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好住白雲紅樹裏 與君同唱太平歌 호주백운홍수리 여군동창태평가
구름은 붉은 나무숲에 머물기를 좋아하고, 임금은 太平歌를 같이 부른다.
* 산중에서 즐기는 모습을 말함.
樂府詩集卷81-90
唐貞元中, 劉禹錫在沅湘, 以俚歌鄙陋, 乃依騷人《 九歌》 作《 竹枝》 新辭九章, 教里中兒歌 ...
石壁千重樹萬重, 白雲斜掩碧芙蓉。 .... 劍去國亡臺榭毀, 卻隨紅樹噪秋蟬。 ... 此日與君除萬恨,
數篇風調更應無。 ..... 花萼樓前雨露新, 長安城裏太平人。
好호 : 좋을 호, 어머니와 아들 혹은 여자와 남자의 두터운 애정이라는 데서 '좋아하다'
住주 : 살 주, 사람인변亻(人)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主(주)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白백 : 흰 백, 햇빛이 위를 향하여 비추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희다' '밝다'를 뜻함
雲운 : 구름 운, 비우(雨비, 비가 오다)와 韻(운)이 합하여 이루어짐.
雨(우)는 天體(천체)에 관계(關係)가 있음, 云(운)은 수증기가 하늘에 올라 자욱이 퍼 지는
모양, 구름, 雲(운)자가 생긴 후로는 云(운)을 말하다, 란 뜻으로 썼음
紅홍 : 붉을 홍, 실사(糸실타래)와 工(공)으로 이루어짐. 옷감, 천의 赤白色(적백색)인 것,
연한 적색(赤色), 그 색을 물들이는 풀의 이름 또는 單純(단순)히 적색(赤色)의 뜻.
樹수 : 나무 수, 树(수)의 본 자(本字).살아서 서 있는 나무(木)의 뜻, '나무'를 뜻함
裏리 : 속 리, 여기서는 속→안이라는 뜻을 나타냄.
나중에 옷에 한하지 않고 물건(物件)의 속→안쪽이란 뜻으로 씀
與여 : 줄 여, 절구구변(臼절구)部와 八(팔)을 제외(除外)한 글자 (여)와 사람이 더불어 정을 주고받는
다는 나머지 글자의 뜻이 합(合)하여 '더불다''주다'를 뜻함
君군 : 임금 군, 하늘에 기도(祈禱)하여 하늘의 뜻을 이어받아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임
同동 : 한 가지 동, 사람의 모든 말이 맞다는 데서 '같다'라고도 함
唱창 : 부를 창, 햇볕이 밝음과 똑똑히 말을 하는 것과의 두 가지 뜻으로 쓰여 짐.
나중에 다시 입구(口입, 먹다, 말하다)를 붙여 唱(창)이라고 쓰고 먼저 노래하다→
앞에 서서 말하다→앞장서서 부르 짖다의 뜻을 나타냄.
먼저 노래하는 唱(창)에 맞추는 것을 和(화)라 함
太태 : 클 태, 크다는 의미의 大에 점(ㆍ)을 찍어 더 크다는 것을 나타낸 글자, 크다.
平평 : 평평할 평, 물 위에 뜬 물풀의 모양을 본뜬 글자, 수면이 평 평(平平)하다는 뜻
歌가 : 노래 가, 하품흠(欠하품하는 모양)와 음(音)을 소리를 길게 빼서 노래함의 뜻을 가진 哥(가)가
합(合)하여 노래를 뜻함,
...............
잠 꼬대-
好住白雲紅樹裏 與君同唱太平歌 호주백운홍수리 여군동창태평가
好住白雲紅樹裏 : 경치 좋은 산중에 머물면서
與君同唱太平歌 : 부르노니 태평가라!
12. 金針曾不露鋒鋩 惹得無絲玉線長 금침증불로봉망 야득무사옥선장
* 도인은 일견 미련한 듯하나 얼굴에 나타내지 않는다. 일찍 曾, 이슬 露, 끌 惹.
宏智禪師廣錄
如何得不落今時去。師云。不答爾這話。進云。恁麼則玉馬雪行歸半夜。混然渾不露纖機。 .... 爾不會。佛法若如此。不到今日。則躁悶便起。至中路卻云。他是五百人善知識。 ... 習習春風絲絲春雨。
... 金針引玉線之蹊。 ..... 不露鋒鋩。 ..... 惹得天花動地來。
金금 : 쇠 금, 金(금)은 금속의 총칭(總稱) 이 되고 또 특히 황금(黃金)만을 가리키게 되었음
針침 : 바늘 침, 귀가 있는 바늘의 모양을 본뜸. 쇠로 된 바늘을 뜻함
曾증 : 일찍 증, 曽(증)의 본자(本字). 물을 담은 밑바닥 부분(部分)과 구멍이 뚫린 깔개와 김이 오르는
모양의 글자로 이루어지며 시루를 본뜸. 빌어 겹치다, 일찍이의 뜻.
不불 : 아닐 부, 새가 날아 올라가서 내려오지 않음을 본뜬 글자, 아님.
露로 : 이슬 로, 수증기가 낱알 모양으로 잇닿아 있는 것, 이슬의 뜻
鋒봉 : 칼날 봉, 쇠, 金광물ㆍ금속ㆍ날붙이와 '뾰족한 끝'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
鋩망 : 서슬 망, 연장이나 유리 조각 따위의 날카로운 부분.
惹야 : 이끌 야, 마음심(心(=忄, 㣺) 마음, 심장)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若(약)이 합 침.
得득 : 얻을 득, 두인변(彳 걷다, 자축거리다)部(동작(動作)을 하는일)와 貝(패☞화폐)와 寸 (촌☞손)의
합자(合字). 得(득)은 돈이나 물품(物品)을 손에 넣어 갖고 있는 일,
無무 : 없을 무, 신의 앞에서 춤을 추어가며 없는 것을 조르는 것.
絲사 : 실 사, 생사를 꼰 실의 모양
玉옥 : 세 개의 구슬을 끈으로 꿴 모양, 중국(中國) 서북에서 나는 보석,
線선 : 줄 선, 가느다란 실의 뜻으로
長장 : 길 장, 어른 장, 머리털이 긴 노인이 단장을 짚고 서 있는 모양,
.............
잠 꼬대-
金針曾不露鋒鋩 惹得無絲玉線長 금침증불로봉망 야득무사옥선장
金針曾不露鋒鋩 : 날카로운 얼음 조각 같이 보이는데 바늘은
惹得無絲玉線長 : 겨우, 구슬 꿰는 긴 실을 얻을 뿐이다
................
13. 人間路到三峰盡 天下秋隨一葉來 인간로도삼봉진 천하추수일엽래
길은 三峰에 이르러 끝이 나고, 가을은 떨어지는 나뭇잎을 따라 오는구나.
* 삼봉 앞은 바다이므로 사람이 가지 못한다. 가을에 나뭇잎이 떨어진다. 따를 隨.
話總龜- 卷十二- 讀書網|› 詩話總龜
《雁》云:“三年別館風吹入,萬里長沙月照來。”
《秋游華山》云:“人間路到三峰盡,天下 秋隨一葉來。
”南鄭殿丞云:“青鳥幾傳王母信,白鵝曾換右軍書。”《將至京》云:“近闕已 ...
人인 : 사람 인, 사람이 허리를 굽히고 서 있는 것을 옆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
間간 : 사이 간, 簡(간)과 통자(通字).
옛날엔 門(문)속에 月(월☞달)을 쓰거나 또는 門(문)속에 外(외)를 쓰기도 하였음.
중국(中國)에서는 집의 대문이나 방문을 모두 門(문)이라 함.
閒(한)은 방문으로 달빛이 비치다→틈, 후에 間(간)자가 생겨 間(간)은 사이,
路로 : 길 로, 저마다 각각(各) 발로(足) 걸어 다니는 곳이라는 데서 '길'을 뜻함
到도 : 이를 도, 선칼도방(刂(=刀)칼, 베다, 자르다)와 이르다, 의 뜻 인 至(지)로 이루어짐. 도착하다.
三삼 : 석 삼, 세 손가락을 옆으로 펴거나 나무젓가락 셋을 옆으로 뉘어 놓은 모양
峰봉 : 봉우리 봉, 뫼산(山☞산봉우리)部와 夆(봉)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盡진 : 다할 진, 그릇명(皿그릇)部와 다하다, 의뜻을 가진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그릇 속을 비우다가 전(轉)하여, 다하다, 남김없이, 의 뜻이 됨
天천 : 하늘 천, 사람이 서 있는 모양(大)과 그 위로 끝없이 펼쳐져 있는 하늘(一)의 뜻.
下하 : 아래 하, 밑의 것이 위의 것에 덮여 있는 모양.
秋추 : 가을 추, 禾(화곡식)와 火(화, 불→말리는 일)로 이루어짐. 秋(추)는 곡식(穀食)을
베어서 말리다→그렇게 하는 계절(季節)→가을
隨수: 따를 수, 좌부변(阝(=阜)언덕)部와 따라간다는 뜻을 가진 隋(수), 뒤에서 따라간다.
一일 : 한 일, 한 손가락을 옆으로 펴거나 나무젓가락 하나를 옆으로 뉘어 놓은 모양
葉엽 : 잎 엽, 초두머리(艹(=艸) 풀의 싹)部와 枼(엽)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來래 : 올 래, 보리의 모양을 나타낸 글자. 나중에 보리란 뜻으로는 별도로 麥(맥)자를 만들 었음.
...........
잠 꼬대-
人間路到三峰盡 天下秋隨一葉來 인간로도삼봉진 천하추수일엽래
人間路到三峰盡 : 인간이 갈수 있는 길은, 삼봉의 꼭대기 까지 이다.
天下秋隨一葉來 : 가을은 떨어지는 나뭇잎을 따른다.
............
217
14. 花簇簇處鷓鴣啼 草薰薰時鴛鴦飛 화족족처자고제 초훈훈시원앙비
꽃이 화사한 곳에 鷓鴣새 우지지고, 풀 향기 가득할 때 鴛鴦새 날아온다.
* 꽃 피고 새가 노래하는 아름다운 경치를 말함. 鷓鴣새는 꿩과의 매추라기 비슷한 새. 鴛은 수컷, 鴦은 암컷.
花화 : 꽃 화, 꽃 몽우리가 피고 지는 과정의 모습
簇족 : 가는대 족, 대죽(竹☞대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族(족)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簇족 :
處처 : 곳 처, 걸어서 걸상이 있는 곳까지 가서 머무름의 뜻
鷓자 : 자고 자, 새조(鳥☞새)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庶(서→자)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鴣고 : 자고 고, 새조(鳥☞새)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古(고)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啼제 : 울 제, 입구(口☞입, 말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帝(제)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草초 : 풀 초, 초두머리(艹(=艸)☞풀, 풀의 싹)部와 早(조→초)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薰훈 : 향풀 훈, 초두머리(艹(=艸)☞풀, 풀의 싹)部, 연기나 향내(香-)가 들어차 있는 뜻의 熏(훈)으로
이루어 짐, 향내(香-)를 좋게 하는 풀의 뜻, 좋은 냄새가 나다.
薰훈 :
時시 : 때 시, 날일(日☞해)部와 寺(시)로 이루어짐. 태양(☞日)이 일정(一定)한 규칙에 의해 돌아간다는
뜻이 합(合)하여 '때'를 뜻함.
鴛원 :원앙 앙, 새조(鳥☞새)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夗(원)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鴦앙 : 원앙 앙, 새조(鳥☞새)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央(앙)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飛비 : 날 비, 새가 날개 치며 나는 모양→날다→날리다→ 쓰일 때는 (날비 몸)이라 함
15. 常憶江南三月裏 鷓鴣啼處百花香 상억강남삼월리 자고제처백화향
강남의 3월 풍경이 오랫동안 잊히지 않는구나 (長憶..),...
항상 江南 春三月이 기억나는구나, 鷓鴣새 우는 곳 온갖 꽃향기 가득하였지!
* 江南 春三月의 경치는 잊을 수 없다. 無門關에는 ‘常憶’ 대신 ‘長憶’으로 되어있다.
(別峰祖珍禪師語, 無門關 24 本則
常상 : 떳떳할 상, 항상 상, 건건(巾☞옷감, 헝겊)部와 尙(상☞더하다)으로 이루어짐.
아랫도리에 입는 속바지 위에 받쳐 입는 긴 치마→길다→오래 계속하다
憶억 : 생각할 억, 마음에 단단히 새겨 외 다의 뜻
江강 : 강 강, 큰 시내 곧 강의 뜻. 본디 양자강(揚子江)을 가리킴
南남 : 남녘 남, 울타리를 치고 많은 양을 기르는 곳이 남쪽 지방(地方)이었기 때문에 '남
三삼 : 석 삼,
月월 : 달 월,
裏리 : 속 리, 옷의(衣(=衤)☞옷)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里(리)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里(리)는 사람이 사는 마을, 여기서는 속→안이라는 뜻을 나타냄. 裏(리)는 옷의 안,
鷓자 : 자고 자, 새조(鳥☞새)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庶(서→자)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鴣고 : 자고 고, 새조(鳥☞새)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古(고)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啼제 : 울 제, 입구(口☞입, 말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帝(제)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處처 : 곳 처, 걸어서 걸상이 있는 곳까지 가서 머무름의 뜻
百백 : 일백 백,
花화 : 꽃 화, 몽우리가 피고 지는 과정의 모습
香향 : 향기 향, 맛이 좋은 기장의 뜻. 기장을 삶을 때 나는 좋은 향기로부터, 향기의 뜻
.
|
첫댓글 7언 댓구는
무문 관, 1칙, 3칙을 공부 하실때 찿습니다.
하여, 서둘러 올려 드립니다.
8언- 2칙, 6칙.
6언- 8칙.
5언- 5칙, 32칙, 37칙.
5언 댓구- 7칙, 11칙.
캬~ 멋진 사진까지 곁들여 올렸네요. 정성이 대단 하십니다. ^^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