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퍼가기 이용안내 |
 |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 소재 감사원  |
# 부산 수영구의 한 주민센터에서 공무원 급여 담당 A씨. 2011년 3월 A씨는 개인별 계좌입금 의뢰서를 작성하면서 직원 개인별 보수액은 그대로 둔 채 총액만 80만원 많게 수정한 뒤 동장의 결재를 받았다. 이후 A씨는 차액을 약 20만원씩 4개로 쪼개 본인 명의의 계좌 2개와 남편 계좌, 동생 계좌에 입금하도록 전산 처리했다. A씨는 이 같은 수법으로 지난해 6월까지 총 42회에 걸쳐 총 3억382만원을 횡령, 생활비로 쓰고 부채를 상환하는 등 개인적 용도로 사용했다.
감사원은 1일 공개한 '급여 횡령 등 회계비리 점검 감사보고서'에서 이 사건을 포함해 대구 달성군, 강원도 동해시, 경기도 의정부시 등 총 4건의 공무원 급여 횡령 혐의를 포착하고 징,계, 시정, 주의, 회수 명령 등의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감사는 지난 1∼2월과 4월 두 차례에 걸쳐 이뤄졌으며 총 13일 간 3명의 감사인력이 실지감사를 수행했다. 이번 감사는 지방자치단체 회계담당 공무원들의 급여, 세입세출외 현금 등 공금 횡령에 초점이 맞춰졌다. 급여 담당자가 장기간에 걸쳐 업무를 맡고 있는 기관이 집중 조사 대상이 됐으며 급여지급 관련 대량이체 파일 등 전산자료를 수집, 분석한 뒤 공금횡령 정황이 포착된 기관을 추출해 감사를 실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감사원 관계자는 "
최근 지자체에서 허술한 내부통제와 인사·회계시스템의 허점을 이용한 급여 횡령사건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어 공직사회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며 "이에 지자체의 고질적인 공금횡령 비리를 척결해 지방재정 손실을 방지하고 엄정한 회계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이번 감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