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A 경기를 보면 수비가 강한 팀이 우승을 할 수 있는 확률이 높다. 04-05 시즌, 03-04 시즌 모두 수비가 강한 팀인 샌안토니오와 디트로이트가 우승을 차지한 것을 봐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공격은 기복이 심한 편이어서 아무리 농구를 잘하는 선수라고 하더라도 컨디션이 나쁠 경우에는 평균 득점에 훨씬 못 미치는 경우도 허다하다. 하지만, 수비는 그에 비해서 기복이 적은 편이다. 왜냐하면 수비는 팀워크가 기본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수비는 팀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끄는 큰 힘이 된다. 일반적으로 아마추어 농구에서는 지역 수비를 많이 쓴다. 그 지역 수비 중 2-3 지역방어에 대해서 알아보자.
2-3 지역방어는 상대팀의 외곽 슛이 비교적 부정확한 경우에 채택하는 수비 방법이다. 이 방어법의 기본 포맷을 아래 그림과 같다.

그림 A 는 기본적인 포맷이고, B 는 윙 부근에서 상대 공격수가 공을 잡았을 때의 수비 포맷 이동을 나타낸다. C는 공을 잡은 공격자가 코너에 있을 때 함정에 빠뜨리는 방법이며, D 는 코너에 공을 잡은 공격수를 윙에 위치한 윙에서 패스를 할 수 없도록 방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보면 알겠지만, 공을 잡고 있는 상대선수가 있는 경우 가장 가까이 있는 수비자는 순간적으로 그 선수에 대해서 대인 방어 형태로 마크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림 C, D 의 화살표 방향은 수비자의 방어 범위를 의미한다. 즉, 상황에 따라서 1번과 3번 수비자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수비를 펼쳐야 한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3번의 경우 담당해야 하는 범위가 상당히 넓다. 하지만, 이 수비에서는 원거리 패스를 주로 유도를 하는 것이므로 패스가 진행되는 시간에 수비자가 움직일 수 있는 시간이 있어 충분히 커버가 가능하다.

그림 E 는 상대의 공격수가 하이 포스트에 공이 투입될 때의 수비 방법이다. 센터가 앞으로 나와 공을 받는 선수를 마크하고, 3번 포워드는 상대 공격수를 마크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기본 포맷이다. 센터가 전진하면 그 뒷공간을 노리는 공격자가 있기 마련이다. 이 때, 3번 포워드는 그 빈공간을 채워주어야 한다. 이 때, 3번의 사이드 쪽에 1명의 선수가 더 있다면 그 때는 1번이 사이드 쪽으로 이동을 해주고 2번이 탑쪽으로 이동을 하여야 한다.

그림 F 와 G는 상대가 코너에서 공을 가졌을 때 수비자의 커버링 에 대한 기본적인 기술을 보여주는 것으로 의 경우는 공을 잡은 공격수를 함정에 빠뜨렸을 때의 커버링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3번과 4번 포워드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시 되는 것이다. 그 반면, F 의 경우처럼 코너에 있는 공격수가 패스를 못하도록 할 경우에는 1번 가드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있을 것이다.
2-3 지역 방어의 기본적인 전향은 상대가 골밑을 치고 들어오는 것을 잘 막아야 하기 때문에 1번과 2번이 상대 가드가 프리드로우 라인 중앙에 파고들지 못하게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이 수비법은 외곽과 45도 위치, 하이 포스트가 약하기 때문에 커버플레이를 위한 약속이 잘 이루어져 있어야만 효과적으로 방어를 할 수 있다.
상대가 외곽슛이 강하다면 이 수비 방법은 배제하는 것이 좋다. 이 수비는 골밑을 장악하기 위한 수비법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외곽 슛에 대한 방어는 약할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