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정보]
본관소재지 | 경기도(京畿道) 여주군(驪州郡) |
본관이칭 | 여강이씨(驪江李氏)‧여흥이씨(驪興李氏) |
[상세내용]
본관 연혁
여주(驪州)는 경기도 여주시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골내근현(骨乃斤縣)과 술천성(述川城)이 있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황효현(黃驍縣)으로 바뀌었고 기천군(沂川郡: 川寧縣, 述川城)의 관할에 들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황려현(黃驪縣: 黃利縣)으로 바뀌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원주에 영속되었다. 1257년(고종 44)에 영의현(永義縣)으로 개편되었고, 1305년(충렬왕 31)에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1388년(우왕 14)에 황려부(黃驪府)로 다시 승격하였다가 1389년(공양왕 1) 여흥군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401년(태종 1)에 음죽현(陰竹縣)의 북부를 편입하여 여흥부(驪興府)로 승격되면서 관할이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변경되었다. 1413년(태종 13)에는 도호부(都護府)가 설치되었고 1469년(예종 1)에 세종대왕 능인 영릉(英陵)을 왕대리(旺垈里)로 옮기면서 천령현(川寧縣)을 병합하여 여주목(驪州牧)으로 승격하였다. 1501년(연산군 7)에 여주목을 폐하고 충주부(忠州府)의 관할하에 두었다. 1895년(고종 32)에 충주부 여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 여주군이 되었다. 여성(驪城)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관할 15개 면을 9개로 통합하였고, 1941년에 여주면이 여주읍으로 승격하였다.
성씨의 역사
여주이씨(驪州李氏)는 시조를 달리하는 3파가 있다. 이인덕(李仁德)을 시조로 받드는 교위공파(校尉公派)가 있고, 이은백(李殷伯)을 시조로 하고 이규보(李奎報)를 중조(中祖)로 모시는 문순공파(文順公派)가 있으며, 이세정(李世貞)을 시조로 받드는 경주파(慶州派)가 그것이다.
이 3파의 여주이씨 선조들은 다 같이 고려 중기에 경기도 여주(驪州)에 자리 잡아 대대로 호장중윤(戶長中尹)‧향공진사(鄕貢進士) 등 향직(鄕職)을 세습하면서 세력을 떨치던 호족(豪族)이었다.
그러나 그 후손들은 상계의 연원을 명백하게 가리지 못하였고 예전부터 서로 뿌리가 같은 동족(同族)이라 생각하여 조선 때에는 대동보(大同譜)를 함께 간행하기도 하였다.
여주이씨 3파는 관향(貫鄕)의 이름을 각기 다르게 쓰기도 했는데 교위공파(校尉公派)는 문중에 전하는 〈개성호적(開城戶籍)〉에 따라 고려 때는 〈황려(黃驪)〉라 하였고, 조선 때는 주로〈여흥(驪興)〉또는 〈여주(驪州)〉라 하였으며, 간혹 〈영의(永義)〉라 부르는 지파(支派)도 있었다. 문순공파(文順公派)는 고려조 이래 대체로 여주(驪州)라는 단일관향을 썼으나 이규보(李奎報)의 후손 가운데 그 습봉(襲封)의 지명에 따라 하음(河陰: 지금의 강화(江華))를 관향으로 삼는 종파가 있었고, 경주파(慶州派)는 《을축대동보(乙丑大同譜)》부터 ‘여강(驪江)’이라는 관향을 정하였다.
그러다가 근년에 이르러 ‘여흥(驪興)’ ‘영의(永義)’ ‘하음(河陰)’등의 관향 이름을 ‘여주(驪州)’로 단일화했으며 경주파(慶州派)에서 독자적으로 사용한 ‘여강(驪江)’이라는 관향도 《갑자보(甲子譜)》부터는 ‘여주(驪州)’라는 관향과 함께 쓰기도 하였다.
분적종 및 분파
교위공파(校尉公派): 시조 이인덕(李仁德)- 8개의 지파(여흥이씨)
문순공파(文順公派): 시조 이은백(李殷伯)- 8개의 지파(여주이씨)
경주파(慶州派): 시조 이세정(李世貞)- 15개의 지파(여강이씨)
이규보의 차자 이함(李涵)의 손자 이영(李英)이 하음이씨(河陰李氏)로 분적하였다.
주요 세거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 우각동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오덕동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무이리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읍 중화동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외함리
평안남도 중화군 수산면 은구리
평안남도 중화군 풍동면 덕암리
[참고문헌]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尹昌鉉, 보명사, 1929)
《韓國人의 姓譜》(삼안문화사, 1986)
《姓氏의 고향》(중앙일보사, 2002)
《한국지명연혁고(韓國地名沿革考)》(權相老, 동국문화사, 1961)
[집필자]
[여주이씨(驪州李氏)의 인물들]
[여주이씨(驪州李氏)의 과거 및 취재 합격자]
고려문과
이고(李臯) | 이규보(李奎報) | 이유(李猷) | 이익배(李益培) | 이적(李逖) |
이함(李涵) | 이행(李行) |
고려사마
이규보(李奎報) | 이적(李逖) |
무과
문과
생원시
역과
이빈(李贇) |
율과
이세번(李世蕃) | 이수(李琇) |
음관
의과
이세윤(李世胤) |
진사시
취재
이장길(李長吉) |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을 통해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