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용접 요약 전기 아크의 열을 이용하여 금속재료를 국부적으로 융해시켜 용접하는 방법. 전기 아크는 온도가 5000∼6000K로서, 금속을 융해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인 열원(熱源)이다. 설명 전기 아크의 열을 이용하여 금속재료를 국부적으로 융해시켜 용접하는 방법. 전기 아크는 온도가 5000∼6000K로서, 금속을 융해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인 열원(熱源)이다. 금속을 대기 중에서 용접하면 대기 중의 산소나 질소가 융해 금속 속으로 녹아 들어가기 때문에 응고 후 용접된 금속의 기계적 성질이 나빠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피복제나 비활성기체를 이용해 융해 금속을 대기로부터 차단하여 용접하는 각종 방법이 이용된다. 피복 아크용접은 피복용접봉(被覆鎔接俸)과 피용접물(母材)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용접봉과 모재를 용융시켜 용접하는 방법이다. 피복용접봉은 비피복금속심선 주위를 유기물·무기물·탈산제 등으로 이루어진 피복제로 도포한 것이다. 이러한 피복제는 아크를 안정시키고, 피복제에서 발생한 기체 및 피복제 자체가 용융되어 생성하는 용융산화물(슬래그)층은 용접금속을 대기로부터 보호한다. 이 방법은 오랜 옛날부터 발달한 것으로, 설비도 간단하고 구조용강(構造用鋼)을 비롯해 각종 강재를 여러 자세에서 용접하는 데 널리 이용된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손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손용접이라고도 한다.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ubmerged arc welding;潛弧鎔接)은 용접 이음쇠의 표면에 쌓아올린 피복제인 입자상태 플럭스 속으로 비피복전극선을 넣고, 이 앞 끝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연속적으로 용접하는 자동용접법이다. 이름은 아크가 플럭스로 덮여 밖에서 보이지 않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방법은 대전류에서 용접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이므로 피복아크에 비해 용접속도를 3∼6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주로 조선·강관·저장탱크·교량 등 대형구조물의 용접에 이용된다. 그러나 이음쇠에 입자상태의 플럭스를 산포하므로 용접자세가 한정된다. 비활성기체아크용접으로는 티그용접(TIG arc welding;비소모전극식)과 미그용접(MIG arc welding;소모전극식)이 있다. 모두 용접부에 아르곤이나 헬륨 등의 비활성 기체를 내뿜어 용접하는데 티그용접은 텅스텐전극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 텅스텐전극의 앞끝은 용융하지 않고 옆면에서 삽입된 막대모양 용가재(鎔加材)의 앞 끝과 모재가 용융하여 용접이 이루어진다. 박판(薄板)을 용접할 경우에는 용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미그용접은 전극선을 이용해 그 앞 끝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이 둘을 동시에 용융시켜 용접하는 방법이다. 비활성기체아크용접은 플럭스가 불필요하므로 어따한 자세에서도 효율높은 용접이 가능하다. 용접부의 품질이 우수하고 알루미늄·티탄·지르코늄 등 대기의 영향을 받기 쉬운 금속의 용접에 적당하다. 탄산가스아크용접은 미그용접의 비활성기체 대신 값싼 탄산가스를 이용해 강철을 용접하는 방법이다. 탄산가스는 고온에서 산화성을 나타내므로 미리 전극선에 탈산성 성분을 첨가해 놓는다. 이 방법은 자동 또는 반자동용접으로 실시하는데 최근 자동차·조선·교량 등 연강·저합금강의 용접에 피복아크용접을 대신하여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스터드용접(stud welding)도 아크용접의 하나인데, 스터드(구리·황동으로 만든 지름 10㎜의 금속봉재) 접촉시켰다가 조금 떨어뜨려 전기아크를 발생시킨다. 스터드 앞끝과 모재가 적당히 용융했을 때 스터드를 눌러 붙여 용접시킨다. 특히 피복제나 비활성기체는 사용하지 않는데, 도기제(陶器製)의 아크실드로 스터드의 끝을 에워싸 그 내부에서 아크를 발생시킨다. 이 방법은 철골건축에 많이 사용된다.
첫댓글 넘 많은 내용 좋은데 ..눈이 아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