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2 : 주민등록증 지참 필수
공지1 : 참석자 개인별 이름/생년월일/성별을 전송바랍니다(배승선자 명단용)
1.산행일------4월 6일(일요일)
2.일정-------03:30 장유면사무소, 03:45 진해석동주민센터
04:00 시청, 04:30 마산역>땅끝마을로 출발, 도중에 식사
08:40 땅끝마을 도착
09:00 보길도행 배 승선, 버스 탑재
09:40 노화도선착장 도착
10:10 예송리에서 산행 출발(산행4시간30분)
수리봉>격자봉>뽀래기재>망월봉>땅끝전망대
예송리>큰길재 0.9km
큰길재>격자봉 1.8km, (12:00,누룩바위에서 식사)
격자봉>뽀래기재 1.6km
뽀래기재>땅끝전망대 2.3km
도상거리 6.6km 산행시간 4시간30분
14:40 관광:낙서재>곡수당>세연정
17:00 땅끝마을행 배 승선
17:40 땅끝마을 도착, 땅끝마을 전망대 관광
18:40 창원으로 출발
19:00 저녁식사(토방정:삼겹살 미나리 된장찌개 소주)
22:50 마산역 도착
3.회비---- 9만원(조식, 석식(식당), 배삯, 버스탑재, 보길도 입장료 포함)
경남은행574-21-0469211김식조
4.신청/문의---010-2854-5485
5.버스 탑승지/시간
6.신청방법----1.꼬리글로 신청하는 방법
아래에 꼬리글을 달아주세요(반드시 연락처 핸드폰 전화번호를 기록해주세요
그렇지않으면 아래 전화로 전번을 알려주세요. 연락처 핸드폰 전화번호가
없이 신청하시는 분은 좌석 배정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이전에 전번을
알려 주신 분은 예외)
*꼬리글 예1: 홍길동 남양초등 2명 탑승 연락처 011-000-0000
예2: 김삿갓 시청2명, 마산역 3명 탑승 연락처 010-0000-0000
2.전화로 신청하는 방법
전화번호 010-2854-5485(산행대장 지리산),
010-4642-9595 전화로 신청
보길도는 행정상으로 전남 완도군에 속하고 주위에 노화도 소안도가 있고 다도해국립공원
지역이다.보길도행 여객선은 땅끝마을과 완도에서 정기선이 왕래한다.
땅끝마을 관광은 보길도에서 돌아올때 합니다
약40분후 노화도 선착장에 도착
예송리에서 산행출발
산행이 끝나면 저 아래 세연정 관광을 합니다.
소안도 가학산에서
소안도에서 바라본 보길도
지나온 격자봉
누룩바위
산행후 관광코스--낙서재~곡수당
곡수당
멀리 동천석실은 조망관광
동천석실--줌을 당겨서
세연정
고산 尹善道(윤선도, 1587-1671)는 조선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으로 효종의 스승이였다.
정철, 박인로와 더불어 조선 시대 3대 시가인으로 불리며 광해군 때는 이이첨의 횡포를
탄핵하는 등 강직한 성격으로 여러 차례의 유배 생활을 하기도 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 왕이 적에게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고 세상을 등지고자 제주도로 향하던
중 풍랑으로 보길도의 황원포에 상륙했다가 보길도의 풍경에 반해 정착하게 되었다.
格紫峰(격자봉)아래 부용동이라 이름하고 자신만의 낙원을 꾸미기 시작한
고산은 기거 지역으로 낙서재와 학문을 익히며 여러 사람과 교우를 했던 동천석실
놀이공간인 세연정 등을 꾸며놓고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이곳에서 조선시가문학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어부사시가'등을 남겼다.
땅끝마을 전망대
땅끝마을에서 바라본 보길도
땅끝마을에서 일몰이 일품입니다. 일몰시간 18시40분
삼겹살+ 미나리+ 된장찌개+소주 저녁식사후 창원으로 출발
7.안전 수칙
1,최소 세사람이 동행하라.
한사람이 다치면 다친 사람을 보호하고 구조요청을 해야 하니까요...
2,함께간 사람들과 떨어지지 말라.
팀을 쪼개서 몇몇이 빨리 가버리면 혼자 떨어진 사람은 다쳤어도 다른 사람이 도와 줄수가 없겠죠.
3,인솔자의 말에 따르거나 대다수의 의견에 따라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참석한 몇몇이 따로따로 행동하다보면 사고의 원인 될수 있습니다.
다함께 이동면서 서로의 어려움을 나누며, 등반 하는것이 가장 현명한 판단 입니다.
4,안전한 길로 돌아가야할지 망설여질 경우 욕망에사로잡혀 무리한 판단을 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아는 길도 물어가라는 격언과 같이 갈림길이 있을 때는 반드시
이정표를 확인하고 올바른 길로 가시기 바랍니다.
자신이나 동행자 모두의 체력을 감안하지 않고 어려운길로 들어서면 힘든 상황에 처할수 있습니다.
정해진 시간에 산행을 마칠 수 있도록 시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5.필수 장비와 비상용 방수의류, 자신의 소모량 이상의 식량은 항상배낭에 넣고
다녀야 합니다.
낮은산이건 높은산이건 자신이 아무리 잘아는 산이라도 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고,
사고는 산의 높이와 관계없기 때문 입니다...
6,계절에 따른 산행안전장비를 갖추고 산행을 가야합니다.
배낭 속에는 항상 나침판,우의,장갑,손전등,핸드폰은 필수이고 겨울철에는 아이젠,스펫차,방한복
지팡이을 준비해서 출발해야합니다.
7.자신의 체력에 맞는 코스를 선택해서 여유있게 즐거운 마음으로 산행을 해야합니다.
절대로 서두러지말고 천천히 안전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등산은 성취욕이라고 무리한 산행코스로 가다보면 체력에 무리가 와서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가
있다. 항상 체력에 여유를 가지고 즐거운 산행이 될 수있도록 코스를 선택해야한다.
8.개인적으로 여행자 보험에 들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합시다.
여행자 보험은 사전에 필요한 인적사항을 보험회사에 제출하여 가입해야 합니다. 산악회에서 단체로
가입할 경우 예약자 참석여부,인적사항,가입비 등이 불투명하여 불투명한 점이 많습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 가입해 두는 것이 편리하고 확실합니다.
산행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본인의 책임입니다.
이상의 기본 안전 수칙을 숙지하시고 즐겁고 안전한 산행이 될 수있도록 합시다.
8.버스 좌석 배치도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2.19 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