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위/오리의 왼쪽깃털을 사용하여 셔틀콕이 오른쪽깃털로 만든 것보다 더 좋다"고 합니다. 이것의 이유를 나선상(螺旋狀, spirality) 관점으로 살펴보는 글입니다.
셔틀콕(shuttlecock)은 배드민턴 경기에서 사용되는 일종의 공으로서 셔틀(shuttle)은 직물을 만들때 사용한 도구로 왕복운동를 뜻하고, 콕(cock)은 닭을 뜻합니다. 따라서 배드민턴은 "닭깃털을 왕복시키는 운동?"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셔틀콕은 재료에 따라서 천연과 인조로 나뉘며, 공식 경기에서는 (천연) 깃털 셔틀콕만 사용합니다.
1. 천연 : 거위깃털 셔틀콕, 오리깃털 셔틀콕, 닭깃털 셔틀콕
2. 인조 : 플라스틱 셔틀콕, 나일론 셔틀콕
천연 셔틀콕 중에서 거위 깃털이 오리 깃털에 비하여 두껍고, 깃털 줄기가 유연하므로 내구성이 좋습니다. 그래서 고급품질은 거위 깃털을 사용하고, 중저가는 오리 깃털을 사용합니다. 거위 깃털중 20-30cm길이를 규정에 맞게 7cm으로 잘라서 사용하므로, 보통 거위 1마리에서 사용 가능한 갯수는 좌우 각각 7개 내외입니다. 또한 셔틀콕에 사용되는 거위 깃털 중 좌측이 우측보다 더 비쌉니다. 이것은 셔틀콕에서 날개깃을 붙이는 방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림출처 : 위키백과
거위가 하늘을 날고 있는 모습입니다. 오른쪽 날개를 자세히 보면 바깥쪽의 날개깃이 몸통쪽 날개깃 위[上]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거위의 날개짓으로 공기의 저항을 만들어내기 쉽게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날개깃의 가운데에 위치한 깃가지(rachis, 우축羽軸)가 한쪽으로 기운 것은 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쉽게 관찰되지 않는 것이 또 하나 있는데 날개깃은 깃가지를 축으로 비틀려 있습니다. 좌측 날개깃의 경우 Ct에서 Fc를 바라볼 때 시계방향으로 비틀려 있습니다. 즉, 위 그림 A에서 Ct를 고정하고 Fc부위를 검은색 화살표 방향으로 비틀려 있습니다. 이와 같은 비틀림방향을 "오른손방향(right handed ; RH)"이라고 합니다.
우측 날개는 이와 반대로 시계반대방향으로 비틀려 있으며, "왼손방향(left handed : LH)으로 비틀림"이라고 합니다.
(왼손방향과 오른손방향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시면 여기를 읽어보세요)

왼쪽 날개깃을 사용하여 만든 셔틀콕입니다. (실은 오른쪽 날개깃을 반대방향으로 휘어서 위 그림과 같은 셔틀콕을 만들기도 합니다.) 날개깃이 이웃한 날개깃의 한쪽 위[上]에 겹쳐있으며, 이것은 위 거위그림에서 오른쪽 날개깃이 겹쳐있는 것과 같은 방향입니다.

위 그림은 왼쪽 날개깃을 사용하여 만든 셔틀콕을 안에서 바라본 모습입니다. 날개깃은 Ct에서 Fc를 바라볼 때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서 이웃한 날개깃에 포개어 놓았습니다. 즉, 날개깃을 깃가지를 축으로 왼손방향(LH)으로 비틀어 놓았습니다.
따라서 자연적으로 오른손방향(RH)으로 비틀린 왼쪽 날개깃을 인위적으로 왼손방향(LH)으로 비틀어서 셔틀콕을 만들므로, 원래 비틀린 모양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때문에 이웃한 날개깃와 빈틈없이 단단히 붙게 됩니다.

날개깃의 겹쳐진 방향때문에 셔틀콕은 위 그림처럼 회전을 하면서 진행을 하게 됩니다. 위 그림과 같은 셔틀콕의 회전방향을 "왼손방향(LH)의 나선운동(helical movement"이라고 표현합니다. 대한배드민턴협회의 배드민턴경기규정에 셔틀콕의 무게, 길이, 재료 등은 언급되지만 날개깃의 회전방향에 대한 규정은 없습니다. 그러나 관습적으로 위 모양과 같은 셔틀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날개깃의 겹쳐진 방향때문에 셔틀콕은 왼손방향(LH)의 나선운동만을 하므로, 배드민턴 선수의 좌우 손잡이에 따른 경기력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세계배드민턴연맹(BWF) 남자 세계랭킹 상위 25명 중 왼손잡이 비율은 20%입니다. 만약 셔틀콕을 우회선으로 만든다면 위 비율도 달라지지 않을까요?
첫댓글 디테일한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