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우스를 시공하기전에 폭, 길이, 측고 높이를 정하신후
사용용도에 맞게 피복자재를 결정하셔야 합니다.
하우스의 폭은 보통 5~8미터 입니다.
8미터 이상의 하우스도 가능하지면
하우스 내부에 기둥을 세워주거나 트러스 용접작업을 해주어야 하므로
비용이 비싸지게 됩니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최대폭이 8미터 이내로 시공하는것이 합리적입니다.
길이는 무한대로 가능하며 경지크기와 용도에 따라
원하시는 길이로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 측고, 동고 높이란? ◆
측고높이란 하우스 양쪽 꺾이는 어깨 부분을 말합니다.
동고높이란 하우스 가장높은 중앙부위를 말합니다.
측고 높이는 폭과 관계없이 일정한 치수이며
동고 높이는 폭이 넓어질수록 높이가 상승합니다.
(예시)
폭 5미터, 측고 1.8미터, 동고 3.3미터
폭 6미터, 측고 1.8미터, 동고 3.5미터
폭 7미터, 측고 1.8미터, 동고 3.7미터
폭 8미터, 측고 1.8미터, 동고 3.9미터
측고 높이의 경우 보통 1.8미터, 2.3미터, 3미터 단위로
시공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하우스의 경우 1.8미터로 많이 시공하게 됩니다.

◆ 측고 2.3미터와 측고 3미터 하우스 ◆
측고 높이를 2.3미터 또는 3미터이상으로 하시는 경우에는
기본형 3x6컨테이너를 하우스 내부에 넣어놓으시는 경우이거나
대형트랙터, 포크레인등 큰 장비를 보관하기 위함입니다.
측고 높이를 2.3미터로 시공할때에는
32mm 파이프로 원밴딩하여 석가래를 설치하며
측고 높이를 3미터 이상으로 시공할때에는
48mm 파이프로 기둥을 세워주고
그위에 32mm파이프를 밴딩하여 설치하는 구조로 시공됩니다.
※ 아래의 사진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컨테이너와 기둥파이프의 이격 거리 ◆
지붕이 없는 기본형 3x6컨테이너의 높이는 바닥의 고여주는
주춧돌을 포함하여 보통 2.4~2.6미터 입니다.
이때 컨테이너 외부에 하우스를 덮어 씌워야 할경우
측고 높이가 2.3미터 일때에는 컨테이너와 하우스 기둥 파이프의
간격은 50~60cm 정도 넓게 이격시켜야 하고
측고 높이가 3미터 일때에는 컨테이너와 하우스 기둥 파이프의
간격이 10~20cm정도로 바짝 붙여서 시공할수 있습니다.

측고 2.3미터 하우스 작업사진
https://blog.naver.com/hjchjc123/222046038922
측고 3미터 하우스 작업사진
https://blog.naver.com/hjchjc123/221304393001
▲링크를 누르시면 작업사진을 보실수 있습니다.
대부분 측고 높이를 2.3미터로 선택하시어 시공하시게 되는데
이유는 간단합니다. 가격이 보다 저렴하고 시공일이 짧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측고 3미터 하우스의 경우 높이가 매우 높기 때문에
차후에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 있고 피복교체를 할때
농가가 직접 교체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를수 있습니다.
◆ 사용용도에 따른 피복자재 결정 ◆
사이즈를 결정하셨다면 이제 피복자재를 결정하셔야 합니다.
피복자재는 하우스의 사용용도에 따라
텃밭, 창고, 농막등으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텃밭용도 = 장수필름 (총 1겹)
창고용도 = 장수필름+차광막 (총 2겹)
농막용도 = 장수필름+보온덮개+장수필름+차광막 (총 4겹)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피복자재 종류는
비닐, 부직포, 텐텐지, 보온덮개, 차광막, 차광필름등이 있습니다.

비닐의 명칭은 각제조회사별로 다르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농사용 비닐을 통틀어
장수필름이라 부르게 됩니다.
장수필름이란 말 그대로 오래 사용하는 비닐이라는 뜻입니다.
농사용 외피로 가장 많이 사용하며 기성품 사이즈가 종류별로
구비되어 있는 장수필름은 두께가 0.1t이며
평균 수명은 3~4년 정도 입니다.
더 두꺼운 비닐은 0.12t, 0.15t가 있으며
보통 농사용으로는 많이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주문제작해야 합니다. (주문제작 기간 2~3주)
비닐중 가장 가격이 비싸고 수명이 긴 제품은
일제필름 0.15t 입니다.
일반 0.1장수필름 대비 4배 정도 비싸며
수명은 보통 7~8년 또는 10년 이상 사용하는 농가도 있습니다.
(수명은 주변환경, 비닐의 품질, 비닐시공자에 따라 상이함.)
비닐은 보통 작물재배 용도 하우스에 1겹만 씌워서 사용하며
창고나 농막 용도로 사용할때에는 가장 내부에 먼저
비닐을 넣어주고 외부에 보온덮개와 차광막을 덮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부직포는 섬유를 압축시켜 놓은것으로
종이 같은 재질의 피복자재 입니다.
하우스에 사용되는 두께는 100g, 150g, 200g을 사용하는데
보통 150g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피복작업을 할때 천장에 가장먼저 넣어주어
결로 방지목적으로도 사용할수도 있지만
주로 비닐과 비닐 사이에 넣어주어
보온효과를 주기위해 사용됩니다.
그외에도 햇빛이 약하게 필요한 묘목이나 꽃같은
작물을 재배 하기 위해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덮개는 크게 2가지로 잡색과 칼라보온덮개가 있습니다.
잡색보온덮개는 두께가 두꺼워 비닐고정용 패드를 외부에
설치해야 하는 작업을 별도로 해야 하므로
주로 칼라보온덮개를 사용합니다.


차광막은 보통 검정색 95%와 녹색 98%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농자재에서 기성품으로 구비해놓는
95% 검정색차광막은 재봉선이 한쪽에만 되어 있어
올이 나가게 되면 금방 찢어지고 수명이 2~3년으로 매우 짧습니다.
(95% 일반직 차광막의 경우에만 해당)
98% 사중지 녹색차광막은 재봉선이 앞뒤로
2번 되어 있기 때문에 올이 쉽게 나가지 않고
평균 수명이 5년이상 입니다.
차광막은 햇빛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해주며
차광막이 햇빛을 막아주므로 비닐 수명이 늘어나게 됩니다.
※ 하우스지붕에 눈이 쌓이는 것을 걱정하여
간혹 차광막을 먼저 씌우고 그위에 비닐을 씌우는 경우가 있는데요.
비닐의 수명이 1년 이하로 줄어 들게 되므로 잘못된 방법입니다.
하우스 폭 4~6미터의 하우스는 큰 문제가 없지만
폭 6미터 이상의 하우스 지붕에 차광막을 덮는다면
내부에 기둥을 중간중간 받쳐주거나
차광막 개폐시설을 별도로 해야 합니다.

뜨거운 여름철에는 차광막을 내려놓고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철에는 차광막을 올려놓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차광막 개폐시설의 단점은 자재비와 인건비가 추가되며
차광막이 올라가고 내려가는 마찰로 인하여
비닐의 수명이 단축 됩니다.

창고 또는 농막 용도의 비닐하우스의 경우
예전에는 비닐+차광막 피복자재 구성으로 많이 사용하였는데
최근에는 이를 대체하여 비닐 한겹으로 비가림과 햇빛차단해주는
기능성 필름인 차광필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우스 폭 7미터 이상인 하우스에 차광막 씌우게 될경우
겨울철 폭설로 인하여 눈이 쌓여 붕괴의 우려가 있는데
이때 비닐재질의 차광필름을 사용하면
눈이 옆면으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폭설로 인한 붕괴 우려가 적어집니다.
차광필름의 비닐 두께와 색상은 제조사별로 다릅니다.
두께 = 0.12, 0.15, 0.18
색상 = 흰색, 진회색, 녹색, 은색등
보통 진회색과 흰색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평균 수명은 6년 전후로 비닐을 씌우는 작업자의 기술여부와
주변환경등에 따라 상이할수도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 피복자재를 사용하는 6가지 방법 ◆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피복자재 덮는 순서
6가지를 참고하시어 사용용도에 맞게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하우스 폭, 길이, 높이, 피복자재에 따른 가격표]
32mm 하우스 (측고 1.9미터)
http://evergreenhouse.co.kr/31
32mm 하우스 (측고2.3미터)
http://evergreenhouse.co.kr/46
48mm 하우스 (측고 3미터)
http://evergreenhouse.co.kr/32
32mm 반반하우스 (측고 1.9미터)
http://evergreenhouse.co.kr/47
트러스 하우스 (측고 3미터)
http://evergreenhouse.co.kr/48
◆ 하우스 부가옵션 ◆
하우스 사이즈와 피복자재를 결정하셨다면
그외에 부가적 옵션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내부칸막이]
하우스 내부 공간을 분리하여 사용할때 내부 칸막이를 하게 됩니다.
보통 반반하우스로 불리우며 텃밭과 창고, 텃밭과 농막등으로
한 개의 하우스로 2가지 용도로 활용할수 있으며
각각 2동으로 시공할때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공간을 절약할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측면샷시]
피복자재를 3~4겹 덮어 씌우는 농막 하우스의 경우
채광과 통풍의 목적으로
측면부에 1000x1000 사이즈의 샷시창문을 부착합니다.
[출입문 샷시]
하우스 출입문은 보통 철로된 미닫이 문인데
이를 대체하여 샷시 출입문을 설치할수 있습니다.
보통 폭 1.5미터, 높이 2미터 2짝문 또는
폭 4.8미터, 높이 2미터 4짝문으로 별도 주문제작하여 설치합니다.
[벤츄레이타]
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무동력 환풍기 입니다.
1년 365일 휀이 돌아가기 때문에 창고용도로만 적합합니다.
농막하우스에 사용하게 될경우 뜨거운 여름철에는 통풍이 잘되어
시원하겠지만 반대로 겨울철에는 난방 손실로 이어지므로 비효율적입니다.
[전기셔터식 환풍기]
평소에는 셔터가 닫혀 있다가 작동시에만
셔터가 열리면서 휀이 작동됩니다.
뜨거운 공기나 연기등을 필요시에만 효과적을 배출할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소형 하우스에는 350사이즈를 사용합니다.
[측면방충망]
측면 개폐되는 부위에 방충망을 설치합니다.
벌레와 이물질등의 유입을 막아줄수 있지만
촘촘한망으로 인하여 하우스 내부의 통풍이 잘 안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차광막 개폐]
여름철에는 어깨아래 까지 내려놓고
겨울철에는 용마루까지 차광막을 감아올려 사용합니다.
체인개폐식으로 사람이 수동으로 작동하거나
컨트롤함+자동모터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작동시킬수 있습니다.
[측면 출입문]
보통 출입문은 앞쪽과 뒤쪽으로 설치를 합니다.
현장상황과 동선을 고려하여 측면에도 미닫이 출입문을 설치할수 있습니다.
단, 측면 출입문은 하우스 측고 높이보다 20cm 낮게 설치가 됩니다.
예를들어 하우스의 측고 높이가 1.9미터라면
측면 출입문은 1.7미터의 높이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C형강과 로라의 여유공간 20cm)
[처마작업]
앞뒷면 마감부 외부로 석가래를 빼내어 주는 작업입니다.
바람의 영향을 받을수 있기 때문에
처마는 보통 1미터 정도 작업합니다.
처마 공간에서 외부 풍경을 감상하는 휴식공간으로 활용되며
출입문 상부로 빗물의 유입을 막아주게 됩니다.
◆ 견적요청 방법◆
현재 경지크기와 사용용도를 고려하여 하우스 사이즈와
피복자재를 결정하신후 유선상담으로 내용을 알려주셔야 합니다.
이때에는 출입문으로 들어가야 하는 장비나 차량등의 사이즈를
알려주시고 그외에 필요하신 환풍기, 처마, 창문등의
상세내용을 알려주시면 됩니다.
미리 메모를 해놓으셨거나 간략한 그림을 문자로 보내주셔도 됩니다.
아래의 사진은 실제로 구상하신 내용을 농가분들이
그림으로 그려서 문자전송해주신 사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