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평해(平海) ·장수(長水) ·창원(昌原) ·상주(尙州) ·우주(紆州) ·덕산(德山) ·회덕(懷德) ·황주(黃州) ·관성(管城) ·부안(扶安) ·강화(江華) ·삼기(三岐) 외에도 문헌상에는 163본이 전하는데, 황씨중앙종친회측에서는 대략 20여 본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모두 평해 ·장수 ·창원의 3본에서 분파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황씨의 원시조는 중국 후한(後漢)의 유신(儒臣)이었다는 황락(黃洛)으로 전해온다. 그는 광무제(光武帝) 건무 4년(유리왕 5:AD 28)에 장군 구대림(丘大林:平海丘氏의 시조)과 함께 교지국(交趾國)에 사신으로 가던 길에 동해에서 풍랑을 만나 평해에 표착, 그곳에 자리잡고 살며 황장군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황씨의 시원(始源)이다. 현재에도 평해(경북 울진군 평해읍) 월송(越松) 지역에는 황장군의 묘가 전해지며, 구(丘)장군이 살았다는 곳을 구미진(丘尾津)이라 부른다.
일설에는 후세에 갑고(甲古) ·을고(乙古) ·병고(丙古)의 3형제가 있어 각각 기성군(箕城君:箕城은 平海의 옛이름) ·장수군(長水君) ·창원백(昌原伯)에 봉해져 훗날 평해 ·장수 ·창원 등 3관향이 여기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한다. 오늘날 전하는 20여 본이라는 것도 이 3본에서 갈린 분파라는 것이 통설이다. 예를 들면, 상주 ·덕산 등은 평해에서, 간주 ·남원 ·해주 등은 장수에서, 회덕 ·황주 등은 창원에서 각각 분적(分籍)된 것으로 전해진다.
인구가 가장 많은 창원황씨는 각각 계보를 달리하는 3파가 있는데, 토황(土黃)으로 불리는 시중공(侍中公)파와 당황(唐黃)으로 불리는 공희공(恭僖公)파, 그리고 호장공(戶長公)파 등이다. 이들 3파 사이의 상호관계에 대해서는 뚜렷하게 밝혀진 것이 없으며, 족보도 각기 따로따로 편찬한다. 다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당황’이라 불려온 공희공파의 파조(派祖) 황석기(黃石奇:고려 공민왕 때의 중서문화평장사)가 원래 고려 사람이었다는 점이다. 종래에는 그가 원나라 사람으로 고려 공민왕 때 노국공주(魯國公主)를 수행하여 고려에 온 것으로 전해졌으나, 이미 이전에 그는 고려에서 여러 벼슬을 지내고 ‘조적(趙頔)의 난’(1339)을 평정하는 등 활약한 사실이 《고려사》에 뚜렷이 기록되어 있다.
1348년 고려 제29대 충목왕이 죽자 황석기는 이제현(李齊賢)과 함께 원나라에 가 30대 충정왕의 승습(承襲)을 청하게 되었는데, 그 이듬해에 앞서 원나라에 와 있던 공민왕(江陵大君)이 원 위왕(衛王)의 딸 노국공주와 결혼하여 귀국하게 되자 황석기는 그때 배행(陪行)하여 왔던 것이다. 황씨는 고려 말기에서 조선 전기에 걸쳐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는데, 조선에서는 상신(相臣) 3명, 대제학 2명을 비롯하여 총 171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1960년도 국세조사에서는 6만 1435가구에 인구 35만 907명으로 성별순위는 258성 중 제16위였고, 85년도 조사에서는 가구수 13만 4347가구, 전국 가구 구성비 1.4 %로 274성 중 제16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