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용세제를 미지근한물에 풀어서 파란수세미로 닦아내고 벽면이 완전히 건조된후에 페인트가게에 가시면 발수제라고 방수할때 쓰는 투명한 약품이 있어요 그걸 바르면 절대로 곰팡이가 절대로 안생김니다...
☞ 화학적 방법
■ 에어로졸 타입 : 살균제가 포함된 가스를 공기중에 방출하는 방식으로 사용이 편리하나 빨리 휘산되어 효과지속력이 떨어지고, 시트 등에는 깊숙이 침투하지 못해 근원적인 살균이 어렵다. 또한 에어컨 통풍구에 사용하는 제품은 세균 등의 서식처인 증발기가 공조 구조상 깊숙이 배치되어 있어 약품이 도달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분무식 액체 살균 탈취제 : 섬유 시트에 사용하는 제품으로 살균제가 섬유 깊숙이 침투하여 세균이나 곰팡이 및 냄새를 제거한다.
■ 훈증식 살균 탈취제 : 분말로 된 고체 상태의 살균탈취제를 열에 의해 증발시켜 미세한 입자가 에어컨 및 히터의 증발기, 섬유시트 등의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여 살균 탈취하게 됩니다. 이 제품은 기존 제품들이 처리할 수 없었던 부분인 증발기의 살균 탈취가 가능하다는 장점과 고체상의 입자이기 때문에 효과가 오래간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 증발기 세척, 살균, 탈취제 : 증발기에는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많이 쌓여 있는데, 액체타입의 약제를 고압의 에어건을 이용해 증발기에 직접분사 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세척하고 살균 탈취하는 제품을 말합니다. 이 제품은 데쉬보드 밑의 블로어모터를 분리한 뒤 기다란 에어건을 통풍구 통로에 삽입하여 사용합니다. 이 제품은 사용이 불편하나 근본적인 처리를 할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여과에 의한 방법
■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게 하여 공기중에 있는 세균이나 곰팡이 및 냄새입자를 여과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의 단점은 공기가 순환되는 공간이 장치의 주위로 제한되어 좁은 공간에서만 효과가 있고, 크기가 작은 세균이나 입자들은 여과시키지 못하고 여과된 세균이나 곰팡이들이 필터에 남아 있어 오래 사용하게 되면 필터에서 냄새가 나고 여과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과능력은 필터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출시되는 승용차에는 에어컨이나 히터의 공조기 내에 필터가 장착되어 출시가 되고 있고, 이 필터는 작은 먼지 입자나 세균도 여과 할 수 있습니다. 이 필터는 1만 2천 km 정도 주행 후 교환해주면 효과적입니다.
☞ 전기적 방법
■ 음이온 발생에 의한 방법 : 공기청정기 등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음이온은 세균이나 곰팡이를 제거한다는 과학적 연구가 있습니다. 음이온은 고압의 전기에 의해 생성되고 살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한다는 연구 보고가 있습니다.
■ 고전압에 의한 산화 :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공기가 고압의 전기장을 통과하게 합니다.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이 전기장을 통과하면서 산화되어 죽게 됩니다. 이 방식은 공기 중에 있는 것만을 제거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오존에 의한 방법
■ 오존은 강력한 살균 탈취 기능이 있는 기체상의 물질로 정수장이나 폐수처리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오존은 자연상태에서도 낮은 농도로 존재하며, 매우 불안정한 물질로 공기 중에서 곧 산소로 환원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고농도로 존재시 인체에 유해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적절한 사용방법이 요구 됩니다.
■ 고압의 전기에 의해 발생시켜 사용됩니다.

식초를 이용하면 된다. 마른 걸레에 식초나 산성 물질을 묻혀 닦아주면 곰팡이는 쉽게 제거된다. 또한, 가구는 통풍이 중요하므로, 벽에서 조금 거리를 두고 배치하도록 한다.
| 바깥와 내부의 온도차이로 인해
습기가 생겨서 천정이나 벽부분 도배지에
곰팡이가 생길 수 있죠? 특히 겨울이나 장마철에~
이럴때 분무기에 락스종류를 넣어소 살짝 뿌려보세요~
1시간정도후면 깔끔해진 벽지에 감탄 감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