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양고 전통 취타대의 역사.
1. 취타의 유래 및 취타대 연혁
대취타(大吹打)란?
1971년 6월 10일 중요무형문화재 제46호로 지정된 대취타는 호적. 나발. 소라(나각). 태평소 등 관악기와 징. 북(용고). 바라(자바라). 장고 같은 타악기로 편성되어 왕의 거동이나 귀인의 행차, 그리고 군대 행진에서 선전관청과 영문에 소속되 취타수에 의하여 연주되던 행진곡풍 군례악(群禮樂)이다.
아명으로는 무령지곡(武寧之曲), 속명으로는 대취타, 세칭 구군악(舊軍樂)이라고도 한다.
취타란 불고(吹), 친다(打)는 뜻으로 취타를 고취(鼓吹), 고취악(鼓吹樂)이라고도 하는데, 불고치는 군악기에 북. 장구. 피리. 젓대. 해금이 취타에 합쳐진 것을 대취타라 한다.
순수한 군악기만의 취주(吹奏)를 취타라 하고, 피리, 젓대. 해금 같은 일반악기의 취주를 세악(細樂)이라 하였다. 취타의 주자를 취고수 또는 취악내취라 하며, 세악의 주자는 세악수 또는 세악내취라 하였다.
취타와 세악으로 구성된 대취타와 악수 중 황의초립(황의초립)차림의 취악내취는 호적, 나발, 나각, 대각, 바라, 장고, 용고, 징, 나 등의 악기로 한 조를 이루어 군중의 행진곡, 승전곡의 취타를 주로 연주학 세악수 연주에도 합주하였다.
취고수의 악곡 종류는 대취타, 소취타에 불과하고 세악수는 취타가곡(吹打歌曲)(도드리)등 짧은 곡을 연주하였다.
현재 연주되고 있는 악기는 호적(태평소)만이 선율을 연주하며 나각. 나발과 같은 단음 악기와 북. 장구. 징. 자바라 등의 타악기로 편성된다.
대취타 중심의 음악내용은 7장으로 구성되었으며, 1장단은 12박으로 소삼(小三). 대삼(大三)이 모여 이루어졌다.
이 곡은 모두 19각 반각으로 되어 있는데, 제7장 끝에서 제1장 3박으로 반복되는 도드리(還入)형식으로 되어 있다.
연주자 외에 시작과 끝을 알리는 집사(執事)는 지휘봉이라 할 수 있는 등채을 들고 "명금일하대취타(鳴金一下大吹打)하랍신다."하고 호령하면 연주가 시작된다.
취타의 수는 작우(雀羽)가 꽂힌 초립을 쓰고 누른색의 천릭(天溺)에 남전대(藍纏帶)를 띠고 미투리를 신는다.
취타는 고구려 안악 제3호분인 동수묘에서 전정고취 등 모습이 보이고 백제에서도 고, 가 등 고취악기가 쓰였다는 것으로 봐서 고취수들의 행진음악은 이미 삼국시대에 있었던 것을 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궁중의식과 군사행진시에 고취악이 사용되었음은 <고려사> 악지(樂志) 용고취악절도에 기술되어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선정관청에 대취타가 있었고 오영문(五營門)과 각 지방의 감영(監營). 병영(兵營). 수영(水營) 등에도 각각 취타수가 있었으며, 각 고을에는 소쉬타(小吹打)를 두었다.
대한제국 대취타의 마지막 명맥이었던 당시 겸내취 임원식에 이어 최인서가 겸내취의 법통을 이어 왔으며, 현재는 정재국이 이어 오고 있다.
대취타는 비록 타악기 중심으로 몇 개의 취악기로 편성되지만 호령하듯 위엄이 있는 장쾌한 음악이다.

참고문헌 : (재단법인/한국문화협회발행 :취타대)
2. 연주활동 현황
* 2006년 연주 현황 *
1. 구포장터 <3.1만세 운동>재현행사 : 03.14. / 구포시장~ 구포역 일대.
2. 제44회 진해 군항제 <이 충무공 승전기념> "길놀이"행사 : 04.04./ 진해공설운동장.
3. 광안리 <어방축제> "길놀이"행사 : 04. 15. / 수영구청~ 광안리 해안가.
4. <어린이날 큰 잔치> 행사 개막 연주 : 05.05 / 사직 아시아드 경기장.
5. <밀양아리랑>대축제 "길놀이" 행사 : 05.06 / 밀양시청( 우천으로 행사 취소)
6. 진주 <논개제> 개막식 및 "길놀이"행사 : 06.19 / 진주 촉석루
7. 기장 <차성문화제> : 06. 17 / 기장 시청
8. <아리랑 마츠리> 조선통신사행렬재현 행사 : 08. 05~ 07. / 일본 대마도
9. 조선통신사 <에도를 향한 문화 대축제> 조선통신사행렬재현 행사 : 08. 17~ 21. / 일본 시모노세키
10. 제12회 <고교 합주 발표회>연주 : 09. 21 / 부산학생교육문화회관.
11. 조선통신사 <평화의 행렬> 조선통신사행렬재현 행사 : 09.23 / 용두산공원~ 광복로.
12. 진주 <개천 예술제> 개막식 축하 연주 및 "길놀이"행사 : 10. 04. / 진주 촉석루
13. <동래 읍성 축제> 개막식 연주 : 10. 11 / 동래 구청
14.<동래 읍성 축제> 동래부사 "길놀이"행사 : 10.13./ 온천천
15. 전라 나주 <영산문화 축제> 행사 : 10.21~ 22. / 전라도 나주
16. 조선통신사 동경 <에도 입성 성신교린 축제>조선통신사행렬재현 행사 : 10.28~ 30. / 일본 동경.
* 2007년 연주 현황 *
1. 제45회 진해군항제 <이 충무공 승전기념>행렬 "길놀이"행사 : 03. 27/ 진해공설운동장.
2. 광안리 <어방 축제> "길놀이"행사 : 04. 15 / 수영구청~ 광안리 해안가.
3. 조선통신사<평화의 행렬> 조선통신사행렬재현 행사 : 05. 05/ 용두산공원~ 광복로 일대
4. 2028회 <노인체육대회> 개막식 축하 연주 : 05.15 / 구덕 실내체육관
5. 일본 JR그룹(교원공제회) 부산방문 축하 연주 : 05.11 / 부산국제여객터미널
6. 조선통신사 <아리랑 마츠리> 행렬재현 행사 : 08. 04~ 06 / 일본 대마도
7. 제24회 <장애인 기능경기대회> 시상식 축하 연주 : 09.03 / 부산 벡스코
8. 진주 <개천 예술제> 개막식 및 "길놀이"행사 : 10. 04. / 진주 박물관
9. 동래 읍성문화 축제 "길놀이"행사 : 10. 13 / 동래구청 ~ 동래 읍성
10. 2007<마리니크(부산국제조선해양대제전)> 개막식 연주 : 10.24 / 부산 벡스코
11. <낙동 예술제> 축하 연주 : 10.26 / 북구 구포초등학교
12. '07<북구 학부모 친선체욕대회> 개막식 연주 : 10. 27. / 화명동 구민운동장.
* 2008년 연주 현황 *
1. 제46회 진해 군항제 "이 충무공 승전기념>행렬 "길놀이"행사 : 04. 08 / 진해공설운동장.
2. 마산 <마리니크>개막식 축하연주 및 "길놀이"행사 : 05. 01 / 마산 공설운동장
3. <밀양아리랑축제> 개막식 축하연주 및 "길놀이"행사 : 05.03 / 밀양 시청~ 남천강 일대
4. '08 <쓰시마 아리랑>축제 조선통신사행렬재현 행사 : 08.02~ 04. / 일본 대마도
5. 시모노세키 <바칸 마쓰리> 조선통신사행렬재현 행사 : 08. 22~ 26. / 일본 시모노세키
6. <자갈치축제> 개막식 축하연주 및 "길놀이"행사 : 10.09 / 용두산공원~ 광복로~ 자갈치 시장
7. 불교행사<백고좌 대 법회> 축하 연주 : 10. 19 / 부산 벡스코
8. 동경 <에도 입성>조선통신사행렬재현 행사 : 10. 25~ 27 / 일본 동경
9. <방과후 연구학교> 발표회 축하 연주 : 22. 05. / 사직고등학교.
* 2009년 연주 현황 *
1. 제47회 진해 군항제 <이 충무공 승전 기념> 개막식 축하연주 및 "길놀이"행사 : 03. 31 / 진해 공설운동장
2. <조선통신사 3사 임명식> 및 조선통신사행렬재현행사 : 04.11 / 창경궁 명정전 ~ 명동일대
3. 조선통신사 <평화의 행렬>조선통신사행렬재현 행사 : 05. 03 / 용두산공원~ 광복로 일대
4. 제52회<밀양아리랑>축제 "승장행렬" 연주 : 05.08 / 밀양시청 ~ 남천강변
5. '09 <쓰시마 아리랑> 축제 조선통신사행렬재현 행사 : 08. 01~ 03. / 일본 대마도
6. '09 시모노세키 <바칸 마쓰리> 조선통신사행렬재현 행사 : 08. 21~ 25. / 일본 시모노세키
7. '09 <부산. 후쿠오카 우정의 해> 조선통신사행렬재현 행사 : 09. 18~ 22. / 일본 후쿠오카
8. 제68회 <UN의 날> 기념식 및 행렬재현 : 10.23 / 부산 UN평화의 공원
9. 고3 선배를 위한 "수능대박 기원" 연주 : 11. 11. / 본교 목련관~ 교문.
3. 부산백양취타대의 역사
우리학교 취타대는 1977뇬에 창단하여 2010년 현재까지 400여명의 단원을 배루한 자랑스런 동아리로 1981년 민속경연대회 금상 수상,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개막식 연주 등 매년 부산 경남 등 인근 지역의 각종 문화예술 행사에 10여회 참여, 2002년 이후 당시 취타대 지도교사였던 정대호선생님(현재 본청 장학사)의 노력으로, 일본으로 <조선통신사행렬>재현 행사에 참여하여 우리 전통문화의 맥을 잇고, 정서순화는 물론 인성함양 및 연주활동을 통해 국위선양 등 민간사절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여 본교의 위상을 드높이고 있는 자랑스런 동아리이다.
2007년 전문계에서 인문계로 전환됨에 따라 없어지지 않나 하는 우려도 있었지만, 당시 구자익교장선생님의 배려와 <방과후 학교> 연구학교로 지정되어, 방과후 연습 또는 토요휴무일 연습으로 그 맥을 이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현재 허태운 교장선생님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전통을 자랑하는 동아리로 거듭나고 있으며, 선 후배간의 우애도 깊으며 서로 가르쳐 주고 정보도 교환하며 자율적으로 연습하는 독특한 동아리이다.
4년간 지도교사를 맡으며 많은 추억이 묻어 있는 취타대를 떠나며 대원들의 건강과 무궁한 발전을 기원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