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1980 |
1985 |
1995 |
1997 |
2010(예상) |
총수요(톤) 소비량(g/1인당) |
1,512 40 |
3,659 90 |
22,480 500 |
25,086 540 |
67,235 1,440 |
■산채의 수출입 현황
⇒1999년의 경우 수출은 쑥가루․미나리․냉동취나물․도라지 등 83.3톤
⇒1999년의 경우 수입은 도라지․더덕․고비․고사리 등 26,358톤
구분 |
1996 |
1998 |
1999 |
주요 품목 |
수출 수입 |
62.2 24,987 |
104.2 16,897 |
83.8 26,358 |
쑥가루․미나리․냉동취나물․도라지 등 도라지․더덕․고비․고사리 등 |
■유통동향
○생체
⇒유통경로는 생산자→수집상→도매상→소매상→소비자.
⇒출하시기의 출하량 증가로 가격하락 우려.
⇒하우스재배 등으로 출하시기를 피한 단경기는 고가 형성.
○건채
⇒유통경로는 생산자→가공업체→소매상 또는 소비자.
⇒가공업체를 통하지 않고 계통출하 또는 직거래 성행.
⇒과잉생산 때 유리.
■산채 소득성(1999년 기준)
○일반작물보다 소득이 높음.
○10a당 참나물 2백67만8천원, 더덕 2백64만원,
취나물 1백54만5천원, 두릅 93만7천원 등.
○일반작물의 경우는 쌀 53만9천원, 콩 25만5천원,
감자 70만9천원, 배추 1백13만원 등.
■산채의 이용
○대부분 떫은 맛이 강해서 일단 삶고 물에 우린 다음 사용.
○쑥이나 고사리는 나무재 또는 탄산수소나트륨을 넣고
삶은 후 물로 헹굼.
○주로 무침․볶음․튀김․국물․찌개 요리 등에 이용.
■산채의 가치
○영양성분은 비타민 A,B1, B2, C 등 풍부.
○약리효과 및 발암물질 억제기능 강함.
○약리효과
⇒엉겅퀴는 동맥경화․고혈압․창종 등.
⇒삼지구엽초는 창종․신경쇠약․강장 등.
⇒두릅은 당뇨병․위암․신장염 등.
⇒삽주는 건위․신장병․고혈압 등.
⇒쑥부쟁이는 방광염․소염․해독 등.
⇒인진쑥은 만성간염․고혈압․동맥경화 등.
⇒개미취는 거담․종창․이뇨 등.
⇒약모밀은 임질․위궤양․기관지 등.
⇒민들레는 위장병․황달․만성장염 등.
주요 산채의 활용
○잎산채
고비● 나무재 또는 탄산수소나트륨에 넣어 삶음, 나물, 고사리보다 비쌈
고사리● 백이와 숙제, 뼈를 강하게 함, 제사상, 육개장, 나물, 찌개
곰취● 분포지가 넓음, 취나물, 취쌈, 녹즙
수리취● 취나물, 취쌈, 녹즙
참취● 취나물, 취쌈, 녹즙
머위● 털머위도 동일하게 씀, 나물, 무침, 샐러드
무릇● 밭이나 들에 많이 자람, 갈증을 멎게 함
민박쥐나물● 박쥐의 날개처럼 보인다고 해서 이 이름이 붙음
부추● 향기 강함, 부추전, 부추무침
산마늘● 특산식물
쑥● 단국신화, 단옷날 풍습, 향기 짙음, 목욕물 이용, 쑥떡
얼레지● 흔한 식물이었으나 멸종위기를 맞고 있음, 사진가들 애호
왕고들빼기● 상추에 가까운 식물, 설사 때 사용
흰민들레● 민들레 홀씨되어는 잘못, 서양민들레와 차이점, 부침
○줄기산채
감국● 산국과 다른 점, 국화주 재료
고려엉겅퀴● 특산식물
달래● 신경안정과 불면에 효과, 무침, 쌈, 달래전, 건강주
돌단풍● 관상용, 식용 등으로 재배
둥글레● 둥굴레차 인기
모시대● 약용은 뿌리, 식용은 잎줄기, 나물, 무침, 건강주
미역취● 취나물, 쌈
삽주● 약용은 뿌리, 식용은 잎줄기, 맛이 뛰어남, 나물, 튀김
솜방망이● 관상용, 식용
원추리● 토장국, 나물, 튀김
윤판나물● 식용
○뿌리산채
더덕● 향기 짙음, 더덕구이, 더덕무침, 건강주
더덕뿌리● 사삼의 기원식물, 일본과 중국에서는 잔대가 사삼임
도라지● 잎과 줄기도 먹음, 인삼 대용의 보약
도라지뿌리● 주로 한국사람이 즐겨 먹음
도라지뿌리● 도라지넥타, 도라지죽, 도라지차
마● 조림, 샐러드, 튀김, 마즙
마뿌리● 이용범위가 넓은 약이기에 산약이라 함
씀바귀● 쓴나물 별명, 봄에 먹으면 여름에 더위 없음
씀바귀뿌리● 나물, 김치, 건강주
연● 뿌리를 먹음, 열매는 연밥에 이용
연뿌리● 공기에 닿으며 산화돼 검어지므로 빨리 식초물에 넣어 변색을 방지
우엉● 채소처럼 가꿈
우엉뿌리● 껍질을 벗기면 바로 물에 담가 변색을 방지
잔대뿌리● 사삼, 나물, 튀김, 건강주
○열매 및 기타
배초향● 추어탕에 넣어 고기냄새약화
산초● 매운맛은 구충과 살균 작용
산초열매● 추어탕에 넣음
초피● 산초와 다른 점
우리 나라 토종식물자원의 현황
송홍선
민속식물연구소 소장
■토종의 뜻
우리말사전=토종은 재래종 또는 토산종
여기에서의 재래종은 전부터 내려오는 품종 또는 어떤 지방에 서 여러 해 동안 재배돼 다른 지방의 가축이나 작물 따위와 교 배되는 일 없이 그 지방의 풍토에 알맞게 된 종자이며,
토산종은 그 지방에서 특유하게 나는 종자 또는 종류
한국토종연구회=토종은 한반도의 자연생태계에서 대대로 살아왔거나 농민에 의해 사양이나 재배 또는 이용되고 선발돼 내려와 한국의 기후 풍토에 잘 적응된 동물과 식물 그리고 미생물
토종의 영문표기는 자생종을 뜻하는 Indigenous와
재래종을 의미하는 Land race를 포괄하는
뜻에서 Native species
■토종 보존 및 활용의 필요성
21세기에는 생물산업이 주요 산업으로 전망됨에 따라 각 국은 생물산 업의 기본자원이 되는 유전자원 확보 강화
식생활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라 친환경 재래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증대
신품종의 보급과 영농방식의 변화에 따라 재래종의 소멸이 심화되고 있음
■토종자원 보존 현황
□ 토종식물
구분 |
야생근연종 |
재래종 |
육성종 |
유전재료 |
기타 |
계 |
국내수집 |
162 |
22,816 |
- |
- |
6,800 |
29,778 |
국내육성 |
- |
- |
10,790 |
- |
18,605 |
86,678 |
국외도입 |
1,421 |
2,564 |
64,088 |
- |
18,605 |
86,678 |
기타 |
7 |
7 |
8,946 |
- |
7,741 |
16,701 |
계 |
1,590 |
25,387 |
83,743 |
544 |
33,146 |
144,410 |
작물재래종의 보존 현황(농림부, 2000) (단위ː점)
구분 |
식량작물 |
특용작물 |
원예작물 |
기타 |
계 | ||
|
농진청 종자은행 |
|
15,429 |
4,251 |
1,997 |
599 |
22,276 |
농진청 소속기관 |
|
206 |
29 |
248 |
10 |
493 | |
| |||||||
|
각도 기술원 |
|
188 |
297 |
720 |
10 |
1,215 |
|
대학 및 단체 |
|
- |
106 |
273 |
30 |
409 |
|
농가 |
|
22 |
6 |
24 |
1 |
53 |
|
계 |
|
15,845 |
4,689 |
3,262 |
650 |
24,446 |
□ 토종식물
구분 |
과 |
속 |
종 |
아종 |
변종 |
품종 |
교잡종 |
포자식물 |
21 |
62 |
229 |
- |
21 |
4 |
- |
겉씨식물 |
6 |
20 |
49 |
- |
20 |
22 |
1 |
쌍떡잎식물 |
132 |
743 |
2223 |
9 |
781 |
258 |
22 |
외떡잎식물 |
26 |
240 |
792 |
- |
140 |
25 |
- |
계 |
185 |
1065 |
3293 |
9 |
962 |
309 |
23 |
자생식물의 보존현황(농림부, 2000)
구분 |
보유종수 |
보유점수(본) |
보유면적(ha) |
주요 보유기관(단체) |
수목 |
30 |
2,580,190 |
- |
전남, 충남, 강원 |
수형목 |
3 |
24 |
- |
전북 |
야생화 |
238 |
7,532,895 |
- |
자생식물협회, 충남, 강원, 전남 |
자생란 |
4 |
8,495 |
- |
충남 |
자생식물 |
705 |
29,341 |
0.14 |
경북, 경남, 국립수목원, 임업연구원 |
조경수 |
115 |
1,144,746 |
- |
충남, 한국조경수협회, 강원 |
차대유전자 보존림 |
3 |
- |
2.2 |
임업연구원 |
채종림 |
4 |
6,630 |
- |
전북 |
현지유전자 보존림 |
9 |
- |
2,444 |
임업연구원 |
계 |
1,111(751) |
11,302,321 |
2,446 |
- |
( )는 토종식물의 보유종수
□토종자원의 재배 현황
구분 |
주요 자원 및 품목 |
식량 두류 채소 특용 과수 기타 |
자광미, 자주감자, 찰옥수수 등 17개 품목 재래녹두, 서리태, 양태 등 5개 품목 게걸무, 음성재래 고추, 백석부추, 개구리참외 등 10개 품목 꾸지뽕나무, 여삼장뇌, 진도재래구기자 등 9개 품목 두리감, 삼보감, 빈귤, 돌배나무, 당유자 등 12개 품목 백진달래 |
□ 주요 토종자원 재배규모
토종자원의 재배현황(2000. 4월 농진청 조사)
구분 |
재배규모(주, 본, 군)별 농가수 |
재배 규모 | ||||
소계 |
1,000이하 (1,000평이하) |
1,300~8,000 (1,500 ~ 5,000평) |
12,000~320,00 (30,303평 이상) |
주, 본, 군 |
평 | |
식량 |
38 |
35 |
1 |
2 |
- |
204,711 |
두류 |
6 |
6 |
0 |
0 |
- |
951 |
채소 |
10 |
4 |
4 |
2 |
- |
302,043 |
특용 |
826 |
823 |
1 |
2 |
320,005 |
370,605 |
과수 |
28 |
28 |
- |
- |
136 |
- |
기타 |
1 |
1 |
- |
- |
500 |
- |
구분 |
육성품종수 | ||
계 |
국내종 활용 |
외국종 활용 | |
식량작물 원예 및 기타 |
743(100) 478(100) |
258(35) 142(30) |
485(65) 336(70) |
계 |
1,221(100%) |
400(33%) |
821(67%) |
*국내종 활용ː국내 재래종 또는 국내 육성종을 양친으로 활용해 육성한 품종을 포함
*외국종 활용ː외국도입종을 편친 또는 양친으로 활용해 육성한 품종을 포함
농가보존이 요구되는 재래품종 목록(농림부, 2000)
작물 |
품종명 |
특징 |
재배지역 |
비고 |
벼 |
자광벼 |
옅은 자색빛을 띤 밥맛있는 쌀 |
경기도 김포 |
권씨집에서 8대물림 이승만대통령에 진상 |
|
사래벼 |
주로 밭벼에 나타나는 잡초벼로 기후풍토에 오랫동안 적응 |
강화도 삼산면 |
잡초형 벼 |
보리 |
늘보리 |
이삭과까락이 길고 늘어짐 |
강화도 국화읍 |
|
|
함안찰보리 |
찰보리 |
|
|
|
신안찰쌀보리 |
찰쌀보리 |
|
|
밀 |
앉은뱅이밀 |
키가작은편 |
경남 남해 |
김재명씨 대물림 |
조 |
북심이차조 |
이삭이 짧고 굵은편 |
강원 정선 숙암리 |
|
|
청살미차조 |
이삭이 길고 푸른색 나는 차조 |
강원 홍천 |
|
기장 |
벼룩기장 |
커피색 종피 |
경북 선산 옥성면 |
|
|
황기장 |
연황색 종피 |
경북 선산 옥성면 |
|
|
흰기장 |
백색 종피 |
경북 예천 |
|
수수 |
몽당수수 |
이삭이 크고 흰색 종피 |
강원 삼척 |
|
|
비목수수 |
이삭이 길고 늘어짐 |
경기 포천 |
|
|
찰수수 |
백색 종피 찰수수 |
전남 보성 조성면 |
|
옥수수 |
흰찰옥수수 |
백색 찰옥수수 차지고 맛좋음 |
강원 홍천 내촌면 |
|
|
주먹찰 |
이삭아래부분이 굵음, 차지고 맛좋음 |
강원 홍천 내촌면 |
|
|
메옥수수 |
초대형 이삭, 백색 대립 |
강원 평창 진부면 |
초대형 |
|
쥐이빨옥수수 |
적색,백색,노랑색, 튀김용 |
강원 평창 진부면 |
초소형,소립 |
메밀 |
미상 |
|
강원 인재 상남면 |
|
작물 |
품종명 |
특징 |
재배지역 |
비고 |
콩 |
파란고물콩 |
연두색 중립 떡고물용 |
경북 월성 건천읍 |
|
|
아주까리밤콩 |
밤색 얼룩무늬 밥밑콩 |
전북 무주읍 |
|
|
선비잡이콩 |
황백바탕, 검은무늬, 밥밑콩 |
진천군 이월면 |
|
|
유월두 |
검은색 극조숙종 |
경기 포천군 |
극조숙 |
|
속푸른콩 |
숙이푸른 밥밑콩 |
경기 화성 |
|
|
푸르대콩 |
겉과 속이 푸른 밥밑콩 |
경기 화성 동탄 |
|
|
밤콩 |
갈색 종피의 밥밑콩 |
강원 화천 |
|
|
보악다리콩 |
황백색 소립, 나물콩 |
전북 정읍 |
|
|
쥐눈이콩 |
소립 약용콩, 나물콩 |
전북 정읍 |
|
|
호래비밤콩 |
황백색 대립, 밥밑콩 |
강화군 길상면 |
맛좋음 |
|
올콩 |
황백색,중대립,극조숙 |
강원,강릉 |
극조숙 |
|
녹색왕콩 |
록색종피, 대립 |
충북보은 |
|
|
한아가리콩 |
황백색 원형, 특대립 |
강원 평창 진부면 |
극대립 |
|
수박태 |
록색검은무늬, 소립, 나물콩 |
경북 청도 |
나물콩 |
|
준줄이콩 |
소립, 나물콩 |
전북 고창 |
|
|
납떼기콩 |
반야생종,나물콩 |
경북 영덕 달성 |
반야생종,갈색 |
|
40일콩 |
황백색 중대립 |
강원 삼척 |
|
강낭콩 |
울타리콩 |
넝쿨 강낭콩 |
경북 선산 |
|
|
앉은뱅이콩 |
키작은 강낭콩 |
강원 삼척 |
|
동부 |
어금니동부 |
살색종피, 어금니모양 |
전북 고창 |
|
|
굼벵이동부 |
살색종피, 구부러진 모양 |
전북 고창 |
|
|
흰동부 |
흰색종피, 검은눈 |
전북 익산 |
|
|
검은동부 |
검은종피 |
전북 익산 |
|
|
붉은동부 |
붉은종피 |
전북 군산 |
|
|
개파리동부 |
살색바탕 검은점 |
충북 진천 |
|
작물 |
품종명 |
특징 |
재배지역 |
비고 |
팥 |
예팥 |
길고 단단한모양 |
경북 예천 |
충해에 강 |
|
검정팥 |
검정색 대립 |
전남 보성 |
검은 종피 |
|
붉은왕팥 |
붉은색 대립 |
전북 옥구 |
대립 |
|
적팥 |
붉은색 소립 |
경기 화성 |
|
|
재팥 |
잿빛 대립 |
경기 연천 |
|
|
흰팥 |
흰색 종피 |
전북 익산 |
흰종피 |
|
개골팥 |
흰바탕에 검은 큰 무늬 |
경기 화성 |
종피색 |
|
노랑팥 |
황갈색 종피 중립 |
전북 옥구 |
|
|
쉰날거리팥 |
붉은색 중립 |
경북 경산 |
극조숙 |
|
물팥 |
투명색 대립 |
전남 보성 |
|
녹두 |
올녹두 |
조숙종 |
경북 달성 |
|
수세미 |
수세미 |
|
경남 하동 |
|
참깨 |
시금자(흑깨) |
검은색 종피 |
충북 진천 |
|
|
육모깨 |
흰색종피 6모삭 |
경기 파주 |
|
|
팔모깨 |
흰색 |
경북 영덕 |
|
|
끌깨 |
흰색 |
경북 청송 |
|
|
올깨 |
흰색,극조숙 |
경남 고성 |
|
|
벙어리깨 |
비개삭형,백색 |
경기 양주 |
비개삭형 |
들깨 |
흰올들깨 |
연회색,조숙성 |
전북 임실 |
|
작물 |
품종명 |
특징 |
재배지역 |
비고 |
율무 |
흰율무 |
회백색 종피 |
경북 경산 |
|
|
흑율무 |
검은색 종피 |
경북 경산 |
|
|
우렁율무 |
고동색 종피 |
전북 고창 |
|
홍화 |
미상 |
흰색 |
경남 산청 |
|
배추 |
의성배추 |
연하고 키가 크다 |
경북 의성 |
한골채 |
|
뿌리배추 |
뿌리 식용 |
강원 양구 |
|
순무 |
강화순무 |
머리부분 연보라색 |
경기 강화 |
|
갓 |
두륜산갓 |
맵고 맛 양호 |
전남 해남 |
|
|
제주갓 |
맵고 맛 양호 |
제주도 |
|
|
여량갓 |
맵고 맛 양호 |
강원 정선 |
|
무 |
진주대평무 |
맛좋고 정장성 강 |
경남 진주 |
|
상추 |
칭이 부두 |
청색 치마상추 |
경북 의성 |
흰색유액 |
|
고성적치마 |
적색 치마상추 |
경북 고성 |
흰색유액 |
아욱 |
미상 |
반자생성 |
경북 안성 |
|
시금치 |
미상 |
잎에결각, 내한성 |
강화 |
뿔시금치 |
고추 |
칠성초 |
고춧가루가 많다 |
경북 청송군 |
|
|
수비초 |
고춧가루가 많다 |
경북 영양군 |
|
|
청양고추 |
매운맛 |
청양 |
|
작물 |
품종명 |
특징 |
재배지역 |
비고 |
참외 |
개구리참외 |
연한 육질 |
경기 성환읍 |
|
수박 |
무등산수박 |
대형,저장성,단맛 |
전남 광주 |
|
오이 |
조선오이 |
오이지, 맛 |
강화읍 홍천 |
|
박 |
큰박 |
대형 |
남원 성산면 |
|
호박 |
되호박 |
조리용,사료용 |
강원도 평창군 |
|
|
청호박 |
약용 및 식용 |
전남 나주 |
|
|
참호박 |
약용, 식용 |
평창군 |
|
|
단호박 |
당도 높다 |
경기 포천군 |
밤호박 |
|
떡호박 |
당도 높다 |
강원 평창군 |
|
|
울릉도호박 |
당도, 호박엿 |
울릉도 |
|
마늘 |
고성재래 |
저장성, 매운맛 |
강원도 고성군 |
|
|
의성마늘 |
저장성, 매운맛 |
경북 의성 |
|
|
단양마늘 |
저장성, 매운맛 |
충북 단양 |
|
동아 |
순창재래 |
약용,비만억제식품 |
전북순창군 |
새농민‘98, 11월호 |
칼콩 |
붉은칼콩, 흰칼콩 |
약용,축농증,치질,항암 |
진주 |
작두콩,용두농원 |
감자 |
자주감자 노란감자 흰감자 분홍감자 묵밭두지감자 하지감자 |
아린맞 살색이 크림색, 반찬용 살색이 백색, 반찬용 껍질이 분홍색, 쫄깃한맛 껍질이 자주색, 눈이깊다 분이 많고, 간식용 |
강원 양구 경북 영양 경북 영양 경기 강화 강원 평창 경북 성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