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인
-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이고 좌,우 일정 방향과 경사 리턴부에서만 사행 발생한다면...
01) 컨베어 설치시 평행이 맞질 않았음! 대부분 설치시 레벨링을 체크안함!
컨베어 업체들이 원시적인 실, 줄, 줄자, 물방울 수평계에 의존하며 레이져 수평계나
기타 정밀 레벨링 측정 시스템으로 측정안함!
토목 공사가 정밀 가공품이 될수 없으므로 설비 레벨링 측정은 당연함!
02) 지반 침하등으로 컨베어의 후레임이 틀어질수 있음!
당연하게 컨베어 관리시엔 최종 유저에서 레벨링을 체크 하는게 원칙임!
03) 리턴 롤러와 리턴 브라켓의 잘못된 장착이나 좌,우 브라켓의 다른 형태 장착으로 사행
발생함!
# 방지대책
- 모든 컨베어벨트는 제작 및 사용시에 벨트 사행은 분명하게 발생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벨트 사행을 감지 장치와 더불어 사행 방지 장치, 사행 교정 장치을 부착하는게 올바른 컨베어
설계 방식이며 관리 방식임을 인지 바랍니다!
- 가장 기본적인 벨트 사행 방지 및 교정 방식은 벨트의 사행되는 벨트의 구동 방향의 캐리어
롤러의 스탠드와 리턴 롤러의 리턴 브라켓의 볼트를 풀어 벨트 사행되는 방향의 구동 방향
으로 틀어 밀어주고 반대면은 벨트 진행 방향의 반대편으로 밀어주고... 사행 정도에 따라서
일부 구간만 적용하든지... 아니면... 전체적으로 조정한다.
- 벨트 컨베어의 리턴부에 사행 방지 장치 또는 사행 교정 장치...
아니면 복합형 장치를 장착하여 리턴부 벨트 사행을 방지하거나 교정하여
원활한 벨트 구동과 벨트 수명을 연장함.
- 비용이 가장 작게 소요되는 방법은 리턴 브라켓을 벨트 파손 방지 타입으로 현재 컨베어 맞게
맞춤형 설계, 제작하는 방법이나 벨트 사행은 막을수 없음
- 그 다음으로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방법은 벨트가 리턴시에 정상 궤도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측면에 V홈 롤러와 브라켓을 장착하여 강제 사행 방지하는 방식이나 벨트의 귀고무 마모는 벨
트와 롤러의 접촉으로 발생함.
- 리턴 롤러에 후렌지를 달아서 벨트가 정상 궤도 범위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사용하는 방법도 종종 사용하지만 이 방법 또한 귀고무 마모 현상이 나타나며...
# 교정대책(특허 절차 진행중)
- 리턴 롤러와 리턴 브라켓을 벨트 사행 및 구동 방향으로 틀어 밀어서 1차적으로 교정함.
- 리턴 롤러를 2EA로 나누어 좌우 수평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2차적으로 강제 교정함.
- 리턴 롤러의 나선 홈을 좌우 대칭으로 가공 및 크라운 가공하여 롤러의 좌우 스윙, 높낮이
미세 조절후 벨트 사행 교정을 3차적으로 극대화함.
- 벨트 사행 감지 장치를 장착하여 수시 점검 및 미세 교정을 권장함.
# 보수방법
- 벨트의 귀고무 마모 현상은 현재로선 보수 불가하며 가능하다 하더라도 비용이 과다 발생함.
- 리턴부 벨트 사행이 심할경우 측면 절손이 발생함.
- 측면 절손 현상이 귀고무 정도 절손된 경우는 커터로 전후 대각 방향으로 잘라내어 2차 파손을
방지함.
- 측면 절손이 가로 방향 절손으로 50m/m 정도는 대각으로 절손의 벨트를 잘라내어 2차 파손
을 방지함.
- 50m/m 이상일 경우는 절손부을 끊어내고 3M 정도의 새로운 벨트로 전,후 양방향 벨트
엔드리스 출장 시공으로 벨트 수명을 연장함.
# 벨트 컨베어의 문제점을 수도권 업체에 한해서 출장 진단합니다!
첫댓글 컨베어벨트,풀리,롤러,모터롤러(파워몰러),모터풀리(드럼모터),벨트엔드리스시공,풀리코팅(풀리래깅)
문의 바랍니다!
콘텍콘베어 T.031-479-6630, 6631 F.031-479-6632
contechcv@daum.net / contechcv@naver.com
메일 견적 의뢰시엔 필히 전송후 전화 부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