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노인인구의 증가속도가 매우 빠르며, 고령화가 사회의 주요 과제로 대두되는 이유의 하나이다. 특히 지속가능한 사회의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직면해야하는 과제이다. 보건학은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건강 이슈를 다루는데 고령화 시대에 보건학은 노인인구와 노인이 되어가는 인구의 건강 이슈를 다루며, 노인보건학(Gerontology)으로 불리운다. 노인보건학에서는 인구고령화에 대응하는 포괄적 접근 방식을 추구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활동적 고령화(active ageing)를 제창하고, 고령화에 따른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한 건강, 사회참여, 안전보장의 기회를 극대화하기 위한 과정으로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