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흥도정약사(傅興都正略史)
부흥도정(부흥도정)[1542(중종 37) ~ 1607(선조 40)]
휘는 몽열(夢說), 자는 사우(士遇), 호는 돈옹(豚翁), 완원군의 증손이고 의원군의 3남이시고, 종친품계는 초수 정4품 부흥수(傅興守)에서 승차하여 정3품 당상 명선대부 부흥도정(傅興都正)이시다.
1580년(선조 13) 종계(宗系)1)의 개정이 대명회전(大明會典)2) 조선국조(朝鮮國條)3)에 태조고황제가 고려 권신 이인임(李仁任)의 아들로 되어 있어 잘못을 고치고자 공은 율곡(栗谷) 이이(李珥)선생과 교리 이공명(李公銘)과 함께 의논하여 아뢰기를
“종계의 무고를 받음은 열성조에 욕이 크오니, 주청하는 사신을 마땅히 지성으로 명나라 조정을 감동시켜야 합니다. 일이 성공하면 환국하고 성공치 못하면 뼈를 연산에 묻을 각 오를 한뒤에라야 가히 성사될 것입니다.”
하고, 일의 진행 상황에 따라 자유로이 응대할 만한 인재를 구할 것을 주청했다. 그 후 누차의 요구로 1584년 바로 잡았으며 1587년 개정된 명의 대회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1590년(선조 23) 8월, 종계가 고쳐진 공적으로 수충공성익모수기광국공신(輸忠貢誠翼謀修紀光國功臣)4)의 훈권(勳券)을 내릴 때, 공은 종친품계 정3품인 명선대부 부흥도정으로 승차(승차)했다.
1596년(선조 29) 7월,
‘왜적의 재침을 막고 나라를 바로잡겠다.’
라고 선동하여 동갑계회 라는 비밀 결사를 조직한 서얼 출신의 이몽학(李夢鶴)5)과 그 적도들이 충청도 홍산(鴻山)6)에서 난을 일으켜 임천 ‧ 홍산 ‧ 정산 ‧ 청양 ‧ 대흥 등의 고을을 함락한 뒤 홍주목(洪州牧)7)을 공격하려 하였다. 공은 이들을 토벌, 평정하는 대열에 참가하여 1604년(선조 37) 논공행상 때 분충출기합모적의청난원종공신(奮忠出氣合謀迪毅淸難原種功臣)8)2등 훈권을 받았다.
공은 말년에 서울을 떠나 충청 보령현 향장(鄕庄)9)으로 돌아갔다. 그 곳에서 지충추부사 지의금부사를 지낸 정곡(鼎谷) 조존성(趙存性)선생과, 영월도호부사를 지낸 이상우(李商雨) 등과 더불어 솔선하여 풍속을 교화하고 향약(鄕約)10)을 연구하여 정했다.
공은 증 신부이(愼夫人) 광산김씨(1540 ~ 1604)와의 사이에 형(珩) ‧ 성(珹)11) ‧ 곤(琨) ‧ 완(琬) 등 4남과 1녀를 두시고, 1607년(선조 40) 정미 10월 20일 별세하니, 향년 66세였다.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마장리 선영 이성군 묘 월변 좌강 인좌이며 배위 증 신부인(愼夫人) 광산김씨가 향년 65세에 별세하니 부묘했다.
약사(略史): 내용을 간략하게 줄여 적은역사
1) 조선 개국 초부터 선조 때까지 약 200년간 명(明)나라에 잘못 기록된 조선 태조 이성계 (李成桂)의 종계(宗系)
2) 중국 명(明)나라의 여러 법령을 집대성한 종합적인 행정법전.
3) 조선의 건국신화.
4) 조선 선조 때 명나라 역사기록에 잘못 기록된 조선 종실계통을 바로잡는 데 공을 세운 19명에게 내린 공신 훈호(勳號).
5) 본관은 전주(全州). 왕족의 서얼 출신으로 서울에 살았으나, 성품이 불량하고 행실이 좋 지 않으므로 그 아버지에게 쫓겨나서 충청도·전라도 사이를 전전하였다. 임진왜란 중에 장교(將校)가 되었다가, 국사가 어지러움을 보고 모속관(募粟官: 식량을 모으는 임무를 맡은 관리) 한현(韓絢) 등과 함께 홍산(鴻山)무량사(無量寺)에서 모의를 하고 의병을 가장하여 조련을 실시하였으며, 동갑회(同甲會)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친목회를 가장, 반란군 규합에 열중하였다.
1596년(선조 29) 7월 일당이 야음을 틈타 홍산현을 습격하여 이를 함락하고, 이어 임천 군(林川郡)·정산현(定山縣)·청양현(靑陽顯)·대흥현(大興縣)을 함락한 뒤 그 여세를 몰아 홍 주성(洪州城)에 돌입하였다.
그러나 목사 홍가신(洪可臣), 무장 박명현(朴名賢)·임득의(林得義) 등의 훌륭한 방어와 반 란군 가운데 이탈하여 관군과 내응하는 자가 속출, 반란군의 전세가 불리하게 되자 그의 부하 김경창·임억명(林億命)·태근(太斤) 3인에 의하여 피살되었다.
6) 충청남도 부여군
7)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8) 선조가 임란 후 공신을 대대적으로 봉하였다. 서울에서부터 의주(義州)까지 시종 어가(御 駕)를 모신 사람을 호성 공신(扈聖功臣)으로 삼고, 왜적을 정벌한 제장(諸將)들과 군량을 주청하러 간 사신들을 선무 공신(宣武功臣)으로 삼고,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토벌한 자 를 청난 공신(淸難功臣)으로 삼아, 모두 3등급으로 나누고 차등 있게 봉호(封號)를 내렸 다.
9) 1895년(고종 32) 을미개혁 때 좌수(座首)를 고친 것으로, 지방의 주(州)·부(府)·군(郡)·현 (縣)에 둔 향청(鄕廳)의 대표이다. 향리(鄕吏)와 수령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 조선시대 지방자치기구의 우두머리.
10) 조선시대 향촌사회의 자치규약.
11) 이성(李珹)은 부흥도정 몽열(傅興都正 夢說)의 둘째 아들이며 조중봉(趙重峯)선생의 문하이다. 壬辰倭亂에 先生과 한 날 錦山에서 戰死하였다. 公의 아우 주부 종모제 완(主簿 終慕齌 琓)이 의복(衣服)과 신을 아버지 傅興都正무 덤 앞에 장사( 葬事)하였다. 배위는 淑人 경주 이씨로 충남 보령시 청라면 향천리 성주산 기슭 예비군부대 정문앞에 모셔져 계시다.
가져온곳 : -보령의흔적(전주이씨완원군파부흥도정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