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派 世數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
함안파(咸安派) |
검 (儉) |
희 (喜) |
석 (錫) |
영 (泳) |
림 (林) |
용 (容) |
재 (在) |
종 (鍾) |
원 (源) |
상 (相) |
섭 (燮) |
선 (善) | ||
남원파(南原派) |
태 (泰) |
병 (秉) |
섭 (燮) |
재 (在) |
호 (鎬) |
영 (永) |
상 (相) |
현 (顯) |
배 (培) |
종 (鍾) |
원 (源) |
수 (秀) | ||
덕산군파(德山君派) |
여 (汝) |
래 (來) |
희 (熙) |
규 (奎) |
종 (鍾) |
태 (泰) |
상 (相) |
렬 (烈) |
재 (在) |
두 (斗) |
일 (一) |
| ||
문정공파(文定公派) |
1 |
|
|
|
|
종 (宗) |
병 (秉) |
훈 (勳) |
재 (在) |
병 (炳) |
규 (奎) |
종 (鍾) |
영 (永) | |
2 |
방 (邦) |
여 (汝) |
상 (相) |
섭 (燮) |
치 (致) |
석 (錫) |
원 (源) |
식 (植) |
지 (志) |
곤 (坤) |
종 (鍾) |
수 (洙) | ||
신령파(新寧派) |
희 (熙) |
재 (在) |
종 (鍾) |
원 (源) |
동 (東) |
환 (煥) |
규 (圭) |
강 (康) |
재 (宰) |
중 (重) |
규 (揆) |
용 (用) | ||
대언공파(代言公派) |
1 |
주 (柱) |
영 (榮) |
토 (土) |
의 (儀) |
삼수변 (氵) |
상 (相) |
섭 (燮) |
기 (基) |
용 (鎔) |
원 (源) |
동 (東) |
희 (熙) | |
2 |
|
진 (鎭) |
자 (滋) |
상 (相) |
병 (炳) |
중 (重) |
석 (錫) |
여 (汝) |
식 (植) |
섭 (燮) |
재 (栽) |
종 (鍾) | ||
전의공파(典儀公派) |
|
치 (致) |
석 (錫) |
호 (浩) |
락 (樂) |
섭 (燮) |
재 (在) |
진 (鎭) |
영 (永) |
식 (植) |
|
| ||
소 정 공 파
(昭靖 公派) |
장방상호군공파 (長房上護軍公派) |
1 |
|
진 (鎭) |
자 (滋) |
상 (相) |
병 (炳) |
중 (重) |
석 (錫) |
여 (汝) |
식 (植) |
섭 (燮) |
재 (栽) |
종 (鍾) |
2 |
|
|
재 (宰) |
임 (壬) |
규 (揆) |
갑 (甲) |
봉 (鳳) |
병 (丙) |
녕 (寧) |
무 (茂) |
범 (範) |
강 (康) | ||
이방한성공(백천공)파 <二房漢城公(白川公)派> |
|
|
영 (永) |
의 (儀) |
삼수변 (氵) |
주 (柱) |
희 (熙) |
기 (基) |
석 (錫) |
수 (洙) |
병 (秉) |
섭 (燮) | ||
한성공(구방)파 <漢城公(九房)派> |
1 |
|
|
자 (滋) |
영 (榮) |
혁 (赫) |
현 (鉉) |
한 (漢) |
근 (根) |
렬 (烈) |
준 (埈) |
수 (銖) |
태 (泰) | |
2 |
|
|
화 (禾) |
영 (榮) |
구슬옥변 (玉) |
종 (鍾) |
승 (承) |
동 (東) |
렬 (烈) |
기 (基) |
호 (鎬) |
택 (澤) | ||
한성공(장령공)파 <漢城公(掌令公)派> |
|
진 (鎭) |
자 (滋) |
상 (相) |
병 (炳) |
중 (重) |
석 (錫) |
여 (汝) |
식 (植) |
섭 (燮) |
달 (達) |
종 (鍾) | ||
삼방 영천부원군파 (三房 鈴川府院君派) |
|
식 (植) |
현 (顯) |
오 (五) |
석 (錫) |
원 (源) |
상,주 (相,柱) |
희 (熙) |
재 (在) |
용 (鏞) |
영 (泳) |
직 (稷) | ||
원평군파(原平君派) |
|
|
|
상 (相) |
병 (炳) |
재 (在) |
석 (錫) |
영 (泳) |
모 (模) |
영 (榮) |
규 (圭) |
현 (鉉) | ||
판 도 공 파
(版圖 公派) |
장방 제학공파 (長房 提學公派) |
영 (永) |
채 (采) |
훈 (勳) |
기 (起) |
용 (鏞) |
태 (泰) |
상 (相) |
희 (熙) |
규 (奎) |
종 (鍾) |
락 (洛) |
병 (秉) | |
이방 부윤공파 (二房 府尹公派) |
|
규 (圭) |
현 (鉉) |
순 (淳) |
모 (模) |
희 (熙) |
기 (基) |
탁 (鐸) |
호 (浩) |
집 (集) |
덕 (德) |
구 (球) | ||
삼방 정정공파 (三房 貞靖公派) |
1 |
|
|
토 (土) |
의 (儀) |
삼수변 (氵) |
주 (柱) |
희 (熙) |
기 (基) |
백 (伯) |
태 (台) |
렬 (烈) |
효 (孝) | |
2 |
|
|
배 (培) |
선 (善) |
영 (永) |
수 (秀) |
용 (容) |
덕 (德) |
녕 (寧) |
성 (成) |
범 (範) |
강 (康) | ||
3 |
|
|
영 (榮) |
교 (敎) |
선 (善) |
제 (濟) |
채 (采) |
병 (炳) |
중 (重) |
의 (儀) |
순 (淳) |
상 (相) | ||
소 부 공 파
(少府 公派) |
장방파 (長房派) |
|
|
대 (大) |
효 (孝) |
진 (鎭) |
영 (永) |
상 (相) |
희 (熙) |
재 (在) |
용 (鎔) |
영 (泳) |
표 (杓) | |
이방파 (二房派) |
병 (秉) |
헌 (憲) |
재 (在) |
현 (鉉) |
태 (泰) |
영 (榮) |
병 (炳) |
기 (基) |
호 (鎬) |
락 (洛) |
동 (東) |
환 (煥) | ||
태위공파(太尉公派) -34세부터는 병용자임 |
|
성 (成) |
태 (泰) |
식 (植) |
병 (炳) |
기 (基) 균 (均) |
종 (鍾) 진 (鎭) |
영 (永) 수 (洙) |
동 (東) 상 (相) |
묵 (黙) 환 (煥) |
용 (用) 성 (星) |
석 (錫) 현 (鉉) |
첫댓글 소부공파는 少府公派로 씁니다.
예 맞습니다....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판도공파 정정공손37대손입니다 실제돌림과 족보에 올리는항렬이 다르게쓰임니다 윗글은 족보에올리는항렬입니다
전 신령파인데요 (33세)6세때언직(복사공)할아버지로부터 분파 되었읍니다 근데 저흰 저희대가 鉉을쓰고아버지대가 基 를쓰고 할아버지가 炳 을 쓰시구 증조 할아버지가 權 을 쓰시거든요 근데 위항렬표를 보니가 다르네요 그래서 글을 올립니다 알으켜주시면 정말로 감사 드리겠읍니다. 감사 합니다 안녕히 계세요
돌림은 한자로 외우기쉽게 火 木 水 金 土변순으로 합니다 쇠金변아래대는 물水변 또그아래는 나무木 또그아래는 불火변 그아래는 흙土변 그아래대는 다시쇠金변순이 맞습니다
돌림자, 즉 항열의 근간은 씨족별, 문중별, 나아가서는 소문중별로 각기 다를 수 있습니다.
우리 尹門은 특히 일률적으로 선대에서 작성하여 두셨기 때문에 가감을 할 수 없지만, 크게는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가장 많이 사용하는 五行(순서는 木火土金水)을 기준하거나,
- 일이삼 등 數를 사용하거나,
- 甲乙丙丁 등 천간(天干)을 사용하므로 어떤 방법의 호,불호를 논하기는 어려우나 일응은 사용하기 쉽고, 쓰기 쉬운 글자로
각 문중별로 항열을 작성하는 것이 통례입니다.
우리 선조님들이나, 기타 조선조 중기까지의 선조들은 아이일 경우의 아명(兒名), 20전후의 관명, 아호(雅號), 족보의 항열자 등 최소 2^3개 이상의 이름(名)이 있었으므로 집에서 부르는 이름과 족보상의 항열은 다를 수가 있으므로 단순히 호적명이나 부르는 이름 자(字)만으로는 계촌(計寸)하기 어려우므로 가급적 시조로부터 몇세손이라고 알고 있는 것이 정확한 촌계를 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맞습니다.
돌림자는 派內(혹은 문중내 등)에서는 잘 알 수 있으나 他派의 경우는 알기 전에는 잘 모르기 십상이라 생각합니다.
그런 면에서 볼 때 시조로부터 몇세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판서공파 29세 용(鏞) 30세 영(永) 31세 목변(木변의 외자) 32세 항(恒) 33세 기(基) 34세 상(商) 35세 한(漢) 36세 광(光) 37세 세(世) 38세 승(承) 이상 제가알고있는 판서공파 항렬자입니다.위 도표에 기입하여 주십시요 .
예! 정리하겠습니다...
소라지윤씨가 들어간 짜가 항렬표는 없는것만 못합니다 그냥 이대로 놔두세요 차라리~~~
태위공파가 34세 부터 병용자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이름에 사용할 것을 中間字 와 마지막字를 선정하여 사용해도 된다는 것입니까?
35세인 제 아들은 중간을 鐘으로 하였는데요. 끝자를 鎭으로 하여도 되는 것입니까?
35세가 가운데 鍾字 돌림이고 끝자는 선택 字이므로 그리 하셔도 괜찮습니다..
단지 鎭字를 선택하셨을 뿐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36세는 끝자 돌림으로 하시고요...
僕射公 == 복야공.. 고려조, 좌복야, 우복야....(복사공=아님) .... 조선조, 좌의정 , 우의정,, 쏠射 == 야,, 로읽슴..(벼슬이름의 특성상) .. 그리고 ..또....白川公 == 배천공.. (백천공= 아님)...
우리형제들께도 보여주렵니다,
판도공 2방 부윤공파의 항렬표에 추가를 요청합니다. 부윤공후 차방 영상공(태산)후손들은 대부분이 다음의 항렬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대종회발행하는 모든것에 기록되지 않는 관계로 추가요청하오니 추가하여 주시면 합니다. 금번 대동보에도 수록되지 않아서 수록요청하고 있습니다. 실재로 수많은 인원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수록하는 것은 당연한 일로 생각됩니다. 제가 어릴적에 많이 의아했던 것중 하나입니다. 영상공후손의 항렬표는 다음같습니다.
29세 노(魯) 30-효(孝), 31-석(錫), 32-순(淳), 33-모(模), 34-용(用), 35-구(九), 36-병(炳), 37-령(寧), 38-성(成), 39-기(起), 40-강(康)
조속히 처리 하여 주셨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사항은 잘 알겠습니다...
우선은 양해의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카페에 자료을 올리면서
잘 못되었거나 하는 것은 확인을 한 후 수정을 해 드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쉽게 말씀드리면
대종회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된 내용으로 올리고자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은 충분히 알겠습니다만
양해 있으시기 바랍니다..
님께서 댓글로 내용을 말씀하셨으므로
문중의 후손들은 모두 아시고 적용하시리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대종회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못한다는 말씀인가요?
후손들이 알아서 적용하고 있는데 대종회등 각종 자료에 등재 되지 않은관계로 소속되지 않은 것으로 어려서 많은 혼란을 겪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함께 수록 할 수있는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발간된 대동보에 봉사공파 파보는 인쇄후 수정 작업을 하는 번거로움을 겪었습니다. 많은 사람이 쓰고 있는데 동시에 올려주었으면 합니다..
정정공파의 3가지를 등재하듯이 올려주십사 하는 것입니다.아니면 태위공파 처럼하여 주셨으면 하는 것입니다.
저는 판도 2방부윤 차방영산공(태산)파 35세 현구라고 합니다. 제가 그동안 카페를 보면서 정리한 것인데...?? 14세-판도공, 15세-부윤공(이방 보노), 16세-영상공(차방 태산), 17세-령(岺), 18세-5방 지(之), 19세-차방 림(霖), 20세-2방 희(希), 21세-국(國), 그리고 저희 선산에 모시고 있는 할아버님은 22세-차방 의립(立)(월담할아버지), 23세-세(世), 24세-이(以), 25세-경(慶), 26세-사(師), 27세-필(弼). 28세- 응(應), 29세-행(行), 30세- 규(圭), 31세-현(鉉), 32세-순(淳), 33세-모(模), 34세-용(用), 35세-구(九), 36세-병(炳)
말씀하신 사항은
족보에서 확인해 보시면 확실하실 것입니다... ^*^ ^*^
안녕하세요. 저와는 18세 에서 갈린것으로 추정됩니다. 저는 봉사공(휘 之崙)후손입니다. 5방이시면 승지공(휘 之崇) 후손 되시는 모양입니다. 그런데 귀댁의 31세와 우리문중의 32세가 돌림지를 같이 사용하는 것은 매우 의아합니다. 판도공파보나 봉사공파보 ,부윤공파보에도 32세부터 순(삼수변 수)으로 되어있는데 약간 의아합니다. 중대한 착오가 있는 듯합니다 37세는 寧입니다
저는 충남예산에 세거하고 있습니다.
21세 휘 國馨-22세-(립)-23세(世)- 24세 (以)- 25세 (慶)-26세 (師)-27세-(弼)-28세 (應)-29세 (行)-30세 (圭)-31세(鉉)-32세 (淳)- 33세 (模)- 34세 (用) -35세 (九) 이렇게 귀 문중에서는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18세 승지공(휘 之崇) 후손 입니다. 카페에서 제가 정리하다 보니 25세 (慶)에 대하여 잘 못 알고 있는 듯 합니다.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돌림자는 세대마다 말씀하신대로
가운데와 끝자리로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현세에 살아계신 분들에게
무슨파에 무슨자 돌림이다고 하면
世數를 알수가 있습니다.... ^*^ ^*^
21세부터--30세 까지두 올려주시면 감솨요...
저는 장령공파 후손 34세 윤대식 입니다 저희는 이름 앞자리 2대 뒷자리 2대 [31세 자O 32세 상O 33세 O병 34세 O중]
이렇게 쓴다고 들었습니다 맞는지요?
한성공 구방파 38세준 39세수 40세태 41세재 42게 돌림자는 어떻게 쓰는지 알려주심 감사 하겠습니다.
혹시 현재 발행되고 있는 대동보를 보셨는지요...
대동보 종사록 288쪽에 보시면
0준, 0수, 0태, 0재, 0훈으로 42세까지 하고,
43세는 기0, 44세 0용, 45세 영0 등으로 돌림자를 쓰시도록 하고 있습니다...
들은바로는 소정공파라하고 할아버진 모르겠고 아버지는 병자 돌림 아들은 주자 돌림이라는데 항렬표 보니 안맞네요..어찌해야 알수 있나요?
문정공파는 중종대 문정 왕후 후손 이십니까? 저의 추측이 맞으신지 궁금 합니다. 파종명의 연원은 벼슬이나 시호의 이름자에서 따온 파종명이 맞습니까? 궁금 합니다.
일일이 답글 하시 느라고
고생 하셨 습니다 고맙 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