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인암장] 1. 암장관리 : 수인알파인클럽
2. 접 근 로 : 비볻매표소에서 비봉방향 0.5km 우측에 위치(20~30분소요) (비봉매표소(연화사)-금선사-우측봉오리로 이동) 3. 개요 : 수인암장은 수인알파인클럽에서 관리되고 있으며 수인에서 개발된 코스는 현재 8개루트가 완성되어있으며 진행중인 루트도 5개소가 있다.
훈련암장으로서는 작지않은 규모로 아랫바위는 높이70m, 폭250m 정도이며 윗바위는 좌바위(인공등반:볼트따기), 우바위(페이스 및 크랙등반)포함 높60m, 폭 70m정도로 페이스와 오버행, 크랙등으로 이루어 있다. 바위표면은 화강암으로 비교적 단단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아랫바위 우측(진달래길등) 노출된 슬랩 일부분은 풍화작용으로 바위면이 떠있거나 불량하나 관리되고 부서지고 나면 오히려 바위 표면이 매끄러워져 등반의 난이도는 높아질 수가 있다. 4. 루트설명: 1) 수인릿찌 : 3피치(210M)
-출발점 : 비봉매표소(연화사)에서 7~8분정도 오르면 금선사 이정표가 나오며 이를 지나 비봉길 큰소로길을 바라보며 작은 우측길로 올라서면 100계단 (가칭) 가는 지름길이 나오며 100계단 가기전 우측 작은 소로길에서 바위 하단부을 향해 걸어 오르면 수인암장 하단 부분이 보인다.
이지점이 서면지역(수인릿찌, 수인A, B, 오버행)의 공동출발점이 된다.
각기 본격적 출발지점을 오르기 위해선 경사면이 비교적 완만한 우측길로 향해 우회하여 올라가는 길이 있으나 바위하단부 슬랩에서 곧바로 직상하는 코스도 개발되어 있으며 안전상 프랜드1개(7~8호)나 볼트1개를 통과후 올라서면(오버행) 직상 바위면 쌍볼트확보지점이 있으며 이곳에서 수인릿찌와 수인A, B 출발점이 된다.(25M) -1피치(25M) : 쌍볼트 왼쪽 끝자락에서 출발하며 가파른 직상크랙을 오른후 (4M) 볼트 2개를설치후 우향크랙으로 레이백 올라서면 우측 쌍볼트에 확보함으로써 1피치등반완료가 된다. 여기서 워킹등반을 원한거나 탈출시에는 4m위에 있는 나무위의 소로길을 이용하여 등반하거나 하산하면 된다. -2피치(30M) : 쌍볼트확보점에서 우측 바위면 슬랩등반하며 볼트1개확보후 침니 등반한다. 2피치 출발지점인 슬랩부분이 비교적 가파르나 이를 올라서면 머리위의 볼트를 확보할수 있으며 또는 프랜드 5호 확보후 침니등반하여 오르면 우향크랙이 나오며 프랜드 3~4호 설치후 올라서면 2피치는 완료되며 아랫바위 상단 삼(3)볼트 확보지점이 2개소가 있다. -3피치(워킹100M, 릿찌25M) : 통상 2피치로 릿찌를 완료하나 비봉릿찌을 향해 계속 오르기 위해서 또는 수인릿찌 완결을 위해 20M에 있는 야영장을 지나 윗바위의 좌바위(볼트따기) 와 우바위(수인A)사이로 오르는 크랙코스를 올라서는 것이 정석코스이다. 윗바위의 크랙등반후 소나무에 확보한다.
이지점에 오르면 고양시 및 한강물줄기가 내려다 보이며 수리봉, 향로봉, 비봉 등 수인암장에서 바라보는 북한산 3봉오리와 남산타워 등 서울중심지역 및 서울 서북부지역등이 한 눈에 들어오는 조망이 훌륭한 지역이다.
이후 중봉을 거쳐 비봉을 향해 오르면 비봉릿찌가 되며 수인릿찌(1시간)는 비봉릿찌(3시간)의 첫관문이 된다. 2) 수인A : 3피치 70M
-1피치(10M) :
수인릿찌 우측 5M 지점에서 출발하며(쌍볼트 좌측) 오버행 및 직상슬랩으로 프랜드 설치후 직상하여 페이스등반후(우향 작은크랙이용2볼트 통과) 올라서면 횡으로 갈라진 바위 틈이 나타나며 바로 위가 쌍볼트 확보지점으로 1피치가 끝나는 지점이다.
이지점은 아랫바위상단에서 하강시 60자 한동으로 하강시 2번으로 하강할 수 있다.
-2피치(35M) : 2피치에선 2가지 길로 올라가는 방법이 있다. (침니 등반, 혹은 침니 위로 볼트따기(볼트5개) 등반) 4M 페이스등반후 우측의 침니등반하며 중간 볼트1개소 확보후 다시 5M 오른후 침니를 빠져나온 후 직상하여 바위띠위로 계속오른다. 좌측 볼트확보후 페이스등반한다. 9시방향 좌측면(침니)이 수인릿찌 2피치 지역이며 상단 좌측 볼트 1개소 확보후 페이스등반하여 오르면 아랫바위 상단 삼(3)볼트가 있으며 2피치는 끝난다.
-3피치(15M) : 릿찌등반처럼 2피치로 끝나기도 하나 야영장을 지나 윗바위의 우바위슬랩을 등반하여 2개통과후 쌍볼트 확보하여 등반하는 것이 원래 코스이다. -3피치(30M) : 위 설명대로 슬랩등반을 하기도 하나 우바위옆 뱀길을 포함하여 오르기도 한다. 출발점은 야영장 우측으로 이동하여 우바위 오버행(절개면) 우측부터 시작하여 크랙으로 이동한다, 중간 프랜드 설치가 곤란하므로 확보자는 첫 피톤(설치되어있음) 통과한 지역에서 확보을 보는 것이 선등자를 보호할 수 있다.
등반 완료후 대형 프랜드 2개를 설치하여 확보후 후등자 확보를 보는 것이 안전상 유리하다. 하강은 소나무을 이용하기도 하나 상단부에서 소로를 이용하여 내려오기도 한다. 3) 진달래길 : 2피치 70M
-출발점 : 비볻매표소(연화사) 통과후 금선사를 지나 비봉길 큰소로길을 바라보며(비봉 이정표에서) 우측 작은길로 계속올라가면 첫바위가 나오며 우측볼트을 확보후 등반을 시작하나 어프로치가 10M 정도이므로 생략하며 바위 가운데 크랙을 릿찌등반하여 오른다.
장비착용은 비교적 넓은공간 이 확보된 이지점에서 시작한다. 이곳이 진달래길과 벗길,물길 출발지점이 된다.
-1피치(30M) : 전면 직상크랙을 잡고 일어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일어선후 첫볼트 확보후 이동한다. 이지점은 선등자가 배냥을 메고서등반하기가 어려우나 볼트확보후 오르면 생각보다 어렵지않게 오를수 있다.(난이도 5.10b) 이후 페이스등반이 며 볼트 5개로서(난이도는 5.9) 마지막엔 삼볼트확보점이 된다. -2피치(30M) : 2피치 20M 2개 볼트까지는 완만한 슬랩이며(5.7) 직상크랙부터는 (5,8) 프랜드 2~3호를 설치후 오르는 것이 안전상 유리하다. 진달래길은 슬랩 및 홈구멍이용 등 비교적 중급정도면 무난히 오를수 있는 코스이다.
4) 벗길 : 2피치 70M -출발점 : 진달래길과 동일하다.
-1피치(30M) : 전면 직상크랙을 잡고 일어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일어선후 첫볼트 확보후 이동한다. 또는 전면 우향크랙을 이용하여 오르기도 하며 난이도는 5.11a이며 안전상 프랜드7호 설치후 오르면 바위상단에 볼트1개소가 있으며 확보후 페이스등반을 하며 마지막엔 삼볼트확보점이 된다. 2피치 20M 2개 볼트까지는 완만한 슬랩이며(5.7) 우측 소나무를 지나서 좌측 직상슬랩 및 크랙에서 볼트1개소 확보후 오르면 이후 삼볼트확보점이며 이로서 벗길은 등반완료된다. 벗길은 첫볼트이후 우측 슬랩등반으로 하단부 일부분의 바위면이 떠있어 바위 부스러기가 생길수 있으나 조심스럽게 오르면서 볼트확보후 오르면 무난히 1피치까지는 무난히 오를수 있다. 이후 2피치는 완만한 페이스등반으 2 볼트 통과후 쉽게 오를수 있다. 5) 인공등반(볼트따기) : 1피치 25m 야영장 위 윗바위(상단) 좌바위에 볼트따기(7개)가 있으며 상단에는 쌍볼트확보 링이 설치되어있음.
6) 인공등반(오버행): 1피치 20m 수인릿찌 1피치 좌10시방향 20m지점에 있으며 직상볼트 7개, 오버1개 상단 3개 총 11개의 볼트가 설치되어있다. 상단부에는 삼볼트 확보 링과 최정상부에는 볼트1개 내려가는부분에 볼트 1개가 추가 설치되어있다. 5. 하강지점 : 하강지점은 총 7개소로 윗바위중 좌.우바위에 각기 쌍볼트 하강지점 1개소씩 있으며 아랫바위상단(수인A.B,릿찌합류지점)에 삼(3)볼트 와이어로 2개소가 있다. 아랫바위의 진달래길 및 벗길에서 오르는 지점에 2개소의 삼(3)볼트 와이어 하강 지점이 있으며 수인릿찌 1피치에 쌍볼트와 인공 오버행루트에도 삼(3)볼트 하강지점이 있다. 6. 야영지 : 소나무 숲에 둘러있어 여름철 햇볕을 피하기는 안성맞춤이며 아침 일출시 동쪽산능선에서 떠오르는 일출은 정말 장관이다. 텐트 1동(4~5)을 칠수가 있으며 식수는 등산로 중간에 옹달샘이 있으나 부적합하며 금선사(절)에서 준비하거나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을 듯 싶다. 많은 인원이 야영하기는 곤란하나 여름철 아랫바위 상단이나 윗바위에서 야영이나 비박이 가능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