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철판을 절곡하고 용접하여 개량화덕을 만드는 법을 소개드렸습니다.
이번에는 같은 내용으로 바닥용 빨간벽돌과 흙미장을 이용한 고정식 화덕 만드는 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벽돌을 이용한 화덕제작시 가장 먼저 할것은 사용할 벽돌을 이용하여 가조적을 해보는 것입니다.
화실바닥을 가장 먼저 놓습니다. 벽돌은 엊갈리게 조적합니다. 좌우로 흔들림이 없도록 하는것이죠.

다음은 바닥위에 화실벽을 쌓아갑니다. 조적을 아시는 분들에겐 상식이겠지만, 단과 단 사이는 꼭 어긋쌓기를 해야
화실벽이 구조력을 갖습니다.그래서 벽돌온장이 들어가지 않는 곳은 잘라서 조적을 합니다.
자를땐 고속절단기나 핸드그라인더를 사용하시면 깨끗하게 잘라집니다.





화실 높이는 사용자의 작업높이에 맞추는게 좋습니다.

연도 윗부분은 벽돌을 두장덮었는데 보시는 것처럼 어긋쌓기를 하여 구조적인 안정을 갖게 했습니다.

그다음 열기고리를 올리는데 이 사진은 시간관계상 폐오일깡통을 잘라서 간략하게 시연만 했습니다.
실재는 벽돌을 잘라서 황토/모래/석회(또는 시멘트)반죽으로 튼튼하게 고정해야 합니다.

사용할 솥을 올려보고 나서 바깥쪽 솥귀가 걸릴곳의 높이를 어느정도로 할것인지 정합니다.



이것은 외벽을 쌓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서 드럼통을 잘라서 사용했습니다. 이렇게 해도 사용하는데는 별 무리가
없습니다. 드럼통 바깥을 닭장철망이나 메탈라스 같은 철망을 두르고 흙반죽으로 벽체를 만들면 벽돌조적하는
것보다는 시간이 단축됩니다. (드럼통 지름은 약55cm)

드럼통 재단하는 것은 지난번 소개해드린 철물을 이용하는것과 동일합니다.









준비가 끝나면 황토1 : 모래 2~3을 잘 섞은후 그것의 20% 정도의 석회 또는 시멘트를 혼합하여
몰탈을 만듭니다. 작업중 가장 힘이 많이 드는게 몰탈 만들기일것이니 동네에 힘좋은 남자분들이
있으면 좋습니다.


벽돌은 이렇게 고속절단기에 돌자르는 날을 이용하여 자르는게 깔끔합니다.

드럼통 바닥에 가조적한 벽돌이 부착되도록 황토몰탈을 2cm가량 깔았습니다.

드럼통을 사용했기 때문에 벽면쪽의 벽돌은 둥글게 재단을 해야합니다. 그래서 잘라낸 드럼통중 안쓰는 부분을
이용해서 이렇게 잘라낼 부위를 매직으로 표시합니다.

벽돌재단이 끝나면 가조적한것과 동일하게 조적을 합니다.
수평에 주의하면서 쌓아 나가야 합니다.(수평계는 꼭 필요하겠죠?)

나무가 들어가는 화실 안쪽을 몰탈로 미장하듯 얇게 바른뒤 물을 묻힌 붓으로 가볍게 칠해주면 표면이 말끔하게
정리됩니다.

화실 상판이 덮히는군요.

상판이 덮히면 화실과 외벽체 사이를 단열시켜야 불온도가 올라갑니다.
불은 단열(보온)이 잘되면 연소온도가 올라가는 특징이 있어서 화덕이든 난로든 화실은 할 수 있는한
최대로 단열을 시키는게 기본입니다. 화실을 냉각시킬 수 있는 어떤것도 옆에 두면 안됩니다.
단열재로 사용한 농업용 펄라이트가 화실에 떨어지지 않도록 골판지로 연도쪽을 덮고
외벽체 사이를 단단하게 채웠습니다.

단열재가 빽빽하게 들어갔으면 그 위를 황토몰탈로 미장합니다.

그 다음 내부 열기고리를 만듭니다. 열기고리의 뚫린 부분은 화실방향입니다. 화실에서 올라온 열기가 막바로
연통으로 나가지 않고 앞으로 나갔다가 열기고리와 외벽사이를 돌아서 연통으로 나가기 때문에 열 이용율이
기존 화덕보다 높습니다. 장작소모량이 1/5이하로 낮아지는 비결이죠.

그리고 열기고리 옆은 100원짜리 동전크기정도로 홈을 파면 좀더 효율이 높아집니다.
작은 양의 열이 좌우로 먼저 빠지면서 전체적인 열 압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화구는 보시는 것처럼 문을 만들어 두면 화력조절하기가 쉽습니다.
화구가 너무 크면 화실로 유입되는 공기가 많아서 화실을 냉각시켜 연소효율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초기착화가 끝나고 불이 활활탈때 화구문을 적당히 닫아두면 불이 더 잘탑니다.

40~50리터의 물이라면 길어야 30분이내로 펄펄끓습니다. 나무도 기존 화덕보다 훨씬 적게 들어갑니다.
해볼만한 작업이라 생각됩니다.


참고자료 : http://cafe.daum.net/saja109/CSoi/26?q=%B0%B3%B7%AE%C8%AD%B4%F6%20%B8%B8%B5%E9%B1%E2&re=1
http://cafe.daum.net/saja109/CSoi/35?q=%B0%B3%B7%AE%C8%AD%B4%F6%20%B8%B8%B5%E9%B1%E2&re=1
http://blog.naver.com/lhy692/701649668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