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가림미술서예전문학원 원문보기 글쓴이: 가림
부수를알면 한자가쉽다
1. 위, 아래에 모두 부수 한자가 있는 경우, 위의 것을 부수로 한다. 例 : 男(田),美(羊) 2. 왼쪽, 오른쪽에 모두 부수 한자가 있는경우, 왼쪽의 것을 부수로한다. 例 : 村(木),仁(人) 3. 안과 밖에 모두 있는 것은 바깥쪽의 것을 부수로 한다. 例 : 閑(門),國(口) 4. 가운데 아래와 왼쪽 위에 부수 한자가 함께 있는 경우 에는 가운데 아래에 있는 것을 부수로 한다. 例 : 坐(土),年(干) 5. 아래와 왼쪽위,혹은 오른쪽과 왼쪽 위에 모두 부수 한자가 있는 경우에는 아래나 오른쪽에 있는것을 부수로 한다. 例 : 梨(木),努(力),肄(聿) *물론, 이상의 다섯 가지는 원칙일뿐, 모든 한자가 이 원칙에 해당 되는것은 아니다. 하지만 상당수의 한자가 위의 원칙에 따라 부수를 정하고 있으므로, 부수를 잘 모르는 한자의 경우 부수를 찾을 때에는 이 원칙 들이 참고가 될수 있다. 漢字部首解說(한자부수해설) 【 一 劃】 一 (한일) 지사자=가로 획 하나로 하나의뜻을 나타냈다. 上 丁 世 丨(뜷을곤)지사자=위에서 아래로 한 획을 그어 위에서 아래로 관통한다 는 뜻. 中 串 丶(점주) 상형자= 불꽃을 그린것이다. 主 丸 丹 丿(삐침별)상형자=오른에서 왼쪽으로 뻐쳐 나간 모습을 그린 것이다. 乃 之 乘 亅(갈고리궐 상형자= 거꾸로 휘어진 갈고리를 그린것이다. 事 予 了 乙 (새 을)... 배가 불룩한새의 모양을 그린자, 또는 초목의 싻이 구부러져 나오는 모양을그린 자, 九 也 【 2 劃】 二 (두이) 지사자= 가로획을 둘로 둘의뜻을 나타낸것. 五 于 井 亠(두,뜻미상)=본래 뜻을 알수없으나, 돼지 亥(해) 머리라고 표현하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京 亡 交 人(사람인) 상형자= 사람이 옆으로 서있는모습을 그린것. 仁 今 以 儿(어진사람인)상형자= 사람인자를 다른형태로 쓴글자이다. 兄 元 光 入들입)상형자=끝이 날카로운 모양을 그린 것으로 끝이 들어가기 쉽다는 뜻을 나타낸다 는 학설.內 兩 全 八(여덟팔)지사자=서로 나누어 갈라진 모양을 본떠서 ‘나누다’라는 뜻을 나타 낸다.公 兵 其 冂(멀경)상형자=冂은경좌우의두획은문(門)의두기둥을 그린것이고 가 로획은빗장을 그린 것이다. 冊 再 冒 冖(덮을멱)상형자=집 또는 지붕을 그린것이다 ‘쓰다’ ‘덮다’라는 뜻이 여기 서 나왔다. 冠 冥 冫(얼음빙)상형자=얼음이 언 모양을 그린것이다冫부에 속하는 글자는 대부분 얼음을 뜻한 것이다. 冬 冷 凍 几(안석궤,의자궤)상형자=앉아있을때기대는도구를그린 것이다.几부에는 (걸상등)을제외한 나머지 글자들은 원래모양과는 상관없이 이 해서체를 기준으로 한 분류에 따라 이 부에 들어 갔을 뿐이다. 凡 凰 凱 凵(입벌릴감,구덩이감)상형자=땅이 움푹 파인 모습을 그린 것으로 (구덩이감) 자의 원시 형태이다.出 凶 函 刀(칼도)상형자=칼을 그린것이다 刀는 날이 한쪽에만 있는칼을 뜻하고 劍(검은 날이 양쪽에 있는 칼을 뜻한다. 分 列 切 刂(선칼도방)‘참고’刀(도)가 방에 쓰일때의 글자모양으로, 별도의 부수 力(힘력)상형자:쟁기‘耒(뢰)’그린것이다,쟁기경작하려면 힘을 들여야 하므로, ‘힘’ 이라는 뜻이 여기서 나왔다. 加 動 功 勹(쌀포)상형자:사람이 등을 구부려 무엇인가를 감싸안고 있는 모양을 그린 것이다. 勺 包 勿 匕(비수비):사람이 허리를 굽히거나 엎드려 있는 모습을 본 뜬 것이라는 설과 숱가락을 그린 것이라는 설 이 있다. 化 北 匙 匚(상자방)상형자:물건을 담는 그릇을 그린 것이다.匚(방)부 에속하는 글자 대부분‘그릇’‘상자’ 의 뜻과 관계가 있다. 匣 匪 匡 匸(감출혜)회의자:ㄴ(濦)는 감춘다는 뜻이고,그위에一을써서 그것을 가리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區 匹 匿 十(열십):갑골문에서는단순히‘丨’ 으로썼다. 고대 계산기의 표시법, 손바닥을 그린것, 가로획과 구별하기 위한표시 등 여러 학설이 있다. 千 卒 南 卜(점복)상형자:거북의 등 껍질을태워 그것이 갈라진 모양을 그린 것이다. 중국 (殷)나라에서는 이것을 보고, 吉凶(길흉)을 점쳤다고 한다. 占 卦 卞 又(우)상형자:갑골문,소전,금문을 보면 오른손을 그린 것이다.友 反 及 受 卩(병부절)상형자:사람이 끓어앉아 있는 것을 그린것으로 跪(궤) 자의 원시 형태이다, 卩(절) 부에 속해있는 글자는 ‘사람’과 관계있는 뜻이많다.卷 卯 危 厂(언덕한,기슭엄)상형자:산의 바위아래 움푹 둘어간곳을 그린 것이다. 厂(한)부에 속하는 글자들은‘산’ ‘언덕’ 이라는 뜻 외에 ‘집’과도 관련 있다. 厄 厚 原
厶(사사사,아무모):厶(사)자는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다는 학설이 있으나, 정설은 없다.去 參 【 3 劃】 口(입구)상형자: 사람의 입 모양을 그린 것이다. 可 同 史 囗(나라국,웨울위)상형자:둘러싼모습을그린것이다.‘둘러싸다’ ‘주위’ 라는 뜻으로는 본래 이 글자를 써야하는데 圍(위)자가 널리 쓰이면서 囗 부에 속하는 글자는 ‘울타리’와 관계있는 뜻이 많다.四 國 回 圓 園 團 圖 土(흙토,뿌리두,쓰레기차)상형자: 흙더미를 그린 것이다. 在 地 坐 士(선비사)상형자:소 의 생식기 를 그린 것이다.선비,현자, 학식이 있으나 벼슬하지 않은 사람. 壬 壹 壯 夂(뒤쳐져올치)상형자:사람의 발을 그린止(지)자를 거꾸로 한 것으로,‘이동하 다’,‘움직이다’, ‘걷다’, 등으로의 뜻을 나타 낸다.各 夊(천천히걸을쇠)상형자: 위 뒤쳐져올치와 같은뜻,夏 夕(저녘석)상형자:달을 그린 것이다. 外 多 夜 大(큰대)상형자:사람이 정면으로 서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어린아이 를 뜻하는 子(자)의 상대 개념으로, 成人(성인) ‘크다’ 라는 뜻은 여기서 나왔다. 天 太 夫 女(계집녀)상형자:여자아이가 무릅 끓고 두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않아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好 妻 委 子(아들자)상형자: 어린 아이의 두 팔을 그린 것이다.字 孔 孤 宀(집면)상형자:집을 그린 것이다.宀(면)부에 속하는 글자들은 대부분 ‘집’ 과관계있는 뜻이 많다.安 宗 家 寸(마디촌):지사자:사람의 손又(우)에서 1寸(촌)되는 곳에 동맥이 있는데, 이곳을 (寸口)라고 한다그곳을표시한 것이다.寺 將 尊 小(작을소)지사자: 작은점 3개를 흐트린것이다, 이것으로 ‘작다’라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少 尖 尙 兀(절음발이왕)상형자:사람의다리한쪽이굽어져있는 모습을그린 것이다.大(대) 자에서 한 획을 굽혀절음 발이를 나타냈다. 尤 尨 尸(주검시,베풀시)상형자:사람이 어디엔가 걸터앉은 모습을 그린 것이다.屎 尿 屮(왼좌,싹날철):상형자:왼손을 그린 것이다.屯 <純> 山(메산)상형자:산 봉우리가 셋인 산을 그린 것이다. 岡 岩 崩 川(내천)상형자:개미허리 라고도한다,개미허리는 부수로만 쓰인다.川(천)자는물이 흘러 가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州 巡 工(장인공)상형자:옛날 사람들이 사각형을 그릴 때 쓰던 도구를 그린 것이다. 巨 左 差 己(몸기):몸 자기 자신, 사사로운 욕심,다스리는 사람의뜻.巳 巷 巽 巾(수건건)상형자:수건 을 걸어 놓은 모습이다.巾(건)부에 속하는 글자는‘면직물’ 과 관계있는 뜻이 많다. 市 希 帝 干(방패간):상형자: ‘끌이 두갈래로 갈라진 사냥도구’ 또는 ‘방패’ 를 그린 것이다. 平 幸 年 么(작을요):상형자=絲(실사)실이 한 가닥 묶인 모습을 그린 것으로 ,(가는실멱,실사)원시 형태이다.幼 幾 广(집엄,돌집엄):상형자=높은 바위위에 있는 집을 정면으로 바라본 모습이다. 广(엄)부에 속하는 글자는 대부분 ‘집’과 관계있는 뜻이 많다. 床 康府 廳 廴(길게걸을인)상형자: 사거리를 그린 상형자인 行(다닐 행) 자의왼쪽 부분인 彳(조금 걸을 척) 자의 변형이다.부수로는(민책받침) 廷 建 延 廻 廾(들공,스물입)회의자 : 두 손屮(좌)와 又(우)으로 무엇을 받 들고있는모습이다.屮는 왼손이고 又는 오른손으로 모두 의미 부분이다.廾부에 속하는 글자는 대부분 손으 로무엇을 한는 뜻과 관련이 있다.弄 弁 弊 弋(주살익)상형자: 아래쪽 끝 부분이 뾰족한 ‘말뚝’ 을 그것이다.※弋은새를 잡는데 쓰는, 실을 단 화살,式 弑 弓(활궁)상형자 : 활을보고 그린 것이다.弔 引 弘 弗 弟 彐(돼지머리계,고슴돗머리계)상형자 : 끝이 뾰족하게 머리를 위로 치켜든 돼지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彐부에 속하는 글자들은‘돼지’의 뜻과는 관계가 없다.‘터진가로 왈’ 이라고도 함.彙 彡(터럭삼)상형자 : 어떤 무늬를 그린 것이다. 彡은 글자의 구성요소에서 ‘수염.털’ ‘색깔무늬’ ‘빛.그림자’등을 표시한다. 形 彫 彰 影 彳(조금 걸을 척)상형자 : 사거리를 그린 상형자인 行(다닐 행) 자의 왼쪽 부분이다. 彳부에 속하는 글자는 대부분 ‘가다.이동하다’와 관계가있 는 뜻을 갖는다. 待役 後【 4 劃】 忄(심방변) : ‘心’이 변에 쓰일 때의 글자 모양으로 , 여기서는 별도의 부수로 다루었다. 手(수)상형자:사람의 다섯 손가락과 손등을 뜻하는 글자.才 扶 承 扌(재방변) : ‘手’ 가 변에 쓰일 때의 글자 모양으로, 여기서는 별도의 부수로 다루었다. 氵(삼수변) : ‘水’ 가 변에 쓰일 때의 글자 모양으로, 여기서는 별도의 부수로 다루었다 辶(책밭침):‘辵’(쉬엄쉬엄걸을착)이 부수 로쓰일때의글자모양으로, 여기서는 부수로 다루었다. 犭(개사슴록변):‘犬’(견)이 변에 쓰일때의 글자 모양으로, 여기서 는 별도의 부수로 쓰인다. 阝(우부방):‘邑’(읍)이 방 에 쓰일 때의 글자 모양으로, 별도의 부수,郞 郡 部 都 阝(좌부변):‘阜’(부)가 변 에 쓰일때의 글자 모양으로 , 별도의 부수, 降 限 院 心(마음심)상형자: 사람의 심장 모양을그린것이다,忠 情 恭 戈 (창 과)세갈래진 창을 그려서 [무기]의 뜻으로 쓰이는 글자이다. 戈劍(과검) 成 我 戌 戶(지게문호)상형자: ‘門’(문)의 한 쪽을 그린 것이다.所 房 扇 支(지탱할지)회의자:원래 대나무가지를 친다는 뜻으로,손又(우)으로 대나무의 반쪽을 잡고 있는 모습이다. 대나무의 가지를 쳐서 장대를 만들 고 그것으로 물건을 지탱하므로, ‘지탱하다’ ‘;지지하다.’라는 뜻 이다. 枝 技 攴(칠복)형성자:又(우)는의미부분이고,卜(복)은발음 부분이다. 攴(복)부에 속하 는 글자는 대부분 ‘손으로무엇을 하다“ 라는 뜻과 관계가 있다. 改 敏 敍 敎 文(글월문)상형자:어떤 무늬를 그린것이다.여러선 을 겹쳐 놓은 모습을 하거 나 그 안에 무슨 무늬를 넣은 형태를 그린 것이다. 斑 斌 斗(말두)상형자:물건의 양을 잴때쓰던,자루가 달린 용기를 린것이다. 料 斜 斡 斤(날근,도끼근)상형자:도끼를 그린 것이다.베거나 자르는데 쓰는 기구. 新 斬 斯 方(모방,방향방)상형자:본래 쟁기耒(뢰)를 그린 것이였으나, 뒤에 ‘네모’‘방법’등의 뜻으로 가차되었다.族 旋施 无(없을무)상형자:無(무)의 古字,방에 쓰일때는 글자모양이 无(무)로 된다. 旣 日(날일)상형자 : 해를 그린 것이다.易 昔 春 曰(가로왈)지사자:말이 입口(구)에서 나오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가로되, 말 하기를, 등의 뜻을 나타낸다. 書 最 會 月(달월)상형자 : 이지러진 달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有 朝 朔 木(나무목)상형자:줄기,뿌리,가지를 갖추고 서 있는 나무의 모양을 그린 것이다. 未 本 東 欠(하품흠)상형자:입 을 벌려 입김을 내보내는 사람을 그린 것이다.欠(흠)부 에 속하는 글자는 ‘呼吸(호흡)’‘慾心(욕심)’과 관계있는 뜻이 많다. 次 欲 歡 止(그칠지)상형자 :사람의 발목 아랫부분을 그린것이다止(지)부에 속한 글자들은 ‘이동’ 과 관계있는 뜻이 많다. 正 武 歸 歹(뼈앙상할알)상형자;살을 발라낸 뼈의 잔해 를 그린 것이다.歹 (알)부에 속한 글자들은 ‘죽음’과 관련된 뜻이많다. 死 殃 殘 殳(몽둥이수,칠수,창수)회의자:손[又(우)]으로 창 을 쥐고 있는 모양인데, 几는 창 모양 이 변형된것이다. 손에 물건을 쥐고 다룬다는 뜻이므로 殳는 又·攴(복)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殺 毆 殿 毋(말무)상형자:毋와母(모)는 본래 한글자였는데 후에母 자의두 점을 한획으 로 그어 ‘....을 하지 마라’는 뜻의 毋(무) 자를 만든 것이다. 母 毒 每 比(견줄비)회의자):두 사람이 나란히 있는 모습이다. ‘가깝다’,‘비교하다’ 등의 뜻은 여기에서 나왔다. 毖 皆 毛(털모)상형자:머리카락 이나 수염 또는 짐승의 털 을그린 것이다. 毫 <耗> 氏(각시씨):같은 혈통의갈래, 나무의뿌리 柢(뿌리저)를 그린 것으로氏(씨)는 나무의 뿌리라는 뜻에서 파생 되었다는 학설이 있다. 民 紙 气(기운기)상형자):구름이 피어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气(기)부에 속하는 글자 는 대부분 ‘기운’ 과 관꼐있는 뜻이다.氣 水(물수)상형자: 물이 흘러 가는 모양을 그린것이다.永 氷 沓 泉 漿 火(불화)상형자:불길이 위로 솟으며 타오르는 모습을 그린것이다. 炭 炳 焦 無 灬(연화발):‘火’(화)가 발에 쓰일때의 글자모양 으로,여기서는 별도의 부수로 다루었다. 爫(손톱조)상형자;손과 손가락을 그린 것이다.爫(조)손톱의 글자는 대부분 ‘손’이 나‘손톱’과 관계있는 뜻을 가진다. 爭 爲 爬 父(아비부)회의자:손에 도끼를 들고있는 모습으로,남자가 도끼를 들고 일을 한다는 뜻이다.. ‘아버지’라는 뜻은 여기에서 파생 되었다. 釜 爺 爻(효효,가로그을효)상형자:<주역(周易)>의 卦(괘)가 서로 엇갈려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爽 爾<學> 爿(조각장,널장)상형자:침대를 그린 것으로,牀(평상상)자의 원시 형태이다. 爿 (장)부에 속하는 글자는 ‘나무판’ 과 관계있는 뜻이 많다. 牀 牆 將 片(조각편)지사자;나무 木(목)자 의 오른쪽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版 牌 牒 牙(어금니아)상형자:입을 다물었을 때 아래위의 어금니가 맞닿은 모양을 그린 것이다. 芽 鴉 牛(소우)상형자: 소의 뿔을 강조하여 그린 것이다. 物 特 牧 犬(개견)상형자):배가 들어가고 꼬리가 올라간 개의 특징을 그린 것이다. 狀 狂 猜 耂(늙을로엄)6획 :‘耂’(로)가 엄에 쓰일 때의 자형.老 耉 王(구슬옥변)5호획 :‘玉(’옥)이 변에 쓰일 때의 자형.玉 璽 璧 王 珍 現 艹(초두머리):6획‘艸(’초)가 머리에 쓰일 때의 글자 모양으로, 별도의 별도의 부수. 花 葉 苦 【 5 劃】 玄(검을현)상형자:금문에서는 ‘么(요)’로썼는데,실을 한 타래씩 묶은 모습으로 絲(사) 자의 원시 형태이다. 率 玆 瓜(오이과)상형자: 넝쿨에 박이 달려 있는 모습을 그린것이다. 孤 狐 瓦(기와와)상형자:기와 질그릇, 두 개의 기와가 하나는 누워 있고 하나는 엎어져 있는 모양을 그린 것이다. 甁 甕 瓷 甑 甘(달감)지사자 : 입口안에 무엇인가 를 머금고 있는 모습이다 머금고 있는 것은 대체로 맛있는 경우 이므로 ‘맛있다’‘달다’ 등의 뜻을 나타낸다.甚 柑 生(날생)상형자;풀이 땅위로솟아난 모습을그린 것이다.옛날중국 사람들은 여 기에서 ‘생명' 을 느꼈던 것 같다. 産 甥 用(쓸용)상형자:감옥이나 나무울타리 의 모양같으나, ‘卜(복)’과‘中(중)’을 합한 모양이라느니, 화살을 그릇에 넣은 모습이라느니, 하는 여러 가지 설이 있음 물건속에 넣는 뜻에서 꿰뚫고 나가다, 물건을 쓰다, 일이 진행되다 의 뜻을 나타냄,.甫 甬 田(밭전)상형자: 사냥하는 구역이나 경작지의 구역을그린 것이다. 由 申 町 男 甸 畓 畝 畏 疋(필필,발소)상형자:사람의 종아리에서 발 까지그린것이다. ‘疋(필)’‘匹(필)’ 피륙 을 세는 단위 疎 疑 疏 疒(병들어누울녁)‘병질엄’회의자:사람이 침대 위에 누워 있는 모습이다. 사람 이 병이 나서 침대에 누워 있다는 뜻을 나타낸다,疒(녁)부 에 속하는 글자는 대부분 病(병)과 관계있는 뜻을 가진다. 病 痢 痘 癶(걸을발,필발머리)회의자 : 발이 서로 등지고 있는 모습이다.癶(발)부에 속 하는 글자는 대부분 발과 관계있는 뜻을 가진다. 發 登 白(힌백):태양의 끝이 날카로운 모습으로, 태양이 지면에서 막 솟아 나올 때 그 빛이 눈부시 므로 ‘희다’라는 뜻이 비롯되었다는 설,촛불의 불꽃 을 그린 것이라는 설, 등이 있으나 아직 정설이없다. 的 皆 皇 皮(가죽피)회의자:革(가죽혁)자 의 반쪽이고,여기에又(우)를더하였으므로, ‘가죽을 벗기다’라는 뜻을 나타낸다.皺 皿(그릇명)상형자:옛날 食器(식기)를 그린 것이다, 皿(명)부에 속하는 글자는 그릇과 관계있는 뜻이 많다. 益 盜 監 目(눈목)상형자: 사람의 눈을 그린 것이다. 盲 直 相 矛(창모)상형자:옛날 전차에 세우던 창을 그린 것이다.윗 부분 은 창의 끝, ‘丨’은 창의 자루, 그옆은 창의 끈을 묶은 귀를 나타낸다. 矜 <務> 矢(화살시)상형자: 화살을 그린 것이다. 知 矩 短 石(돌석)상형자:산에 있는 돌에 모양을 그린것. 厂(언덕한)은 언덕 또는 절벽 을 그린것이고,‘ 口(구)’는 그 아래에 있는 돌을 그린 것이다. 砲 破 示(보이다시,기신기) : 제물을 차려놓은 제단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제물을 신에게 보여 준다는 의미로 ‘보이다’를 뜻함, 社 祉 祈 禸(짐승발자국유)상형자:짐승의 몸통과 다리,늘어진 꼬리를 그린 것이다. 禹 禽 禾(벼화)상형자:벼가 익어 고개를 숙인 모양으로 벼의 줄기와 뿌리를 그린 것이다.私 秋 種 穴(구멍혈)상형자:옛날 사람들의 주거인 동굴이나 움집의 움푹 파인 모양과 출입구를 그린 것이다.空 究 窟 立(설립)회의자: 사람人(인)이 땅을 딛고 서 있는 모습으로,‘서있다’ 라는 뜻을 나타낸다.章 童 站 【 6 劃】 衤(옷의변):‘衣(의)’가 변에 쓰일때의 글자 모양으로, 여기서는 별도의 부수로 다루었다. 表 裡 裝 袞 袋 竹(대죽)상형자; 대나무의 줄기와 잎을 그린 것이다.等 第 笑 米(쌀미)상형자 : 쌀의 낱알을 그린 것이다. 粉 粒 精 糸(실사)상형자: 실을 한 타래 묶은 모습을 그린 것이다. 紅 約 純 缶(장군부)상형자:술이나 장을 담을때 쓰는 질 그릇을 그린것이다. 배가 불룩 하고 목이 좁은 아가리로 된 병의 모양을 본뜬글자. 缺 罐 网(망)그물망6획:그물을 그린 것이다.网(망)부 에속하는 글자는 대부분 그물과 관계있는 뜻을 가진다. 羊(양양)상형자: 정면에서 바라본 양의 뿔과 머리를 그린 것이다. 美 義 姜 羽(깃우)상형자: 새의 깃털을 그린 것이다. 習 翌 翁 而(말이을이)상형자:수염을 그린 것이다 .본래 수염을 뜻하였으나, 뒤에 ‘너’‘...뿐’ 의 뜻으로 가차 되었다. 耐 <需> 耒(쟁기뢰)상형자:밭을 갈 때 쓰는 쟁기를 그린것이다. 耒(뢰)부에 속하는 글 자는 대부분 농기구나 농사와 관계있는 뜻이 많다. 耕 耗 耳(귀이)상형자 : 귀 를그린것이다. 聖 聞 聲 聿(오직율)상형자: 손으로 붓을 쥔 모습을 그린 것이다. 建 肅 肉(고기육)상형자: 고깃 덩어리를 그린 것이다. 育 腐 脫 臣(신하신)회의자:目(목)을 세로로 그린 것이다. 사람이 머리를 숙이면 눈이세로로 서기 때문에 ‘굴복’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臥 臨 臧 自(스스로자)상형자:사람의‘코’를 그린 것이다. 본래 코를 뜻 하였으나 뒤에 ‘자기’의 뜻으로 가차되자, 새로 만들어 보충 하였다. 臭 皐 至(이를지)회의자:갑골문 을 보면 화살이 날아가 땅에 꽂힌 모습 이다. “도착 하다” ‘다다르다’ 라는 뜻은 여기 에서 나왔다. 致 臺 臼(절구구)상형자: 절구를 그린 것이다. 與 興 舊 舌(혀설)상형자: 입에서 혀가 나온 모양을 그린 것이다. 舍 舒 舛(이그러질천)회의자: 두 발夂(치)와 과 가 서로 어긋나 있는 모습이다.‘어긋나다’‘위배 하다’ 등의 뜻은 여기에서 나왔다. 舞 舜<桀> 舟(배주)상형자:배를 그린 것이다.통나무 배를그린 것 舟(주)가들어간 글자는 배와 관련이 있다. 船 般 艦 艮(괘이름간)회의자: 匕(비)외目(목)은 모두 의미 부분이다.서로 눈을 뜨고 쳐다 본다는 뜻이다. 良 艱 色(빛색)회의자: 人(인)과㔾(절)은 모두 의미 부분이다.艶 艸(풀초): 草(초)의 고자 머리에 쓰일 때는 모양이 ‘艹(초)’로변형된다. 花 葉 苦 虍(범의문채호)상형자: 호랑이를 그린것이다. 입을 벌리고 있고 몸에는 줄 무늬가 있는 호랑이 를 그린것 이다.虎 處 虛 虫(벌레충,벌레훼)상형자: 갑골문을 보면 뱀을 그린 것이다. 虫(충)부에 속하는 글자는 대부분 벌레 짐승과 관계있는 뜻이 많다.蜂 螢 蝶 血(피혈)회의자: 제사를 지낼 때, 그릇皿(명)에 犧牲(희생)의 피(丿)를 담은것을 나타낸 것이다. 衆 <盟> 行(다닐행)상형자: 네거리 를 그린 것인데, ‘가다’ ‘길거리’등의 뜻은 모두 여기에서 비롯 되었다. 術 街 衝 衣(옷의)상형자: 웃옷의 두소매와 좌우 옷섶을 여민 모습을 그린 것이다. 裸 裂 表
襾(덮을아)지사자: ‘冂(경)’은 위에서 아래로 덮고 있는 모양이고, ‘凵(감)’은 아래서 위로 벌어진 모양인데,一(일)로써그것을 다시 덮고있는 모양이다.西 要 覇 見(볼견,뵐현)회의자: 目(목)과,儿(인)은 모두 의미 부분이다.目(눈목)을 특별히 강조하여 ‘보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視 親 觀 角(뿔각)상형자: 짐승의 뿔을 그린 것이다. 解 觸 言(말씀언): 혀를 앞으로 빼낸 모습,입으로 피리를 부는모습,木鐸(목탁)을 거꾸로 놓은 모습 등의 상형자라고도 하는설.訃 訂 記 訌 訓 託 訊 討 谷(골곡)회의자: 물줄기가 口(입구)에서 흘러 나오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浴 谿 豆(콩두,제기두)상형자: 두껑이 달린 굽이 높은 제사 그릇을 그린 것이다. ‘一’ 은 두껑,‘口(구)’는 물건을 담은 부분,그밑은 긴 굽을 그린 것이다. 豊 豈 豕(돼지시)상형자: 갑골문을 보면 돼지의 머리와 살찐 몸통 등을 그린 것이다. 豸(발없는벌레치,먹이노려볼치)상형자:어떤 짐승이 입을 벌리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豸(치)부 에 속하는 글자는 대부분 짐승과 관계 있는 뜻이 많다.象 豚 豪 貝(조개패)상형자: 조개를 그린것이다.옛날 조개는 화폐로 쓰였기 때문에 貝(패)를 의미 부분으로쓴 글자들은 대체로 돈이나 재물과 관계가 있다.貞 財 貧 貢 貨 資 貪 赤(붉을적)회의자: 火(화)위에 사람大(대)이 있는 모습이다.밤에 불로 사람을 비추면 붉게 보이므로 ‘붉다’는 뜻을 나타낸다.라고도 하고 큰[大] 불[火] 이라는 뜻에서 붉은색을 뜻한다고도 한다.赫 赦 走(달릴주)회의자: 사람[大(대)]의[止(지)]를 강조하였고 양 팔을 흔드는 모습도 보인다. 즉‘빨리걷다’‘달린다’라는 뜻을 나타낸다.土는 大의변형이다.起 超 趣 足(발족)상형자: 사람의 무릅에서 발까지 그린 것이다. 路 跳 躍 身(몸신)상형자: 사람이 임신하여 배가 불 룩한 모습을 그린 것으로, ‘몸’이라는 뜻은 여기서 나왔다.躬 軀 車(수레거,차)상형자: 수레를 그린 것이다. 軍 輕 載 辛(매울신)상형자: 옛날 죄인의 얼굴에 문신을 새겨 넣을때 칼을 그린 것이다. ‘罪(죄)’, ‘苦痛(고통)’등의 뜻은 여기에서 비롯하여 나왔다. 幸 辭 辯 辰(별진)상형자: 조개의 껍질과 살을 그린 것이다. 후에 ‘天干(천간)’의 여덟 번째 글자로 가차되어 忠(충)을 더한蜃(무명조개신) 자를 새로 만들어 보충 하였다.農 辱 辵(쉬엄쉬엄갈착):부수로 쓰일때는 글자 모양이 ‘辶(착)’으로 변형된다. 迎 近 追 邑(고을읍)회의자: 사람이 끓어앉아 있는 모습[㔾(절)]위에 ‘口’가 있는 모습이다. ‘口’는 일정한 區域(구역)을 뜻한다. 郞 郡 部 酉(닭유)상형자: 술 항아리를 그린 것으로, 본래 酒(술주)를 뜻 한다.酒 醫 配 釆(분별할변)상형자: 짐승의 발자욱을 그린 것이로, 番(번)자의 윗부분에 해당한다.釋 <番> 里(마을리)회의자: 田(전)과 土(토)는 모두 의미 부분이다. 重 野 量 【 8 劃】 金(쇠금)상형자 :금을만드는 용광로의 모습을 그린 상형자 라는설 과, 윗부분의 今(금)은 발음 부분이고 아랫 부분 土(토)와 네 개의점은 金(금)이 흙안에 있는 모습으로 의미 부분인 형성자 라는 설이 있다.針 銀 鐵 長(길장)상형자: 사람의 머리카락이 긴 모양을 그린 것으로, 본래 노인을 뜻한다.‘오래되다’ ‘우두머리’ 등의 뜻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張 門(문문)상형자: 문의 두 짝이 닫힌 모양을 그린 것이다. 閉 間 開 阜(언덕부)상형자 : 산을 세운 글자로 ‘산’ ‘언덕’을 뜻한다는설,‘丨’은 높은 山(산)을 가르키고 옆은 산비탈의 계단을 뜻한다는설, 옛날에 동굴이나구덩이를 파서 살 때 壁面(벽면)을 계단 모양으로파서 오르내리기 쉽도록 하였는데 그 계단 모양 을그린 것이라는 설 등 이있다. 降 限 院 隶(미칠 이,대)회의자: 손으로 尾(미) 꼬리를 잡고 있는것은 ‘뒤를 다가가서 다다른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康> 隷 隹(새추)상형자: 새를 그린 것이다. 隹(추)는 ‘꼬리가 잛은새’이고 鳥(조)는 ‘꼬리가 긴 새’라고 하기도 하나 갑골문에는 분명하게 구분 되어있지않다.隹(추)와鳥(조)모두 새를 그린 상형자 라고 보면 된다.雀 雄 集 雨(비우)상형자; 하늘에서 비가 내리는 것을 그린 것이다. 雪 雲 電 靑(푸를청)회의자: 生(생)과井(정)으로 이루어 졌다. 生(생)은 본래 풀이 돋아난 모습을 그린 글자이므로, 靑(청)은 우물井 주변에 돋아난 풀을 뜻한다. ‘푸르다’라는 뜻은 여기에서 나온것이다. 소전에서는 井(정)이 丹(단)으로 바뀌었고,예서에서 生(생)이 ‘主’로 바뀌어 현재 靑(청)자가 되었다. 靜 靖 非(아닐비)상형자: 새가 날개를 편 모양이라는 설과,排(물리칠배) 자의 본자로 ‘아니다’라는 뜻은 가차된 것이라는 설이 있다. 靡 <悲> 【 9 劃】 面(낯면)상형자: 사람 얼굴 [口] 안에 [目(목)]이 있는 모습이다. 눈을 강조한것은 사람의 인상을 나타내는데는 얼굴에서 눈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이다.麵 革(가죽:혁,격)회의자: 두 손으로 동물의 가죽을 벗겨 낸다는 뜻이다.靴 鞭 鞠 韋(다룸가죽위)회의자: 韋(위)부에 속하는 글자는 대부분 가죽과 관계있는 뜻을 가진다. 韓 <偉> 韭(부추구)상형자: 갑골문 금문에는 보이지 않는다. <설문해자>에서는 땅[一]위에 채소가 나있는 모양으로, 한 번 심으면 오래가므로 [久(구)]라 부른다고 하였다. <纖> 音(소리음,화기애애할은)지사자:言(언)자에 一이 더해진 것으로, 一은소리가 입에서 나오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響 韶 韻 頁(머리혈,쪽엽)상형자: 사람의 머리를 강조 하여 그린 것이다. 頁부에 속하는 글자는 대부분 머리나 얼굴과 관계있는 뜻을 가진다. 頃 順 領 風(바람풍)형성자: 忠(충)은 의미 부분이고. 凡(범)은 발음 부분이다.颱 飇 飛(날비)상형자: 새가 양쪽 날개를 쭉펴고 나는 모습을 본뜬 것이다. 飜 食(밥식,먹일사): 그릇을 그린 상형자라는 설, 익힌 음식을 담는 그릇을 뜻하므로 음식을 먹는다 는 뜻을 나타내는 회의자라는 설 등이 있다.飮 飯 養 首(머리수)상혀자: 머리털이 나 있는 사람의 머리[首]를 그린 것이다. <道> 香(향기향)회의자: 소전에서는 黍(기장서)와 甘(달감)으로 이루어 졌는데 모두 의미 부분이다. 예서에서 黍는 禾(벼화)로 甘(감)은 曰(왈)로 변하였다. 馨 【 10 劃】 馬(말마)상형자: 말의 머리,갈기,꼬리, 네다리를 그린 것이다. 駐 駕 騎 骨(뼈골)회의자: 살을 발라낸 뼈를 그린 것이고,月은 즉 肉(육)은 뼈에 붙어 있는 살을 뜻한다. 體 髓 高(높을고)상형자: 높은 樓閣(누각)을 그린 것이다. 髟(긴털드리울표)회의자: 머리카락이 길게 늘어빈 모습을 뜻한다.長(장)과 彡(삼)은 모두 의미 부분이다. 長(장)은 본래 머리카락이 긴 노인을 그린 상형자이고,彡(삼)은 머리카락을 나타낸다. 髟(표)부에 속하 는 글자는 대부분 머리카락.수염.등과 관계있는 뜻을 가진다. 髮 鬪(투)(싸울투)상형자: 두 사람이 마주 서서 서로 손이 엉킨 채 싸우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鬯(울창주창)상형자:술 항아리를 그린 것으로,‘凵’은 항아 의몸체이고,‘匕’은 다리를 그린 것이다.가운데 있는 점들은 항아리에 새겨진 무늬를 나타낸 것이다.鬱 鬲(솥력,막을격)상형자: 세 발 달린 솥을 그린 것이다. 鬼(귀신귀)상형자: 본래 사람을 그린 것으로,사람[儿(인)]의 머리 부분[由]을 다르게 그려서 살아있는 사람과 구별한 것이다. 도깨비 형상을 그린 것이다.魂 魄 魔 【 11 劃】 魚(고기어)상형자 : 물고기를 그린 것이다. ※어류의 총칭 鯨 鮮 鳥(새조)상형자 : 새를 그린 것이다※날짐승의 총칭 鳩 鴻 鷄 鹵(짠땅로) :卣(술통유)자와 같은 글자로 그릇을 나타내고 속에점은 소금을 그린 상형자라는 설과, 본래 방패[櫓(로)]를 그린 상형자 였는데 뒤에 소금 이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는 설이 있다. 鹵(로)부에 속하는 글자는 디부분 소금과 관계있는 뜻을 가진다. 鹽 鹹 鹿(사슴록)상형자: 사슴에 머리, 뿔,네다리를 그린 것이다. 麗 麟 麥(보리맥):來(래)자 아래에 夂(치)가있는 회의자로서,보리의 뿌리를 그린 것으로 來와 麥은 본래 보리를 그린 같은 상형자 였는데, 來(래)가 ‘오다’라는 뜻으로 가차되자 麥 자가 ‘보리’라는 뜻을 담당하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麵 麴 麻(삼마)회의자: 广(엄)과 麻패는 모두 의미 부분이다. 삼 은 사람이 가공하므로 [麻]이 [广]아래에 있는 것이다. 磨 魔 【 12 劃】 黃(누를황) : 가을에 벼를 수확하여 묶은 모습으로, ‘황색’ 이라는 뜻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는 설과 사람이 佩玉(패옥)을 달고 있는 모습이라는 설 이있다.횡 黍(기장서)상형자; 본래 기장을 그린 것인데, 禾(벼화) 자보다 낱알이 흩어진 모습이다. 기장은 벼보다 낱알이 흩어져 패기 때문이다. 黑(검을흑) : 불길이 올라 창문으로 나간다는 뜻의 회의자라는 설과,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습을 그리고 얼굴안에 점을 찍은 것으로 상형자라는설이 있다. 회의자 설을 따르면 불길이 창문으로 올라가면 그을리게 되므로 ‘검다’라는 뜻은 여기에서 나온 것이 되고, 상형자 설을 따르면 얼굴에 문신을 그려넣는 형벌인 墨刑(묵형)을 받은 사람을 그린것이 된다. 黙 黨 點
黹(바느질할치)상형자 : 바늘로 무엇을 꿰메고 있는 모습그린 것이다. 【 13 劃】 黽(맹꽁이맹,힘쓸민)상형자: 맹꽁이를 그린 것이다. 鼈 鼇 鼎(솥정)상형자: 세 발 또는 네발 달린 솥을 그린 것이다. 鼓(북고)회의자: 북채를 잡고[支(지)]북[壴(주)]을 친다는 뜻이다. 鼠(쥐서)상형자: 쥐를 그린 것이다. 【 14 劃】 鼻(코비)회의겸 형성자: 본래 [自(자)]가 코를 그린 상형자 였다. 뒤에 ‘스스로’ 등의 뜻으로 가차되자 ‘코’ 의 뜻으로는 畀(비)를 더한鼻(비)자 를 새로 만들어 보충하였다. 코[自]로 공기를 끌어들여 몸에 공급한다[畀(비)]는 뜻이므로 自와 畀는 모두 의미 부분인데, 畀(비)는 발음도 담당한다. 齊(가지런할제,상복재,재계할재)상형자: 곡식의 이삭이 패어 끝이 가지런한 모습을 그린 것이다. 【 15 劃】 齒(이치)형성자: 입 안에 이가 난 모습을 모습을 그린 상형자로 의미 부분이고, 止(지)는 발음 부분이다. 【 16 劃】 龍(용룡)상형자: 머리에 뿔이 있고 뱀 과 같은 몸뚱이에 다리가 달린 용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龜(거북귀,땅이름구,터질균) 상형자:거북의 머리와 등판,네발을 그린 것이다. 【 17 劃】 龠(피리약)상형자: 피리를 그린 것인데 가운데 있는 ‘口’들은 피리에 난 구멍을 그린 것이다. 위부수해설은 다른책과 다르게 해석된 자도있다.
가림한문서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