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도수련원은 좌산 종법사님을 모시고 원기84년 6월 봉불식을 할때 참가 한 후로 몇차례의 행사때 마다 방문을 하였으나 이번 훈련에는 훈련원의 이곳저곳을 살펴보고 답사기를 쓰고자 마음 먹었다.
일반적으로 무관심하게 볼때는 안보이던 것이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보면 보인다는 것과 같이, 답사기를 써보고자 하니 아무래도 세밀하게 관찰을 하게 되어진다.
봉도수련원은 서울 수도권에서 가장 가까운 훈련 도량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찾는 우이동 계곡의 입구에서 대략 300미터 지점에 마치 보물과 같이 숨겨져 있다.
지리적 명칭으로 보면 북한산 국립공원의 인수봉과 백운대를 앞에두고, 도봉산 자락을 뒷품으로 하는 우이동 신선골내에 위치를 하고 있다.



(여러각도에서 바라 본 훈련원 모습)
수련원의 앞면와 양측면으로는 물이 흐르는 계곡이고 뒤로는 산으로 둘러싸여, 수련원으로 들어가는 입구가 아니면 들어 오기가 어렵게 되어 있어, 마치 중세기 무렵 성의 외곽에 도랑을 파서 물이 흐르도록 하여 외부의 칩입을 막는 것과 같은 천연 요새 지형을 갖추고 있는 형상이다.
따라서 많은 일반인들이 우이동계곡에 원불교의 수련원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잘 모르고 있는 것 같다.
이번 훈련에 처음 참가를 하게 된 신입교도 들도 이전에 우이동 계곡을 많이 방문하여 보았지만 이곳을 잘 찾지 못하였다고 이야기들을 한다.
또한, 울창한 수목으로 수련원 건물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도록 가려져 있는 것도 한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본 봉도수련원은 전체적으로 3,500여평의 면적에 현재는 지하1층 지상3층의 훈련원 1채의 건물만이 자리를 잡고 있다.
나머지 면적에는 잘 가꾸어진 잔디밭과 여러종류의 나무들이 들어차 있다.
소태산 대종사님께서 원기 25년(1940년)에 제자 상산 박장식님, 팔타원 황전신행 등과 같이 서울교화의 적지를 물색 하시던중 이 동산에 잠시 머물러 쉬시면서 '이곳이 장차 수도 도량이 될 것이다' 라고 점지를 하셨고, 그 당시는 일본의 식민지 상태라 광복 후에 이 땅의 새주인이 된 신원관, 전은덕 내외분이 김원공 교도의 연원으로 원불교에 입교를 하게 되자 이 땅을 교당에 희사하여 오늘날 봉도수련원이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봉도수련원의 이름은 봉산 신원관님과 도타원 전은덕님의 법호 앞자를 각각 따서 봉도라고 붙여지게 되었다.
이전에는 봉산원이라고 불려졌으며 봉산원이라고 새겨진 커다란 바위가 현재 훈련원 터에 놓여져 있다.

(봉산원 기념석)
아울러, 이 터를 수련원터라도 점지하여 주셨던 대종사님의 뜻이 실현되었음을 기념하고자 원기 85년(2000년)에 세워진 기념비가 봉산원 바위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성적비 모습)
수련원 뒷터 부근에는 본 수련원 터를 희사하신 봉산님과 도타원님을 기리기 위한 흉상 조각과 함께 두분의 묘지가 모셔져 있다.
이곳에 계시는 두 분은 얼마나 행복 할 것인가?
이곳 훈련 도량에 참가하는 모든 원불교인이 두사람의 공적을 기리고, 또한 수련터에서 교도들과 함께 호흡을 하고 있다는 것 만으로도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봉산님과 도타원님이 모셔진 묘지 및 흉상)
현재의 수련원 건물은 1층에 대법당과 수련원 사무실이 배치되어 있고, 2층은 수련원에 참가한 사람을 위한 숙소, 3층은 다목적용의 선실과 주거용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 1층은 식당이 만들어져 있다.
3층이지만 건물의 원통형 계단 중앙으로는 장애자를 위한 엘리베이터를 설치한 배려의 흔적이 돗보인다.

(1층 대법당)
훈련 받는 동안 3층의 선실에서 기도를 하고 있으면 창밖을 통해 새소리, 바람소리, 그리고 물소리가 들리면서 여기가 서울이 아닌 저 멀리 다른곳에 와 있다는 착각을 갖도록 하는 매력을 주는 곳이 봉도수련원이다.

(3층에 마련된 선실)
이런 자연적인 환경과 도심에서의 접근성에 따라 최근에는 원불교 교도의 자체적인 훈련보다는 비교도의 훈련 장소로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아직은 수련원의 건물이 크지 않아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은 아니지만 장차 남아있는 수련원 터를 이용하여 더 좋은 추가의 훈련시설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확신을 해 본다.

(수목 사이에 놓여져 있는 석물)
방문일자 : 2007년 5월 27일
작성일자 : 2007년 5월 29일
주소 :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 309번지 (전화 : 993-0029 )
홈페이지 : http://www.joins21.com/bong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