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역학살롱 원문보기 글쓴이: 우명
★ 1강 - 지지 재성혼잡
1. 재성이 혼잡되어 있으면 본처와 해로하기 어렵다고 한다. 2. 그렇다고 무조건 이혼/사별을 말하기 어려울 것이다. 3. 먼저 전체 구조상에서 재성을 극하는 비견 겁재가 재성과 붙어 있는 貼(첩)의 형태인지를 살펴야 한다. 4. 비견 겁재가 재성을 극하는 것을 구제해 주는 육신은 식신상관이다. 연습] 그렇다면 재성 혼잡의 명식에 식상을 合하거나 沖하여 모두 거둬낸다면 생사별을 하는 시기로 찍어 내는 것이다. 男命. 丁 庚 庚 癸 亥 寅 申 卯 천간에 傷官 癸와 지지의 식신 亥를 모두 거둬낼 간지의 조합을 찾아보라. 답은 戊寅이다. 이때 群劫爭財(군비쟁재)를 만든다. 戊寅年에 아내와 喪別한 命이다. 추리기] 1. 통변의 세계에서는 合도 보고 沖도 보는 식이다. 이것은 격용을 잡을 때 세력을 비교하기 위해 정하는 원칙과는 다르다. 물상통변연습] 1. 명식 원국에 이 사람의 직업은 丁, 陰火의 물상이다. 대강 머리 속에서 그려본다. 2. 물상통변에서 중시하는 점은 `合沖 오행`이다. 戊癸合火의 火는 직업을 의미한다. 寅亥合은 木(財)의 物象으로 돈을 벌기 위해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驛馬가 合되거나 沖되면 사주체가 움직인다. 戊寅年 寅申沖은 역마의 沖으로 거주지를 옮긴다. 3. 이 사람은 寅年에 아내가 죽자 멀리 이동하여 전자오락실을 차렸다. 아내를 잃었으므로 더 이상의 재적 불리함은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제목 : RE] 질문
등록자 : 서근찬, smileboss@hanmail.net
야부리님 이렇게 좋은 강의를 시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 物象論은 대운을 보지 않는가요 2. 合沖을 보는 순서는 없는지요 丁 庚 庚 癸 亥 寅 申 卯 戊寅年에는 寅申沖도 보고 寅亥合도 보는지요 3. 物象論이 알아낼 수 있는 범위는 무었인지요 1)육친의 생사, 배우자와의 만남과 이별 2)언제 합격하나 언제 돈을 버나 3)어떠한 직업을 가지나 4)육친의 격의 고저, 배우자의 격의 고저 5)본인의 격의 고저 이상에서 어느 범위까지 알 수 있는가요
@ 제목 : RE] 답변
1. 물상론은 대운을 보지 않는가요 답>안본다. 왜 안볼까. 물상통변의 요체는 動이기 때문이다. 그냥 動이 아니라 시시각각 변하는 動이다. 이때 대운은 시의성이 부족하다. 그냥 靜에 무게를 두는 것이다. 그러나 원래의 물상론자들은 대운을 보기도 한다. 여하튼 이 야부리는 대운을 운용하지 않는다. 2. 合沖을 보는 순서는 없는지요 丁 庚 庚 癸 亥 寅 申 卯 戊寅年에는 寅申沖도 보고 寅亥合도 보는지요 답>한두 번 얘기했냐. 이 야부리도 누구마냥 리바이벌은 질색이다. 3. 物象論이 알아낼 수 있는 범위는 무었인지요 ? 1) 육친의 생사, 배우자와의 만남과 이별 2) 언제 합격하나 언제 돈을 버나 3) 어떠한 직업을 가지나 4) 육친의 격의 고저, 배우자의 격의 고저 5) 본인의 격의 고저 이상에서 어느 범위까지 알 수 있는가요 답> 확실한 건 1과 3 이다. 2는 해당되는 경우와 안 되는 경우가 있다. 4와 5는 이수관법의 기본에 충실하면 된다. 물상의 한계는 여기에 있다.
★ 2강 - 형충
먼저 아래 명식을 살펴 보자. 여명 丙 己 戊 丁 寅 巳 申 亥 1. 女子 사주를 볼 때는 일단 관성부터 살펴야한다. 2. 이 야부리의 物象通變 강의를 충실하게 따른다면 `寅木 = 남편`으로 생각할 것이다. 괜시리 亥中 甲木..하면서 주접은 떨지 마라.(正氣) * 物象變通의 우선 순위는 지지 正氣에 있다. 3. 寅에 주목 또 주목하라. 4. 寅을 맛 가게 하는 두 개의 地支를 찾아라.(申亥) 2초도 안되어 여러분은 申과 亥를 찾아낼 것이다. 5. 이 四柱의 남편은 庚申년 교통사고, 癸亥년 감전사고로 죽었다. 추리기] 1. 命式에 해당 육친성이 刑이나 沖이 되어 있으면 이것을 다시 운에서 沖하거나 刑할 때 사고가 발생한다. 2. 이때 운 천간의 글자가 희신이면 상해를 면하나 기신이면 확실하게 당한다. 3. 寅申의 物象은 기계류다. 전기 감전의 물상은 巳亥다. 그러나 巳亥가 감전사로 나타나는 경우가 어찌 드물지 않겠는가. 4. 만약에 이 四柱가 회전 기계에 손가락이 잘리는 흉사가 있었다면 목숨을 부지했을 것이다. 사주는 이렇게 우리를 가르친다. 손가락이 잘려도 다행이라 생각해라. 와이프가 간통으로 고소해도 덕분에 살았다고 생각하라. 그대를 우울하게 하는 모든 인간사의 배신행위도 실은 그대를 살리려는 物象의 나들이였다. 그래서 이 야부리는 종종 내 뒤통수를 친 인간들에게 감사하고 살아간다. 결론적으로 그들이 없었더라면 더 이상 야부리를 풀 수도 없었을지 모른다. 원수를 사랑해야 하는 이치를 명리는 가르치고 있다. 이유도 안 갈켜주고 허구헌 날 원수를 사랑하라고 목청을 높히면 누가 먹어주겠는가. 무릇 목회자는 명리의 이치부터 알기 바란다.
★三강 (납량특집) - 三合
1. 支合이 되면 해당 지지의 힘이 더 약해진다고 애퓨의 주인장은 막연히 가르치고 있다. 더구나 三合이 되면 三合의 중간 글자를 빼고 양 옆의 글자들은 맛이 간다. 2. 이것은 옳은 이야기지만 뭔가 샤프하지 못하다는 느낌을 준다. 그것은 物象을 가미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아래 사주를 보라. 남명 乙 甲 乙 乙 丑 子 亥 卯 3. 비겁이 왕성한게 서늘한 느낌을 주고 있다. 4. 와이프 축토는 죽을 맛이다. 5. 이 죽을 맛의 처궁은 더욱이 해자축방합까지 되었으니 죽을 맛이다. 일케 되면 죽을 맛이 아니라 죽는다. 6. 乙亥 同柱死(동주사)...형제 하나 정도는 물에 빠져 죽었을 것 같은 느낌을 팍팍 주고 있다. 7. 요런 사주를 두고 한번 분위기를 연출해보자! > 일단 四柱를 가만히 본다. > 그리고 눈쌀을 서서히 찌푸리기 시작한다. > 말없이 四柱만 뚫어지게 응시한다. > 고개를 푹 쳐 밖고 그저 여덟 글자만 바라본다. > 맘속으로 1에서 20까지 천천히 센다. > 숫자를 다 세고 나면 갑자기 고개를 쳐든다. > 四柱를 내민 상대와 눈을 맞춘다. > 상대가 약간 움찔하고 쫀 순간.. > "씨파..한 놈 물귀신되았서..." 아~~~ 가슴을 쓸어내릴 서늘한 추명이다. 그러나 이걸로 끝나면 그게 `야부리` 축에나 들겠는가. 한판 더 뒤집어 버려야 귀신같다는 소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것이다. > 부르르...가벼운 몸부림을 한번 친다. 마치 수영장에서 몰래 일보고 한 후 스스르 진저리를 치듯이...가볍게... > "이 물 귀신이 하나 잡아갔군...." > 누구를? 와이프를... > 언제? 丑의 물상통변을 가능케 할 결정적인 한 글자 - 未年에... 이것으로 게임은 끝난다. 더 이상 야부리는 틀지 마라. 거기까지.. 8. 그래도 연습삼아 좀 더 오버해보자. 丑未沖의 물상이 뭘까? 9. 물이 찬 산소의 移葬이다. 이 정도까지 짚어내면 넌 이미 귀신이 된 것이다. 그러니까 그 정도까지는 가지 말거라. 8번 이전까지로 끝내주길 바란다.
★ 4 강 - 食傷入庫(식신입고)
남명 戊 壬 己 庚 申 戌 卯 辰 이번에는 문제 하나 내 보자. 46歲가 되는.. 무진年 ? 우떨지 ? 요런 식이면 眞劍勝負(진검승부) 스타일이니까..다르게.. 위 명조 주인공 이 해에 사망하였다. 왜?
☆RE] 너무 어려워서 엄두를 못내나??? (등록자 : 소설가)
戊 壬 己 庚 申 戌 卯 辰 갑신대운 무진년이라~~ 어찌~~官을 쓰는 사주 같아 보이는데... 그 관운에서 사망을 하였는지??? 야부리님이 食傷入庫라 했응께.. 여기에 힌트가 있다고 보고... 추리를 해보면... 헉! 傷官 墓가 戌과 合해 있는데... 어떻게 入庫 된단 말인가??? 食傷이면 甲乙木을 말함인데...入庫라하면... 甲은 未에서 乙은 戌에서 入庫인데... 아하~~~卯木이 戌에 入庫가 되었고만... 그러면...사주체에서 傷官이 入庫가 되어 있는데... 운에서 이를 沖으로 풀었다... 그런데...官을 쓰는 사주에서 傷官이 풀려나와 이 사주체를 난장판으로 만들어 놨다.... 고로....死亡~~~~~~~ 어째...말을 만들어도 께름직하네.... 와이(why??) 하필이면...갑신대운중에 무진운인가??? 물론 갑신대운으로 접어들면...기신대운으로 흉운이라는 사실은 감 잡을수 있는디~~~~~~~ 천간으로 관이 같이 오는 무진년인데 墓가 나와서 이를 쳐버려서 그런것인가??? 허허~~~모를일이야... 소설쓰기도 힘들다....... 야부리님의 고단수 야부리를 청할수 밖에.... [소설 나부랭이]
제목 : RE] 훌륭한 답변이오.
무릇 命術에 창작력은 필수다. 辰戌沖으로 묶여 있던 傷官이 날뛰게 만들었다가 대강의 스토리를 구성하는 것 같은데.. 정확하게 그렇지는 않다. 잘 보라. 戊 壬 己 庚 申 戌 卯 辰 처음에 사주의 꼴을 보아야 한다. 이처럼 일간이 관성에 둘러 쌓인 경우는 생조하는 기운과 지지에 뿌리가 되는 해당 오행이 건전한가를 살펴야 한다. 申中 壬水는 卯戌이 풀리면 壬丁暗會하여 그 用을 다하지 못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한다. 이 四柱의 재성이 미약한데 일단 초점을 두어야 한다. 財 = 수명을 관장한다. 그런데 그 미약한 財마저 合이 되어 더욱 무력해졌다. 더구나 생재하는 식상 卯와 合을 이루니 財星은 이래저래 약할 수 밖에 없다. 食傷入庫만 되지 않아도 이 재를 살려볼 수 있다. 卯戌은 덪에 치인 토끼를 의미한다. 그런데 문제는 辰戌沖으로 덪이 풀어버리면 더 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면 戌中 丁火는 申中 壬水와 暗會하여 財는 상실된다. 生命의 부지가 어려워진다. 이때 아내의 가출이 있었다. 그러나 때늦은 나들이는 운명을 돌이키지 못했다. 연구자세가 훌륭하므로 하나의 사족을 더 달아보겠다. 왜 용신운에 사망인가. 이 사주는 세인의 기억 속에 다음해인 己年까지는 좋게 기억되어 회자된다. 그러나 庚年에 이르러 아무도 그를 되돌아보지 않을 것이며 세인의 기억 속에서 잊혀져버릴 것이다. 病->死->墓->絶地에 이르러 완전히 세상과 분리된다. 用神運이라고 해서 죽지 않는다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用神運에 死亡하면 葬禮가 후하다. 忌神運에 死亡하면 제대로 된 장례 절차도 기대하기 어렵다.
★ 5 강 - 재성입고 남명 乙 己 丙 庚 丑 酉 戌 午 丑에는 癸辛己 세 글자가 入庫(입고)되어 있다. 이 중 계수는 명식의 유일한 재성이므로 특히 불안하다. 戌刑이 오면 戊癸暗會(무계암회)로 癸水는 사라진다. 이 사람은 戌年에 아버지를 잃었다. 또 戌年에 아내가 가출했다. 辛未年 뇌졸중에 걸려 반신불수가 되었다.
★RE] 바보같은 질문 (등록자 : 서근찬) 乙 己 丙 庚 丑 酉 戌 午 정말 바보같은 질문이고 리바이벌하게해서 정말 죄송한데요 辛未年 반신불수. 丑未沖 때문인가요 즉 년지 午未合도 되고 시지 丑未沖도 된다는 말씀이시지요 만약 巳 대운이었을 경우 巳酉丑되었을 때도 未年은 丑未沖으로 아버지 아내 재물 건강 쪽에 문제를 생기게 할까요 |
카페 > 부동산과 금융의 열린 정보 / 금수강산님
http://cafe.naver.com/1472topman/16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