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가리
사이안화 칼륨(시안화 칼륨),청산칼륨,청산칼리 라고도 불리며 화학식은 KCN 이다..
위와같이 청산가리는 설탕과 비슷하게 생긴 무색 가루이다.
(애석하게 사진은 옮기는 도중 지워졋다..)
맛은 보통 단맛으로 아는사람이 많으나, 먹어본사람들의 말로는 아무맛이 안난다고 한다.
치사량은 0.15g이고 청산가리를 복용하여 죽은사람의 특징은 피부에 보라색반점이 오르고, 입에서 아몬드냄새가 나고(그 아몬드 냄새를 맡을수 있는사람은 50%정도 밖에 없다고 한다.), 혈색이 좋아진다고 한다.
만약 청산가리를 먹고 죽어가는사람이 있으면 인공호흡은 하지 않는게 좋다. 청산가스를 마시고 당신도 죽을수 있다.
영화처럼 청산가리를 먹는다고 피를 토하거나 그러지는 않는다.
그리고 조해성이 강하여 습기를 흡수하면 잘녹는다.
청산가리의 ''청'' 자때문에 청산가리 가루를 푸른색으로 착각하는사람들이 많은데,
이 ''청'' 자는 청산가리가 푸른 연한가스를 발생시키기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청산가리를 먹을때 죽는 이유는 시안이온이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중요한 효소 중 하나인 시토크롬 산화효소에 포함되어 있는 철 이온(Fe3+)과 결합하면서 효소의 기능을 마비시키기 때문이다. 시토크롬 산화효소는 산소가 포도당과 반응하여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촉매로 작용하는 중요한 효소이다. 그런데 효소가 시안과 결합을 하면 효소가 산소에 전자를 전달하는 기능이 마비되어 버리고, 결국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어 내지 못하기 때문에 죽는 것이다.
이것의 해독방법은 두가지로 나뉘는데 '아질산나트륨(NaNO2)'을 사용하거나 '티오황산나트륨(Na2S2O3)'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아질산 나트륨을 쓰는 방법은 헤모글로빈의 Fe2+ 상태의 철 이온을 Fe3+상태로 바꾸어서 시토크롬산화효소의 철이온 대신 헤모글로빈에서 변화한 철이온과 결합시기는 것이다.
그리고 티오황산나트륨을 쓰는 방법은 시안이온을 티오시안산이온(SCN-)으로 바꿔서 독성을 줄이는 것이다. 후에 티오안산이온은 오줌으로 배출된다.
위험물 관리기술 자격증이 없는한 상점에서 살순없지만, 자살용으로 많이 쓰이는걸 봐서는 구하기는 쉬운것 같다.
제조법
KOH(수산화 칼륨)+HCN(사이안화(시안화) 수소) → KCN(청산가리)+H2O
(CH4 (메탄)+ NH3 (암모니아)→ HCN(사이안화(시안화) 수소) + 3H2)
(어차피 청산가리 제조법은 많이 알려져 있고, 일반인이라면 잘 못구하는것들이기에 써놔도 무방할거같다.)
첫댓글 둘중 어느 카페가 활성인지 몰라서 둘다 썻다..
금도금이라던가 쓰이는 곳은 의외로 많기도하니;어떤 블로그 출처 지식으로는 먹었을때 머리에 큰 충격이 와서 물이라던가에 타서 다먹었을경우 자살, 반쯤먹고 떨어뜨린 경우를 타살로 판별한다고 한다고 써있네..이 독약은 무색무취라는 것이 가장 무서운 점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