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브 종류
유압벨브는 압력제어용과 방향제어용으로 크게 나누어집니다. 압력제어용은 전기하고는 크게 관련이없으나 방향제어용에는 코일이있어 전기와 직접적으로 관련이있습니다. 압력제어용은 보통 릴리프 벨브라고하는데 빠이롯트위치에 따라 내부형과 외부형으로 나뉩니다. 그중 외부형은 빠이롯트를 전자 벨브로 제어하는 것도있습니다. 빠이롯트란 릴리프벨브를 작동시키기위한 벨브내부의 실린더를 움직이는 압과 배관을 말하지요. 빠이롯트압이 인가되면 벨브가 열리고 배관이 도통하게됩니다.
방향제어용은 한방향으로만 통과를 원칙으로 허가하는 체크벨브와 양방향으로 통과가 허용되는 방향전환벨브가 있습니다. 체크벨브는 전기신호가 필요없으나 빠이롯트 체크벨브는 방향전환벨브로 빠이롯트압을 제어하고 양방향으로도 도통이 가능한 것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전기와 가장 밀접한 방향전환벨브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우선 좌측 그림에서 (가) 그림이 방향전환 벨브입니다. 여기서 P 는 POWER 로 유압 펌프와 연결되는 부분입니다. 전기로는 전원측이지요. 그리고 T 는 TANK 를 표시합니다. 사용후 유량이 돌아나오는 부분입니다. A 는 A방향을 나타내고 B 는 B 방향을 나타냅니다. 상하 화살표와 X 자형 화살표는 오일이 흐르는 방향이고 화살표 옆의 검은 칠을 한 삼각형이 그려진 곳이 전기 코일을 나타내는 부분인데 이 코일에 전기가 인가되면 옆의 화살표되로 도통된다는 표시이고 (가) 표시 바로 밑의 코일에 전기가 들어오면 P와 A, T 와 B 가 도통되고 반대쪽으로 전기가 들어오면 P 와 B , T 와 A 가 도통된다는 의미입니다. 코일 위의 산처럼 생긴 기호는 스프링이 있슴을 나타내는 기호로 투입된 전기가 끊어지면 스프링에 의해 원점으로 돌아온다는 표시로 이 표시가 없으면 원점으로 돌아오지않고 마지막 작동 그대로 멈추지요. 이런 경우는 전기를 계속 공급하지 않아도 계속 한 방향으로 벨브가 동작하게 되는데 계속 작동시 패킹 파손이나 기기 파손 등의 위험이 있는 회로에는 스프링이 없어 원점 복귀가 되지 않는 벨브는 사용하지 말아야하고 기능상 이런 벨브를 채용한 회로에서는 전기를 계속 공급 할 필요가 없습니다. 벨브 (가)는 전기가 투입되지 않으면 중립위치로 돌아간다는 뜻인데 그 중립위치가 바로 가운데 표시되는 것으로 여기서는 모든쪽이 차단된다는 의미입니다. 이 벨브는 복동형인데 단동형의 경우는 한쪽 코일 부분이 없는 것으로 반대쪽은 스프링으로되어 있어 전기가 끊어지면 자동복귀됩니다. 보통 방향전환 벨브는 중립위치로 벨브용도가 정해집니다. (나, 다, 라)의 기호가 보통 많이 사용하는 중립위치 기호입니다. 우리 전기하는 사람이야 어디에 사용하는지 굳이 알 필요는 없으나 만일 벨브 교체시 중립 기호를 다른 것을 사용하면 오동작의 원인이되니 주의해야합니다. 간혹 유압하는 사람들이 벨브를 잘못 교체해 놓고 전기고장이다 아니다로 싸우는 경우도 종종있습니다. 벨브용도는 회로에서 다루기로하고 여기서는 이름만 알고 넘어갑니다. 가는 ALL BLOCK, 나는 U BLOCK 다는 P BLOCK 라는 H BLOCK으로 편의상 구분들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E024A5DAFF79934)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1154A5DAFF7990A)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ABF4A5DAFF79A3C)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FB74A5DAFF79A0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