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태 선생 유고집』의 일제강점기 등반기록 개관(槪觀)
조장빈(인문산행위원회 근대등반사팀)
김정태(金鼎泰, 1916~, 전 한국산악회 부회장)는 우리나라 근대등반기에 많은 선구적 등반을 한 산악인이다. 1937년 북한산 노적봉과 도봉산 선인봉의 암벽등반 코스 개척을 하였고 금강산 집선봉에서 암벽등반 루트 초등과 적설기 스키 등반 및 1941~1942년의 적설기 마천령산맥 종주 백두산 등정의 루트 초등반 등을 하였으며, 당시 조선인 산악회인 백령회를 이끌었고 스키 정착에도 힘쓴 선구자다. 해방 이후에는, 현 한국산악회인 조선산악회의 설립을 주도하였고 국토규명사업으로 파랑도와 독도 학술탐사와 산악계 후진 양성에 힘썼다.
그는 등반뿐만이 아니라 등반 기록의 작성에도 충실하여 그의 자전적 등반기록인 『登山 50年』(1976)은 그대로 초기 산악사로 인식되었다. 이에 『登山 50年』의 1차 사료인 『김정태 선생 유고집』의 등반기록과 산악 단체 활동에 대해 개괄적이나마 알아보고자 한다.
유고집 개요
『김정태 선생 유고집』(이하 유고집이라 한다.)은 그가 휴대용 수첩 일기에 매년 기록한 일기와 등반일지 및 메모다. 1988년 김정태 작고 후 유족들이 1999년 알펜시아 대관령 스키박물관에 기증한 것으로 원본의 소재는 알 수 없고 복사본이 한국산악회 도서관에 총 7권의 문서 보관 파일로 정리하여 비치되어 있다가 지금은 속초국립산악박물관에 수장되어 있다.
유고집 파일의 메모에 “김정태 선생 遺稿. 스키박물관에 유족이 기중한 유고를 대한스키협회 스키50년사를 제작키 위해 엄익환(스키50년사 편집위원장)자문이 반출한 총66권의 메모 형태의 일지를 백남홍 고문 협조로 전량 복사하여 보관함. 강성우 산악기술위원의 10일간의 자원봉사로 방대한 자료를 정리, 복사하였음. 1996. 11. 22. 한국산악회 사무국장 조성대”라고 사본이 남겨진 경위가 적혀 있다.
유고집은 휴대용 수첩에 기록된 것으로 일제강점기 기록은, 「1. 1929 잡」만 국어로 작성되었고 나머지는 전부 1930~40년대 흘려 쓴 일어 필기체로 작성되었다. 또한 오래된 복사본이라 일부 선명하지 않아 알아보기 힘든 부분도 있고 등반 시 작성한 일지는 등반용어를 사용하여 간략하게 적혀 있어 번역의 어려워 지금까지 내용이 확인된 바가 없다.
유고집의 구성과 목차
구성은 대체로 일기와 등반 계획, 등반일지 그리고 메모 순서로 되어 있고 일부 기록은 연내 월 일기의 순서가 바뀐 것이 있다. 작성된 대부분은 해당 시기의 일기와 등반 시 작성된 메모이다. 연도별로 기록된 일기의 기간은 다음과 같다.
<표1.> 김정태 유고집 기록의 일기 현황
연도 | 기록사항 | 연도 | 기록사항 |
1929 | 1~8월 일상 | 1939 | 7, 12월 |
1930~1933 | 누락 | 1940 | 8~11월 |
1934 | 1~12월 | 1941 | 9, 10, 11월 일부 |
1935 | 1~12월 | 1942 | 3, 10, 12월 |
1936 | 1~12월 | 1943 | 3~10월 |
1937 | 누락 | 1944 | 1, 3월 |
1938 | 1~8월 | 1945 | 7~8월 일부 |
*행사 및 등반기 제외
유고집은 「1929년 일기」에서 「1976년 이후 등산일지」까지 1929년~1977년의 48년간의 기록이나 일부 연도의 일기가 누락되었다. 누락된 일기는 도봉산 만장봉과 북한산 노적봉 정면벽 등반 등 중요한 등반을 한 1937년 일기 그리고 유고집 목차의 제2권 「16. 무연탄제철일기」, 일제강점기 초등반 기록의 정리로 추정되는 제6권의 「50. 1961 등산기록(귀중한 기록) 등산학교본」 그리고 「1977 잡」 항목이다.
일제강점기 기록은 총 1,078쪽(이중 「1-1. ? 전화, 주소, 개인기록」은 해방 후의 주소록이며, 3장 중복 복사 포함)으로 제1권의 「1. 1929 잡」(조선일보 발행 일기장)에서 2권과 3권의 「18. 1945 일기」까지다. 유고집의 제2권의 「2. 1943 아버님 포부」라고 적힌 제목으로 보아 유족이 기증할 때 목차를 정리한 듯하다.
<표2.> 목차
구분 | No. | 연도와 내용 | 기타 |
1권 | 1 ~ 7 | 1. 1929 잡(조선일보 발행 일기장) 1 - 1. ? 전화, 주소, 개인기록 2. 1934 일기 3. 1935(1~12) 일기 4. 1936 일기 5. 1938 일기 6. 1939 일기(일본등산 일기장) 7. 1940 일기 | |
2권 | 8 ~ 16 | 8. 1940 금강산일기 영봉 9. 1941 등반기 10. 1942 일본신궁국민단련회 11. 1943 금강산 등반기, 일본연수준비 기록 12. 1943 아버님포부, 백두산계획 13. 1943 백두산 등반기 14. 1943 일기 15. 1943 금강산 등반기 16. 무연탄 제철일기 | 16 누락 |
3권 | 17 ~ 25 | 17. 1944 잡 17-1. 1944 일기 18. 1945 일기 19. 1949 일기, 메모 20. 1950 제2훈련소(군대일지) 21. 1950 대관령, 투병체제귀환 기록 22. 1950 잡 23. 1950(1~3) 일지 24. 1951 일지 25. 1951 스키에 대한 것 | |
4권 | 26 ~ 34 | 26. 1951 스키에 대한 것 27. 1952 일지 28. 1952 산악회 독도보고 29. 1952 일지 30. 1952 일지 31. 1953~54 스키일지 32. 1954 일지 33. 1955 스키일지 34. 1955 스키일지 | |
5권 | 35 ~ 45 | 35. 1956 일지 36. 1956 일지 37. 1956 스키일지 38. 1957 제2회 학생훈련 39. 1957 제8회 동계올림픽 파견 건, 산과 스키 일지 40. 1957 대관령 스키일지 41. 1957 해양훈련대 42. 1957 일기 43. 1957 일기 44. 1958 제10회 전국 학생스키 선수권대회 45. 1958 해양훈련대 | |
6권 | 46 ~ 58 | 46. 1960 빈 수첩(내용 없슴) 47. 1960 36차 이사회 48. 1960 스키일지 49. 1960 S. A. S. 클럽(서울알파인클럽) 일지 50. 1961 등산기록(귀중한 기록) 등산학교본 51. 1962 스키기록 52. 1962 등산일지 53. 1964. 등산, 스키 일지 54. 1965. 등산, 스키 일지 55. 1967 일지 56. 1968. 등산일지 57. 1969 설악산 등반기 58. 1969 등산일지 | 50 누락 |
7권 | 59 ~ 66 | 59. 1970 스키, 등산 일지 60. 1971. 등산일지 61. 1971 빈 수첩(자료 없음) 62. 1972 등산일지 63. 1973 등산일지 64. 1975 등산일지 65. 1976~77 등산일지 66. 1977 잡 | 66 누락 |
유고집 검색 기준과 방법
유고집의 지명, 산명과 인명 등이 대부분 한자로 적혀 있어, 『登山 50年』의 등반 기록 등을 참고하여 등반대상지와 날짜의 확인과 백령회, 조선산악회 관련 기록 파악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검색어 선정을 하였다.
<표3.> 검색어
No. | 항목 | 검색어 |
1 | 산 | 北漢山, 道峰山, 金剛山, 冠岳山 |
2 | 봉우리 | 白雲臺, 人壽峰, 萬丈峰, 仙人峰, 萬景臺, 牛耳岩, 柱峰, 集仙峰, 世尊峰 |
3 | 단체 | 白嶺, 朝鮮山岳会 |
4 | 이름 | 石井, 嚴興燮. 飯山達雄 |
검색어로 산명은 北漢山, 道峰山, 金剛山 봉우리 명칭으로 白雲臺, 人壽峰, 萬丈峰, 仙人峰, 萬景臺, 牛耳岩, 柱峰 그리고 금강산 集仙峰, 世尊峰으로 암벽등반 기록 위주로 하였다. 중요 인물로는 동명이인인 그의 자일파트너와 백령회 주석인 嚴興燮, 조선산악회의 飯山達雄, 石井 그리고 산악회로는 그가 소속된 白嶺, 朝鮮山岳会로 하였다.
선정한 검색어로 유고집을 대조하여 검색어가 포함된 기록은 날짜를 확인하고 2차로 내용상에 등반코스나 등반인명 또는 登攀, 岩登, ロッククライミング의 단어로 실제 등반을 확인하였다. 『登山 50年』의 등산 기록은 해당 날짜에 등반을 살폈다. 또한 유고집의 문서 중 등반 보고서나 산행일지가 있는 경우와 백령회 활동 내역은 관련 등반기록과 일기 내용을 번역하였으며, 1차 검색 결과 등반 기록이 없는 1934년과 하이킹을 한 1935년은 총 3차에 걸쳐 재검하였다.
유고집 검색 결과
<표4.> 1. 김정태 유고집 No.1 : 1929년 잡
No. | 번호(쪽) | 날짜 | 내용 | 기타 |
1 | 0001~0003 | 유고집 목차 | 1~7월 일별 일기 | |
0004 | 표지: 연도 - 1929년, 내용 - 雜(조선일보발행 일기장) | |||
0005~0057 | 1. 1~ 7. 28 | 영화관람, 경극연습(봉구), 진학준비 입학 후 영화 관람과 원족(한강 등) | ||
0029 | 4. 4 | 입학식 | 학교명 미기재 | |
0033 | 4. 19 | 樂天地 | ||
0034 | 4. 21 | 야영-당일 한강 가서 배를 탐 | ||
0034 | 4. 25 | 흥인배제학교 원족(遠足) | 동대문교회 부설 | |
0036 | 4. 29 | 장충단 회(會)원족 | 학교 모임 원족 | |
0039 | 5. 11 | 학교 원족 4명(장소 불분명, 왕복8리) | ||
0053 | 7. 16 | 시험 | ||
0054 | 7. 17 | 한강 수영(봉구 동행) | ||
0058 | 8월 | 한강 매일 수영, 인천 수영(등산, 식물채집 등) | ||
0059 | 상반기 중요 내용, 가족생일, 대구 친척주소 - 김정태 생일 : 1916년(대정5년) 9월 4일(음 8월 7일) - 주소 : 조선소년단, 건국소년단, 교동공립교 | |||
0064~0066 | 금전출납무(용돈 기록) | |||
계 | 66 | |||
1-1 | 0067~0088 | 연락처: 한국산악회, 스키협회, 백령회, 육군동지, R. C. 산악연맹, 會友 등 - 백령회 : 양두철, 이재수, 박종대, 방현, 김정호, 박순만, 박상현 | 해방 이후 연락처만 기록된 수첩 | |
계 | 22 |
<표5.> 2. 김정태 유고집 No. 2, 3, 4 : 1934~1936 일기
No. | 번호 | 날짜 | 내용 | 기타 |
2 | 0089 | 표지 : 연도 - 1934년, 내용 - 일기 | ||
0090~0145 | 1~12월 일별 일기 | |||
0090 | 1. 1~ 1. 31 | 등산 기록 없음 | 직장 생활 등 | |
0091~0133 | 2. 1~ 12. 31 | 등산 기록 없음 | 직장 생활 등 | |
0134~0145 | 회계 관련 메모 등 | |||
계 | 57 | |||
3 | 0146 | 표지 : 연도 - 1935년, 내용 - 일기 | ||
0146~0212 | 1~12월 일별 일기 | |||
0147~0159 | 1. 1~ 3. 31 | 등산 기록 없음 | 직장 생활 등 | |
0060~0200 | 4. 1~ 12. 31 | 직장 생활, 일상과 주말 등산 | ||
0160 | 4. 7 | 관악산 연주대 : 이수창(李兄), 이춘봉, 봉구 등(총 13명) | ||
0162 | 4. 21 | 북한산 : 이수창, 이춘봉, 봉구 등(10여명), 코스 : 동소문-백운대 | ||
0168 | 5. 19 | 도봉산 망월사 : 이수창, 봉구, 남군(南君) 등(총 10여명) | 5/15 망월사지도구입 | |
0173 | 7. 7 | 관악산, 삼성산 : 봉구, 남군 등, 코스 : 연주암 - 불성사 - 망월암 - 삼막사 - 염불암 - 안양 | 6/11 삼성산, 관악산 지도 구입 | |
0189 | 10. 17 | 북한산 백운대 : 이수창, 봉구, 남군 등(약 8명), 코스 : 동소문 - 효자동 - 승가사 - 비봉 - 문수암 - 태고사 - 백운대 - 도선사 - 우이동 | 북한산 하이킹 | |
0201~0212 | 山岳OO 외 도서 목록 등 | |||
계 | 67 | |||
4 | 0213 | 표지 : 연도 - 1936년, 내용 - 일기 | ||
0213~0264 | 1/1~12/18 일별 일기 | |||
0214~0264 | 1, 1~ 12. 18 | 직장 생활, 일상 그리고 주말 등산 | ||
0231 | 4. 29(수) | 인수봉(백운대쪽), : 이수창(선등), 코스 : 천향각 - 보국문 - 백운대 - 인수봉 - 용암문 - 도선사 | 첫 암벽등반, 일기에 “북한산 인수봉 정복”이라 기록 | |
0232 | 5. 10(일) | ロッククライミング トレーニング | 암벽등반 훈련 | |
0235 | 5. 31 | 도봉산 만장봉 암벽등반 : 봉구, 슬립으로 봉구 부상 | ||
0240 | 7. 1 | 도봉산 만장봉 | ||
0241 | 7. 12 | 북한산 인수봉 : 신군(申君), 코스 : 동소문 - 천향각 - 백운대 - 인수봉 | ||
0242 | 7. 15 | 산악회 창설 | 지인과 모임 설립 | |
0242 | 7. 19 | 관악, 삼성산 등산 : 신군 외, 코스 : 관악산 - 불성사 - 망월암 - 삼막사 - 염불암 | ||
0243 | 7. 26 | 용문산 등산 | ||
0244 | 8. 2 | 북한산 캠프(백운대) : 봉구, 신군 외 | ||
0245 | 8. 9 | 북한산 백운대 : 이수창, 봉구 외 | ||
0246 | 8. 16 | 북한산 인수봉 : 봉구, 신군 등 6명, 코스 : 우이동 도선사 - 인수봉 - 백운대 - 태고사 | ||
0247 | 8. 23 | 북한산 인수봉 등반 : 이수창 외 | ||
0248 | 8. 27 | 제1회 회원 캠프 | ||
0249 | 9. 4 | 용문산 원족 | ||
0250 | 9. 13 | 도봉산 : 이수창, 봉구 외, 천축사 – 만장봉 - 자운봉 | ||
0251 | 9. 20 | 도봉산 오봉 : 이수창, 봉구 외 이시이(石井吉雄) 코스 : 우이암 - 오봉 | 이시이 첫 만남 | |
0252 | 9. 27 | 산행(대상지 등 미확인) | ||
0254 | 10. 11 | 도봉산 만장봉 : 이수창 외 | ||
0255 | 10. 17 | 도봉산 만장봉 : 자운봉 (암등, 현수하강) | ||
0256 | 10. 25 | 도봉산 만장봉 : 이수창, 봉구 외(암등, 현수하강) | ||
0257 | 11. 1 | 북한산 인수봉 : 이수창 외 | ||
0258 | 11. 8 | 도봉산 선인봉 : 봉구 동행 | ||
0259 | 11. 15 | 도봉산 우이암, 선인봉 : 봉구 동행 | ||
0261 | 11. 24 | 북한산 만경대 | ||
0261 | 11. 29 | 산행(대상지 등 미확인) | ||
0262 | 12. 6 | 도봉산 선인봉 : 이춘봉 외 石井, 엄흥섭(제화공) 등 | 엄흥섭 첫 만남 | |
0265~0281 | 회계, 연락처(이춘봉, 이봉구, 이수창, 통신국산악부 등) | |||
계 | 69 |
<표6.> 3. 김정태 유고집 No. 5 : 1938 일기, No. 6 : 1939 일기
No. | 번호 | 날짜 | 내용 | 기타 |
5 | 0282 | 표지 : 연도 - 1938년, 내용 - 일기 | ||
0283~0357 | 1/1~8/6 일별 일기 | |||
0283 | 관모연산 일정(월 미기재, 16~25일) | 1937년인 듯 | ||
0284 | 12월 일기 - 6일 : 산악회 집회, 7일 : 엄흥섭 언급, 11일 : 우이암 등반, 18일 : 천축사 | 1937년인 듯 | ||
0285~0287 | 1. 1~ 1. 5 | 삼방스키(2~5일, 약40명, 조선산악회 행사로 추정) | 1937년 입회 추정 | |
0288 | 1. 14 | 스키관련 이이야마 다츠오(飯山達雄) 언급 | 이이야마 첫 언급 | |
0293 | 1. 30 | 스키 관련 이수창 언급 | ||
0295~? | 2. 1 | 스키 관련 이즈미 세이이치(泉靖一) 언급 | 이즈미 첫 언급 | |
0311~ | 2.20~? | 내금강 스키 : 이시이, 이이야마(0311) 참석, 비로봉 | 조선산악회 | |
0318 | 4월 | 15일까지 4월 이후는 8월 7일인 듯 | ||
0318 | 8. 7~ 8. 12 | 금강산 집선봉, 세존봉(홍수) 김정호 외 | ||
0324 | 13~ | 출근 후 일상 21일 산악회 회의 금강산 보고 | ||
0329 | 9. 18 | 도봉산 선인봉(측면) : 이시이, 엄흥섭 3인 | ||
0332 | 4. 24 | 도봉산 만장봉 : 엄흥섭, 봉구 | ||
0333 | 4. 29 | 북한산 백운대 : 이수창 | ||
0336 | 5. 11 | 도봉산 자운봉 | ||
0337 | 5. 15 | 북한산 백운대(정면벽 - 뜀바위) : 이수창이 선등, 이시이, 엄흥섭 | ||
0337 | 5. 21 | 부실(部室) 이수창 언급 | ||
0338 | 5. 22 | 북한산 인수봉 : 엄흥섭 등 | ||
0339~0340 | 5. 29 | 등반(대상 미확인) 엄흥섭, 방현(方炫), | ||
0342 | 6. 19 | 북한산 인수봉 : 김용O(金龍O君) 외 | ||
0347 | 6. 26 | 도봉산 선인봉, 만장봉 : 엄흥섭 등 | (343~5사본 중복) | |
0347 | 29일 | 산악회 입회금 회보 | 조선산악회 회비인 듯 | |
0348~0355 | 7월 | 7/3 천축사(대상지, 인원 미확인) 7/16 산악회 집회, 7/22 산악회 집회, 7/29 산악회 집회 | 조선산악회 행사 | |
0356~0357 | 8월 | 금강산 집선봉, 설악산 예정 | ||
계 | 76 | |||
6 | 0358 | 표지 : 연도 - 1939년, 내용 - 일기(일본 등산 일기장) | ||
0359~0364 | 7~11월, 3월 | 월별 일정 - 7/8 嚴 계룡산 신도안, 7/9 嚴 삼성산, 안양풀장 등, 7. 26~8. 10 차일봉, 운수백산, 연화산, 대암산, 두운봉 등반, 9/12 산악회 소집회(方 차일봉 보고, 10/1 方, 嚴, 李, 柳 우이암, 10. 16~21 石井, 山川, 嚴, 方, 집선봉(逆行), 세존봉, 11/7 소집회, 3/17 方, 蔡 만장봉 등 | 여기서 ‘嚴’도 제화공 엄흥섭인 듯. | |
0365~0367 | 7. 27~ 8. 5 | 부전고원 : 방현, 타케나카(竹中要) 외, 차일봉, 북수백산, 백암산 | ||
0368~0371 | 12. 27~ 1. 10 | 부전고원 : 백산, 백암산 | ||
0372~0377 | 적설기 등반 계획(일본) | |||
0378~0379 | 부전고원, 대암산 일정표 | |||
0380~0383 | 주소록 자일동료(총 80명) - 이시이(石井吉雄), 엄흥섭, 방현, 이철호, 김정호, 최현기, 현기창, 김효중, 김금봉, 김용학, 미카와(三川基三), 최학주, 이봉구, 노성태, 신정우, 지원용, 류재선, 이완순, 김창희, 방봉덕, 김창수, 김주홍, 이정규, 이원영, 황태엽, 김O근, 박OO - 飯山達雄, 竹中要, 立岩嚴, 奧野正亥, 橫山正德 등 일본인(조선산악회원) - 김용기, 박O조 외, 霽蕂龍本 외, 이춘봉, 김수용 외 | 이춘봉, 이봉구는 있으나 이수창은 연락처 명단 없음 | ||
계 | 26 |
*김정태는 당시 집선봉 동북릉은 ‘S’, 중앙봉은 ‘C’로 표기한 것을 해방 이후 기록에서 중앙봉을 ‘S’, 동북릉을 ‘C’로 바꿔 표기하였다.
<표7.> 4. 김정태 유고집 No.7 : 일기, No. 8 : 1940 금강산 일기, 영봉
No. | 번호 | 날짜 | 내용 | 기타 |
7 | 0384 | 표지 : 연도 - 1940년, 내용 - 일기 | ||
0385~ 0439 | 10. 1~ 11. 12 | 일기 | ||
0392 | 10. 5~6 | 용문산행 - 총11명 : 昶熙, 松方, 蔡, 嚴, 完淳, 永岡, 趙, 徐 외 1명 | ||
0401~ 0402 | 10. 13 | 북한산 인수봉 등반 - 엄흥섭(嚴), 蔡, 石井, 김효중, 김정호, 柳 등 - 先年 초등코스로 嚴과 蔡 선등 | ||
0402~0403 | 10. 14 | 집선봉 S2 정면등반에 대하여 | ||
0404~0407 | 10. 15 | 금강산 등 산행계획, 방현(方君) 현재 세브란스산악악부원 학교산악부 관계 등 | ||
0413 | 10. 20 | 집선봉 S2 정면등반 논의, 우이암 등반(嚴, 梁 등 7인) | ||
0420~0421 | 10. 27 | 인수봉 정면벽(石井, 蔡, 김정호), 인수봉 한인 단체 등반 계획(월말 일요일에 5 ~ 60명 예상) | ||
0421~0431 | 10. 28~ 11. 2 | 인수봉 등반 행사 회의 등 - 엄흥섭(嚴氏 백령회 주석) 部室, 산악정신 등 언급 | 엄흥섭 주석 기획 | |
0431~0434 | 11. 3 | 북한산 인수봉 클라이머 명함교환회(名刺交换會) 총 58명 | 인수봉 정상 등반 행사 거행 | |
0435~0436 | 11. 5 | 산악회 회의 - 경찰국 고바야시(小林) 이이야마 동행 참석 | 조선산악회 월례회 | |
0438 | 11. 10 | 만장봉 등반(趙, 日人) | ||
0438 | 11. 11 | 학교산악부 협력, 동계등반 등 산행 계획 메모 | ||
0440~0464 | 암벽등반 교재 정리 | |||
0465 | 「朝鮮, 登山」 岩登篇 金剛山岩場篇 | 도서 발간 계획 | ||
계 | 82 | |||
8 | 0466 | 표지 : 연도 - 1940년, 내용 - 금강산일기, 영봉 | ||
0467~0551 | 8. 24~ 8. 31 | 하계 금강산 연봉 - 비로봉, 채하봉, 집선봉 종주, 세존봉 종주 - 집선봉 S1, S2, S3 등정 | ||
0472 | 일본대학산악부원 金德熙 등반기록 - 1939. 5. 27~6. 1 : 穗高岳 - 奧穗(6일간), 7. 15~24 : 劒岳(10일간) 암등 및 검악 일대 등반 - 1940. 3. 15~4. 3 : 春山, 天狗岩(20일간), 5. 16~19 : 중앙알프스(4일간), 6. 7~15 : 劒岳, 春山(9일간), 7. 20 ~30 : 春山, 穗高(10일간) 종주 | 김덕희는 백령회원 김창희의 형제 | ||
0473~0482 | 8. 25~ 8. 27 | 하계 금강산 집선연봉 메모 | ||
0482~0489 | 일본산(富士山 등) 방문 메모 | |||
0490~0491 | 9. 21~ 9. 25 | 추계 금강산행 - 집선봉 S1 등정, S2, S3 정찰등반 - 이시이(石井) 외 | ||
0514~0515 | 9. 8 | 도봉산 천축사, 方, 蔡, 旭, 億 외 김정호 등, 만장봉 측면 아래서 베리에션코스로 등반 | ||
0521~0522 | 9. 15 | 북한산 만경대 등반 | ||
0529~0532 | 9. 21~ 9. 25 | 금강산행 일기 - 삼국상회 嚴, 이시이 외(김효중, 洪, 松方) - 비로봉 S1, S2, S3 이시이 외 등정 | 삼국상회 ‘嚴’은 백령회 엄흥섭 주석 | |
0534~0551 | “岩登リ術” 요약 | |||
계 | 86 |
<표8.> 5. 김정태 유고집 No. 9 : 1941 등반기
No. | 번호 | 날짜 | 내용 | 기타 |
9 | 0522 | 표지 : 연도 - 1941년, 내용 - 등반기 | ||
0553~0606 | 9월 금강산 등반기, 9/10/11월 부분 일기 | |||
0553~0575 | 9월 秋山 금강산(9. 20~26) - 공동장비, 개인장비, 행정표, 식량표 등 - 집선봉 S2 정면, 세존봉, 관음봉 - 대원 : A반-辰海, 松方, 朱, 梁, B반-李, 嚴, C반-嚴, 韋, D반-辰海, 朱 - 등반후기 : 嚴主席 감사 표함, 會名 사용문제 등 | 두 명의 엄흥섭 참가 | ||
0575 | 9. 27 | 백령회 役員會 | 백령회 이사회 | |
0576 | 10. 1 | 우이암 암등연습(김정호 동행) | ||
0577 | 10. 3 | 암등연구회, 백령회 | ||
0579~0583 | 9월 금강산 등반 메모, 집선봉 S1, 세존봉, S2 스케치 | |||
0584~0586 | 10. 31 | 암등연구회, 제1회 독서연구회(嚴 主席, 方炫 외) - 제1회 실전연습(11/1~2예정), - 암등 연습과정(노적봉, 인수봉, 오봉) | ||
0587~0594 | 백두산 동계등반 준비 : 명단, 장비 등 | |||
0595~0596 | 제32차 집회 : 계획, 입산요항, 현지교섭, 장비 등 | 조선산악회 집회 | ||
0597 | 11. 14 | 산집회 : 보고사항으로 이이야마(飯山) 교섭 건, 嚴 관련 건, 冬山비품 제1회 대략 점검, 결정사항 第三日曜 등산요항, 등산연구회 : 11/16, 23, 30, 12/7 4회 | 조선산악회 집회 | |
0598 | 10. 31 | 소집회 - 백두산등산대책, 장비조사, 독서후기, 암등연구회·독서, 등산요항결정 | 백령회 집회 | |
0599 | 10. 24 | 役員會 - 제2회 루트 탐사기록, 암등연구회 기록, 신입회원 蔡淑, 嚴興燮, 의견 : 백두산행대책 등 | 조선산악회 집회 | |
0601 | 암등연구회 운영 계획 - 원칙 : 水野 著 『岩登リ術』교본 - 방법 : 독서와 실천 등 | |||
0602 | 회무집 수립 계획 -결의사항, 등산실천 방안 등 | |||
0603 | 10. 3 | 役員會 보고 - 전회건 : 암등, 서적, 장비 정리 등 - 보고, 의견 : 집선봉 S2발표, 보성전문산악부 관련 - 차회 역원회 기일, 의제 | ||
0604 | 서적, 장비‧비품담당 업무내역 | |||
0605 | 백령회 기구요항 - 주석 : 회 대표, 각 회 소집, 총무 : 주석 보좌, 각부 연락, 기획(방법 예시), 서무 관련 등 | |||
계 | 85 |
<표9.> 6. 김정태 유고집 No.10 : 1942 일본신궁국민단련회 No.11 : 1943 금강산 등반기, 일본연수 준비 기록
No. | 번호 | 날짜 | 내용 | 기타 |
10 | 0607 | 표지 : 연도 - 1942, 1943년, 내용 - 일본신궁국민단련회 | ||
0609~0670 | 1942년 일본체육회스키부회 행사, 제13회 명치신궁국민연성대회 및 1943년 내지 스키연구회 행사 등, 1943년 스키 관련 행사 등 | |||
0609 | 일본체육회스키부회 행사 참여 - 제2회스키지휘관리자 연수 제2회스키지도자연성회 오쿠닛코(奧日光)지도자검정연수회 전국스키강습회 | |||
0609~0634 | 10. 24~ 10. 31 | 제13회 명치신궁국민연성대회 - 준비, 일정, 참가요항, 명단(전국 3개조) 등 | ||
0635~0649 | 3. 6~ 3. 13 | 내지스키연구회 행사 기록 | 이하 1943년인 듯 | |
0650 | 제7회 : 등행지도자 지도자 연성회 - 대장 : 沼尤吉, 지휘 : 辰海泰夫(김정태), 임원 : 岩越(엄흥섭 주석), 奧野 등, 보도 : 홍종인 - 북한산 만경대, 백운대, 정상 국민체조 - 상운사 휴식 중 奧野 등산, 스키 강연 | 날짜 : 1943. 1. 24. | ||
0655 | 경성부 등행단 지도자연성회 강연 - 登高精神, 軍隊精神 등 | 7회 연성회 강연 | ||
0657~0658 | 12. 16 | 스키 정산 메모 | ||
0659 | 산악회 희망사항 - 연구회 발표, 영화상영, 스키강사초빙 건 - 회보(연4회), 회지(연1회)발간 - 일본산악연맹 가맹 문제 등 - 명치신궁대회 건 등 - 참석 : 飯山, 泉, 奧野, 横山 | 조선산악회 집회 | ||
0663 | 스키연구회 예정사항 - 장소, 강사, 일정협의, 장비정리 | |||
0665 | 집필예정 - 조선산악회지 초등반 집선봉 S2 북벽 정면, 동북릉 종주 - 명치신궁국민연성대회참가 - 적설기 백두산 장비, 식량, 운송, 선발대일지 | |||
0666~0668 | 스키합숙(12~1월) | |||
0669 | 발송우편물대상자(대구, 일본 등) - 묘향산 송금 건(3일 숙박료) | |||
계 | 62 | |||
11 | 0671 | 표지 : 연도 - 1943년, 내용 - 금강산 등반기, 일본연수 준비기록 | ||
0672~0722 | 명치신궁대회 외 일본 일기, 가을 금강산 등반 등 | |||
0672~0686 | 2.3~3.9 | 제13회명치신궁대회 외 행사 참석 | ||
0687~0692 | 10. 17~ 10. 22 | 가을 금강산 등반: 집선봉 동북릉 역종주, 1351m봉 서북주릉 | ||
0693~0697 | 코스 스케치 | |||
0698~0703 | 스키행사 관련, 제7회 백운대 연성 시간표 등 | |||
0704~ | 백두산 등반 준비 및 관련 메모 | |||
0721~0722 | 제2회 전원 등산지도자 연성회 : 우이동 등행단 검정 : 출석 횟수 | |||
계 | 52 |
<표10.> 7. 김정태 유고집 No. 12 : 1943 아버님 포부, 백두산 계획, No. 13: 1943 백두산 등반기)
No. | 번호 | 날짜 | 내용 | 기타 |
12 | 0723 | 표지 : 연도 - 1943년, 내용 - 아버님 포부, 백두산 계획 | ||
0724~0809 | 3. 14~ 10. 16 | 일기 | ||
0724~0726 | 3. 14~ 3. 18 | 엄흥섭(岩越) 동경 - 오사카 - 시모노세키 출장 | ||
0727 | 3. 21 | 경성부 등산 연성회 - 북한산(진관사 등), 약80명 | ||
0735 | 4. 3~ 4. 4 | 개성 천마산 등산 : 경성 - 개성 - 남문 - 대흥사 - 박연폭포 - 서봉 - 주봉 만경대 - 심천리 - 개성 | ||
0742 | 4. 11 | 근교산 등산(대상지 등 미확인) | ||
0745 | 4. 24 | 보개산(寶蓋山), 玄川(현기창) 외 1명과 등산 | ||
0757 | 5. 9 | 도봉산 선인봉 암벽등반(측면코스) | ||
0759 | 5. 12 | 암등코스 선정, 문화영화식 촬영, 암등해설 | ||
0759 | 5. 13 | 산악사진전시회(주최 : 조선산악회, 경성부 등행단) | ||
0763 | 5. 23 | 북한산 : 松方, 安井, 성락붕, 本城, 인수봉 정면 왕복 | 코스 불분명 | |
0764 | 5. 27 | 백두산 계획 보고서 완성 | ||
0768 | 6. 2 | 엄흥섭(岩越) 집에서 백두산 등반으로 양정산악부 상담, 岩越 夫子 동석 | 양정고보산악부 백두산 참여 부탁 | |
0769 | 6. 5 | 岩越 집, 岩越 독서 후기 권유 | ||
0775 | 7. 8 | 산악회, 산집회(용산 철도회관) | 조선산악회 집회 | |
0780 | 7. 18 | 제2차 백두산탐구등행연성회 계획, 준비, 입산 정리(별책 일기 수첩) | ||
0784 | 9. 1 | 북한산 : 문수암 - 북문 - 백운대 - 우이동 | ||
0791 | 9. 5 | 도봉산 : 선인봉 측면코스 | ||
0791 | 9. 6 | 城山 송별회 | ||
0796 | 9. 11 | 북한산 보현봉 | ||
0801 | 9. 19 | 용문산 연성회 : 용문사 – 상원사 – 윤필암 - 정상 | ||
0802 | 9. 22 | 경성부 등행단 임원회의 등반대회 준비 : 10/1 백운대 등반대회 | ||
0803 | 9. 24 | 회원가족야유회(퇴계원 유원지) | ||
0806 | 10. 12 | 금강산 등반 타합회(천축사) - 집선봉 동북릉 역종주, 1351서북릉 등반 계획 | ||
0808 | 10. 14 | 신궁대회 출장 타합회(打合会) : 10/16 靖國신사대회 | ||
계 | 87 | |||
13 | 0810 | 표지 : 연도 - 1943년, 내용 - 백두산 등반기 | ||
0811~0861 | 7/20~8/6 일기 외 백두산 등반기 | |||
0811~0837 | 7. 20~ 8. 6 | 백두산 등반 일지 | ||
0812 | 7. 20 | 제2차 백두산탐구등행연성대 일지(1943) 최후타합회(打合会) : 참여자 보고회 - 현지교섭보고 : 辰海(김정태) | ||
0813 | 7. 21 | 선발대 출발 | ||
0816 | 7. 24 | 무산 도착(7. 26 본대 도착) | ||
0828 | 8. 1 | 4. 30 병사봉(大正峰), 모두덕(合頭德), 관두봉(冠頭峰) | ||
0838~0861 | - 한국인 대원 명단 : 岩越, 이기만, 松本, 松方, 本城, 趙, 玄川, 淸水, 広材, 商平, 辰海, 木川, 김정호(13명) - 식량, 운송, 텐트 합숙 배치표 등 - 협력 단체 : 경성부체육진흥회 등행단, 동아여행사경성지부 외 | |||
계 | 52 |
<표11.> 8. 김정태 유고집 No. 14 : 1943 일기
No. | 번호 | 날짜 | 내용 | 기타 |
14 | 0862 | 표지 : 연도-1943년, 내용-일기 | ||
0864~0905 | 10. 17~ 12. 19 | 산악회 관련 업무와 산행 | ||
0864~0874 | 10. 17~ 10. 27 | 금강산 집선봉 : 岩越, 玄川, 朴 등, 집선봉 역종주, 1,351봉 동북지릉, 비로봉 등정 | ||
0875 | 10. 29 | 岩越집에서 금강산 보고 | ||
0876 | 10. 31 | 제16회 등행연성회 북한산 비봉(60여명) | ||
0877 | 11. 5 | 友省會, 岩越(엄흥섭)은 민족의 역사를 설명하며 혈맹단(血盟團)식 단결이 회의 향후 방향임을 시사하였고 그의 인격을 존경하고 신뢰한다고 기록 | 백령회의 성격 | |
0878 | 11. 7 | 도봉산: 岩越, 淸水, 趙 등, 선인봉 정면벽, 만장봉 등반 | ||
0878~0879 | 11. 9 | 산악회 보고 : 明治町 19시 개최, 이즈미, 크리스천 후퍼, 오꾸노 외 이시이, 방현, 김정호 등 출석 | ||
0881 | 11. 14 | 도봉산 : 松方, 宋本, 本 등, 우이암 등반 | ||
0885 | 11. 21 | 도봉산 : 원통암 등행연성 | ||
0089 | 11. 28 | 도봉산 : 원통암-회룡사-의정부 | ||
0890 | 11. 29 | 백두산 착수 | 문서 작성인 듯 | |
0892 | 12. 3 | 스키체조 편집 연성과 방문 | ||
0893 | 12. 5 | 원통암 집합, 스키체조, 식후 합창연습 | ||
0898 | 12. 12 | 원통암 산록 스키체조연습 | ||
0899 | 12. 13 | 스키합숙요항 | ||
0900 | 12. 14 | 산악회 총회 | ||
0901 | 12. 16 | 스키합숙예정표작성 | ||
0902 | 12. 19 | 등행연성회: 광장리 – 광진성 - 아차산 | ||
계 | 44 |
<표12.> 9. 김정태 유고집 No. 15 : 1943 금강산 등반기
No. | 번호 | 날짜 | 내용 | 기타 |
15 | 0906 | 표지: 연도 - 1943년, 내용 - 금강산등반기 | ||
0907~0939 | 1, 3월 금강산 등반, 11월/12월 예정 사항 | |||
0907~0908 | 11, 12월 예정사항 - 제2회 백두산 탐구 등행회 집필 계획, 관련 우편발송 : 동경 黑田正夫, 城山正三, 오사카 西岡一雄 등 - 冬山계획서작성 : 관련 佐佐, 石井, 吉田 업무 | |||
0909~0915 | 집선봉 동북능역전종주, 1351봉 서북능 세부 내역 - 巖越(엄흥섭 주석), 朴(박상현), 延岡, 玄川(현기창), 趙(조동창) - 동북릉 등반 : 김정태와 朴 그리고 延岡과 玄川 2개조, 1차후 玄川, 延岡, 趙 하산 후 1351봉은 김정태와 朴 등반 | 延岡:창씨개명 한인 백령회원인 듯, 1943년 10월 금강산 스키연성 참석 | ||
0915~0916 | 會員相互申合事項 - 사무담당 총무: 岩越, 辰海, 이기만, 서무·회계 : 玄川, 趙, 松本 - 결정사항 : 월1회, 사무실, 첫째 금요일, 등행단 참가, 수시로 연구 담당에 의해 집합, 월1회 비품정리 등 - 사업계획 : 스키, 가족, 행군연성, 암등연구 등 | 백령회 | ||
0917~0918 | 冬山계획안 - 운수백산~두운봉(부전고원) - 대원 : 佐佐, 石井, 辰海, 金正浩, 石附, 本城, 尾川, 浜の, 松本, 方炫, 趙 등 | 조선산악회 | ||
0918~0919 | 11월 예정사항 - 금회집회, 비품정리, 스키체조강습, 등행단참가 등 | |||
0919~0920 | 12월예정사항 - 금회집회, 비품정리, 스키체조강습, 등행단 참가, 12월7일 조선산악회 총회 참석, 독서예정 등 - 금요집회: 삼방스키교섭, 스키연성 등 | |||
0922~0932 | 1. 18~ 1. 22 | 스키합숙 연성행사 - 삼방협 교섭사항(숙박, 대절, 취사 등) - 스키일일 과정, 명단 - 일정 : 1/18~22, 경성 - 내금강 - 구미산장 - 조양폭 - 온정리 - 구룡연 - 온정리 - 경성 - 참석자 연락처 : 양천공업소, 삼국상회 왕십리지점, 三春사진관 등 | 조선산악회 | |
0933~0938 | 3. 21~ 3. 26 | 은령행 : 청량리 - 내금강(평화여관) - 비로봉 구미산장 - 비로봉 왕복 - 조양폭산장 - 방상정 - 온정리 - 동석동 왕복 | ||
0939 | 양정산악가(養正山岳歌) | 산노래(일어) | ||
계 | 34 |
*No.16은 원복사본 누락
<표13.> 10. 김정태 유고집 No. 17 : 1944 잡, 17-1 : 1944년 일기, 18 : 1945년 일기
No. | 번호 | 날짜 | 내용 | 기타 |
17 | 0940 | 1944 | 표지 : 연도 - 1944년, 내용 - 雜 | |
05941~0978 | 일본무연탄제철주식회사 조직 - 조직 : 연탄공장, 삼화연료, 기구-사장, 부장, 기획부, 연구부가 있고 부장 아래 경성, 해주, 진남포 공장 - 11/1 傳令경기(스키 대회) 계획서 - 8/29, 9/19 회사 部內幹部懇親會 | |||
계 | 39 | |||
17-1 | 0979 | 표지 : 연도 - 1944년, 내용 - 일기 | ||
0980~1032 | 2. 1~ 3. 6 | 일본체육회 관련 행사 및 스키연수 - 石井, 松方, 本城 외, 부산-시모노세키-오사카-도쿄 | ||
계 | 54 | |||
18 | 1033 | 1945 | 표지 : 연도 - 1945년, 내용 - 일기 | |
1034~1079 | 7. 5~ 8. 2 | 일본무연탄제철 경성공장 일지 | ||
1040~1041 | 7.21~ 7.22 | 도봉산 등산 - 공장, 연구소 직원 약 30명 - 원통사(1박), 우이암 등반 | ||
1044~1064 | 8월 이후 | 산악회 행사 준비, 백령 마크 | ||
1074 | 11. 29 | 산악회 임원회의 결의, 회무보고 | ||
1076 | 1. 26 | 이시이(石井) 출국 문제, 공장 관련 메모 | ||
계 | 44 | |||
합계 | 1079 |
결론
유고집에서 추출된 김정태의 등반기록은 해당 시기의 『登山 50年』 등의 기록을 대부분 확인할 수 있으며, 1936년부터 해방 전까지 서울근교의 북한산, 도봉산 암봉 및 금강산에서의 암벽등반 그리고 금강산 비로봉, 부전고원과 관모봉 일대 및 마천령 종주 백두산 등반 및 스키 활동에 이르기까지 당시 적설기 제주도와 개성 천마산 등반을 제외한 거의 모든 대상지를 등반하였다.
<표14.> 김정태 유고집의 연도별 중요 등반 기록과 산악회 활동
연도 | 사료 | 대상지(코스) 및 산악회 활동 | 중요 사항 |
1929 | 1~8월 일기 | 소년단 원족 | 등산 기록 없음 |
1934 | 1~12월 일기 | 직장생활 | 등산 기록 없음 |
1935 | 1~12월 일기 | 관악산 연주대, 북한산 백운대, 도봉산 천축사, 관악·삼성산 등 등산 | 암벽등반기록 없음 |
1936 | 1~12월 일기 | 관모연산, 북한산 인수봉(후면), 도봉산 만장봉, 용문산(등산), 관악·삼성산(등산), 북한산 백운대(캠핑), 도봉산 선인봉·오봉·우이암 | 4/29 인수봉 첫등반, 9/20이시이(石井) 첫 만남, 12/6 엄흥섭(제화공) 첫 만남 |
1938 | 1~8월 일기 | 삼방·내금강 스키(조선산악회 행사), 금강산 집선봉·세존봉, 도봉산 선인봉(측면)·만장봉·자운봉, 북한산 백운대(정면벽-뜀바위), 금강산 집선봉, 설악산 계획 | 1월부터 조선산악회 활동으로 1937년부터 함께 활동한 듯. |
1939 | 산행기록(계획과 등반기록) 일기 | 부전고원 차일봉·북수백산·백산·대암산(하계, 적설기 2회) | 적설기 차일봉, 북수백산 초등반 |
1940 | 8~11월 일기 | 용문산(등산), 북한산 인수봉(先年 초등코스, 정면벽), 도봉산 만장봉, 인수봉 대집단등반(후면), 금강산 집선봉(S2 정면벽) 등반 계획 논의, 금강산 비로봉 집선봉(S1 - S3, S1, 비로-세존 종주 등반) 하계·추계 2회등반, 도봉산 선인봉(측면), 북한산 만경대 | 11/3 북한산 인수봉 대집단등반(名刺交换會) |
1941 | 9~11월 일기 일부 및 등반기록, 백령회 운영 계획 등 | -등반 : 금강산(집선봉 S2 정면, 세존봉, 관음봉), 백두산 동계등반, 도봉산 우이암 -산악회 : 암등연구회(조선산악회), 백령회(기구요항 등 조직) | 금강산 집선봉 S2등반, 백두산 동계등반, 백령회 기구 조직 |
1942 | 3, 10, 12월 행사, 명치신궁국민연성대회 기록 등 | 일본신궁국민단련회, 경성부 등행단 연수(강연), | 일본 및 등행단 연수 |
1943 | 3~10월 일기, 금강산 등반기 등 일본연수 준비기록 | -등반 : 금강산 집선봉(동북릉S1 - S7 역종주, 1351m봉), 보개산(등산), 도봉산 선인봉(측면코스, 정면벽)·만장봉, 인수봉(정면벽)·보현봉, 용문산(등산), 백두산(하계), 운수백산 - 두운봉(부전고원), 금강산 스키연성 -산악회 활동 : 백령회 友省會(혈맹단식 단결), 양정 백두산 참여 백령회(엄흥섭)에 부탁, 일본체육회 스키부회(스키연수), 연성(등행단 연수, 백운대 등) | 금강산 집선봉 역종주 및 1,351m 초등, 백령회 운영방안(혈맹단식 단결), 일본 스키연수 |
1944 | 업무일지, 일본체육회 관련 행사 및 스키연수 | 일본체육회 관련 행사 및 스키연수, 일본무연탄 서울지부 업무 일지 | 일본 스키연수 |
1945 | 업무 일지 | 일본무연탄제철 경성공장 업무 일지 및 직원 도봉산 등산 |
*1930~33, 1937년 일기·등반기록 없음
그리고 유고집 검색어 대조 결과 지금까지 알려진 『登山 50年』 등의 기록과 몇 가지 차이점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김정태가 암벽등반을 한 시기는 1936년 4월 29일 북한산 인수봉이 첫등반이며, 사촌형으로 추정되는 이수창(李壽昌)과 인수봉 등반 즈음에 암벽등반을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전 1934년의 일기에는 등산 기록이 없고 1935년의 관악산·삼성산 2회, 도봉산 천축사 1회, 북한산 백운대 2회 등 5회 등산 모두 친인척 및 지인들과 함께한 하이킹이 전부다.
둘째, 암벽등반은 서울근교의 대부분의 암봉과 금강산 집선봉 일대에서 암벽등반을 하였고 금강산은 집선봉, 세존봉, 관음봉 등에서 등반을 하였다. 당시 기존 등반코스의 하나인 개성 천마산의 등반 기록은 확인하지 못했으며, 등반 기록 중에 1936년 4월 이전의 북한산 백운대 정면벽(1934. 3), 만장봉 동면벽(1934. 4), 만경대 병풍암능선(1935.4) 그리고 인수봉 정면벽(동면측 B코스, 1935. 5) 등반 기록은 1936년 5월 이후의 등반기록으로 여겨진다. 인수봉 정면벽은 1937년으로 발표되었던 기록을 우정산악회 주최 “인수봉 등반 50주년 세미나”(1976)에서 1935년으로 수정한 것이며, 도봉산 오봉(1939.5) 경우 그가 아처의 등반기가 발굴되어 초등반을 철회한 적이 있다. 금강산 집선봉에서의 모든 등반은 동북릉(당시 S로 표기) 등반으로 『登山 50年』의 1940년 10월의 중앙봉(당시 C로 표기) 등반 기록은 해당 월에 등반 기록에 없어 다른 자료의 기록 확인이 필요하다. 또한 1942년과 1943년 10월의 집선봉 S1-S7 전연봉역등반과 1,351m봉 초등반은 1943년에 10월에 같이 이루어진 등반이다. 이러한 개별 등반 기록에 대한 초등반 여부와 동반한 등반자 및 루트 등에 대한 상세한 고찰이 요구된다.
셋째, 적설기등반은 금강산 비로봉을 비롯한 북수백산 등 부전고원 일대, 관모봉 일대, 북포태산 및 백두산 등반을 하였으며 빙벽등반 내용은 확인하지 못했다. 북한산 계곡의 빙계(氷溪) 연습이나 집선봉 S2(『登山 50年』엔 C2로 표기) 꿀르와르 초등정(1936, 8) 역시 1936년 이후의 등반기록으로 여겨지며, 금강산 무봉폭(1935.1, 비봉폭 등반은 오기)과 집선계 그리고 설악산 쌍폭에서의 빙폭등반 또한 세부 내용 확인이 필요하다.
넷째, 1937년 기록이 없어 명확하지 않으나 그의 산악단체 활동으로 조선산악회는 1937년부터 함께 했고 정식 가입은 1938년이 아닌가 하며, 백령회는 1940년 이후에 활발한 활동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1936년 초기 이수창·이봉구·이춘봉과 등반을 하였고 이후 이시이(石井)와 엄흥섭(제화공)을 만나 1937년 등반파티를 이뤄 장비와 등반대 지원을 받아 활발한 등반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백령회의 성격 규명과 관련하여, 1943년 11월 모임에서 엄흥섭 주석은 민족의 역사를 설명하며 혈맹단(血盟團)식 단결이 회의 향후 방향임을 시사하였고 김정태가 그의 인격을 존경하고 신뢰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1940년 11월 3일의 인수봉 집단등반은 엄흥섭 주석이 기획하고 김정태과 총괄 진행한 행사로 암울한 시대에 민족의식을 표출한 의미있는 행사로 여겨진다. 총독부 경성부연성단 ‘登行’ 산행과 이에 따른 1940년 일본 명치신궁연성대회(제13회) 등에도 참가했다.
우리나라의 근대등반사는 김정태의 기록에 의지하여 쓰여 졌고 인용‧확대되어 정사(正史)로 인식되고 있다. 그의 『登山 50年』(1976)은 해방 이후 한일관계가 재편되는 가운데 탈식민지화 과제의 해결이라는 시대적 상황이 반영된 기록으로 일제강점기의 등반을 일인산악인들과 대립과 경쟁 속에서 자주적인 등반활동을 강조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가 주장하는 1930년 전후의 우리나라 등반사에 대한 시각이, 당시 그는 등반을 하지 않았으며 객관적인 자료가 아닌 구전을 자의적 해석한 것으로 추정되는 바, 우리나라 ‘알피니즘“의 원류에 대해 다시 생각해봐야 할 필요가 있고 김정태의 일부 등반 기록에 대해서도 객관적인 재정립이 요구된다. 또한 본고의 검색어 선정에 따른 유고집과의 대조로는 개별등반기록의 등반 날짜, 코스 초등정 여부 및 적설기 빙폭등반 등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없고 일부 등산 기록의 누락이 있기도 하다. 이에 따라 유고집의 해당 기록 전문의 번역이 필요하며, 초등반 기록이 많은 누락된 1937년 일기나 당시 기록이 포함된 추가 사료의 발굴도 필요하다.
유고집은 그가 1941~42년 적설기 백두산 등반 때 영하 20도~30도의 추워 속에서도 등반 기록을 작성하였듯이 곤란한 상황에서 기록하고 보관된 소중한 산악문헌으로, 일제강점기에서 해방 이후 1977년까지의 우리나라 산악계의 전반적인 등반활동과 중요한 산악문화 전반에 걸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거의 유일한 1차 사료다. 그의 기록이 헛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이에 대한 별도의 연구도 있어야겠다.
ⓟ東亞旅行社 京城支部 발행 엽서
1941~2년 경성부등행단 주최의 백두산 등반에 김정태·양두철·주형렬·유재선이 등반조로 참여하여
마천령산맥 종주 백두산 등정으로 루트 초등을 이루었고 이는 근대등반 중 최고의 등반으로 회자되었다.
상단 우측 봉우리가 백두산의 최고봉인 장군봉이다.
*본 글은 2021년 3월에 한국산서회 카페에 발표한 『김정태 선생 유고집 개관』 글의 유고집 「No.1 : 1929년 잡」과 「김정태 유고집 No. 2, 3, 4 : 1934~1936 일기」를 수정·보완한 글로 『山書』(32호)에 실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