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숭겸장군
신숭겸(~서기 927년)은 평산 신씨의 시조로 시호는 장절공(壯節公)이다. 한반도가 큰 혼란에 뒤덮여 있던 후삼국시대에 고려의 대장군을 지낸 인물로, 장렬한 죽음으로 인해 충절의 상징이 된 인물이기도 하다.
신숭겸은 전라도 곡성 출신이라 전해지기도 하고 광해주(춘천) 출신이라 전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 신숭겸의 묘가 춘천에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면, 신숭겸의 조상은 곡성 출신인지 몰라도 신숭겸은 춘천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신숭겸은 원래 궁예의 장수였으나 918년 복지겸, 배현경, 홍유 등과 모의하여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의 개국공신이 되었다.
그후 고려와 후백제가 신라를 두고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다가, 결국 후백제의 견훤이 신라를 쳐들어가 경애왕을 죽이고 김부를 왕으로 세웠다. 이 김부가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며, 경순왕의 장남이 유명한 마의태자(麻衣太子)이다.
이 사건으로 왕건은 신라에 조문사신을 보내 경애왕의 죽음을 조문하고, 군사를 일으켜 견훤을 공격하기 위해 남하한다. 이때 신숭겸은 김낙과 함께 대장군으로 정예기병 5천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한다. 후백제도 견훤이 직접 군대를 끌고 맞서, 고려와 후백제는 공산(지금의 대구 팔공산)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인다.
전투의 결과는 견훤의 압승으로 왕건마져 후백제군에게 포위되자 신숭겸이 왕건의 옷을 입고 왕건의 마차를 타고 적진으로 돌진하였다. 결국 신숭겸은 견훤에게 잡혀 목이 잘리고, 왕건은 구사일생으로 포위망을 뚫고 나갔다고 한다.
지금의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동화사(桐華寺) 방향으로 약 1Km쯤 가면 파군재(破軍재)라는 고개가 있는데, 이 부근이 바로 왕건과 견훤이 싸웠던 곳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후에 왕건이 신숭겸의 사체를 거둬 장례를 치뤘는데, 머리가 없어 순금으로 머리를 만들어 장례를 치뤘다 한다. 왕건은 또 신숭겸의 금두상이 도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신숭겸의 묘를 춘천과 팔공산 그리고 구월산 세 곳에 만들었다 한다. 신숭겸의 사체는 이중 어느 곳에 있는 지 아무도 모른다고 한다. 실제로 춘천에 있는 신숭겸의 묘도 봉분이 세 개다. 세 개 중 어느 것 하나가 진짜 봉분인지 아니면 모두 다 가짜인지 아무도 모른다 한다.
후에 신숭겸의 업적을 기린 '장절공유사(壯節公遺事)'라는 책에 의하면 고려의 16대 임금 예종이 예종 15년(1120년) 서경(西京)에 들렀다가 팔관회(八關會)에서 신숭겸과 김낙, 두 장군을 도이장가(棹二將歌)를 지었다고 전한다.
현재 신숭겸의 유적지로는 강원도 춘천시 서면 방동리에 장군의 묘역이 있고, 장군이 싸우다 죽었던 곳인 대구 파계사 부근에 장군의 유적지가 있다.
소양정은 본래 물과 산을 함께 즐긴다 하여 이요루(二樂樓)라 하였으나 조선 순종(純宗) 때 춘천부사(府使)였던 윤왕국에 의해 소양정이라 개칭하여 지금의 춘천시 소양로 1가에 위치하게 되었다. 소양정은 춘천의 진산(鎭山)으로 불리는 봉의산 서쪽 산록에 자리한 루정(樓亭) 건물이다.
소양정은 본래 소양1교 위 강변 절벽 위에 위치했던 정자(亭子)였으나 몇 차례의 홍수로 유실과 보수를 거듭하다가 한국전쟁시 전소되었다. 그리고 1966년 지금의 자리에다 다시 중층누각으로 건립하고 소양정이란 현판을 걸게 되었다.
외관은 팔각지붕의 겹처마이며 정면 4칸(間), 측면 2칸의 중층건물이다. 당시 강원도지사 박경원의 글씨로 소양정 현판을 썼으며 누각 안에는 한시로 된 현판이 걸려 있다. 원래 루정 건물은 그 지역에서 가장 산수(山水)가 뛰어난 곳에 세우고 연회, 학문토론, 시정(詩情)을 나누던 옛날의 선비들의 문화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이 소양정은 소양강과 북한강이 만나서 의암호로 흘러 들어가는 모습이 한눈에 볼 수 있는 아름다운 곳이다. 예전에는 이 고장을 찾는 선비들이면 의례 꼭 한번은 이곳에 들려 아름다운 경관을 감탄하며 한시(漢詩)를 남긴 춘천의 명소였다고 한다.
청평사는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 오봉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고찰(古刹)이다. 시원(始原)을 쫓아보면 고려시대에까지 이르는 고찰이지만, 현재는 여행지나 데이트 코스로 더 많이 알려진 곳이다.
구성폭포와 연지를 지나 청평사까지 걷는 길이 아름답기도 하지만 아마 소양댐이 건설되면서 길이 끊겨 배를 타고 들어가야만 하는 교통편 때문에 그렇게 된 것 같다. 예전에는 청평사를 찾은 연인들이 배가 끊기면 영낙없이 갇히는 신세가 되어 하루를 묵어 가야 했다. 그러나 지금은 화천 쪽에서 길이 뚫려 굳이 배를 타지 않고도 청평사로 들어갈 수 있다.
청평사로 오르는 길은 우거긴 수풀과 맑은 계곡을 끼고 있어 아름다운 산책로로 아주 좋다.
선착장에서 배를 내려 상가단지를 지나면 계곡과 나란히 이어지는 숲길을 걷게 된다. 선착장에서 청평사까지는 걸어서 약 30분 거리로 그리 멀지도 않다.
계곡을 따라 오르다보면 계곡쪽으로 포장마차 같아 보이는 간이식당 할매집을 만난다. 시간이 허락된다면 이 할매집에서 감자전이라도 하나 먹는 게 좋다. 1984년부터 할매집을 운영하고 계시는 이분옥 할머니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많이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구성폭포」 할매집을 지나 조금 더 오르면 구성폭포를 만난다. 길가에 바로 접해 있는 폭포로 높이는 약 8~9m 정도. 수직으로 우뚝 서 있는 큰 바위에서 시원하게 물줄기가 떨어진다. 구성이란 이름은 폭포수 소리가 아홉 가지로 다르게 들린다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한다.
구성폭포를 지나면 '영지(影池)'를 만나게 된다. 네모 형태의 보잘것 없어 보이는 작은 연못인데, 그 역사를 알게 되면 이 연못이 얼마나 큰 의미를 지닌 것인지 알 수 있다.
영지는 1100년경 고려시대 이자현이란 사람이 만든 인공연못이다. 이자현은 청평사를 중건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는데, 청평사를 중건하면서 무려 3km에 이르는 거대한 정원을 만들어 고려정원이라 이름붙였다 한다. 이 고려정원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잘 살려 만들었다고 전해지는데, 영지는 이때 만들어진 정원의 연못으로 청평사 뒤의 오봉산 그림자가 이 영지에 잘 비치도록 만들어졌다 한다. 고려정원의 나머지 부분은 시간이 흘러 자연 속에 묻혀버렸는데 현재도 이 주위에서 고려정원의 흔적이 발견되고 있다.
영지를 지나면 곧 청평사가 나온다.
청평사는 고려 광종 24년(973년)에 창건되어 백암선원(白岩禪院)이라 불리다가 폐사되고 고려 문종 22년(1068년)에 중건되어 보현원이라 명명되었다. 그후 고려정원을 만든 이자현이 대대적인 중수를 이루어 이름을 문수원이라 고쳤다.
청평사라는 이름은 조선 명종 5년(1550년) 보우스님이 문수원을 수리하여 청평사라 이름을 붙이면서 쓰여진 이름이다. 보우스님은 청평
「영지」
사를 전국적인 대찰로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한 스님이라 한다.
그러나 한국전쟁 시 사찰의 대부분이 소실되고 현재 전해지는 건물은 보우스님이 중건한 회전문(廻轉門, 보물 제 164호)만이 남아 있다. 위치나 형태로 보면 천왕문 같아 보이나 규모가 작아 사천왕상을 들이기에는 좀 좁은 느낌을 주는 사문(寺門)이다.
회전문의 오른쪽과 왼쪽으로 각각 범종각과 요사체가 있고 회전문을 지나면 대웅전이 있다.
청평사에는 공주와 상사뱀에 얽힌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중국 당나라의 평양공주라는 공주가 있었는데 어떤 젊은이가 공주를 사모하다 죽임을 당했다 한다.
그 젊은이는 죽은 뒤에 뱀으로 환생해 공주의 몸을 휘감고 떨어지질 않았다. 공주는 이곳저곳 절을 찾아 불공을 드리며 다니다가 이곳 청평사에까지 오게 됐는데, 그 뱀이 청평사에서 벼락을 맞아 죽으며 공주의 몸에서 떨어졌다고 한다.
공주는 청평사 아래 구성폭포 위에 삼층석탑을 세우고 돌아갔는데, 이 삼층석탑은 아직도 그 자리에 서 있다. 이런 탑에 얽힌 전설로 이 삼층석탑을 흔히 공주탑이라고도 부른다.
입장료는 2000원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이 입장료 안에는 문화재관리비와 마을에서 징수하는 입장료가 포함되어 있는데, 각각 받기도 하고 같이 한번에 받기도 한다.
청평사 : (033)244-1095
소양댐 선착장 : (033)242-2455
강원 춘천시 우두동에 위치한 조양루(朝陽樓)는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이 건물은 조선 인조 24년(1646)에 춘천부사(府使) 엄황(嚴愰)이 건립했던 문소각(聞韶閣)의 문루(門樓)였다. 그 후 1916년 화재로 인해 문소각은 불타버렸으나 조양루는 다행히 순종 2년(1908)에 지금의 장소인 우두산으로 이전되어 화재를 피할 수 있었다.
원래 문루는 성문이나 지방관청의 외부 출입자를 통제하기 위해 세운 건물이었다. 팔작지붕 익공계 양식을 가진 겹처마 중층문루(門樓)로, 아래 칸은 출입용 문이며 윗 층은 감시와 통제의 기능을 수행하는 곳이다.
외형상으로는 마치 일반 누정(樓亭)과 같이 보이나 천장이 낮고 한시(漢詩) 현판 등이 걸리지 않은 것으로 보아 문루라는 건물의 특성을 잘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강원도 춘천시 서면 방동리에 고려의 개국공신인 신숭겸 장군의 묘역이 조성되어 있다. 봉분의 크기만 작다 뿐이지 묘역의 크기나 위치를 보면 거의 왕릉에 가까운 큰 묘역이다.
신숭겸 장군은 후삼국시대에 왕건을 도와 궁예를 축출했고, 왕건이 견훤에게 대패했던 공산 싸움(공산은 현재 대구의 팔공산이다)에서 왕건을 대신해 목숨을 버린 인물이다. 주군(主君)을 대신해 장렬히 전사해 장절공(壯節公)이란 시호를 받았으며, 사후 오랫동안 충정의 상징이 된 인물로, 고려 16대 임금인 예종이 그 충정을 '도이장가'로 읋어 기렸다 한다.
「장절사 기념관」 주차장에 차를 세우면 먼저 눈에 띄는 것이 연지(蓮池)이다. 그리 크지 않은 연못에 연이 꽤 자생하고 있어 8월말에서 9월 중순이면 탐스럽 게 피어나는 희고 노란 연꽃을 볼 수 있다. 묘역 입구에 장절사(壯節祠), 상충재(尙忠齋), 기념관 등의 건물이 있지만, 관리인의 숙사로 쓰이거나 문이 잠겨 있어 안을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장군의 묘역은 아주 잘 조성되어 있다. 산비탈에 조성된 드넓은 잔디밭
그리고 장군의 묘와 잔디밭을 에워싸듯 감싸고 있는 노송숲. 묘역 앞으로 길게 펼쳐지는
빼어난 조망 등이 절로 보는 이의 탄성을 자아내게 한다. 벌써 드라마나 영화의 촬영지로 몇 번 등장했던 곳으로, 묘역까지 올라갔다 내려와도 발걸음을 돌리기가 쉽지 않다. 이 곳을 찾는 사람도 많지 않아 송림의 울창함과 호젓함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입장료는 없다.
춘천시 칠송동에 위치한 의암호는 삼악산과 인접해 맑은 호수를 자아내고 있다. 북한강의 정취와 어울리는 의암호는 춘천을 호반의 도시로 만든 곳이기도 하며 춘천시내 서남쪽 지점의 북한강과 소양강이 합류하는 바로 아래 신현강 협곡을 막아 의암댐을 축조함으로써 생긴 인공 호수이다.
춘천시가의 서쪽을 감싸고 있는 의암호는 북쪽으로 춘천호와 이어져 있고 동북쪽으로 소양호와 이어져 있는데 경춘국도변의 인어상과 김유정 문인비, 그리고 삼악산의 빼어난 절경과 어우러져 조화를 이룬다.
의암댐을 중심으로 펼쳐져 있는 낚시터 낚시를 즐기는 강태공들이 즐겨 찾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60여m 높이의 웅장한 물줄기를 자랑하고 있는 춘천시 남산면 강촌리의 구곡폭포는 1981년 2월 13일 관광지로 지정되었다. 구곡폭포 매표소에서부터 약 30분 정도 걸으면 폭포가 나타나는데 겨울이면 그 높이와 웅장함이 빙벽등반에 알맞아 등반가들의 발길이 잦다. 또한 비가 온 다음날이면 뽀얗게 물안개가 피어올라 더욱 환상적인 구곡폭포는, 매표소에서 폭포까지 가는 700m의 등산로 주위가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어 가족 나들이나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도 자주 이용된다. 숙박시설 또한 쉽게 구할 수 있어 여름철이면 대학생 등 피서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다.
개구리, 두꺼비, 뱀과 같이 감각을 이용하며 먹이를 잡아먹고 사는 동물들이 구곡폭포의 9가지 조화로운 물소리로 인해 살지 못한다고 전해지며, 실제로도 폭포 주변에는 뱀과 개구리 같은 동물이 서식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강촌역 인근에 있는 자전거 대여점에서 자전거를 빌려 타고 폭포 주차장까지 가서 매표소 입구 자전거 주차장에 세워놓고 올라가는 방법도 있으며 강촌역 앞에서 구곡폭포 주차장까지 가는 50번 시내버스를 타는 방법도 있다.
입장료는 어른 1600원, 군인,청소년 1000원, 어린이 600원이며 단체의 경우 각각 1400원, 800원, 400원이고 춘천시민은 50%의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 차를 가지고 갈 경우 주차 요금은 1일 소형은 2000원, 대형 4000원이다.
구곡폭포관광지 관리사무소 (033)261-0088 < 자가운전 >
서울서 구리시를 거쳐 46번 경춘국도를 따라가다 마석~청평~가평을 지나 강촌역으로 우회전하면 된다. 봉화산 구곡폭포 주차장까지는 강촌 큰나무민박 앞에서 우회전해 2.5km쯤 더 들어가면 된다.
< 대중교통 >
청량리역에서 오전 6시 30분부터 오후 8시 30분까지 매시간 30분에 출발하는 경춘선 열차를 타고 가다 강촌역에서 내리면 된다. 상봉동과 구의동에서 떠나는 직행버스를 타고 춘천터미널에 내려 3, 5, 50, 55, 56, 57번 강촌행 시내버스를 갈아타도 된다. 강촌역에서 구곡폭포 주차장(도보 40분)까지는 3, 5, 50(구곡폭포 주차장), 55, 56, 57번 시내버스(25~30분 간격 배차)를 타면 갈 수 있다. 춘천발 구곡폭포행 버스 운행시간 05:50, 06:45, 07:05, 08:00, 08:35, 09:35, 10:00, 10:45, 11:35, 12:35, 13:20, 14:20, 15:20, 15:50, 16:10, 17:15, 18:55.
동양 최대의 사력댐인 소양댐의 축조로 만들어진 소양호는 강원 춘천시 신북읍 천전5리에 위치해 있다. 주변의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고려시대 사찰인 청평사, 그리고 바위로 유명한 오봉산이 있어 하루코스의 나들이 장소로 추천할 만하며 수문이 열릴 때면 거대한 인공폭포가 장관을 이룬다.
또 어종이 풍부한 이곳은 향어, 송어를 비롯하여 초겨울 빙어낚시의 묘미를 즐길 수 있다. 최근에는 양구, 인제까지 64Km의 긴 물길을 따라가는 관광쾌속선이 1일 2회 운항되어 설악산과 동해안을 이어주고 있으며, 소양댐 선착장에서는 관광유람선을 운항하는데 물살을 가르는 유람선과 주변 경관이 잘 어울려 한폭의 그림을 연상케 한다.
입장료는 어른 1000원, 군인, 청소년 700원, 어린이 500원이며 단체일 경우 각각 900원, 500원, 300원이며 주차요금은 당일에 한해 소형 2,000원, 대형 4,000원이다.
소양호 관리사무소 (033)241-9251
< 드라이브 메모 >
자가용편
서울에서 46번 경춘국도로 청평-가평-춘천을 거쳐 소양댐에 이른다.
대중교통편
시내버스는 춘천역과 남춘천역 앞에서 20~3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를 이용하면 약 40분 정도 소요된다.
춘천시 칠송동에 위치한 의암호는 삼악산과 인접해 맑은 호수를 자아내고 있다. 북한강의 정취와 어울리는 의암호는 춘천을 호반의 도시로 만든 곳이기도 하며 춘천시내 서남쪽 지점의 북한강과 소양강이 합류하는 바로 아래 신현강 협곡을 막아 의암댐을 축조함으로써 생긴 인공 호수이다.
춘천시가의 서쪽을 감싸고 있는 의암호는 북쪽으로 춘천호와 이어져 있고 동북쪽으로 소양호와 이어져 있는데 경춘국도변의 인어상과 김유정 문인비, 그리고 삼악산의 빼어난 절경과 어우러져 조화를 이룬다.
의암댐을 중심으로 펼쳐져 있는 낚시터 낚시를 즐기는 강태공들이 즐겨 찾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강원도 춘천시 서면에 위치한 춘천호는 춘천댐으로 인해 만들어진 호수이다. 춘천댐은 북한강 상류에 있어 주변 경치는 매우 아름다우며 교통 또한 편리해서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 이곳은 또한 의암호를 따라 이어지는 드라이브 코스로 가족단위나 연이들이 즐겨 찾으며 낚시를 하기에도 안성맞춤이다. 이곳에는 주로 자연산 메기매운탕, 쏘가리 매운탕의 진미를 맛볼 수 있다.
또 춘천댐 계곡과 함께 어우러진 수려한 자연환경과 조용한 분위기를 자랑하는 집다리골 휴양림이 있어 많은 사랑을 받는 곳이다. 깨끗한 호수와 울창한 송림의 조용한 숲 속에 캠프촌, 호반의 정취를 더욱 느끼게 하고 겨울 빙어 낚시의 묘미를 느낄 수 있다.
< 드라이브 메모 >
자가용편
춘천시내, 의암댐, 환상의 드라이브 코스(의암호 외각도로), 춘천댐으로 이어지는 코스.
대중교통편
춘천시내 인성병원 앞에서 시내버스를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