배고픔도 목마름도 없고, 추위도 더위도 없고, 질병도 없고, 은혜와 사랑도 없고, 권속도 없고, 고통과 즐거움도 없고, 좋고 나쁨도 없고, 장점과 단점도 없고, 강함과 약함도 없어서 본래부터 한 물건도 얻을 수가 없다.
단지 이 몸이라는 색신에 집착하기에, 배고픔과 목마름, 추위와 더위, 질병 등의 모습이 있게 된 것이다. 만약 속지 않으려면 즉시 한번 맡겨보라.(卽一任作)
14
若於生死中得自在 轉一切法 與聖人神通 自在無碍 無處不安 若心有疑
약어생사중득자재 전일체법 여성인신통 자재무애 무처불안 약심유의
決定透一切境界不過 不免生死輪廻 若見性 ▲陀羅 亦得成佛
결정투일체경계불과 불면생사윤회 약견성 전다라 역득성불
만약 생사 가운데서 자재함을 얻어 일체법을 굴린다면, 성인처럼 신령스럽게 통하고 자재하여 막힘이 없으니, 더 이상 불안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마음에 의심이 있다면, 결코 일체의 경계를 통과하지 못하고 생사의 윤회를 면치 못할 것이지만, 만약 견성한다면 백정(찬드라)이라도 성불할 수 있다.”
問曰▲陀羅 殺生作業 如何得成佛
문왈전다라 살생작업 여하득성불
答曰只言見性 不言作業 縱使作業 不同迷人一切業抱他不得
답왈지언견성 불언작업 종사작업 부동미인 일체업포타부득
從無始曠大劫來 只爲不見性 墮在地獄中 所以作業 輪廻生死 悟得本性
종무시광대겁래 지위불견성 타재지옥중 소이작업 윤회생사 오득본성
從不作業 若不見性 念佛免報不得 非論殺生
종불작업 약불견성 엽불면보부득 비론살생
若見性 疑心頓除 殺害生命 亦奈何他不得
약견성 의심돈제 살해생명 역내하타부득
묻는다.
“백정은 살생을 업(業)으로 삼는데 어떻게 성불할 수 있습니까?”
답한다.
“단지 견성을 말할 뿐, 업 짓는 것은 말하지 않는다. 비록 업을 짓더라도 어리석은 사람과는 달라서, 온갖 업이 그를 구속하지 못한다.
끝없는 옛날부터 오직 견성하지 못했기에 지옥에 떨어진 것이다. 업을 짓는 까닭에 생사윤회한 것이지만, 본성을 깨달으면 끝내 업을 짓지 않는다.
만약 견성하지 못하면 염불을 해도 과보를 면할 수 없으니, 살생은 말할 것도 없다.
만약 견성하여 마음의 의혹을 없애버리면, 살생도 그를 어찌하지 못한다.
自西天二十八祖 只是遞傳心印 吾今來此土 唯傳頓敎卽心是佛
자서천이십팔조 지시체전심인 오금내차토 유전돈교즉심시불
不言持戒精進苦行 乃至入水火登刀輪 一食長坐不臥
불언지계정진고행 내지입수화등도륜 일식장좌불와
盡是外道有爲之法 若識得施爲運動靈覺之性 汝心卽諸佛心 前佛後佛
진시외도유위지법 약식득시위운동영각지성 여심즉제불심 전불후불
只言傳心 更無別法 若識此心 一字不識亦是佛 若不識自己靈覺之性
지언전심 갱무별법 약식차심 일자불식역시불 약불식자기영각지성
假使身破微塵 覓佛終不得也
가사신파미진 멱불종부득야
인도의 28명의 조사들도 오직 차례로 심인(心印)을 전하였고, 내가 이제 이 땅에 온 것도 오직 돈교(頓敎)의 즉심시불(卽心是佛)만을 전할 뿐이지, 지계(持戒)나 정진(精進)이나 고행(苦行)을 말하지는 않는다. 나아가 불이나 물 속에 들어가고, 칼산에 오르는 것, 또는 하루 한 끼만 먹고 오래 앉아 눕지 않는 것 등을 말하려는 것은 아니니, 이는 모두 외도의 유위법(有爲法)이다.
만약 움직이고 활동하는 신령스런 깨달음의 본성을 안다면, 바로 그대 마음이 모든 부처의 마음이다.
앞 부처와 뒷 부처가 다만 마음 전하였을 뿐 다시 다른 법은 없다.
만약 이 마음을 알기만 하면, 한 글자도 몰라도 부처이지만, 만약 자기의 신령스런 깨달음의 본성을 알지 못하면, 설사 몸이 부서져 가루가 되도록 부처를 찾아도 헛일일 뿐이다.
15
佛者亦名法身 亦名佛心 此心無形相 無因果 無筋骨 唯如虛空 取不得
불자역명법신 역명불심 차심무형상 무인과 무근골 유여허공 취부득
不同質界 不同外道 此心 唯如來一人能會 其餘衆生迷人
부동질계 부동외도 차심 유여래일인능회 기여중생미인
不明了 此心不離四大色身中 若離是心 卽無能運動 是身無知
불명료 차심불리사데색신중 약리시심 즉무능운동 시신무지
如草木瓦礫 身是無情 因何運動 若自心動 乃至語言施爲運動
여초목와력 신시무정 인하운동 약자심동 내지어언시위운동
見聞覺知 皆是動心動用
견문각지 개시동심동용
부처를 법신이라고도 하며, 또한 불심(佛心)이라고도 한다.
이 마음은 형상도 없고 인과도 없고, 근육도 골격도 없다. 마치 허공과 같아서 잡을 수도 없으니, 물질과는 같지 않다. 외도와도 같지 않다.
이 마음은 오직 여래 한 사람만이 알 수 있을 뿐, 그 밖의 중생이나 미혹한 사람은 밝게 알 수 없다.
이 마음은 사대색신을 떠나 따로 있지도 않으니, 만약 이 마음이 없다면 움직일 수도 없다.
이 육신은 지각이 없어 마치 초목이나 기와조각 같고, 이 몸은 정식(情識)이 없으니 무엇으로 말미암아 움직이겠는가?
만약 자기 마음이 움직이거나 내지 말하고, 활동하며, 보고, 듣고, 느끼고, 아는 것은 모두 이 마음이 움직여 작용하기 때문이다.
動是心動 動卽其用 動用外無心 心外無動 動不是心 心不是動
동시심동 동즉기용 동용외무심 심외무동 동불시심 심불시동
動本無心 心本無動 動不離心 心不離動 無心離離 無心動動
동본무심 심본무동 동불리심 심불리동 무심이리 무심동동
是心用用 是心動動 卽心用用 卽心動動 不動不用 用體本空
시심용용 시심동동 즉심용용 즉심동동 부동불용 용체본공
空本無動 動用同心 心本無同 故經云 動而無所動
공본무동 동용동심 심본무동 고경운 동이무소동
終日去來而未曾去來 終日見而未曾見 終日笑而未曾笑
종일거래이미증거래 종일견이미증견 종일소이미증소
終日聞而未曾聞 終日知而未曾知 終日喜而未曾喜 終日行而未曾行
종일문이미증문 종일지이미증지 종일희이미증희 종일행이미증행
終日住而未曾住 故經云 言語道斷 心行處滅 見聞覺知 本自圓寂
종일주이미증주 고경운 언어도단 심행처멸 견문각지 본자원적
乃至瞋喜痛痒 何異木人 只緣推尋 痛痒不可得
내지진희통양 하이목인 지연추심 통양불가득
움직이는 것은 마음의 움직임이니, 움직임이 바로 이것의 작용이다. 움직임과 작용 밖에 따로 마음이 없고, 마음 밖에 움직임이 없다. 만약 움직인다면 마음이 아니고, 마음은 움직이지 않는다. 움직이면 본래의 마음이 아니고 마음은 본래 움직임이 없다.
따라서 움직임은 마음을 여의지 않았고 마음은 움직임을 여의지 않았으나, 마음은 여의는 것도 여의었다는 생각도 없으며, 마음은 움직이는 것도 움직인다는 생각도 없다. 이것이 마음의 작용과 작용한 것이고, 마음의 움직임과 움직인 것이다. 즉 마음이 그대로 작용과 작용한 것이며 마음이 그대로 움직임과 움직인 것이지, 별도로 움직임과 작용이 따로 없다. 작용의 바탕은 본래 공(空)하고 공은 본래 움직임이 없기 때문이다. 움직임과 작용이 다같이 마음에서 일어난 것이지만 마음의 근본은 움직임이 없다.
그러므로 경에 이르기를, ‘움직이되 움직이는 것이 없다’고 했다. 말하자면 종일 가고 오되 가고 온 적이 없고, 종일 보되 본 적이 없고, 종일 웃되 웃은 적이 없고, 종일 듣되 들은 적이 없고, 종일 알되 안 적이 없고, 종일 기뻐하되 기뻐한 적이 없고, 종일 다니되 다닌 적이 없고, 종일 머물되 머문 적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에 이르기를, ‘언어의 길이 끊어졌고 마음이 갈 곳이 사라졌다.(言語道斷 心行處滅)’고 하였다.
그래서 보고, 듣고, 느끼고, 아는 것이 본래가 원적(圓寂)하니(見聞覺知 本自圓寂), 성내고 기뻐하고 아프고 가렵다 하는 것이 목각인형(木人)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이로 인해 미루어 보면 아픔이나 가렵다는 것은 그 근본을 찾을 수가 없는 것이다.
🩸법상스님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