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릉록 1. 도는 마음 깨치는 데 있다
◈ 완릉록 1. 도는 마음 깨치는 데 있다
[본문]
배상공이 황벽스님께 여쭈었다.
"산중(山中)의 사오백명 대중 가운데서
몇 명이나 스님의 법을 얻었습니까?"
대사가 말씀하셨다.
"법을 얻은 사람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다.
왜냐하면 도는 마음을 깨치는 데 있는 것이지
어찌 언설에 있겠느냐?
언설이란 다만
어린아이를 교화할 뿐이니라."
********원오당 한소리********
진리의 당체는 실로 시간과 공간은 초월하여
언제 어디서나 항존하는 것이다.
이 완릉록은 황벽선사의 어록이다.
아쉬운 것은 상당법문이나 간변이 나타나 있지 않은 것은
전심법요와 완릉록은 승상배휴가 재가 불자로써
전심법요는 배휴가 842년 종릉 관찰사로 부임하여
황벽스님을 만나고 부터 개인적으로 질문하고
들었던 것을 몇가지만 추려 쓰여진 것이며
이 완릉록 역시 848년 완릉 관찰사로 부임하여
다시 황벽스님을 개원사로 모셔와
조석으로 문안드리면서 뭍고 답한 것만 적은 것이다.
재가불자였어 항상 스님을 보필하고 모신
제자가 아니였음으로 자기가 들은 것만을
추려 역었기 때문이다.
그러니 공부가 아직 익지 않는 재가불자들에게
들려주는 법문임으로 더욱 가치가 있고
마음공부에는 더없이 중요한 지납이 될 것이다.
이 속에는 불교의 대의와 진리의 당체가
그대로 다 들어나 있으니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지금도 납승들의 지침서가 되고 구도자의
안내서가 되는 것이니 진리는 누가 어디서 언제
설하여도 똑 같은 말이 되는 것이며
그 방편기틀은 조금씩 달라도 그 근원은 다 같은 것이다.
왜 그런가 마음의 심처는 모든 사람이 다 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언제 어디서 들어도 일승법을 들어야 하고
참문은 역시 선지식을 찾아 참문하는 것이
사된길로 빠지지 않는 유일한 길일 것이다.
[배상공이 황벽스님께 여쭈었다.
"산중(山中)의 사오백명 대중 가운데서
몇 명이나 스님의 법을 얻었습니까?"]
배상공이 실로 6년만에 다시 만나
황벽스님을 개원사로 모셔와
조석으로 예를 올리며 불교의 대의를 뭍고 있다.
그러니 그동안 개원사에서 많은 설법으로 수많은
사람들을 교화하여 이끌었음을 잘알고 있었다.
그래서 지금의 사부대중이 4-5백명이나 되고 하니
궁금하여 물었을 것이다.
몇 명이나 스님의 법을 얻었습니까?라고
여기 법은 얻는 다는 것이 무슨 말일까
법을 얻는거나 마음을 얻는거나 같은 말일 것이다.
법이나 마음은 얻어지는 것이 아닐 것이다.
법은 마음의 작용이며 형상인 것이며
마음은 그 어떤 모양도 형상이 없다.
그러니 당연히 법은 법없음을 얻어야 하고
마음은 마음없음을 얻어야 제대로 아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고 있는 배휴의 법은
도라고 이야기 했으며 조금은 가까운 곳에서
물을 수 있지만 법은 얻었는가라고 물어니
아직은 법의 심요를 깨치지도 마음의 심요를
얻지 못한 사람의 의문이고 궁금증일 것이다.
[대사가 말씀하셨다.
"법을 얻은 사람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다.
왜냐하면 도는 마음을 깨치는 데 있는 것이지
어찌 언설에 있겠느냐?
언설이란 다만
어린아이를 교화할 뿐이니라."]
그래서 스님께서는 '법을 얻은 사람은 그 수를
혜아릴 수 없다'라고 하시는 말씀을 깊이
참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법이란 마음의 씀의 형상을 법이라 한다.
그 어떤 마음이라고 사용하면 다 법이된다.
즉 설법을 하든 참문을 하든 평상행을 하던
많은 사람이 듣고 보고 알고 지녔을 것이다.
그것을 이해(理解)를 하든 해오(解悟)을 하든
보고 들어면 다 황벽스님에 법이라 할 것이다.
그러니 안들은 사람이 없고 다 듣고 각자 나름데로
가지고 지닌것이니 법으로 말한 다면 다 받아 지녔다.
그래서 스님도 법을 얻은 사람은 그 수를
혜아릴 수 없이 많은 사람이 받아 지녔다고 한다.
그러나 진실한 법은 그런 법이 아닌 것이다.
즉 앎에도 있지않고 모름에도 있지않다.
오직 법의 심요를 깨치는데 있으며
이 법의 심요를 깨친다는 것이
바로 마음을 깨치는 것이 된다.
그러니 어찌 법을 받아 지니는 수지(受持)에 있겠으며
말이나 언설이나 문자에 있지 않다고 하신다.
이것이 바로 마음의 본성에 계합하여야 진정
마음을 얻은 것이 되는 것이지 여기서 마음이라고
하는 것은 본래지의 본불(本佛)인 진여당체를
말하고 있다. 그러니 모든 법은 마음의 작용이며
이 작용은 허망하여 인연에 따라 잠깐 일으나는
바다의 물거품과 같은 것이며.
거울에 비친 그림자에 불과 한 것이며,
불위의 눈꽃이며 한바탕 몰아치는 천둥번개와
다름이 없을 것이다.
그럼으로 법이란 팔만사천 방편문이니
우는 아이를 달래고 헛된길에 억매여 고통받고
힘들어 하는 중생들을 교화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며 조사님의 방편설도 또한 피안으로 이끌려는
나루배이지 그 진리의 당체는 아닌 것이다,
그래서 그 형상도 모양도 그 어떤 감각도 이를 수 없는
텅빈 불성을 스스로 채특하여 묵묵히 계합할 따름임을
밝히시어 조사선의 근본 대의를 다 들어 내 보였다.
조사선(祖師禪)근본대의인 언어도단(言語道斷) 이며
불입문자(不立文字)이며 심행멸처(心行滅處)를
다 밝히신 것이다.
즉 진리의 당체는 말길이 끊어지고
글로도 그 곳을 쓸수 없으며 마음이 다하여
마음이라는 그 어떤 식심(識心)의 경계를 훤출하게
벗어나 법도 없고 선도없고 심도없고 불도 없는
그 말길이전이며 생각이전의 길이며
텅빈 저 허공처름 시작도 끝도 없으며
그 주제자마져 없어서 있다없다를 벗어나는 길
오직 그 길 만이 도이며 법이며 선이며 부처이며
마음이라고 하신다.
***본불본락(本佛本樂) 하옵소서! ()()()***
***화엄동산에서 원오스님 합장***
원오스님 일승법회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7_cafe_2008_12_15_11_26_4945c0500810b)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7_cafe_2008_12_15_11_26_4945c0500810b)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7_cafe_2008_12_15_11_26_4945c0500810b)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7_cafe_2008_12_15_11_26_4945c0500810b)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7_cafe_2008_12_15_11_26_4945c0500810b)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7_cafe_2008_12_15_11_26_4945c0500810b)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7_cafe_2008_12_15_11_26_4945c0500810b)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7_cafe_2008_12_15_11_26_4945c0500810b)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7_cafe_2008_12_15_11_26_4945c0500810b)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7_cafe_2008_12_15_11_26_4945c0500810b)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7_cafe_2008_12_15_11_26_4945c0500810b)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7_cafe_2008_12_15_11_26_4945c0500810b)
![](https://t1.daumcdn.net/cfile/cafe/121CCF374F69F2052D)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39.tinypic.com%2F27xo400.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112417374F69F20427)
첫댓글 완릉록 보설 해제를 감사드립니다 나무아미타불_()_
감사합니다 한마음을 밝히시어 본불본락(本佛本樂)하시옵고 보살행을 행하시어 불타처럼 살아가소서 나무아미타불_()_
_()_ 나무아미타불
감사합니다 한마음을 밝히시어 본불본락(本佛本樂)하시옵고 보살행을 행하시어 불타처럼 살아가소서 나무아미타불_()_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_()_
감사합니다 한마음을 밝히시어 본불본락(本佛本樂)하시옵고 보살행을 행하시어 불타처럼 살아가소서 나무아미타불_()_
감사합니다 스님 나무아미타불
감사합니다 한마음을 밝히시어 본불본락(本佛本樂)하시옵고 보살행을 행하시어 불타처럼 살아가소서 나무아미타불_()_
_()()()_
감사합니다 한마음을 밝히시어 본불본락(本佛本樂)하시옵고 보살행을 행하시어 불타처럼 살아가소서 나무아미타불_()_
_()_![^-^](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3.gif)
감사합니다 한마음을 밝히시어 본불본락(本佛本樂)하시옵고 보살행을 행하시어 불타처럼 살아가소서 나무아미타불_()_
감사 인사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한마음을 밝히시어 본불본락(本佛本樂)하시옵고 보살행을 행하시어 불타처럼 살아가소서 나무아미타불_()_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