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수기능사 실기검정의 내용과 검정요점
현재 실무에 사용하지도 않는 시트방수를 가지고
왜(?)실기검정을 하느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러한 생각은 잘못된 일입니다.
방수기능사 실기시험 검정내용은 198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건축하는
아파트옥상에 건축시 시공하는 시트방수를 3 m²(약1평) 정도의 면적에
실제로 시공하는 과정을 테스트하는 것입니다.
아파트옥상방수를 관리하자면 현재 시공되어 있는 방수재의 재질과 수명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올바른 유지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상층 세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현재 시공되어 있는 방수재의
결함원인 등을 어느정도 파악하고 있어야 보수방안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방수기능사 실기 체험기
펠트지 붙임 ; 바닥의 나무가 보이지 않도록
방수시트 작업선 긋기
배수관 고정
시트지재단 ; 겹침폭이 충분하도록 정확하게
속치마 ; 배관주변 은 확실하게 한번더 확인
파이프카바 시공
코너부분 보강재붙임 ; 물이 새지 않도록
보강재 붙임 완료
큰바닥 시트지 재단
큰바닥 붙임 ; 바닥에서 들드지 않도록 토치램프로 확실히
작은바닥 시트붙임
겉치마 붙임 ; 배관 주변처리 높이(15cm)가 정확하게
실리콘처리 ; 끝마무리를 잘해야지
완성작품
안녕하세요....제주에서 방수공사하는사람임니다... | |
답변 참고하시고 문제해결에 도움되시기 바람니다.... | |
방수공사만 10년이상하고 있고 현재는 영세(?)개인업체를 운영중임니다... | |
저도 지금까지 계속해서 방수공사를 하고있지만 방수는 정말 힘드네요.. | |
저는 주택,인테리어와 학교때 음악을 전공해서 음악쪽으로만 답변을 올리다가 전에 | |
제가 방수기능사에 대한 답변올린것을 어떤분이 보고서 저에게 메일을 보냈기에 다시 | |
한번 검색하다가 님의 질문을 우연~히 보고나서 실력은 없지만 제가 아는대로만 설명 | |
드리니 참고하시고 합격하시어 저의 후배 기능사가 되시기 바람니다...인터넷의 힘.... | |
저는 2002년에 방수기능사에 합격했는데 그때 당시 저는 방수를 하는사람이었고 | |
날마다 밥먹고 방수만 하는사람이라 시험이 쉬웠는데 일반인은 생소할수도 있으 | |
므로 잘못하면 떨어질수 있는데 컨닝하면서 시공하면 됨니다...눈썰미로...대강... | |
저는 전라도 목포에서 원서를 접수하고 광주에서 실기시험을 치렀는데 그때당시 | |
육지에서 일을하면서 그냥한번 응시를 해보자는 생각으로 원서만 내고 다시 제주로 | |
갔다가 실기시험때는 제주에서 배타고 목포로 나와서 다시 광주로가서 옛날 과거시험 | |
보듯이 봇짐매고 연습삼아 시험을 치렀는데도 그냥 쉽게 합격이 되었슴니다.... | |
방수기능사 시험은 시트방수로 실기시험을 치르는데 요즘에는 하자발생률이 높다고 | |
해서 시트방수는 거의 안함니다...저도 3년전에 시험칠때 시트를 만져보고 아직까지 | |
한번도 안해봤슴니다...시험당시까지만해도 가끔은 시트방수를 해본경험이 있어서 | |
합격했슴다...시트는 쉽게말해서 폭1m 길이10m짜리 고무장판이라 생각하시면 됨니다....... | |
요즘에는 일반건축에는 시트방수대신 우레탄방수를 하므로 시트방수를 하기 힘듬니다.. | |
시트방수는 도로공사중 교량에서 가끔은 하는데 일반인이 배우기는 힘들텐데요.... | |
암튼 저는 시트방수를 해봐서 바로 합격했지만 시트를 안해보신분들은 많이 힘듬니다.. | |
아무리 전문가라해도 요즘에는 시트일이 없다보니 저도 시트를 못만져보는데요.... | |
그래서 어떻게 설명드리기가 영~거시기하네요.... 일단은 무대뽀로 그냥 컨닝하세요.... | |
저는 학원 근처에도 안가본 사람이라 원칙은 모르고 건설회사다니는 분에게 저같은 | |
민간인이 뻔데기앞에서 주름잡는듯하여 비엔비의 사진을 기초삼아 야매(?)로 합격하는 | |
방법을 설명드림니다.....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그냥 참고만하세요...... | |
위 사진은 시험치르기 전에 주의사항이나 기타사항을 설명하는것이죠... | |
저는 이때 안에서 안하고 밖에서 했는데.....이때 수험표 확인하고 나서는 필기 | |
시험 형식으로 기본적인 방수지식으로 10문제를 물어보고 체크를 하던데요.. | |
저도 그때 처음알았고 암튼 얼떨결에 6문제를 맞췄슴다....문제가 쉽데요... | |
이과정은 실기시험 처음과정으로 원래대로 시트방수시공시에는 아스팔트 | |
프라이머 하도작업 과정인데 시험용이기 때문에 루핑으로 하는과정임니다.... | |
그냥 어렸을때 색종이 잘라서 붙인다고 생각하고 하면 쉽슴니다.... | |
가장자리를 먼저 시공하라고 써있는데 저는 그냥 가운데 넓은데부터 하고나서 | |
남는것으로 가위로 잘라서 가장자리와 벽에 스테플로 파바박~박아버렸는데요...... | |
어차피 나중에 시트로 덮어버리니까 에쁘게는 안해도 상관없고 재단할때 잘하면 | |
나중에 시트재단시에 아주 도움이됨니다......그냥 시트붙이기 연습과정이죠.... | |
사진에는 2명이지만 시험때는 혼자 시공을 함니다...... | |
위사진은 루핑을 붙이고나서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과정인데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 |
위치는 먼저 시험치른 사람이 미리 나무에 표시를 해놔서 루핑을 붙이기전에 제가 | |
파이프를 붙일자리를 표시해구소 루핑을 붙였슴니다.....아마 파이프자리는 미리 | |
표시가 되어있을것임니다....안그러면 옆사람이 하는대로 따라하시면 되구요.... | |
청테이프로 미리 고정을 시키는것 잊지마시구요....여기까지는 아주 쉬운과정임니다... | |
위사진은 루핑작업이 끝난후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과정인데 시트를 재단해서 | |
붙이고 불로 가열하면서 붙이면되는데 사진에서 보듯이 파이프가 윗쪽으로 조금 | |
남아야되고 아랫쪽은 가위로 여러가닥을 잘라내고 펴서 붙이면됨니다..... | |
만약 겹치면 나중에 바닥시트를 붙일때 울퉁불퉁해지고 모양이 이상해지므로 | |
주의하시고 저도 이과정에서는 옆사람을 보면서 따라했는데 생각보다는 어렵고 | |
특히 사진을 유심히 살펴보시고 머릿속으로 항상 인지를 하시기 바람니다..... | |
보강제인 시트를 재단하는 과정인데 자를 대고 칼로 반듯히 자르는게 중요함니다.. | |
30cm정도로 자르면서 하나씩 붙여가는게 좋슴니다...미리 잘라놓으면 나중에 시트가 | |
부족할수도 있으므로 2~3개정도만 자른후 붙이고 다시 재단하는게 좋슴니다..... | |
보강제를 조인트부분에 붙이는 과정인데 바닥에서 10cm를 유지하는게 좋지만 | |
어차피 나중에 바닥과 벽을 시트로 덮어버리니까 대강 붙여도 상관은 없슴니다.... | |
특히 모서리부분은 너무 튀어나오지 않게 딱딱하면 불로 구워가면서 하면됨니다.. | |
바닥면 재단과정인데 너무 딱 맞추다보면 나중에 길이가 안맞을수 있으므로 | |
여유있게 바닥에 펴가면서 재고나서 여유있게 재단하시기 바람니다.....중요..... | |
나중에 남으면 가위로 잘라내면되는데 너무 맞추면 나중에 불로 구우다보면 | |
수축으로 줄어들수가 있으므로 꼭꼭꼭 여유있게 재단하시기 바람니다.... | |
잘못 재단해서 떨어지는 사람이 많고 아주 중요한 과정임니다..... | |
저도 잘못 재단해서 잠깐 당황했지만 건설회사 하청공사 경험으로 상황대처하는 | |
땜빵식으로 어떻게든 처리를 처리를 했슴니다..... | |
저는 오랜 경험에의한 대처능력이지만 일반인은 잘못하면 당황하게되고 헤메다보면 | |
시간만 많이 소비하고 잘못하면 여기에서 탈락할수가 있슴니다... | |
같이 시험치르던 전라도 아줌마는 당황해서 울더라구요.....얼굴은 이쁜데도.....생각나네... | |
바닥면 접착과정인데 저는 자주해봐서 아~주 쉽게 여유있게 끝냈지만 처음하시는 | |
분들에게는 어려운과정이며 실제공사에서는 바닥도 불로 구우면서 붙여야되지만 | |
시험과정에서는 오른쪽에 있는사람의 자세로 발로 밟아가면서 그냥 붙이기만 해도 | |
무난하고 사진모양대로 바닥까지 불로구우면 나중에 바닥면이 쭈글쭈글해질수가 | |
있으므로 그냥 붙이시기만 바람니다....어차피 마무리를 하는게 목적이고 시험감독 | |
들도 전문가들이 아니므로 아무 상관없슴니다...불로 구우면 시간도 오래 걸리구요.. | |
시트를 재단해서 붙인후에 불로 구우는 과정인데 이음새만 미장용 흙손으로 살짝 | |
구우면서 밀어주면 됨니다만 생각보다 어렵슴니다....불을 너무 세게하면 빵꾸가 나고 | |
빵꾸나면 당황하지말고 조각을 잘라서 땜빵하면됨니다.....불을 약하게 해서하시기 바라며 | |
가스를 들때 너무 기울이면 한번에 불이 세게나와서 빵꾸가 날수있으므로 주의하시고 | |
너무 잘하려고 하지말고 예쁘게만 반듯하게 해주면 됨니다..... | |
너무 많이 구우면 흉해지므로 필요한부분만 불로 살짝 구우시기 바람니다.... | |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기술자들은 담배물고하는 아주 쉬운 작업임니다만... | |
미장용흙손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것 말고 작은것으로 사용하시기 바람니다... | |
파이프마감 과정인데 파이프주위는 시트가 여러겹으로 겹치므로 불을 세게하고 | |
많이 구워주어야 바닥에서 튀어나오지 않으므로 아주 이빠이~ 지져버리기 바람니다.. | |
너무 많이 지져버려서 빵꾸가 나면 다시 조각으로 땜빵하면됨니다..... | |
시험감독들이 파이프마감상태를 높은점수 주는것으로 알고있고 실제로도 중요함니다.. | |
시트재료는 부족하지는 않고 남슴니다....막 쓰시다 부족하면 옆사람것 빌려도되구요.... | |
시트를 마감하고나서 마무리하는 과정인데 실리콘은 투명이 좋고 저는 자신있어서 | |
그냥 흰색으로 마감을 했는데 실리콘을 너무 떡칠하듯이 많이하면 보기가 흉하므로 | |
최대한 얇게하고나서 손가락을 누르면서 펴주는게 좋슴니다....손 떨지 마시구요.... | |
위 사진이 마감인데 생각보다 어려울수도 있고 시간이 부족할수도 있슴니다... | |
시험채점은 마감된것으로만 채점하므로 우선은 시간안에 마감을 하는게 가장 | |
중요함니다...아무리 정석대로 하더라도 시간부족으로 떨어지는 사람들 많슴니다.. | |
저는 시간이 너무 많이 남아서 1시간도 안걸리고 끝냈지만 학원출신들은 처음에 | |
너무 정성껏 하다가 나중에는 시간에 쫒기고 마무리가 깔끔하지가 않더라구요.... | |
그래서 제 생각에는 루핑작업이나 다른작업은 대강하시고 시트로 덮을때 신경 | |
써서 예쁘게 하면 합격하는데 무닌하리라 생각함니다...... | |
그리고 가장 중요한게 자신감이고 긴장이되더라도 옆사람 컨닝하면서 하면 쉽고 | |
모르는 부분은 작업중간에 화장실갈때 화장실에서 물어보면 되고 처음에 시험치기 | |
전에 옆사람에게 눈길한번 찐~하게주면서 컨닝부탁을 하시는것도 방법임니다..... | |
제가 시험치를때는 전체가 막혀있는 나무틀이었는데 사진에는 두군데는 오픈이네요.. | |
두군데가 오픈되어 있으면 작업은 전체가 막힌것보다 훨씬 쉽슴니다...... | |
우연히 질문을 보고 답변을 하다보니 부족한 부분도 있고 저는 무조건 시험장에 | |
놀러간다고 생각하고 오전에 도착해서 오전시험 관람하고나서 자신감에 불타서 | |
바로 공구를 준비하고 없는공구는 오전에 시험치르고 기분좋게 돌아가는 사람에게 | |
담배한갑으로 매수하고 점심사주면서 공구도 빌리고 시험칠때 옆에서 보면서 제가 | |
잘못하는 부분은 눈으로 사인을 해달라고 부탁해서 여유있게 합격했지만 처음하시는 | |
분들에게는 어려울수도 있고 지역마다 시험방식이 다를수도 있으며 암튼 저는 밖에서 | |
사람들이 옆에서 구경하면서 담배도 피우고 옆사람과 노가리도 까면서 물어봐가면서 | |
그냥 현장에서 모델하우스 방수공사하는 식으로만 시험을 치렀슴니다.... |
|
첫댓글 궁금한점이있습니다. 제가 어제 방수실기시험을 치고왔는데요.. 마지막으로 겉치마붙일때 정확하게 15센치가나와야하나요? 위에사진과 다르게 시험장에서의 파이프는 밑부분 모양이 다르더라구요 ;; 마지막으로 센치를 재어보니 15.5센치정도 나오던데 이정도면 감점요인인가요?
파이프방수층 높이의 기준치는 15cm입니다. 그리고 오차범위는 상하 1cm입니다. 결론적으로 14cm부터 16cm사이에 들어가면 됩니다. 방수기능사시험 몸으로 떼우는 공사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답변감사합니다... 마음이 불안했었는데..답변을 보니 안심이 되네요...감독하시느라 수고많이하셨습니다..^^
저도 시험보는데요 바닥과벽사이를 잘몰르겠어요 좀 가르쳐주세요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