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산 세거 7백년사 서론
병산에 뿌리를 둔 창원황씨 대상공파는
태고조: 황국 춘신군 휘 헐이 중국으로 부터 황성국을 이루고 살다가
도시조: 후한 유신 휘 낙 께서 베트남에 사절단으로 해상을 이용하여
가시던중 풍랑을 만나 울진 평해앞 바다에 표루하다 정착하게
되어 3형제를 두었는데
장남 황갑고는 기성군(箕城君)에 봉해져 평해황씨의 관향조이고
차남 황을고는 장수군(長水君)에 봉해져 장수황씨의 관향조이며
3남 황병고는 창원백(昌原伯)에 봉해져 창원황씨의 관향조 이다.
창원황씨의
관향조: 창원백 휘 병고 이며 창원황씨는
황충준(黃忠俊)을 시조로 한 창원의 시중공계,
황양충(黃亮忠)정조호장을 시조로한 대상공계
황석기(黃石奇)회산부원군을 시조로 한 회산부원군계가 있다.
병산을 뿌리로한 창원황씨 시조는
시 조: 의창현 정조호장 휘 양충 이며
2세조 : 정조호장 휘 양돈
3세조 : 금자광록대부 대상 휘 석주
4세조 : 증 정순대부 군부판서 응양군상호군,
행 중순대부 전객령 휘 영렬
5세조 : 중현대부 동래부사,중순대부 전객령 휘 유
6세조 : 종사랑 침원서령 휘 진백 까지는 창원에서 살았으며
7세조 : 신호위정용중랑장 휘 승후 께서 고려 공민왕6(1357년) 창원에서
병산으로 옮겨 오셔서 죽주(순흥)안씨와 혼인하였으며 새로운 세거
지를 개척하신분이다. 묘소는 경북 봉화군 물야면 두문리 산104번지
(말물)에 있다.
8세조 : 영일 현감무 휘 처중
묘소는 경북 봉화군 봉화읍 적덕리 산 12번지(소지골)
9세조 : 증 가선대부 공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행 통덕랑 통례원 봉례 휘 전(1391~1459) 세종8년 1426년 35세때
통례원봉례를 지내시고 세종11년 1429년 병산리 315번지에 입향
소산서원(현 첨모당)을 건립하여 후학에 노력하셨다.
1735년(영조11)소산서원 중건
1778년 (정조2)소산서원 중수,
1871년(고종8)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전국47개소만
남기고 소산서원도 철폐되었다.
창원황씨 일족과 영주지역사림들에 의해 공을 기리는 마음에서
소산서원을 첨모당으로함
1882년(고종19)서원 철폐령 폐지 되었으나 그후 첨모당을
소산서원으로 개칭하지 못하고 현재까지 내려왔슴
(소산서원에 관한 기록은 없으며 구전에 의함)
1995년 첨모당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315호 지정됨
공의 묘소는 영주시 부석면 보계리 산20번지(문좌실)
10세조 :증 호조판서,행 종사랑 휘 귀경 까지 살으셨고 10세조 휘 귀경의
장남 11세조 희성은 1493년 (성종2년)병산에서 풍기 백동으로 이거
했다.
병산에서 태어난 휘 사우(1486년8월14일 생~1536년3월13일 졸)는
호조판서,병조판서,예조판서,이조판서,우찬성이 되었다.
묘소는 경북영주시 순흥면 태좌2리(거묵골)에 있다.
(11세조 부터 백동,문단,강화 등으로 이거 하였다)
병산계파(참의공파)
11세조 :증 공조참의,행 선능참봉 휘 희현께서 병산에 기거하게 되었다
묘소 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2리(절골)산 황필순 소유 에 있다
12세조 : 증 공조참의,행 순능참봉 휘 사영은 병산황씨의 참의공파 파시조
이시며 묘소는 병산2리 순흥안씨 소유산(절골)에 순흥안씨 중시조
묘소 밑에 있었으나 서기 2000년경 순흥안씨들이 자기들 중시조
묘소를 성역화 하면서 휘 사영의 묘소 이장을 요구해와 약간의 이장
비를 받고 파묘 하였다고 한다.
*12세조 사언(휘 황전의 증손)께서 봉화군 문단면으로 이거하여
문단계파로 분리되었다
13세조 : 증 공조참판 휘 인
14세조 : 동지 휘 합
15세조 : 호군 휘 유순
16세조 : 처사 휘 진서
17세조 : 처사 휘 도존 배 남양홍씨 슬하에 장남우청, 차남우천, 3남우명,
4남우운,5남우성 이다.
18세조 *생원 휘 우청,득중,용채,극한,중이,주하,재해,익흠(21세조 휘두한
의고손),윤종,성식으로 내려오는 계보
*생원 휘 우청,득중,성채,진한,중언,순하,재설,필흠,윤현,지환으로
내려오는 계보
*생원 휘 우청,득중,일채,양한,중효,비하,재직,영흠,영태,유식으로
내려오는 계보
*생원 휘 우천(17세조 휘 도존의 차남),득재,정채,두한,중능,장하,
재옥,연흠,윤덕,두식,성욱으로 내려오는 계보
*생원 휘 우성, 득흥,윤채,상한,중양,명하,재인,문흠,윤범,준식,춘일
내려오는 계보가있다
병산은 18세조 부터 5계파 세계가 있다..
19세조 : 증 통훈대부 휘 득재 (여기서부터 우천의 후손을 수록했슴)
20세조 : 증 통훈대부 이조참의 휘 정채
21세조 : 증 가선대부 이조참판,행 순흥부 행장 휘 두한 1762~1834(생부
휘 우성)은 배 정부인 청주정씨 슬하에 6자4여 를 두셨다.
장남 중능,차남 중기,3남 중걸,4남 중건,5남 중성,6남 중원이
22세조의 세계로 내려오고 있다.
휘두한의 묘소는 영주시 안정면 대평리(제배이)산에 있다.
병산의 참의공 휘사영파의 22세조 이후 계보는
22세조 휘 중이,주하,재해,익흠,윤종,성식,용승으로 내려오는 계보
휘,중언,순하,재설,필흠,윤현,지환으로 내려오는 계보
휘 중효,비하,재직,영흠,영태,유식으로 내려오는 계보
휘 중후,구하,재연,맹출,윤호,남익으로 내려오는 계보
휘 중능,장하,재옥,연흠,윤덕,두식,성욱,으로 내려오는 계보
휘 중기,기하,재락,원흠,윤하,효식,부섭으로 내려오는 계보
휘 중걸 석하,재학,철흠,윤오,경식,홍석으로 내려오는 계보
휘 중건,연하,재성,명흠,윤해,헌식으로 내려오는 계보
휘 중성,상하,재철,진흠,영록,화식으로 내려오는 계보
휘 중원,서하,재범,건흠으로 내려오는 계보
휘 중양,명하,재인,문흠,윤범,준식,춘일으로 내려오는 계보가
있다.
병산세거7백년 현재 병산은 참의공파 22세조에서 11계파의
계보가 있다.
상기 기록은 병산을 중심으로한 개괄적인 세계 이며 자세한
자료는 현재 준비중에 있어 추후 더 자세한 고증 자료와 함께
수록 하겠습니다.
2014년11월 13일
황 윤 진 올림
屛山世居七百年史
1426년 통덕랑 통례원봉례 증 가선대부공조참판 동지의금부사 황전 9세조 기념식수
소재지: 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1리 산 338 번지(병산마을 수호 서낭 나무)
병산갈참나무: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285호
屛山世居七百年史編纂委員會
우리나라 성씨(姓氏)의 역사
우리나라 성(姓)은 중국의 한자문화가 유입한 뒤인 삼국시대 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성을 사용한 것은 한자를 발명한 중국이며 처음에는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 산,강 등을 성(姓)으로 삼았다.
신농씨(神農氏)의 어머니가 강수(姜水)에 있었으므로 강(姜)씨 라고
황제(黃帝)의 어머니가 희수(姬水)에 있었으므로 성을 희(姬)씨로
순(舜)의 어머니가 요허(姚虛)에 있었으므로 성을 요(姚)씨로 한것은 이것을 실증한다.
삼국시대(三國時代)
고구려- 우리나라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에 의하면 건국 시조 주몽(朱蒙)은 국호를 고구려라고 하였기 때문에 고(高)씨라고 하였으며 주몽은 충신들에게 극(克)씨,중실(仲室)씨 소실(小室)씨를 사성(賜姓)하였다고 전해 내려온다.
그러나 중국 한서에 나타나 있는 인명의 기록을 보면 주몽은 이름만 기록되어 있으나 장수왕때에 장수왕 이름을 고연(高璉)으로 기록하여 처음으로 고구려 왕실의 성을 사용 하였다.
백제- 우리나라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에 의하면 시조 온조(溫祚)가 부여계통에서 나왔다 하여 성을 부여(扶餘)씨라고 하였으나 중국의 후한서,삼국지,진서에는 왕명이 기록되어 있는데 모두 성을 쓰지 않고 이름만 기록되어 있으며 진서,송서 등의 기록에는 근초왕 13대부터 위덕왕 27대 까지는 여(餘)씨로 표시 하다가 무왕29대부터 부여(扶餘)씨로 기록하였다.
신라-박(朴),석(昔),김(金),삼성의 전설이 전해 오며 유리왕 9년(32)에 육부(六部)의 촌장에게 각각 이(李),정(鄭),손(孫),최(崔),배(裵),설(薛)씨의 성을 사성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중국의 “북제서”에는 진흥왕(540~576)을 금진흥(金眞興)으로 기록하여 처음으로 김(金)씨 라는 성을 사용 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삼국은 고대 부족국가 시대부터 성을 쓴것 처럼 기록 되어 있으나 7세기 이전 건립된 신라 진흥왕의 네곳의 순수비, 신라 진지왕 3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술오작비,진평왕 시대에 건립된 경주 남산의 신성비 등의 비문에 나타나 있는 내용을 볼때 인명에 성을 사용한 사람이 나타나지 않고 소속부명(촌명)과 이름만 쓴 것을 보면 우리 선조는 성보다 본(촌명)을 먼저 썼다고 볼수 있다. 이상의 예를 들어 추정 해보면
고구려는 장수왕 시대(413~490)부터
백제는 근초고왕 시대(346~375)부터
신라는 진흥왕 시대(540~576)부터 성을 쓴 것으로 기록에서 추정 한다.
삼국시대의 성은
고구려- 고(高),을(乙),예(芮),송(松),목(穆),간,주(舟),마(馬),손(孫),동(董),채,연 (淵),명림(明臨),을지(乙支)
백제- 여,사,연,협,해,진,국,목 등의 8족과 왕,장,사마,수미,고이,흑치
신라-박,석,김 3성과 이,최,정,손,배,설의 6부의 6성과 장,비 등이 있고 왕실의 성인 고(高),여(餘),김(金)을 쓴 사람이 가장 많았다.
삼국사기에도 성을 쓴 사람 보다는 없는 사람이 더 많았고 주로 중국에 왕래한 사신들과 유학자와 장보고와 같이 무역을 한 사람들이 성을 사용하였으며 일반 민중은 신라 말기 까지 성을 쓰지 않았다.
고려시대- 고려의 태조 왕건은 개국 공신들과 지방 토호 세력들을 통합 관장하기위하여 전국의 군,현 개편 작업과 함께 성을 하사 하면서 우리나라 성씨의 체계가 확립되었다.
이와 같이 고려 초기부터 귀족 관료 들은 거의 성을 쓰게 되었으나 고려 문종9년(1055)에 성이 없는 사람은 과거 급제 할수 없다는 법령(法令)을 내린 것을 보면 이때 까지도 성을 쓰지 않은 사람이 많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법령으로 우리 나라 성이 보편화되어 일반민중이 성을 쓰게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말할수 있다.
때문에 문종 이후의 사람을 시조로하는 성씨가 많아 졌다.
조선시대~ 현대
조선초기 성은 양민에게 까지도 보편화 되었으나 노비와 천민계급 등은 조선 후기 까지도 성을 쓸수가 없었다.
그러나 1909년 새로운 민적법(民籍法)이 시행되면서 어느 누구라도 성과 본을 가지도록 법제화가 되면서 우리나라 국민 모두가 성을 취득하게 되었던 것이다.이때를 기회로 성이 없던 사람에게 본인의 희망에 따라 호적을 담당한 동(洞)서기나 경찰이 마음되로 성을 지어 주기도 하고 머슴의 경우 자기 주인의 성과 본관을 따르기도 하였을 뿐만 아니라 명문 집안의 성씨을 모방하여 성을 정하였다. 그러므로 성씨의 종류수가 더욱 늘어 났다.따라서 1930년 국세조사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성씨가 많아졌다.우리나라 성씨의 수를 살펴보면
1486년(성종)에 편찬한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는 277성
1766년(영조)에 이의현(李宜顯)이 편찬한 도곡총설(陶谷叢說)에는 298성
1908년 (고종)에 발간된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496성(숫자가 많 은 것은 고문헌에 있는 것을 다 넣었기 때문이다)으로 되어 있으나
1930년 국세 조사에서는 250성
1960년 국세 조사에서는 258성
1985년 인구및 주택 센서스에서는 274개의 성으로 기록되었다.
2000년 인구및 주택 센서스에서는 286개의 성씨로 보고 되었다.그러나 일제식민 통치하에서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정책의 일환으로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고치라며 1939년에 시행한 창씨개명은 1945년 해방과 1946년 10월23일 미군정이 공포한 조선성명복구령(朝鮮姓名復舊令)에 따라 이름을 다시 다시 찿을때 까지 우리나라 성씨 역사의 가장큰 수난기 였다.이후에도 국제화 시대를 맞아 외국인의 귀화 등으로 새로운 성씨와 본관이 많이 생겨나게 되었다.
황씨(黃氏)태 고 조(太 古 祖)
중국 황국고성(黃國故城) 황씨성 근원의 발상지
중국 황성유적비,황성의 유래가 기록되어있다(중국 하남성 황천현 성서북)
황씨성(黃氏姓) 연원(淵源)
1.황성(黃姓)의 기원(起源)
황성(黃姓)의 연원(淵源)은 중국 삼황오제(三皇五帝)시대의 유웅국군(有熊 國君 : B.C 2306 己未年)의 아들로 태어난 황제(黃帝) 헌원 (軒轅:地皇B.C 2887 甲子年 의 손자 전욱 고양씨 (高陽氏 :五帝 B.C 2531庚戌年)의 현손인 육종공(陸終公 : B.C 2306 己未年)의 후손의로 인하여 황(黃)을 수봉(受封) 하여 황국(黃國)의 근원을 득성(得姓) 으로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그 후 황국의 멸망으로 나라 이름을 성(姓)으로 하여 후예들이 세계 각지 역으로 산재되어 황성(黃姓)을 사용하였으니 오늘날까지 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史記,五帝本紀)
황국(黃國)은 하(夏),상(商),주(周) 시대 동이부족(東夷部族)에서 다시 구족 (九族) 나뉘었는데, 구이족(九夷族)은 견이(畎夷), 자이(子夷) 방이(方夷),황 이(黃夷), 백이(白夷), 적이(赤夷), 현이(玄夷), 봉이(鳳夷),양이(陽夷)로 이 부족들이 동서남으로 분류되어 다니면서 발전하여 각 지역에 부락을 만 들고 부락이 나라가 되었으니, 황이족(黃夷族)은 황인(黃人)으로 나라를 세 우고 나라 이름을 황국이라 하였다고 한다.
황국(黃國)은 황인(黃人)들이 세운 옛 부족이니 황국이 씨족의 연원으로 황이족(黃夷族)은 황인(黃人)이 되었고 황인(黃人) 이 황국(黃國)으로 인하 여 황성(黃姓)이 된 것이다.(참고문헌:東夷源流史 동이원류사)황성(黃姓)의 시원은 중국 하남성 황천현(黃川縣)에 위치한 옛 황국(黃國) 고지(故址)이다.
황씨는 중국 인구 순위 7위로 중국,한국, 베트남, 북미 지역에 살고 있으 며 세계적으로 약 3천만명 이며 세계종친회 총회를 하고 있다.
세계 황성의 중시조 춘신군(春申君) 황헐(黃歇)의 묘
소재지:중국 하남성 황천현 성내
중국 초나라 재상 춘신군 휘 헐 묘비
중국 하남성 황천현 성내
2.한국 황씨(韓國 黃氏) 시원(始源)
한국의 황씨(黃氏)도시조는 한나라 유신(儒臣) 황낙(黃洛)으로 후한(後漢)광무제 건무(建武) 4년인 신라 유리왕 5년인 서기 28년 중국 보송에서 지금의 베트남인 남원 교지국에 황낙(黃洛)이 사신으로 가는 도중에 풍랑을 만나 표류 하다가 울진 평해읍 월송리에 표착하여 동료인 무관(武官) 구대림(丘大林) 장군과 함께 평해에 정착하였다. 학사공은 월송포에 세거하고 평해구씨의 시조가된 구대림 장군은 구미진에 세거 하였다. 황낙의 부친은 건성후 황패의 차남인 회양백 황굉이라 전한다.
회양백 황굉은 슬하에 황해(黃海),황낙(黃洛),황호(黃湖)3형제를 두었는데 한국 시조 학사공 황낙은 회양백의 차남 이다.
황낙은 슬하에 3형제를 두었는데 장남 황갑고(黃甲古)는 기성군(箕城君)에 봉해져 평해황씨의 시조가 되었고 차남 황을고(黃乙古)는 장수군(長水君)에 봉해져 장수황씨의 시조가 되었고 3남 황병고(黃丙古)는 창원백(昌原伯)에 봉해져 창원황씨의 시조가 되었다.
우리나라 황씨는 조선씨족통보에 184본이라 하였으나 현재 족보를 보유한 본관은 16개이다. 금오위장군 황온인(黃溫仁)을 시조로 한 평해황씨 시중공계 황경(黃瓊)을 시조로한 장수(長水)황씨,문하시중 황충준(黃忠俊)을 시조로 한 창원의 시중공계, 회산부원군 황석기(黃石奇)를 시조로한 창원의 회산부원군계,정조호장 황양충(黃亮忠)을 시조로 한 창원의 대상공계(大相公系),상주국황석주(黃石柱)를 시조로 한 상주(尙州),중윤 황민보(黃旻甫)를 시조로 한 우주(紆州), 회천군 황윤보(黃允寶)를 시조로 한 회덕(懷德),덕풍군 황언필(黃彦弼)을 시조로 한 덕산(德山), 제안군 황을구(黃乙九)를 시조로 한 제안(齊安), 충장공(忠莊公)황세득(黃世得)을 시조로 한 성주(星州), 황사청(黃士淸)을 시조로 한 경주(慶州), 부사 황응성(黃應星)을 시조로 한 황주(黃州), 관성군(管城君)황규수(黃奎壽)를 시조로 한 관성(管城), 황공(黃功)을 시조로 한 항주(杭州) 등이 있다
2000년 인구주택 총조사의 성씨 및 본관 집계결과에 따르면, 가구수 201,000호와 인구수 644,000명으로 성씨 중에서 인구순위 16위이다.
3.황씨유적(黃氏遺蹟)
도시조 학사공 휘 낙 존영
추원재: 도시조 황낙공(黃洛公) 추모 제실(경북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362)
숭 덕 사 |
|
경북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 362 |
|
황씨도시조 황낙공 영정(숭덕사 내)
경북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 362
월 송 정(越 松 亭)
소재지:경북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362-2번지
황씨 도시조 제단원비 황씨 도시조 낙(洛) 제단
소재지:경북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
평해황씨 시조 비 장수황씨 시조 비 창원황씨 시조 비
소재지:경북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
황 씨 동 원 각
소재지:대구광역시북구노곡동557-2
상 덕 사
상덕사 봉안 12 위패
상덕사에 봉안된 12위패
좌로부터 양무공 휘 희석, 금계공 휘 준량, 충렬공 휘 거직, 덕풍군 휘 언필, 충현공 휘 거정, 창원백 휘 병고, 학사공 휘 낙, 기성군 휘 갑고, 장수군 휘 을고, 회천군 휘 윤보, 대상공 휘 석주, 상산군 휘 효원
4.창원황씨(昌原黃氏) 시원(始源)
황락(黃洛)의 후손 황병고(黃丙古) 자손이 창원황씨를 이루었다고 전해 진다.
오랜 세월이 흐르고 잦은 병화로 문헌이 소실되고 계대가 실전되어 창원에서 몇 대를 살았는지 모르고 각기 가첩과 세전에 의하여 기세조(起世祖)를 알고있을 뿐이다.
*창원황씨의 계파와 본관지 연혁
창원황씨에는 황충준(黃忠俊)을 1세로 하는 시중공파(侍中公派),황양충(黃亮冲)을 1세로 하는 대상공파(大相公派),황석기(黃石奇)를 1세로하는 회산군파(檜山君派),황윤기(黃允奇)를 1세로 하는 전서공파(典書公派)등을 주축으로 하여 총 8개파가 있다고 하나 상호간에 세계를 비교하여 계대를 따질수 없는것이 한스럽다.
창원은 본래 신라시대에는 굴자군(屈自郡)이더니 35대 경덕왕(景德王)이 의안회원현(義安檜原縣)이라 개정하고 신라 골포현(骨浦縣)을 경덕왕이 합포(合浦)라고 개정하여 의안군(義安郡)에 속했다.고려 8대 현종(顯宗)시대 의안,합포는 금주(金州)에 속하고 25대 충렬왕(忠烈王)시대 의안을 개정하여 의창(義昌)으로 하고 합포는 회원(會原)이라 개정하고 모두 현령(縣令)고을로 승격 시켰다.그후 의창현(義昌縣)과 회원현(會原縣)이 조선 태종조(太宗朝)에 통합되어 이루어진 지명이며 황씨는 본래 의창현(義昌縣)의 토착 세력이었다.
5.황양충(黃亮冲) 시조(始祖) 창원황씨(昌原黃氏)
*.대상공계(大相公系)의 연원과 세거지
고려조 의창현(義昌縣) 정조호장(正朝戶長)황양충(黃亮冲)을 시조로 하는 우리 대상공계는 그 선대를 실전하여 고증할 길이없다.
호장(戶長)은 향직(鄕職)의 가장 윗자리이고 여사선거지향직고(麗史選擧志鄕職考)에는 여러대에 걸쳐 우미(優美)한 가풍을 지닌 자손에게는 처음에 병사(兵史)나 창사(倉史)부터 임명하여 호장에 이르게하고 가풍이 불급(不及)한 집안은 공수(公須)나 약점(藥店)등 까지 만을 시켰으니 이로 미루어 계대이전(系代以前)에 착적(着籍)이 오래되고 또한 가풍이 뿌리가 깊었음을 알수 있다.
1세 호장(戶長)양충(亮冲)에서 6세 침원서령공(寢園署令公) 진백(眞伯)까지는 창원에서 세거 하였으며 7세 신호위(神虎衛)정용중랑장(精勇中郞將) 승후(承厚)께서는 창원에서 순흥(順興)으로 이거하여 새로운 세거지(世居地)를 개척하여 정착 하였다.
중랑장공(中郞將公)의 장손인 9세 서승공(署承公) 제(躋)는 영천내마암(榮川內馬岩) 현 영주시 휴천동으로 이거 하였으며 서승공파(署承公派)는 영주(榮州),지천(芝川),순흥석교(順興石橋),임곡(林谷)등지에서 살게되었다.
서승공의 계씨 9세 봉례공(奉禮公) 전(躔)은 병산(영주시 단산면 병산리)에 자리를 잡았으며 11세 찬성공(贊成公) 희성은 병산에서 백야동(白也洞)(영주시 풍기읍 백1리)으로 이거하여 우리 황씨의 중흥을 이룬 세거지를 마련하였다.
여기에서 후손들이 벼슬길에 많이 진출하게 되어 내외손에 고관대작이 많이 나왔으며 씨족의 발전이 가속화 되었다.
봉례공의 후손들은 14세 까지는 병산(屛山)을 중심으로 백동(白洞),문단(文丹),백석(白石),와룡동(臥龍洞),수식(水息),순흥(順興),압동(鴨洞),소천(韶川),춘양(春陽),봉암(鳳岩),조와(助臥),서울,충주(忠州),남양(南陽),등지에 세거하였다.
그후 씨족의 번성과 시대의 발전과 더불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살게 되었고 집성지역으로는 영주(榮州),봉화(奉化),예천(醴泉),하동(河洞),순천(順天),구례(求禮),여수(麗水),창녕(昌寧),공주(公州),강화(江華),서천(舒川),충주(忠州),정선(旌善),울산(蔚山),안성(安城),서울,부산(釜山)등지이며 약 2500세대로 추정하고 있다.
6.창원 세거 시대
*.1세:양충(亮冲)
1)창원황씨 대상공(大相公)계 시조
2)의창현정조호장(義昌縣正朝戶長)
3)자(子) 양돈(養敦)
*.2세:양돈(養敦)
1)정조호장(正朝戶長)
2)자(子) 석주(石柱)
*.3세:석주(石柱)
1)고려조에 급제하여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대상(大相)에 이르렀다.
2)묘소-경남 창원시 적현동(신촌) 산 20 번지
3)배(配) 동촌황(東村黃)씨
4)자(子) 영렬(英烈)
(주석:1527년 정해보(丁亥譜)1607년의 정미보(丁未譜)1711년의 신묘보 (辛卯譜)에는 시조를 대상공(大相公) 휘 석주(石柱)로 하였으나 1756년 (영조32)년에 간행된 병자보(丙子譜)에서는 1세를 양충(亮冲),2세를 양 돈(養敦)으로 3세를 대상공 휘 석주로 이어졌다.
병자보의 범례 제1항에 이렇게 한 사유를 밝히고 있다(병자보 범례참조)
*4세:영렬(英烈)
1)정순대부군부판서응양군상호군(正順大夫軍簿判書鷹揚 軍)에 증직(贈職)되었다.
2)배(配) 동촌황(東村黃)씨
3)자(子) 유(裕)
*.5세:유(裕)
1)1308년고려 충렬왕(忠烈王)34년 무신(戊申)년에 등과 하여 중현대부 (中顯大夫)동래부사(東萊副使)가 되시고 1331년 충혜왕 1년 신미(辛未) 년에 중순대부(中順大夫)전객령(典客令)이 되었고 문학과 덕행이 있었으 나 요절 하셨다.
2)배(配) 의창공(義昌孔)씨
2)자(子)진백(眞伯),진신(眞信), 여(女)최유안(崔有安),권적(權迪)
*.6세:진백(眞伯)
1)1341년 고려 충혜왕(忠惠王)2년 복위 신사(辛巳)년에 종사랑(從仕郞) 침원서령(寢園署令)이 되셨다.
2)배(配) 밀성조(密城趙)씨
3)자(子) 승후(承厚) 여(女) 박관(朴寬)
창원황씨 8위 묘소(昌原黃氏八位墓)
추경각과 8위 세장지지 전경
추 경 각
경남 창원시 적현동 188-1
7.영주,죽주(순흥),병산,입향 시대
*영주시 순흥 병산 입향조(榮州市 順興 屛山 入鄕祖)
*.7세:승후(承厚)
1)고려 공민왕6(1357)년 정유(丁酉)년에 신호위정용중량장(神虎衛精勇中郞將)이 되어 그해에 창원에서 죽주(竹州 순흥,병산)로 옮겨 오셔서 죽주안씨(竹州安氏)와 혼인 하였으며 창원황씨의 새로운 세거지(世居地)를 개척 하신 분이다. (참고:영주시사 4권 607페지)
2)배(配) 순흥안(順興安)씨
3)자(子) 처중(處中) 여(女) 이의생(李義生)
4)묘소: 경북 봉화군 물야면 두문리 산104 번지
5)고려 신호위정용중랑장 휘 승후 묘표(高麗 神虎衛精勇中將 諱 承厚 墓表)
공은 창원인(昌原人)으로 고려대상 (高麗大相) 석주(石柱)의 현손으로 창원에서 순흥(順興) 으로 옮겨 오셔서 십여대를 지난 지금 자손이 이어지고 높은 벼슬이 끊이지 않으며 덕을 쌓으기에 힘쓰고 있다.
원파(源派) 서차(序次)와 더불어 부인 안씨(安氏)의 세계는 찬성공 휘 사우(士祐) 동지중추부사 휘 응규(應奎)의 갈음에 대략 밝히고 있다.
(묘표는 1963년 계묘년에 개수하다).
대명천계4년(1624인조2년)
7대손 전승지(前承旨) 시(是) 가 세우다
배 숙부인 죽주 안씨 合窆(합폄)
경북 봉화군 물야면 두문리 산104번지(말문)
7세 중랑장공 휘 승후 묘산도
*.8세:처중(處中)
1)1398년 조선조 태조 7년에 영일현감무(迎日縣監務)
2)배(配) 무송유(茂松庾)씨
3)자(子) 제(躋),전(躔) 여(女) 김존(金存)
4)묘소:경북 봉화군 봉화읍 적덕리 산12번지(소지골)
5)1597년 선조 30년에 6대손 영천군수(현 영주군) 시(是)가 수묘입갈 하였 는데 묘갈명이 문헌으로 전해지지 않아 2001년 10월의 묘비 개수시에 묘 갈명을 새로 마련하였다.
6)영일현감 휘 처중 묘갈명 (迎日縣監 諱 處中 墓碣銘)
창원지황(昌原之黃)은 세칭동국대성(世稱東國大姓)이라.
공의 휘는 처중(處中)이니 고려조 호장이신 휘 양충(亮冲)이 공의 시조이시다.
이전(二傳)하여 휘 석주(石柱)는 관금자광록대부상주국대상 (官金紫光祿大夫上柱國大相)이요. 이전(二傳)하여 휘 유(裕)는 충렬왕조(忠烈王朝)에 등문과(登文科)하여 관동래부사(官東萊府使)며 이전(二傳)하여 휘 승후(承厚)는 공민왕조(恭愍王朝)에 관지신호위정용중랑장(官至神虎衛精勇中郞將)이니 곧
공의 선부군(先府君)이시다.
공민왕(恭愍王)6년 정유(丁酉 1357)에 자창원(自昌原)으로 여공이래(與公移來) 순흥(順興)하여 자손이 잉거언(仍居焉)하다.
공은 조선태조 7년 무인(戊寅 1389)에 관영일감무(官迎日縣監務)하시다.
자여생졸(字與生卒)은 부전하고 묘는 재순흥 지동 소지곡 자좌(在順興之東蘇池谷子坐)하며 육대손인 관승지 시 (官承旨 是)가 수묘표 입갈(修墓表立碣)하 고 외예손 영천군수 김륵공(外裔孫榮川郡守 金玏公)이 수수갈통문(修竪碣通文)하여 조사(助事)하다.
배위숙인(配位淑人)은 무송유씨(茂松庾氏)이니 고려조에 관찬성판내부사(官贊成判內府使)인 당(璫)의 따님이며 고려개국공신(高麗開國功臣)인 금필의 후예이니 생기(生忌)는 부전하고 묘는 재 봉화군 물야면 서리 만석산 간좌지 원이라.
계배숙인(繼配淑人)은 화산권씨(花山權氏)이니 부조(父祖)와 생졸(生卒)은 구부전(俱不傳)하고 묘는 재 영주 이산면 운문리 새답이라 생 3남 1녀라 장(長)은 제(臍)이니 세종조(世宗朝)에 관도염서승(官都染署承)이요.
차(次) 장 은 무사(無嗣)하고 전(躔)은 세종조에(관통례원봉례(官通禮院奉禮)인데 증손사우(士祐) 의 귀로 증공조참판(贈工曹叅判)에 추증되고 숭보사(崇報祠)에 제향 되었으며 여(女)는 적군수김존(適郡守金存)하다.
증손사우(士祐)는 관우찬성(官右贊成)하고 현손 섬(暹)은 대사헌(大司憲)이며 현손 시(是)는 관지도승지(官至都承旨)하니 오호라 공지적덕여음(公之積德餘蔭)으로 자손이 번연(繁衍)하며 대소과환(大小科宦)이 전후상망(前後相望)하니 불능진기(不能盡記)라.
묘도유고갈(墓道有古碣)이나 세구태심(歲久苔深)하고 마륵우심(磨泐尤甚)하여 음기박락(陰記剝落)일세 내어종회(迺於宗會)에 준발개수지론(峻發改竪之論)하여 류불녕(謬不佞)에게 촉수천지명(囑隧阡之銘)이라. 고여멸학(雇余蔑學)이 하감당시기(何敢當是寄)리요.연이나 첨재외예지말(忝在外裔之末)하여 심이탁명기하(深以托名其下)로 위영요 (爲榮耀)하고 수불뢰사(遂不牢辭)하며 안장이위지명(案狀而爲之銘)하니 명(銘)왈 세덕연면(世德連綿)하니 원심류장(源深流長)이라 기려불억(其麗不億)하여 위세동량(爲世東樑)이라. 울울송백(鬱鬱松栢)은 묵방산양(墨坊山陽)이라 아명정민(我銘貞珉)하여 백세유방(百世遺芳)이라.
서기2001년 신사 추 8월 하순
외예손 야성(冶城)송홍준(宋鴻俊)근찬
8세 감무공(監務公) 휘 처중(諱 處中) 묘소
8세감무공휘처중묘소: 경북 봉화군 봉화읍 적덕리 산12번지(소지골)
8.서승공(署承公) 휘 제(諱 躋) 영주 내마암(內馬巖) 이거
8세 처중(處中)의 장남 서승공(署承公) 휘 제(諱 躋)는 죽주(竹州) 병산(屛 山)에서 영천(榮川) 내마암(內馬巖) 현 영주 휴천동 으로 이거 하였다.
(참조: 영주시사 제4권 607페지)
*9세: 제(躋) 서승공파(署承公派) 시조
1)승사랑도염서승(承仕郞都染署承)
2)생몰 미상
3)배(配) 화산권(花山權)씨
4)자(子) 영손(永孫), 여(女) 윤중은(尹仲殷)
5)영주 내마암(內馬巖)이거 (현 휴천동)
9세 서승공(署承公) 제(躋)의 묘소
9세 서승공 휘제 (署承公 諱 躋) 묘산
9.서승공 휘 제 파 (署承公 諱 躋 派) 인물
*10세 황영손(黃永孫):1405년(태종5)~1475년(성종6). 도염서승 제(躋)의 장남으로 이산(泥山) 현감을 역임 하였다.
*11세 황창(黃瑒):1423년(세종5)~1509년(중종4).이산 현감 영손(永孫)의 장남으로 상원(祥原) 훈도를 역임하였으며 다시 풍기의 고로곡(古老谷)으 로 이거 하였다.
*12세 황한필(黃漢弼):1456년(세조2)~1545년(인조1). 상원(祥原) 훈도 창 (瑒)의 장남으로 조봉대부 목천(木川)교수를 역임하였다.문행(文行)이 있어 서 주세붕(周世鵬)이 이를 칭찬하였다.금계 황준량의 외조부로서 황준량이 그에게 수학하였다고 한다.
*12세 황한충(黃漢忠):1464년(세조10)~미상. 자는 양좌(良佐)이며 호는 우 수(愚叟)또는 백운거사(白雲居士)로 상원(祥原)훈도 창(瑒)의 차남이다.
생원시에 입격하였으나 7번에 걸친 대과 응시에 실패하자 소백산 아래 순 흥 우수동(愚叟洞)에 양성정(養性亭)을 짓고 은거하였다.
일찍이 화당시고취(和唐時薣吹)를 지었는데 여기에 주세붕이 발문(跋文) 을 붙여 이르기를 “그 율(律)이 숙근(熟謹)하고 그 사(辭)가 아고(雅古)하 여 당(唐)에 태어 났더라도 그 기미(氣味)가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라 고 하였다.또한 퇴계의 소백산 유산기에 제헌들의 시와 더불어 당시 명경 암(明鏡庵)에 있던 그의 작품이 언급되어 있다.
피폐한 풍기향교(豊基鄕校)의 재건을 위하여 곡식을 희사하였고 소수서원 이 건립될 때에도 재물을 내어 도왔다.
문집으로 “백운집”(白雲集)이 있으며 도고서원(陶皐書院)에 제향되었다.
*13세 황관(黃寬) 1474년(성종5)~1556년(명종11).자는 문요(文饒)이며 한 필의 장남이며 부장을 지냈다.
*13세 황빈(黃彬):생몰년 미상. 자는 국화(國華) 호는 중화당(中和堂)이다.
한충(漢忠)의 장남으로 1525년(중종20)식년 진사시에서 차석으로 입격하 였다.
풍기군수.주세붕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특히 풍기 향교의 이건및 백운
동서원의 창건에 경비를 부조하는 등 흥학(興學)사업에 적극 기여 하였 다.
*14세 황득겸(黃得謙):1515년(중종10)~1596년(선조29). 자는 여익(汝益) 이며 호는 석교(石橋) 또는 계옹(溪翁)으로 부장 관(寬)의 아들이다.
식년 생원시에 입격하였고 후에 통정대부를 받았다.
사마시에입격하였으나 끝내 문과에는 불리(不利)하자 과거를 단념하고 친 히 농사를 지으며 자락(自樂)하였다. 순흥 석교촌 동쪽 시냇가에 침간정(枕 澗亭을 지었는데 송간(松澗) 황응규(黃應奎)의 시에 “서적 뒤적이며 소일 할만하고 냇물 마주하여 마음 씻을만 하구나 ”라고 하였다.
유고가 있다.단곡 곽진이 묘갈명을 짓고 하당(荷塘) 권두인(權斗寅)이 지문 (誌文)을 지었다.
*14세 황응문(黃應文)생몰년 미상 진사 (進士). 빈(彬)의 아들로 훈도를 지 냈다.
*15세 황지(黃墀)1560(명종15)~1647년(인조7)자는 군급(君級)이며 생원(生 員) 득겸(得謙)의 아들로 내섬시 부정을 역임하고 후에 사헌부 집의에 추 증되었다.
*16세 황이번(黃以藩) 생몰년 미상. 자는 한보(翰甫)이며 부정 지(墀)의 장 남으로직장을 지냈다.
*16세 황이무(黃以茂)1589년(선조22)~1666년(현종7).자는 실보(實甫)이며 부정 지(墀)의 둘째아들로 후에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귀주(龜州)김세호(金 世鎬)가 묘갈명을 지었다.
*17세 황호(黃灝) 1620년(광해군12)~미상. 자는 호숙(浩叔)이며 첨지(僉 知) 이청(以淸)의 아들로 천성이 매우 효성스러워서 부모님께 손수 맛있는 음식응 드렸고 혹 나가서 좋은 음식을 얻으면 먹지 않고 가지고 돌아와 반드시 부모님께 올렸다고 하였다.일찍이 해변을 지나는데 큰 물고기가 바 로 그의 앞으로 튀어 나오니 이를 취하여 부모님께 요리 해 올렸다. 이에 사람들이 효감(孝感)이라고 칭술 하였다.효행으로 인해 뒤에 좌랑에 증직 되었다.
*17세 황정(黃渟)1624년(인조2)~1690년(숙종16).자는 종원(宗遠)이며 좌승 지 이무(以茂)의 아들로 후에 대사헌에 추증 되었다.어려서부터 병치레를 많이 하여 학업을 감당 할 체력이 없었으나 장성하여서는 개연히 분발하 여 학업에 열중 하였다. 자식을 가르칠 때에 사랑 만을 베풀어 배움에 나 태하지 않토록 하였으며 흉년에 내외 종척(宗戚)가운데 어려움을 격고 있 는 이들이 있으면 힘써 이들을 구호하였다. 만년에 영회당(詠檜堂)을 지어 날마다 친구들과 더불어 이곳에서 시주(時酒)로 자락(自樂)하였다.
귀주(龜州) 김세호(金世鎬)가 묘갈명을 지었다.
*18세 황도현(黃道顯) 1644년(인조22)~1715년(숙종41). 자는 문숙(文叔)이 며 징(澂)의 아들로 호군을 지냈다.
*18세 황도익(黃道翊) 1662년(현종3)~1749(영조25). 자는 군익(君翊)이며 가의대부 동추을 받았다. 당(堂)에 편액하기를 “영회”라 하였는데 이는 그 근본을 잊지 않겠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 월탄(月灘) 김창석(金昌錫)등과 교유하였다.
*19세 황경(黃㯳) 1693((숙종19)~1785년(정조9).자는 경중(敬仲) 동추(同 樞) 도익(道翊)의 아들로 이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소수서원 원장을 역임 하였다.
*19세 황재(黃梓) 1696년(숙종22)~1748년(영조24).자는 임중(任仲)이며 동 추(同樞) 도익(道翊)의 아들로 통덕랑을 지내고 소수서원 원장을 역임하였 다. 무신란(戊申亂. 1728년 이인좌의난)에 대항하기위하여 순흥에 의병진 이 결성되자 권동혁(權東奕)등과 더불어 소모장(召募將)으로 임명되었다.
*20세 황인채(黃鱗采) 1716년(숙종42)1799(정조23)자는 국량(國亮) 혹은 계칙(季則)이며 호는 양몽재(養蒙齋)로 증 이조참판 경(㯳)의 아들이다.
32세에 식년 진사시와 식년 생원시에 입격하고 39세때에 증광 문과에 급 제하였다.
주부,제주(濟州)판관 등을 지내고 노인직(老人職)으로 가의대부 를 받았다.
1781년(정조5)에 제주판관에서 벗어나 경직(京職)을 받게 되었으나 재직 하던 중에 고을 사람 강성(姜城)을 제주 목사와 더불어 장살(杖殺)하였다 는 죄목을 얻어 유배형에 처해 지기 까지 하였다.
그가 생을 마치자 반암(半巖)전구(全球)는 “다섯 아들에게서는 그가 인(仁)
을 실천 했음을 보겠고 구순(九旬)의 나이는 덕(德)이 바탕이 되었음을 징 험하겠네.“ 라 하였다.
1761년 (영조 37)에 소수서원 원장으로 있었고 특히 “명륜당중수시상량 문”을 짓기도 하였다.유집으로 “양몽재집(養蒙齋集)이 있다.
10.봉례공 휘 전 (奉禮公 諱 躔 )파
영주(榮州)병산 중흥기(屛山 中興期)
*.9세:황전(黃躔)-자(字) 형보(亨甫)
1)영주,병산 중흥조(榮州,屛山 中興祖) (봉례공파 시조)
2)공양왕 3년(1391) 生(생)-세조4년(1459)卒(졸)향년 69
3)이조 세종(世宗)8년(1426) 35세 때에 통례원 봉례(通禮院奉禮)를 지내시 고 병산(屛山)에 은거중 금성대군(錦城大君)의 단종 복위 운동(1457년) 에 큰화를 이르킬줄 미리 아시고 칭병은거(稱病隱居)하여 화를 면하고 자손을 보존 하였으며 영주,병산 중흥에 크게 이바지 하였다.
숭보사(崇報祠)에 모셨고 공조참판(工曹叅判)의 증직을 받았다.
*휘 황전 약력
*1391년 :출생(창원)
*1426년(세종8):통례원봉례
*1429년(세종11):소산서원 건립- 단산면 병산1리 315번지(병산 입향)
*1459년 별세
*1535년(중종30년):공조참판 증직
*1735년(영조11):소산서원 중건- 단산면 병산1리 315번지)에 창원황씨 일족이 중심이 된 영주 지역 사림들에 의해 중건.
*1735년(영조11):숭보사 건립- 단산면 병산1리
*1778년(정조2): 소산서원 중수.
*1871년(고종8):1)소산서원 철폐- 흥선대원군이 서원 철폐령에 의해 전국 47개소만 남기고 모두 철폐됨.
2)소산서원이 철폐되고 창원황씨와 영주지역 사림들에
의해 공을 기리는 마음에서 소산서원을 첨모당으로 함. *1882(고종19): 서원 철폐령 폐지-서원철폐령이 폐지 되었으나 그후 첨모 당을 소산서원으로 개칭 하지 못하고 현제 까지 왔슴.
*19 년:첨모정 건립
*1995년: 첨모당 문화제 지정-경북도 문화재 자료 315 지정
4)묘 소-경북 영주시 부석면 보계리 산20번지(문좌실)
5)배 정부인 곡성 임(任)씨 묘소:경북 영주시 부석면 소천리 (장곡)
6)자(子)귀경(貴卿),직경(直卿),의경(義卿),신경(藎卿),언경(彦卿),윤경(允 卿) 여(女) 허윤공(許允恭),노계조(盧繼祖) 6남 2여곡성임(
7)숭보사 제향일-봄은 음력 3월 중정일(仲丁日) 가을은 음력 9월 중정일 (中丁日) (중정일은 둘째 정일)
*통례원 봉례 휘 전(躔) 묘갈명
공의 휘 는 전(躔) 이니 우리 세종8년(1426)에 벼슬이 통덕랑통례원봉 례(通德郞通禮院奉禮)였다.
천순(天順)3년(1459세조5년)기묘에 돌아 가시고 가정(嘉靖)14년(1535)을미에 공조참판(工曹叅判)에 증직 되시었다.
아버지의 휘는 처중(處中)이니 벼슬이 태조조에 영일감무 (迎日監務)태종조에서 현감으로 개칭)에 이르렀고 어머니는 무송유씨이니 고려조 개국공신 금필의 후예로 판내부사(判內府事) 당(璫)의 따님이다.
창원을 본관으로 하는 황씨는 고려 대상 석주(石柱)를 시조로 하고 아들 영렬(英烈)은 군부판서(軍簿判書)를 지냈으나 그즈음의 일은 상고 할 수가 없다.
아들 유(裕)는 충열왕조에 문과에 올라 전객령(典客令)을 지냈으며 문장과 덕행을 갖추었으며 아들 진백(眞伯)은 충혜왕조에 침원서령(寢園署令)을 지냈는데 이위로는 4세가 창원에서 세거 하다가 아들 승후(承厚)에게 이어져 공민왕조에 신호위정용중랑장(神虎衛精勇中郞將)을 지냈는데 죽주 (竹州)흥의위(興義衛) 안언(安彦)의 집에 장가들고 이로인하여 죽주 에 집을 장만하여 살았으며 이분이 공의 할아버지시다.
공이 벼슬을 버리고 죽주의 병산(屛山)에 살면서 아들 여섯을 두셨는데 문학과 덕행을 고루 갖추었다.장자는 귀경(貴卿)이니 생원이요.다음은 직경(直卿)이고 다음은 의경(義卿)이고 다음은 신경(藎卿), 다음은 언경(彦卿), 다음은 윤경(允卿)이다
따님은 둘이니 맏사위로 허윤공(許允恭)이요.다음은 노계조(盧繼祖)이다.
훌륭한 자손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서 윤공의 외손은 판서 김정이요.
윤경(允卿)의 외손은 판서 권예(權輗)요.외증손은 학사 (學士)김륵(金玏)이다.지금의 영천군수(榮川郡守)인 이대진(李大震)은 신경(藎卿)의 외현손으로 조정에서 크게 장래를 기대하는 사람이다.
귀경은 손자가 있으니 사우(士祐)라 하는데 불초 응규(應奎)세아들 고(杲)가 있고 섬(暹)과 시(是)는 분복이 넘쳐서 과거에 급제 하였고 정자(正字)서(曙)또 한 귀경의 현손이다. 이외에도 재주와 덕망이 있으나 뛰어난 재능을 들어내지 않고 광채를 숨기는 자 헤아리지 못할 정도로 많으니 모두가 조상의 적덕으로 자손이 받게 되는 경사이다.
공의 묘는 문좌실(文佐谷)에 있고 부인 곡성 임씨(谷城任氏) 의 묘는 소천 진골에 있는데 모두 표석이 없어 오래 전 부터 자손들이 유감스러워 하던 중 만력(萬曆) 15년 (1587 선조20년) 정해에 이대진 영천(榮川)군수가 5두를 출연하고 공인을 사서 돌을 세웠으니 일을 꾀하고 청한이는 여러 족친 들이요 즐겁게 따른 사람은 이(李) 군수이다.
비봉에 있는 돌을 쓴것은 그땅이 가까운 까닭이다. 갈고 다듬어서 두 개의 비석을 만든것은 그 묘소가 다른 곳에 있기 때문이다.
김학사에게 비문을 청하였으나 학사가 사양하고 나보고 쓰라 하니 변변치 못한 글을 돌에 세겨 후세에 전할수 있을 것인가 명하노니 고기가 못에 있다하여 누가 들어 나지 않는다 하는가 학이 언덕에서 우는것을 공은 미리 짐작하였네. 화염 이 산등을 휩싸니 저기에 살아 남을 사람 이 없었으나 오직 평안히 계셨으니 우리 가문은 옛 그대로구나 덕을 심어 마음 씀이 깊고 착하니 끊없이 널리 퍼져서 눈부시게 빛나고 명성이 높아 근원은 깊고 오래도록 이어 내리네. 만력 15년(1587)정해년 봄에
종부시정(宗簿侍正)응규(應奎)가 지었다.
숭보사 봉안문 상향축문(崇報祠奉安文常享祝文)
거룩하신 우리 할아버지께서는 고려말에 태어나시고 조선조에 학행이 넉넉하사 벼슬길에 올랐다가 물러났습니다.
천하의 형세가 뒤바뀌어 나라에서는 단종(端宗)임금이 물러나시고 금성대군(錦城大君)이 순흥으로 귀양와서 혼자 힘으로 기울지 못하게 바로 잡고자 애쓸적에 이때 의리를 지키는 일에는 신하와 백성이 다를지라도 그것을 분별하기에는 참으로 어려웠는데 할아버님께서는 큰 사단이 일어날줄 미리 짐작하시어 온 고을 사람들이 왕자에게로 몰려갈 때에도 홀로 물러나 계셨고 왕자께서 보낸 폐백(幣帛)마져 물리치고 만나기를 사양하며 자손들을 경계하여 자취를 멀리 했습니다.뒤이어 화(禍)가 일어나 죽계천(竹溪川)이 붉은 피로 흥건할 때 이웃에서 많은 사람들이 죽임을 당했으되 할아버님 홀로 벗어나셨으므로 우리집안이 온전하게 면면(綿綿)히 이어 질수 있었으니 몸소 덕을 가꾸시와 하늘의 보답(報答)을 받아 후손들이 대대로 벼슬하고 할아버님의 가르침인 시예(時禮)가 길이길이 전해집니다.
물려주신 터전이 옛 모습 그대로이고 집도 또한 그대로이니 할아버님 숨결을 느끼는 듯 말소리 들리는 듯 하여 그향기가 초목(草木)에도 넘쳐나서 두터운 덕이 후세(後世)에도 전해 지는데 천백대가 지나간들 잊으오리까 사당(祠堂)을 세워 사림(士林)에서 숭보사(崇報祠)로 받들다가 국령(國令)으로 훼철 되고나니 후소들이 머리을 맞대고 둘러 앉아도 할아버님을 우모 (寓慕)할 곳이 없어졌길래 추원보본 하는 법도(法度)에도 어김이 없게 옛터에 다시 사당(祠堂)을 세우고 숭보사(崇報祠)라고 이름 붙였으니 후손들 정성에 감응(感應) 히시오면 기쁜 마음으로 우러러 사모하겠나이다.
할아버님 뜻하시는대로 이뜰을 오르 내리시면 영원토록 받들어 모시겠사오니 저희 후손들이 정갈 하게 정성스래 지내는 재사를 흠향 하소서.
교관(敎官) 소산(小山) 한산 이광정 찬 (韓山 李光靖 撰)
상 향 축 문(常享祝文)
의리(義理)에는 깨끗하사 왕자(王子)의 폐백(幣帛)도 사양하셨고 덕(德)이 깊었으니 여음(餘蔭)이 쌓였습니다 예(禮)로서 그 근본을 지켰으니 천지에 가득한 기운이 밝고도 환합니다.(*이글은 한산이공(韓山李公) 소산(小山) 이광정(李光靖) 선생이 본손을 위해 정조10년(1786)4월에 지었다.
9세 통덕랑 통례원 봉례 증가선대부 공조참판 휘 전 묘소
소재지: 경북 영주시 부석면 보계리 산40(문좌실)
9세 봉례공 휘 전 묘산도
9세 봉례공 휘 전 배 곡성임씨 묘산도
병산 갈참나무- 대한민국 천년기념물 제285호
(1426년 휘 황전 통덕랑통례원봉례 증가선대부 공조참판 9세조 식수)
갈참나무.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병산리 산 338
갈참나무는 우리나라 각 처에 자생하지만 특히 중부지역에 많이 자라는 낙엽성의 넓은 잎을 가진 나무이다.병산 갈참나무는 나이가 약 600년 이고 크기는 높이 15m 나무 둘레는 4m이다.마을 앞쪽 언덕의 평탄한 곳에 충분히 자랄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아랫쪽 곁가지는 굵고 길게 뻗어 쉽게 손이 닿을 수 있다.
이 나무는 동리의 서낭 나무로 매년 정월 보름에 동민들이 나무 아래서 동제를 올린다.
이 갈참 나무는 휘 황전(黃躔)통덕랑통례원봉례 증가선대부 공조참판 9세조께서 조선 세종 8년(서기1426년)병산 처음 입향 하셔 식수 하신 나무이다.
이제 국가적인 천년기념물 문화제가 우리 병산에 있다는 것은 자랑스럽고
황씨 문중의 자부심입니다.
잘 관리하여 자손만대 갈수 있도록 하는 것은 우리 후손들의 몫 입니다.
첨 모 당(瞻慕堂)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제자료 제315호
지 정 일: 1995.12.1
소 유 자: 창원황씨 봉례공파 황진덕
소 재 지: 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리 315
시 대: 조선시대
규모양식:건물1동,정면3칸,측면1칸,맞배지붕
이건물은 세종때 통례원(通禮院)봉례(奉禮)를 지낸 황전(黃躔)이 1429년(세종11)에 은퇴하여 지방유생들을 가르치고 학문을 연마하기 위하여 세운 정사(精舍)이다. 현재의 건물은 1735년(영조11)에 창원황씨 일족이 중심이된 영주지역 사림들에 의해 사우로 중수되었으나 금령(禁令)으로 철폐되었다가 그후 중수되었다고 한다.첨모당은 창원황씨들의 집성촌인 병산마을 우측편의 산기슬에 숭보사(崇報祠)가 있고 그 우측 낮은 편에 건립되어 있다.
좌측담에 세워진 낮은 일각문을 통하여 출입할수 있으며 경사진 대지에 자리잡은 관계로 기단을 조금 높게 조성항 후 남향으로 앉혔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규모로 중간에 마루를 배치하고 양쪽에 온돌방이 있는 중당협실형이고 좌측 온돌방의 칸살은 1자정도 작게 만들었다.일반적으로
마루의 전면에 창호를 설치할 때 벽은 판벽으로 설치 하는것이 통례이나 여기서는 심벽(心壁) 으로 처리되고 우측문은 출입문으로 활용된 듯 문의 높이가 높다.마루방과 우측 온돌방에는 사분합 들문을 설치하여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흔적이 남아 있다.온돌방 전면 창호는 좌우측 동일하게 쌍여닫이 세 살문을 달고 있으나 우측방 창틀에는 중간설주가 서 있다.
장식성이 없는 간결한 3량가이고 풍판없이 홑치마 맞배지붕에 한식기와를 이었다.
첨모당-경상북도 문화제 자료 제315호 안내문
소재지-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1리 첨모당 앞
첨 모 당(瞻慕堂)
경상북도 문화제 자료 제315호 입구전경
휘 황전 통덕랑통례원봉례 증가선대부공조참판겸 동지의금부사
병산 입향조께서 후학 유생들을 가르치셨던 첨모당
숭 보사(崇報祠)
,배 정부인 곡성 임씨 위패를 모신 숭보사
소재지: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1리 315번지
숭 보 사(崇報祠)
병산 입향 9세조
휘 황전 통덕랑통례원봉례 증가선대부 공조참판겸 동지의금부사
,배 정부인 곡성 임씨 양위분 위패를 모신 숭보사 전경
휘 황전 통덕랑통례원봉례,증가선대부 공조참판겸 동지의금부사 9세조,
배 정부인 곡성 임씨 위패
위패 봉안 소재지: 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1리 315번지 (숭보사 內)
위 패 내 용:
1.좌) 선고조 증가선대부공조참판겸 동지의금부사
행통덕랑통례원봉례 부군신위
2.우) 선조비 증 정부인곡성임씨 신위
첨 모 정(瞻慕亭)
휘 황전 통덕랑통례원봉례 증가선대부 공조참판겸 동지의금부사
9세조 첨모정 전경
첨모정 소재지: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1리 315번지
*10세 귀경(貴卿)-자(字) 영락(永樂)
1)1413년 계사생(癸巳生)
1490년 庚戌(경술)졸(卒) 수(壽) 78
공의 벼슬은 종사랑(從仕郞)이고 평생 사람을 험담하지않고 기리며 전도 유망한 사람의 하는 일을 이끌어 주었으며 생물을 밟지 않고 꺽지 않았으 며 손자 휘 사우(士祐)의 귀로 호조판서(戶曹判書)의 증직을 받았다.
2)묘소:영주시 순흥면 태좌리
10세 증 호조판서, 종사랑 휘 귀경 묘소
10세 증 호조판서, 종사랑 휘 귀경 묘산도
10.백동 이거 입향조 (백동계)
*11세 희성(希聖)-자(字) 호연(浩然)
1)1455년 을해(乙亥)11월15일 생(生)
1524년 갑신(甲申) 졸(卒) 향년70
2)10세 귀경의 장남 순능참봉(純陵叅奉)을 지냈으며 천성이 사람을 대 하면 지극희 공경하고 다투지 않는 성품이었다.
3)1493년(성종24년)에 병산에서 백야동(白也洞)이거 하시어 새로운 세거지 를 마련하였다.
4)아들 사우(士祐)의 귀(貴)로 좌찬성(左贊成)의 증직하다.
5)풍기 희여골(白洞)에 거주하던 고모부 노계조(盧繼祖)의 시양자(侍養子)가 되었던 것에 기인한다.(노계조는 9세조 황전의 둘째사위)
(참조:영주시사 제4권 608페지)
11세 증 좌찬성,순능참봉 휘 희성의 묘소
6) 12세 휘 사우 묘갈명(諱 士祐 墓碣銘)
11.봉례공 휘 전 대종파(奉禮公 諱 躔 大宗派)
*12세 사우(士祐)-자(字)국보(國輔) 호(號)용헌(慵軒)
1)1486년 병오(丙午)8월14일 생(生)
2) 약 력
*1501년-진사시 초시입격
*1508년-진사시 입격
*1515년-문과 장원급제
*1516년-성절사 서장관으로 북경 파견
*1518년-홍문관 수찬
*1522년-영천(榮川)군수 (현 영주시)
*1524년-경상도사 임용
*1527년-세자 시강원 보덕
*1527년(중종22)사헌부 집의, 창원황씨 족보를 처음 편찬
*1528년-홍문관 응교,사헌부 집의
*1529년-대사간,동부승지,우부승지,도승지
*1530년-승정원 좌승지,홍문관부제학,,참찬관,
*1531년-대사관
*1532년-한성부 우윤,사헌부 대사헌,
*1533년-경기관찰사,형조참판,
*1534년-부제학,호조판서,
*1535년-병조판서,예조판서,이조판서,우찬성
(참고:조선왕조 실록)
3)1536년 병신(丙申)3월13일 졸(卒) 향년51
4)배 영일 오씨
5)장남 윤규(潤奎) 차남 응규(應奎)
5)영주시사(榮州市史)기록 내용
풍기에 운수를 잘 보는 맹인이 살고 있어 아버지 희성이 그에 대해 물어보니 “이 운수는 벼슬이 반드시 1품에 이를 것이나,수(壽)를 누리지는 못할듯 합니다.”고 했다고 한다.또한 외삼촌인 목사(牧使) 진담(秦澹)은 “이 아이는 반드시 이른 나이에 재상이 될것이다.”고 말했다고 한다.
총명함이 절륜하여 말은 잘하지 못하였으나 4세 때 글을 읽을 줄 알았다 고 하며 6세 때에는 연구시(聯句時)에 능하여 운자(韻字)를 불러주면 곧바 로 시를 완성하였다.진담을 따라 서을에 올라갔던 그는 15세에 진사시 초 시에 입격하고 동학(東學)에서 공부하였으며 22세 때에는 자암(自庵)김구 (金絿)와 함께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29세 때에 문과에 급제하였다.이때 장원을 차지한 박세희 (朴世熹)와 우열을 가릴수 없을 정도로 우수하였는데 시험을 주관하였던 정광필(鄭光弼),김안국(金安國)이 등급을 결정하지 못하자 중종이 특명으로 갑과(甲科)에 두 자리를 만들어 함께 장원에 두도록 하였다.
이후 전적, 감찰,정언,수찬,등을 경연에도 입시하는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 다.
1516년(중종11)에는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북경에 갔으며 이때 조천록(朝天錄)을 기록하기도 했으나 일실되었다.
1522년(중종17)에는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지방관에 임명되기를 청하여 영천(榮川) 군수로 나왔는데 정사를 펼침에 인서(仁恕)를 우선하여 이민(吏 民)들이 그 혜택을 고루 입었다.
또한 인재를 잘 권면하여 온계(溫溪),이해(李瀣)등 많은 선비들이 성취된 바가 있었으며 문도(門徒)들이 날마다 운집하였다.
경상도(慶尙道) 도사로 임용된 그는 도내를 두루 다니며 직무를 수행하였다.
1519년 (중종14)에는 승지 권벌(權橃)을 방문하고 고성(固城)의 관포대(灌圃臺)에 있던 어득강(魚得江)을 방문하기도 하였다.
도사로 재직하고 있던 당시에 그 활동을 “재영남일기”(在嶺南日記)로 기록하였다.
1529년 (중종24)에는 어필(御筆) 특지(特旨)로 대사간에 임용되었고 다시 승지로 발탁되어 동부승지를 거쳐 우부승지및 도승지에 제수되었다.
1533년(중종28)에는 경기(京畿)관찰사로 임명되어 잠시 외직으로 나갔다가 이듬해 부제학으로서 다시 내직에 복귀하였으며 호조판서에 임용되었다.
1535년 (중종30)에는 병조판서로 재직하였는데 이때 겨울에 천둥이 천재변이 일어난 것으로 인하여 조정이 늘 화목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이 해에 예조와 이조의 판서를 지내고 숭정대부 의정부 우찬성에 까지 이르렀다.
1536년(중종31)에 은가(恩暇)를 받고 풍기에 소분(掃墳)하러 왔다가 이곳에서 생을 마쳤다.
중종은 그가 생을 마친것에 놀라움을 표하고 슬픔을 나타내기위해 소찬(素饌)을 들었으며 습진 할때에 풍악을 없에라고 명하였다.
이산해(李山海)의 아버지인 이지번(李之蕃)등과도 절친한 교분을 맺었다.
회산세고(檜山世稿)에 유고인 용헌고(慵軒稿)가 실려 있는데 후손 최원(最源)이 자료를 수집하여 스승인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에게 교감을 받은 것이다. 신광한(申光漢)이 묘갈명을 지었다. 숭덕사(崇德祠)에 제향되었다.
(참고:영주시사 제4권 609 페지)
2006년 2월 일
연구책임자 黃 渭 周
12세조 우찬성,예조판서 휘 사우 위패 (숭덕사內)
(배 정경부인 영일 오씨)
12세 우찬성겸 예조판서 휘 사우 묘소
*13세 윤규(潤奎)-자(字) 장문(長文)
1)1515년(중종10)생~1587년(선조20)졸, 수(壽)73세
2)선무랑(宣務郞)을 역임,(사우(士祐)의 장남)
*13세 응규(應奎)-자(字)중문(仲文) 호(號)송간(松澗)
참고문헌: 족보, 영주시사, 황씨종사보감, 황씨대동보감, 황씨동원지,
한국황씨보감, 국사대사전, 조선왕조실록
3.세종대왕: 1)출 생-1397년
2)재 위-1418년
3)별 세-1450년
*김륵-황전의 외증손
*황석주(黃石柱)묘소소재지:창원 적현
황승후(黃承厚) 창원에서 순흥 입향조
*7세 황승후(黃承厚)순흥병산 이거 입향조(참조:영주시사 4권 607페지)
8세 황처중(黃處中)
9세 황제(黃躋) 장남-영천(榮川)내마암(현 영주시 휴천동)이거
황전(黃躔) 차남-병산입향조
10세 황귀경(黃貴卿)9세조 황전의 장남
11세 황희성(黃希聖)황귀경 장남 1493(성종24)년 병산에서 백동 입향조(황사우 부친)
풍기 희여골(白洞)에 거주하던 고모부 노계조(盧繼祖)의 시양자(侍養子) 가 되었던 것에 기인한다.(노계조는 9세조 황전의 둘째사위)
황희현(黃希賢)황귀경 차남(황사영의 부친)
11세 황창(黃㻛)(9세조 황제의 손자)-영주에서 풍기 이거 풍기 입향조
12세 황사우(黃士祐)부친-희성 조부-귀경 9세조 황전의 증손자
황사영(黃士英)부친-희현 조부-귀경
황사언(黃士彦):병산에서 문단이거 문단 입향조(부친-희숙 조부-윤경) 9세조 황전의 증손자
*13세 황환(黃瓛):은 평창 입향조
*15세 황유상(黃有相)은 함안 입향조(백동13세 황윤규 손자)
*15세 황유현(黃有顯)은 강화 입향조- 14세 황고(黃杲)장남,13세 황응규(黃應奎)장손,12세 황사우(黃士祐)증손, 9세조 황전 의 6대손(참조:족보 상권29페지,영주 시사 4권 606페지)
*16세 황입성(黃立星)은 양양 입향조 (백동 13세 황응규 증손자 황사우 고손)
*순흥 입향조-7세 황승후, 8세 황처중(黃處中) 9세 장남 황제(黃躋) 차남 황장(黃賬) 삼남 황전(黃躔)
병산입향조- 9세 황전 장남귀경 차남직경 3남의경 4남신경 5남인경 6남윤경 맏사위허 윤공공 둘째사위 노계조
풍기백동입향조-황전의 장손11세 황희성(黃希聖) 장남 12세 황사우(黃士祐) 장남13세 황윤규(黃潤奎) 차남13세 황응규 장남14세 황고(黃杲) 차남 14세 황섬(黃暹)
병산의 참의공파(휘 사영 諱士英) 후손
제1문중-17세 도존(道存) 18세 우청(遇淸) 22세 중이(黃中履) 장손 27세 황성식(黃聖植)
9세 황전 장남 10세 황귀경 차남 11세 황희현(黃希賢) 삼남 12세 사영(黃士英)장남 13세 황인(黃認) 차남 14세 황합(黃峇합) 장남 15세 황유순(黃有淳) 장남 16세 황진서(黃振緖) 장남 17세 황도존(黃道存) 장남 18세 황우청(黃遇淸) 장남 19세 황득중(黃得重) 장남 20세 황용채(黃龍采) 장남 21세 황극한(黃極漢) 장남 22세 황중이 (黃中履) 장남 23세 황주하(黃周夏) 장남 24세 황재해(黃在海) 계 25세 황익흠(黃翼欽 생부 황재호) 장남 26세 황윤종(黃潤鍾) 장남 27세 황성식(黃聖植) 장남 28세 황용승(黃勇勝)
제2문중-17세 도존(道存) 18세 우청(遇淸) 22세 중언(中彦) 장손26세 황윤현(黃潤賢)
9세 황전 장남 10세조 황귀경 차남 11세 황희현(黃希賢) 삼남 12세 사영(黃士英)
장남 13세 황인(黃認) 차남 14세 황합(黃峇합) 장남 15세 황유순(黃有淳) 장남 16 세 황진서(黃振緖) 장남 17세 황도존(黃道存) 장남 18세 황우청(黃遇淸) 장남 19세 황득중(黃得重)
차남 20세 황성채(黃成采) 계 21세 황진한(黃進漢 생부(生父) 황일채 黃一采) 계 22세 황중언(黃中彦 생부(生父) 황헌한 黃憲漢)장남 23세 황순하(黃舜夏)차남 24세 황재설(黃在卨) 장남 25세 황필흠(黃必欽) 장남 26세 황윤현(黃潤賢) 장남 27세 황지환(黃智煥)
제3문중-17세 도존(道存) 18세 우청(遇淸) 22세 중효(中孝) 장손26세 황영태(黃榮太)
9세 황전 장남 10세 황귀경 차남 11세 황희현(黃希賢) 삼남 12세 사영(黃士英)장남 13세 황인(黃認) 차남 14세 황합(黃峇합) 장남 15세 황유순(黃有淳) 장남 16세 황진서(黃振緖) 장남 17세 황도존(黃道存) 장남 18세 황우청(黃遇淸) 장남 19세 황득중(黃得重) 차남 20세
황일채(黃一采) 장남 21세 황양한(黃良漢) 계 22세 황중효(黃中孝 생부(生父)황헌한(黃憲漢) 장남 23세 황비하(黃庇夏) 계 24세 황재직(黃在稷 생부(生父)황순하 黃舜夏) 장남 25세 황영흠(黃永欽) 장남 26세 황영태(黃榮太) 장남 27세 황유식(黃裕植
제4문중-17세 도존(道存) 18세 우청(遇淸) 22세 중후(中厚) 장손 26세 황윤호(黃潤浩)
9세 황전 장남 10세 황귀경 차남 11세 황희현(黃希賢) 삼남 12세 사영(黃士英)장남 13세 황인(黃認) 차남 14세 황합(黃峇합) 장남 15세 황유순(黃有淳) 장남 16세 황진서(黃振緖) 장남 17세 황도존(黃道存) 장남 18세 황우청(黃遇淸) 장남 19세 황득중(黃得重) 삼남 20세 황일채(黃一采)장남 21세 황양한(黃良漢) 계 22세 황중효(黃中孝) 장남 23세 황구하(黃九夏)
장남 24세 황재연(黃在淵) 장남 25세 황맹출(黃孟出) 장남 26세 황윤호(黃潤浩) 장남 27세
황남익(黃湳翊)
제5문중 7세 도존(道存) 18세 우천(遇千) 21세 두한(斗漢) 22세 중능(中能) 장손 28세 황성 욱(黃盛煜)
9세 황전 장남 10세 황귀경 차남 11세 황희현(黃希賢) 삼남 12세 사영(黃士英)장남 13세 황인(黃認) 차남 14세 황합(黃峇합) 장남 15세 황유순(黃有淳) 장남 16세 황진서(黃振緖) 장남 17세 황도존(黃道存) 차남 18세 황우천(黃遇千) 장남 19세 황득재(黃得載) 장남 20세 황정채(黃禎采)계 21세 황두한(黃斗漢 생부(生父) 황윤채 黃潤采) 장남 22세 황중능(黃中能)장남 23세 황장하(黃章夏) 계 24세 황재옥(黃在鈺) 생부(生父) 황대하(黃大夏)장남 25세 황연흠(黃淵欽) 계 26세 황윤덕 (黃潤德 생부(生父) 황명흠(黃命欽) 장남 27세 황두식(黃斗植)장남 28세 황성욱(黃盛煜)
제6문중 7세 도존(道存) 18세 우천(遇千) 21세 두한(斗漢) 22세 중기(中炁) 장손 28세 황부 섭(黃富燮)
9세 황전 장남 10세 황귀경 차남 11세 황희현(黃希賢) 삼남 12세 사영(黃士英)장남 13세 황인(黃認) 차남 14세 황합(黃峇합) 장남 15세 황유순(黃有淳) 장남 16세 황진서(黃振緖) 장남 17세 황도존(黃道存) 차남 18세 황우천(黃遇千) 장남 19세 황득재(黃得載) 장남 20세 황정채(黃禎采)계 21세 황두한(黃斗漢 생부(生父) 황윤채 黃潤采) 장남 22세 황중기(黃中炁)장남 23세 황기하(黃璣夏) 장남 24세 황재락(黃在洛)계 25세황원흠(黃元欽 생부(生父) 황재호(黃在鎬) 계 26세 황윤하) 장남 27세 황효식(黃孝植) 장남 28세 황부섭(黃富燮) 장남 29세 황인규(黃仁奎)
제7문중 7세 도존(道存) 18세 우천(遇千) 21세 두한(斗漢) 22세 중걸(中杰) 장손 28세 황홍 석(黃洪碩)
9세 황전 장남 10세 황귀경 차남 11세 황희현(黃希賢) 삼남 12세 사영(黃士英)장남 13세 황인(黃認) 차남 14세 황합(黃峇합) 장남 15세 황유순(黃有淳) 장남 16세 황진서(黃振緖) 장남 17세 황도존(黃道存) 차남 18세 황우천(黃遇千) 장남 19세 황득재(黃得載) 장남 20세 황정채(黃禎采)계 21세 황두한(黃斗漢 생부(生父) 황윤채 黃潤采) 장남 22세 황중걸(黃中杰)장남 23세 황석하(黃錫夏) 장남 24세 황재학(黃在鶴)장남 25세 황철흠(黃哲欽) 장남 26세 황윤오(黃潤五) 장남 27세 황경식(黃慶植)장남 28세 황홍석(黃洪碩) 장남 29세 황민재(黃民在)
제8문중 7세 도존(道存) 18세 우천(遇千) 21세 두한(斗漢) 22세 중건(中健) 장손 27세 황헌 식(黃憲植)
9세 황전 장남 10세 황귀경 차남 11세 황희현(黃希賢) 삼남 12세 사영(黃士英)장남 13세 황인(黃認) 차남 14세 황합(黃峇합) 장남 15세 황유순(黃有淳) 장남 16세 황진서(黃振緖) 장남 17세 황도존(黃道存) 차남 18세 황우천(黃遇千) 장남 19세 황득재(黃得載) 장남 20세 황정채(黃禎采)계 21세 황두한(黃斗漢 생부(生父) 황윤채 黃潤采) 장남 22세 황중건(黃中健)장남 23세 황연하(黃演(연)夏) 장남 24세 황재성(黃在星)장남 25세 황명흠(黃明欽) 차남 26세
황윤해(黃潤海)장남 27세 황헌식(黃憲植)
제9문중 7세 도존(道存) 18세 우천(遇千) 21세 두한(斗漢) 22세 중성(中聖) 장손 27세 황화식(黃花植)
9세 황전 장남 10세 황귀경 차남 11세 황희현(黃希賢) 삼남 12세 사영(黃士英)장남 13세 황인(黃認) 차남 14세 황합(黃峇합) 장남 15세 황유순(黃有淳) 장남 16세 황진서(黃振緖) 장남 17세 황도존(黃道存) 차남 18세 황우천(黃遇千) 장남 19세 황득재(黃得載) 장남 20세 황정채(黃禎采)계 21세 황두한(黃斗漢 생부(生父) 황윤채 黃潤采) 장남 22세 황중성(黃中聖)장남 23세 황상하(黃商夏)계 24세 황재철(黃喆)생부(生父)황영하黃永夏) 계 25세 황진흠(黃軫欽 생부(生父)황재호 黃在鎬)장남 26세 황영록(黃泳祿) 장남 27세 황화식(黃花植)장남 28세 황중섭(黃重燮)
제10 문중 7세 도존(道存) 18세 우천(遇千) 21세 두한(斗漢) 22세 중원(中元) 장손 25세 황건흠(黃建欽)
9세 황전 장남 10세 황귀경 차남 11세 황희현(黃希賢) 삼남 12세 사영(黃士英)장남 13세 황인(黃認) 차남 14세 황합(黃峇합) 장남 15세 황유순(黃有淳) 장남 16세 황진서(黃振緖) 장남 17세 황도존(黃道存) 차남 18세 황우천(黃遇千) 장남 19세 황득재(黃得載) 장남 20세 황정채(黃禎采)계 21세 황두한(黃斗漢 생부(生父) 황윤채 黃潤采) 장남 22세 황중원(黃中元)차남 23세 황정하(黃正夏)차남 24세 황재홍(黃在洪) 장남 황건흠 黃建欽)장남 25세 로 내려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