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어캐치사의 루어교실 내용입니다http://www.surecatch.co.kr/html/mainm.html ※ 루어낚시 장비 1. 루어낚시란?
2. 루어낚시 장비의 이해 3. 루어낚싯대의 일반 지식 4. 파워 액션과 커브(휨새) 액션 5. 스피닝 릴(Spinning Reel) 6. 베이트캐스팅 릴(Bait Casting Reel)
※ 하드베이트 기초  1. 하드베이트 (Hardbait) 2. 톱워터 (Top Water) 3. 미노우 (Minnow) 4. 크랭크 베이트 (Crank Bait) 5. 바이브레이션 (Vibration) 6. 이미테이션 (Imitation)
※ 소프트베이 기초 1. 소프트베이트 (Softbait) 2. 텍사스/플로리다 리그 (Texas/Florida rig) 3. 캐롤라이나 리그 (Carolina rig) 4. 스플리트샷 리그(Split shot rig) 5. 드랍샷/언더샷/다운샷 리그 (Shot/Under shot/Down shot rig) 6. 지그헤드/웨이티드훅 리그 (Jighead/Weighted hook rig) 7. 와키/네코 리그 (Wacky/Neko rig) 8. 노싱커 리그 (No sinker rig)
|
|
|
※ 루어낚시 장비↑top |
|
1. 루어낚시란? ↑top |
|
|
루어 낚시(lure fishing)는 생미끼를 사용하지않고 인조 미끼를 사용한다는점에서 생미끼 를 사용하는 감성돔 및 붕어 낚시와는 구분 될수있다. 루어의 사전적 의미는 "유혹하다.꾀어내다" 인데 베이트 피시(bait fish,먹이고기) 또는 곤충 등의 모양을 플라스틱, 고무, 금속 등으로 만든 인조미끼가 루어이다. 루어를 포인트에 던져서 두면 아무 움직임이 없거나 그대로 가라 앉아 버린다. 낚싯대를 조작하거나 릴을 감거나 하여 무생물인 루어에 움직임을 가하여 대상어의 눈에 먹이 고기 또는 벌레로 보이게 하여 대상어를 유혹하여 루어에 덤벼들도록 유도한다.
루어 낚시에는 다양한 낚시방법이 있으며 또한 낚시 장소도 바다,강,호수,댐,계류,양어장 등 광범위하다.바다에는 농어(seabass)가 주대상어이며,볼락,쏨벵이,넙치,양태,쥐노래미, 칼치,가다랑어,부시리,방어,만새기,참치,삼치,왕대구,참돔,오징어 등 루어로서 낚을 수 있 는 어종이 무척 다양하다.댐,호수,하천,강에는 쏘가리,배스,메기,산천어,가물치,메기,강준 치,꺽지,끄리,누치,무지개 송어 등이 있다. 생미끼를 사용하는 붕어 낚시, 감성돔 낚시는 떡밥을 풀거나 생새우 등을 투척하여 대상어를 불러모아서 낚는 일정 포인트에서의 낚시인 반면, 루어 낚시는 광범위한 지역을 상대로 루어를 던져서 쉴새없이 릴링을 하면서 포인트 를 탐색하거나 타 포인트로 이동하면서 대상어를 찾아 나서는 활동적인 낚시이다.
사회생활에 겹겹이 쌓인 스트레스와 피로를 털어내고 아름답고 맑은 자연속에서 활력소를 불어 넣고 재충전할 수 있는것이 루어 낚시이다. 낚싯대 1개 달랑 들고 가까운 거리의 낚 시터로 가서 누구나 즐길수있는 점은 루어낚시의 큰 장점이다. 배스낚시의 기법과 루어의 종류는 다른 민물 루어낚시,바다 루어낚시,지깅낚시에 응용 될 수 있어 어느정도 훈련하고 습득하면 모든 장르의 루어 낚시에 쉽게 적응 할 수 있다.
루어 낚시는 스포츠게임피싱 (sports game fishing)으로 대상어를 게임의 대상으로 인식하 여 낚시 자체를 즐기고 대상어를 놓아 주는 캐치 앤 릴리스(catch & release)의 정신을 구 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정된 자원이 고갈 되는것을 방지하고 차세대를 위하여 잘 유지 하여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
|
2. 루어낚시 장비의 이해 ↑top |
|
|
낚시 장르의 한 형태로 자리 매김한 루어낚시가 인기를 얻고 있는 이유 중의 하나는 비교적 간단한 장비 즉 낚싯대, 낚시릴, 낚싯줄, 루어만으로서 여러 종류의 어종을 낚을 수 있다는 점이다. 루어낚시의 장비와 용품을 선택 할때는 전체적 균형(total balance)을 고려하여 구 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미끼를 사용한 붕어 낚시 또는 갯바위 낚시 등과 달리 루어낚시는 루어를 던지고 감아들이는 동작을 수 없이 반복함에 따라 체력이 쉽게 소모되어 피로해질 수 있으므로 몸에 부담을 주지 않는 장비를 선택 하여야 한다. 또한 개별의 장비가 아무리 우수하다 하더라도 장비간의 균형이 맞지 않으면 루어낚시의 기 술을 발휘하기는 힘들뿐만 아니라, 루어낚시의 즐거움도 반감이 되고 체력에 부담이 갈 수 있다. 사용하는 루어의 종류,형태와 무게 또는 낚시터의 장소와 환경,대상어의 크기,자신의 체력 등에 맞추어서 장비의 선택이 달라지며 다양한 장비와 용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사용하는 낚싯대와 릴의 종류에 따라서 루어낚시 장비는 스피닝 택클과 베이트 캐스팅 택클 2가지 로 대별 될수 있다. (플라이 택클은 별도의 장에서 설명) 스피닝 낚싯대와 스피닝 릴을 사용한 장비를 스피닝 택클, 베이트 낚싯대와 베이트 릴을 사 용한 장비를 베이트(캐스팅)택클이라한다.
■ 스피닝 택클 (Spinning tackle) 스피닝 낚싯대와 스피닝 릴을 사용한 장비로서, 셋팅을 하면 낚싯대의 가이드와 릴이 아래쪽 으로 향하며 먼거리 캐스팅에 부합하게 가이드가 큰 편이다. 캐스팅이 비교적 쉬우며 원투성 이 좋다. 가벼운 루어를 던지는데 적합하다.라인 트라블이 적게 발생하여 초보자가 사용하기 에 좋으나 스피닝릴의 구조적 문제로 실꼬임이 발생한다. 모든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며,특히 긴 낚싯대로 원투하는 경우에는 스피닝 장비가 적합하다.

초보자에게 우선 스피닝 택클을 추천한다. 하드베이트의 경우 비교적 가벼운 무게의 미노우, 크랭크 베이트,펜슬베이트 등을 사용할때 적합하며,소프트 베이트의 경우는 스플리트 숏리그, 가벼운 지그헤드 리그,가벼운 싱커(1/4 OZ 정도 이하)를 단 텍사스리그 등의 채비에 알맞다. 비교적 가는 호수의 낚싯줄을 사용하므로 장애물이 많은 지역에서는 사용하지 않는편이다. 일반적으로 배스용 스피닝 낚싯대는 6~6.6피트 사이의 ML액션을 선택하고 릴은 중소형 릴로 서 가벼운 릴을 장착하는것이 좋다.예산이 허용된다면 보다 가벼운 2~6g정도의 작은 미노우, 스플리트샷 리그,가벼운 지그헤드 등을 사용하기위한 UL,L 액션의 택클을 하나 더 준비한다.
■ 베이트캐스팅 택클 (Baitcasting tackle) 베이트 낚싯대와 베이트 릴을 사용한 장비로서 셋팅을 하면 낚싯대의 가이드와 릴이 윗쪽으 로 향하며 낚싯대 손잡이 부위에 트리거가 달려있어 검지와 중지 사이에 끼우도록 되어있다.

실을 감아들이는 힘이 바로 스풀에 전달되므로 힘이 강하며 비교적 무거운 루어와 물의 저항 을 많이 받는 루어를 사용한다. 하드베이트 중 비교적 무게가 있는 바이브레이션, 큰 규격의 크랭크 베이트,스피너베이트,낚싯줄을 감아들일때 저항이 큰 루어에 유용한 장비이다. 비교 적 굵은 호수의 낚싯줄로서 헤비카버(heavy cover)지역에 쓰인다.소프트베이트의 경우는 텍 사스 리그,캐롤라이나 리그 등의 채비로서 무거운 싱커(1/4 OZ 정도 이상)를 사용할 때 적합 하다. 바닥이 복잡하고 밑걸림이 많은 지역,원투가 필요할 때,스트락쳐(structure)를 공략할 때 이용된다.포인트에 정확하게 착수 시키는것이 쉬운 반면, 원투성이 떨어진다.실이 풀려나 갈때 스풀의 가속도로 인해 백래쉬(back lash)가 발생할수 있어서 캐스팅시 써밍(thumbing) 훈련과 숙련이 필요하다. 배스용 베이트 낚싯대는 6~6.6피트 정도의 M액션낚싯대와 10LB~12LB 100m 전후가 감기는 베이트릴이 기준이 된다. |
|
3. 루어낚싯대의 일반지식 ↑top |
|
|
루어낚싯대는 스피닝대, 베이트대로 대별되지만 낚싯대의 길이 및 마디수,강도,휨새의 차이 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낚싯대가 있다.체력에 부담을 주지 않는 무게,목표 지점에 정확히 던 질 수 있는 캐스팅 성능,의도적으로 액션을 가할 수 있는 조작 성능,대상어의 저항을 흡수할 수 있는 파이팅 성능을 고려하고 여기에 낚시릴,낚싯줄,루어와의 균형을 맞춘다.바다 농어낚 싯대의 경우 8~9피트 길이의 ML 액션 낚싯대가 사용된다.선상농어낚시에는 10~12피트,갯바위 농어 낚시는 12피트 전후, 원투용으로는 1214피트 낚싯대가 선호된다.
아래 그림과 같이 낚싯대 손잡이 윗부분에는 해당 낚싯대의 제품 사양이 표시 되어 있어서 원 하는 사양의 낚싯대를 선택 할 수 있다.

낚싯대의 손잡이 윗부분에 해당 낚싯대의 사양 즉 길이, 마디수, 액션, 적합한 루어의 무게, 적합한 낚싯줄의 굵기 등이 인쇄되어 있다. 자신이 원하는 낚싯대의 길이, 강도를 대상어, 낚 시터 장소 환경, 사용하고자 하는 루어의 무게와 균형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
|
4. 파워 액션과 커브(휨새) ↑top |
|
|
■ 낚싯대의 파워 액션 (power action) 낚싯대의 강도를 나타내는 파워 액션 (power action)은 일반적으로 UL,L,ML,M,MH,H 등 으로 분류되는데 UL에서 H로 이동할수록 가벼운 루어에서 무거운 루어를,가는 낚싯줄에서 두꺼운 낚싯줄을 사용하게 된다. 쏘가리, 송어, 우럭은 UL,L 액션이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배스용은 ML, M 낚싯대가 범용적으로 쓰인다. 볼락은 UL,L 액션,농어용은 ML,M의 액션, 지깅낚시는 M, MH, H 등의 액션, 가물치는 H, XH 액션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광범위한 지역을 빠르게 탐색하는 하드베이트 낚시와는 달리 소프트 베이트 낚시는 포인트를 점하여 천천히 공략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캐스팅 회수가 작아 하드베이트 낚시보다는 체 력의 소모가 덜 한편이다.소프트 베이트 낚시는 바닥층 낚시가 기본으로서 바닥의 기복,장애 물을 감지 할 수 있는 장비이어야 한다.아울러 장애물에 걸릴 경우에 대비하여 어느정도 강도 가 보장되는 낚싯대가 필요하다.
바다농어 낚싯대의 경우 항만, 방파제 등 높지 않은 지역에서는 짧고 약한 낚싯대를, 밑걸림 이 많은 갯바위에서는 다소 길고 힘센 낚싯대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방파제, 안벽, 항만내의 장소에서는 7~9 피트정도의 길이가 적합하며 배스 낚시 장비도 그대로 사용가능하다.
갯바위는 위치가 높은 곳이 많으므로 12피트 전후의 낚싯대를 사용하고 원투용으로는 12~14 피트가 쓰인다. 에깅 낚싯대는 8~8.6” 전후의 ML, M액션, 볼락낚싯대는 초릿대가 낭창한 L 액션을 사용한다.
■ 낚싯대의 휨새 액션 (curve action) 파워 액션은 낚싯대의 강도를 나타내는 반면, 커브 액션은 낚싯대가 하중을 받을때 낚싯대 가 곡선으로 휘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엑스트라 패스트 테이퍼, 패 스트 테이퍼, 미들테이퍼, 슬로우 테이퍼의 4 단계로 구분 할 수 있다. 패스트 테이퍼(fast taper)의 낚싯대는 힘이 가해지면 낚싯대의 앞부분이 굽어지며 낚싯대의 반발속도가 빠르다. 기본적으로 패스트 테이퍼 낚싯대가 루어를 캐스팅하는데 쉬우며 감도도 좋다. 보급형인 올 드보이를 포함한 슈어캐치의 루어낚싯대는 패스트테이퍼로 설계되어 있다. 반면 슬로우테이 퍼(slow taper)의 낚싯대는힘이 가해지면 낚싯대 전체가 굽어진다.
엑스트라 패스트 테이퍼(extra fast taper)
패스트 테이퍼(fast taper)
미들 테이퍼(middle taper)
슬로우 테이퍼(slow taper)
|
|
5. 스피닝릴 (Spinning Reel) ↑top |
|
|
스피닝릴의 최대장점은 원투성인데, 라인이 방출될 때 저항감이 적어 가벼운 루어도 보다 멀 리던질 수 있다.초심자도 쉽게 연습하여 능숙히 사용할 수 있다. 여러 가격대의 제품이 시장 에 출시되어 있다. 루어낚시의 특성은 던지고 감고를 하루 종일 반복해야 하는 낚시이므로보 다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릴을 고른다. 대물이 걸렸을때 릴에 대상어의 강한 저항이 전해지면 낚싯줄이 끊어질 수있다. 따라서 낚시 전에 드래그 설정을 자신이 사용하는 낚싯줄의 강도를 감안하여 드래그를 조정해 놓는다. 낚싯줄을 라인 롤러에 걸어서 낚싯줄을 손에 잡고 당겼을 때 스풀이 어느정도 부드럽게 풀리는 정도의 강도로서 드랙을 설정한다. 드랙이 너무 느슨하 면 드랙의 효과가 없을뿐더러 제어를 하기 힘들므로 주의한다. 스피닝릴의 베일 암을 앞으로 제끼고 캐스팅을 하면 낚싯줄은 나선형으로 방출되어 나가는데 이것이 실꼬임의 근원적인 원 인인데 낙하지점을 어느 정도 예측을 하고 검지 또는 중지로서 스풀 가장 자리에 대어서 낚싯 줄 방출을 조정한다.
■ 릴의 크기 선택 루어를 수 없이 던지고 감아들이는 것을 반복하는 루어 낚시에서는 되도록 가벼운 릴을 선택 하는 것이 체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짧고 약한 강도의 낚싯대에서는 작은 릴 을 길고 센 낚싯대에는 비교적 큰 릴을 결합한다. 슈어캐치 미라지(Mirage)릴은 MF100, 200, 400 세가지 종류가 있다.100 및 200은 배스 및 중소형어 루어 낚시에 적합하고,농어 및 중대 형어를 노리면 400이 좋다.

■ 드래그의 조절 낚시릴의 드래그는 낚싯줄에 어느정도 일정 이상의 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스풀이 회전하면서 낚싯줄이 풀려 나가게 하는 장치이다. 이는 강한 힘이 낚싯줄을 끌어 당길때 낚싯줄이 끊어지 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다. 드래그는 낚시하기 직전에 조절해 두는 것이 좋다. 보통 낚싯줄 강도의 1/3정도에 설정하는데 12LB 낚싯줄을 사용하면 4LB 강도로 드래그를 설 정한다. 보통 다소 세게 실을 끌어 당겨서 스풀이 풀려나갈 정도의 강도로 설정하면 무난하다. |
|
6. 베이트캐스팅 릴 (Bait Casting Reel) ↑top |
|
|
베이트릴은 스풀이 회전하여 실을 방출하거나 감는다. 일반적으로 스피닝릴 보다 감아들이는 힘이 세며 딥크랭크 베이트(deep crank bait), 스피너 베이트(spinner bait) 등 물의 저항을 많이 받는 낚시에 유리하다.푸쉬 버튼을 눌러 캐스팅하면 스풀이 회전하면서 방출되므로 가벼 운 루어를 캐스팅 하기가 힘들다.구조적으로 스피닝처럼 실꼬임 현상이 없으나 방출할때 스풀 의 가속도가 붙어서 실을 되감아 엉키는 현상, 백래쉬(back lash)가 종종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엄지 손가락으로 써밍(thumbing)하며 조정한다. 베이트 릴은 사용하기 전에 미캐니컬 브레이 크(mechanical brake)와 드래그를 설정한다. 사용하는 루어의 크기와 무게,낚싯줄의 호수, 낚싯대의 액션 정도에 따라서 베이트릴의 브레이크와 드랙설정범위가 달라질수 있다. 우선 낚 시에 사용할 루어, 낚싯줄, 낚싯대와 베이트릴을 셋팅, 장착하여 준비를 한다.

1) 미캐니컬 브레이크(mechanical brake)의 설정
 텐션 놉(tension knob)을 좌우로 조금씩 돌리면서 설정한다.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텐션이 증 가하고,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텐션이 감소한다. 강하게 설정하면 스풀 회전이 무겁고, 약하게 설정하면 스풀 회전이 가볍다. 숙달되기 전에는 약간 무겁게 설정하는것이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사용하고자하는 루어를 실에 달고서 푸쉬 버튼을 눌러 스풀을 자유롭게 하여서 낚싯대를 상하로 움직여서 루어를 떨어지게하는 정도가 표준이다. 숙달되면 브레이크를 점차 적으로 약하게 설정한다. 너무 약하게 설정하면 스풀에 유동이 생겨서 오히려 비거리가 떨어질 수 있다. 미캐니컬 브레이크를 설정할때는 마그네틱 브레이크를 “0”(제로)에 설정해둔다.

2) 마그네틱 브레이크(magnetic brake)의 설정
 미캐니컬 브레이크 설정이 끝나면 마그네틱 브레이크를 설정한다. 컨트롤다이얼(control dial)을“0”의 방향으로 돌리면 브레이크가 약해지고,“10”의 방향으 로 돌리면 강해진다.우선 10에서 시작하여 차츰 9,8...로 낮추어 간다.다이알을“10”에 맞춘 다음 캐스팅을 하여 원하는 비거리와 백래쉬 감소 현상이 나오는지 테스트한다.그리고 원 하는 수준이 나오지 않으면 다이알“9”에 맞추고 캐스팅을 하면서 원하는 수준에 도달할때 까지 다이알을 조절해 나가면서 맞춘다.
3) 써밍(thumbing)에 의한 백래쉬 조절 상기 브레이크 설정에 따른 백래쉬 조절 이외에도 캐스팅후에 엄지손가락으로 스풀의 낚싯줄 에 직접 접촉하여 스풀의 회전 속도를 가감하여 백래쉬를 조절한다. 썸바를 눌러 캐스팅을 하 면 루어와 낚싯줄이 방출되면서 스풀의 가속도가 붙어서 스풀이 오히려 방출된 낚싯줄을 되감 는 백래쉬 현상이 발생 할 수 있다.루어의 낙하 지점과 낚싯줄의 느슨한 상태를 관찰하면서 엄 지 손가락으로 스풀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포인트에 루어를 낙하시킨다.
4) 스타드랙(star drag)의 설정
 백래쉬 조절이 끝난후에는 드랙조절을 한다. 스타드랙(star drag)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드 랙이 강해지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드랙이 약해진다. 썸바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는 스 풀은 클러치에 걸려있다.낚싯줄을 손으로 강하게 당기면 낚싯줄이 스풀에서 어느정도 부드럽 게 풀려 나오도록 설정한다. 보다 정밀한 드랙설정을 위해서는 낚싯줄을 드랙 측정기(scale) 에 묶은 다음 당겨서 드랙의 강도를 측정하면서 조절한다.드랙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낚싯줄 의 파운드 테스트(lbs test)의 1/3에 맞춘다. 12lbs줄의 경우는 4lbs에 맞춘다.
|
|
|
※ 하드베이트 기초↑top |
|
1. 하드베이트 (Hardbait) ↑top |
|
|
하드베이트는 나무, 금속, 플라스틱등의 소재로 만들어진 베이트피시 혹은 곤충 형상의 루어 로서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하드베이트는 낚싯줄에 연결하여서 달리 셋팅할 필요없이 비교적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 용도 및 형태에 따라 톱워터,미노우,크랭크베이트, 바이브레이션, 이미테이션 및 기타 등으로 분류된다.
배스가 어딘가에 있을지 모르는 광범위한 지역을 템포 빠르게 탐색하는 것이 하드베이트 낚시 이다. 먼거리를 던져서 감아들이는 것을 반복하면서 물의 진동, 빛의 굴절 등으로 배스를 유인 한다.
배스는 기본적으로 온수 계통의 어종으로서 수온이 상승하면 수면 가까이로 접근하고 수온이 하강하면 수면 깊이 내려가는 편이다. 배스는 계절적으로 기온의 상승과 하락에 따라 톱워터 지역에서 보텀(bottom) 지역까지를 이동하며 활동을 한다. 어느 계절, 어느 시기, 어느 장소에 어느 층에 머물고 있는가를 경험과 자료에 의하여 고찰하여 적정한 루어를 사용하여 공략하 면 월등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수면층, 얕은층, 깊은층,바닥층 등 유영하는 지역을 때때로 바꾸는 배스를 낚기 위해서는 수심층에 따라 이에 적합한 하드베이트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 다. 수심층의 범위를 그림으로 그려보면 아래와 같다.
 |
|
2. 톱워터 (Top Water)↑top |
|
|
표면층 및 샐로우(shallow)지역을 공략하는 루어가 톱워터 하드베이트이다. 기본적으로 카버, 스트락쳐가 있는 곳은 배스가 있다고 생각되는데 이러한 지역의 수면을 공략한다. 톱워터용 하드베이트는 일반적으로 액션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낚싯대의 조작을 위한 어느정도 의 훈련이 필요하지만,노이지와 스위셔는 단순한 리트리브만으로도 대상어를 강렬하게 유인할 수 있다.톱워터 루어 낚시의 최대 매력은 배스가 물을 가르고 나와 큰입을 벌려 루어에게 공격 하는것을 볼수 있는 것이다. 자신이 구사하는 액션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고 배스의 공격 이 아주 흥미롭다.배스의 활성도가 높을때 특히 6~8월에는 톱워터 루어에 반응이 좋다.톱워터 루어 중 대표적인것은 펜슬베이트(또는 스틱베이트),폽퍼,스위셔 등이다.일반적으로 펜슬베이 트를 사용해 보고 반응이 없으면 액션을 요란하게 연출하는 폽퍼,스위셔로 변경한다.물의 투명 도가 높고 수면이 잠잠할 때는 펜슬베이트,폽퍼를 사용하고,물이 혼탁할때는 폽퍼,스위셔를 어 둡거나 물결이 일때는 스위셔를 선택한다.
■ 펜슬베이트/스틱베이트 (Pencil bait, Stick bait) 낚싯대의 조작에 따라 아주 멋진 액션을 연출할 수 있는 루어이다. 먹이고기를 의식하여 만든 디자인으로서 수면에 바로 선다든지,허우적거린다든지 하는 소어의 모양을 연출한다. 샐로우 지역의 브레이크, 갈대부근, 후미진 곳 등이 펜슬베이트의 좋은 포인트가 된다.
워킹더독 (Walking the dog)은 펜슬베이트 액션중 핵심적인 것으로 낚싯대 끝을 수면으로 향 하게하여 가볍게 수면을 치듯이 낚싯대 끝을 10cm 정도의 폭으로 톡톡 후린다. 좌우 어느 쪽 이든 이동하게되는데 느슨한 줄을 감아나가면서 이를 연속적으로 하면 좌우로 움직이는 워킹 더독 액션이 구사된다. 스키잉(skiing)액션은 수평보다 조금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워킹더독 액션보다 좀 더 큰 폭(약 30cm)으로 낚싯대를 아래로 후려서 리듬감있게 액션을 구사하면 수 면을 도망가는 소어를 연출하는 것이다. 낚싯줄을 당겼다가 다시감는 그 사이 포즈(pause)를 보다 길게 둔다. 
그리고 또 다이빙(diving)액션을 구사하면 배스에게 보다 어필할 수 있다. 부력의 각도가 큰 펜슬베이트가 사용하기 쉽다.낚싯줄에 텐션을 준 상태에서 낚싯대를 위로 세우면 루어가 다 이빙을 하게 된다. 워킹더독, 스키잉, 다이빙액션을 적절히 조합하여 구사하면 좋은 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다른 기법으로서는 포인트로 캐스팅하여 그대로 일정 위치에 방치를 하면서 낚싯대 팁을 아주 미세하게 흔들어서 루어를 떨게 만드는 것이다. 일점정위의 액션이다.

펜슬베이트는 무게와 중심,부력 차이에 따라 수면에 떠있는 각도가 차이가 나며 액션이 다르게 구사된다. A. 작은 움직임에도 잘 움직이며 스케이팅 액션이 좋다. B. 제일 보편적 형태로서 워킹더독등 기본 액션 구사할 수 있다. C. 다이빙 액션, 워킹더독 액션 구사가 용이하나 스케이팅 액션에는 적합하지 않다.

■ 폽퍼 (Popper) 수중 또는 수변에 서식하는 소동물을 이미지화하여 루어의 움직임을 나타낸다.퍽퍽하는 파열음과 물결 파동을 기본으로 워킹 더독액션, 다이빙 등의 액션을 조합하여 구사한다. 표층을 빠르게 끌어 당긴다든지 수면 직하에 잠긴다든지하여 수면에 물결과 수중에 파동 을 일으켜 대상어를 자극시킨다.다른 루어보다도 이동거리를 짧게하면서 보다 긴 시간동 안 대상어에게 어필 할수 있다.

스톱앤고(stop & go)는 리트리브와 포즈를 적절히 배합하여 연출하는 것이다. 수심이 깊은 곳이나 물결치는 상황에서는 낚싯대를 크게 후려서 되도록 음과 물의 파동을 크 게하여 루어의 존재를 알리는 것이 좋으며,얕은 지역 또는 수면이 조용한 상황에서는 낚싯대를 작게 톡톡 후리면서 이동거리를 짧게하여 유인한다.

때로는 스톱의 시간을 길게 주어서 리듬감을 조금 깨어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또는 발란스를 잃지 않고서 물 위로 뛰어오르지 않을 정도로 빠른 속도로 리트리브한다. 배스로부터 별 반응이 없을 때 의외로 좋은 조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스위셔 (Swisher) 스위셔는 프로펠러가 부착된 루어로서 형태적으로는 가늘면서 긴 타입이 많다. 리트리브만으로도 프로 펠러가 회전하고 물보라와 소리를 일으키면서 움직인다. 스피너 같은 회전음과 물결이 배스에게 어필한다. 배스의 활성도가 높은 시기에 높은 조과를 나 타낸다. 싱글프롭스위셔 (Single prop)와 다블프롭스위셔 (Double prop) 2종류가 있다. 싱글 스위셔중에서 프론트프로펠러 형태는 비교적 큰 물보라가 생기고 꼬리부분이 작게 흔들린다. 리어프로펠러 형태는 포말음 효과외에 워킹더독 액션이 가능하다.다블스위셔 는 수평적인자세로서 격렬한 포말음을 연출하여 물의 파장효과가 크며 스톱앤고 액션으 로 비교적 직선 방향으로 유영하므로 몸체가 홀쭉한 편이다. 강약의 저킹과 스톱앤고 액 션으로 효과적인 액션을 연출할 수있어서 초보자가 사용하기에 좋다.
물결이 일어서 펜슬베이트로서 눈에 잘 띄지 않을 때나 약간 어두운때에 다블 스위셔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 노이지 (Noisy) 낚싯대의 조작없이 스테디 리트리브만으로서 좌우로 기우뚱 거리면서 수면에 파장과 물결을 일으키며 나아간다. 개구리,쥐,도망치는 베이트 피시,육생곤충이 수면에서 허우적 거리는 모 습을 연출하여 대상어를 강하게 자극한다. 기우뚱거리는 롤링 액션으로 물의 파동과 소리를 최대한 활용한다. 늦봄 부터 여름철에 배스가 수면을 의식하고 있는 시기에 적합하다. 액션 연출은 스테디 리트리브로서 좌우 롤링 액션과 저킹 또는 빠른 리트리브로서 스플래쉬 액션을 연출한다. |
|
3. 미노우 (Minnow)↑top |
|
|
피라미,빙어 등 실제의 베이트 피시모양을 하고 있는 미노우 또는 붕어,납자루,전어 등의 모 습을 형상화한 새드는 소어를 포식하고 있는 대상어에게 발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모양 이 먹이 고기와 유사하여 초보자라도 이것이라면 잡을 수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낚시를 할 수 있다. 미노우 및 새드는 크랭크 베이트와 비교할 때 액션이 작은편이고 바이브레이션 스피너 베이트 등과 비교할때는 강렬한 유인효과가 적다.리트리브 외에 트위칭,저킹 등 을 추가하여 액션을 연출한다.
(1) 부력이 다른 세종류 부력에 따라서 플로팅,서스펜딩,싱킹형태로 구분된다. 서스펜딩은 물과 동일한 비중으로 수 중에서 그상태로 머무는것이나 기온,수온,수질 등에 따라서 물자체의 비중이 달라지므로 루 어 또한 뜨거나 가라 앉기도 한다.공략할 수심층은 대체적으로 수면층에서 중층정도이나 얕 은 층을 공략할때는 립이 짧은 미노우나 새드로서 공략을 하고,초봄의 산란 전 후, 가을부터 겨울 사이에 중층을 겨냥할 때는 립이 긴딥다이버(deep diver)미노우를 사용한다.서스펜딩 딥다이버 미노우는 공략하고자 하는 수심까지 리트리브한 다음 멈추고,아주 느린 속도로 일 정한 수심층을 유지하면서 유영한다.때로는 이들을 크랭크베이트의 대용으로 쓸 수 있다.
 ■ 플로팅(Floating) 자체부력이 있어서 수면에 뜨는데,리트리브하면 물속으로 파고든다.
■ 서스펜딩(Suspending) 루어의 부력이 물과 같거나 비슷하여 리트리브를 멈추면 수중에서 그 상태로 머문다.
■ 싱킹 (Sinking) 물보다 부력이 적어 그대로 두면 가라앉고 리트리브하면 라인방향으로 떠오른다.
(2) 호기심 유발과 공격성 자극 베이트 피시 형상만으로 배스를 유인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배스의 식성 이외에 배스의 호 기심과 공격성을 자극하는 낚시 방법이 중요하다.미노우의 크기는 잡고자 하는 배스의 크 기에 맞추어 미노우를 선택한다. 프레셔가 높은 지역에서는 작은 미노우를 사용하지만 기 본적으로 큰 루어에게는 큰 배스가 잡힌다.
■ 샐로우 란너(Shallow runner) -표층 또는 얕은층에서 도망가거나,약하고 병들은 소어의 이미지를 연출하는것이 효과적이다.
■ 저크 베이트(Jerk bait) -말 그대로 저킹을 가해서 날카롭게 반짝 반전시키는 움직임으로서 배스의 리액션 바이트를 유도한다. 특히 스트락쳐 근처에 머물러 있는 배스에게 위력을 발휘한다.
■ 다이빙 미노우(Diving minnow) -롱빌(long bill)미노우로서 잠수 능력을 살려서 배스가 머무는 수심층을 탐색하고자 할때 유효하다.
(3) 액션 ■ 스테디 리트리브 (Steady retrieve) 일정한 속도로 오직 실을 감아 들이는 것이다.이때 루어는 물의 저항을 받으면 어떤 액션을 연출하게된다.속도에 따라서 패스트,미디엄,슬로우 리트리브가 있다.광범위하게 탐색을 하 고자 할 때 편리한 방법이다.빨리 감아들이면 움직임이 격해지고 천천히 감으면 움직임이 작다.하드베이트에는 가장 잘 움직이는 리트리브 속도가 있으며 이 적합한 속도를 파악하여 하드베이트 본래의 움직임을 끌어내는것이 중요하다.하드베이트의 종류에 알맞는 속도로서 리트리브하면 일정수심층을 유지하면서 유영을 하고 배스가 입질하기에 쉽다.어느 정도의 수심층에서 어느 정도의 속도로서 리트리브 하면 입질이 있을 것인지를 생각하면서 반복해 나간다.약간의 변화를 주고자 한다면 리트리브 도중에 멈추어 버리면(포즈)하드베이트가 뜬 다든지,가라앉는다든지 하며 배스에게 입질할 시간적 여유를 주게된다. 리트리브 속도를 느 리게,보통으로,빠르게로 바꾸면 유영층이 달라지며 또한 손에 전달되는 하드베이트 움직임 의 감촉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잘 파악하여 하드베이트의 유영하는 수심층을 파악한다.리 트리브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낚싯대와 낚싯줄이 일직선 상태로 놓아져서는 안된다. 필히 각도를 주어야 한다.일직선 상태에서 리트리브하게되면 대상어가 공격하여 입질을할때 낚싯대에 탄력을 줄수가 없고 루어가 탁 튀어버리는 결과가 생긴다.그리고 포인트에 따라서 낚싯대를 들어 세우든지,내리든지 하면서 루어가 통과하는 수심층을 조절하는것이 중요하다.
■ 스톱앤고 (Stop and go) 리트리브 도중에 실감기를 멈추었다가 다시 리트리브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다.포즈(pause 실감기를 멈춤)를 함으로서 루어 움직임에 변화가 생겨 대상어에게 어필할 수가 있다. 멈춘뒤 다시 리트 리브하여 루어가 막 움직일 때 입질하는 경우가 많다.스톱앤고는 사용하는 루어의 특성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톱워터 루어는 포즈를 하면 수면에 뜬채로 멈추게 된다.플로팅 미노우 또는 크랭크베이트는 부력으로 떠오르게 되며,싱킹미노우는 자연스럽게 가라 앉는다. 부력이 큰 루어(패트 크랭크베이트 fat crank bait)를 사용하면 포즈 시에 루어가 수중에서 상 하 운동이 커지게 되어 어필력이 높아진다.딥 크랭크베이트(deep crankbait)의 경우는 립이 장애물에 부딪혔을 때 포즈를 하게 되면 조금 떠오르게 되며 다시 리트리브를 하여 장애물을 회피해 나가면서 바닥을 탐색해 나갈 수 있다.서스펜드 미노우는 포즈 시에 수중에서 멈추게 되므로 활성도가 낮은 배스 등의 대상어에게 효과적이다.
■ 펌프리트리브 (Pump retrieve) 릴링을 하지않고 낚싯대를 움직여서 일정수심을 유지하게 하는데 배스의 움직임이 둔할때 산란후 의 배스 등에 효과적이다.천천히 미노우를 유영하게 하고 멈춘다. 멈추었을 때 배스 를 안달나게 만들고 다시 천천히 유영하도록 한다.
■ 트위칭 (Twitching) 낚싯대 팁을 아래로 톡톡 치듯이 리트리브를 하면 루어의 불규칙적인 움직임이 배스를 자극 한다.루어가 착수 후 리트리브하여 어느 정도의 깊이에 도달하였을 때 일단 멈춘 다음 트위 칭을 시작한다. 2~3회정도 트위칭하여 3~5포 정도 포즈를 가미한다.낚싯대를 아래로 향한 자세에서 연속적으로 짧게 낚싯대를 수면을 톡톡치듯이 살짝 후린다.그리고 느슨한 낚싯줄 을 감아 들인다. 트위칭 후에는 포즈를 가한다.이때 중요한 것은 낚싯줄의 텐숀 때문에 루어 가 끌려오지 않도록 하는데,플로팅 미노우는 천천히 떠오르고,서스펜딩은 그 자리에서 정지 한다.불규칙적인 액션인 트위칭은 미노우 루어 낚시에 빈번히 사용된다.트위칭할 때 속도가 너무빨라서 루어의 머리가 아래로 향하지 않도록 한다.배스에게 쫓기는 소어는 머리를 아래 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배스의 활성도에 따라 강약, 대소를 조절 하면서 포즈를 가한다.2차 트위칭후 포즈 또는 3차 트위칭후 포즈등 리듬감있게 행한다.
■ 저킹 (Jerking) 저킹은 배스를 자극하고 일순 멈추었을 때 루어를 공격한다 플로팅과 서스펜딩 미노우에서 필수적인 테크닉으로서 저크와 포즈를 혼합하여 연출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저킹은 트위칭 보다 다소 느리게 그러나 크게 낚싯대를 후리는 것이 기본이다. 트위칭과 다른점은 연속적 으로 1회1회 액션을 구사하는 것이다.포즈에서는 낚싯대를 원위치로 돌리면서 느슨한 낚싯 줄을 되감는다. 포즈시에 입질의 확률이 높다.저킹에는 스무스하게 물을 헤쳐 나갈 수 있는 비교적 큰길이(10cm전후)에 홀쭉한 몸체로서 롤링액션의 미노우가 많이 사용된다. 저킹시 에 균형을 잃어 루어의 몸체가 기울어져 복부가 드러날때 플라싱 효과가 중요하다. |
|
4. 크랭크베이트 (Crankbait)↑top |
|
|
크랭크베이트는 다른 루어와 비교할때, 립으로 다이빙하고 강한 부력으로 떠오르면서 강렬 한 파동과 소리를 발하여 대상어를 자극하고 유인하는 것이 아주 빼어나다.크랭크베이트는 립의 길이와 각도에 따라서 잠수하는 깊이가 달라지며 수심층에 따라서 샐로우 크랭크 베이 트,미들 크랭크베이트, 딥 크랭크 베이트로 구분된다. 이를 구분하여 사용하면 표면층부터 바닥층까지 공략 가능하다.
■ 수심별 종류 샐로우(shallow) 크랭크 베이트 : 수면층부터 수심 0.5m 정도까지 탐색하는데 작은 립이 몸 체 아래 방향으로 붙어 있다.얕은 지역의 오픈워터,조석의 피팅타임등에는 샐로우 크랭크베 이트로 표층을 탐색하면서 배스를 유혹한다.

미들(middle) 크랭크 베이트 : 1 ~ 2.5m 정도를 탐색한다.

딥(deep) 크랭크 베이트 : 수심 2.5m 이하부터 바닥층까지 탐색,길고 큰립이 몸체 앞방향 으로 돌출되어 있다.

크랭크 베이트는 몸체가 크면서 격렬한 액션으로 파장을 일으키는 특징이 있어서 스테디 리트리브만으로도 다른 루어보다도 멀리 떨어져있는 배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기본적으로 넓은 범위에 배스가 흩어져 있는 가을철에 템포 빠르게 표층부터 바닥층 까지 스테디 리트리브만으로 탐색을 하여도 좋은 조과를 볼수있다.
■ 액션 둥글 몽땅한 몸체와 큰립이 특징인 크랭크베이트는 리트리브만으로 몸체를 좌우로 흔들어 대는 액션을 연출하여 배스에게 어필한다.수면층부터 수심 4~5m 깊은 층까지 여러수심층 을 탐색하는것이 가능하다. 리트리브 속도를 조절하여 탐색하고자 하는 수심을 바꿀수있다. 크랭크 베이트는 몸체 형상에 따라 팻(fat) 크랭크 베이트와 슬림(slim)크랭크 베이트로 구 분되는데, 팻 크랭크 베이트는 좌우로 움직이는 워블링 액션이 현란하고 강하며 부력이 높 아 빨리 떠오른다. 활성도가 높은 배스에게 효과적이다. 슬림크랭크 베이트는 몸체가 다소 가는 형태로서 롤링(rolling) 액션을 연출한다. 액션이 약한편으로서 프레셔를 많이 느끼거 나 닳아 빠진 배스에게 유효하다.머리를 하향자세로 유영하므로 장애물이 있어도 길다란립 이 바늘보다 더 내려와 있어서 밑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리트리브 도중에 멈추면 수중에서 떠오르는 자세가 배스를 유혹할 수도 있다.일정수심을 스피디하게 탐색 가능하므로 배스가 광범위하게 흩어져있는 가을철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공기저항과 물의 저항이 크므로 캐스 팅이나 리트리브시에 상당한 체력이 소모된다. 일반적으로 립이 클수록 깊이 잠수하는데 수 심 5m 용이라도 느린 리트리브를 하면 2~3m 수심으로 수심을 변경할 수 있다.
크랭크베이트의 주요한 테크닉으로는 보텀녹킹(bottom knocking)이 있는데, 바닥에 부딪히 면 일순 리트리브를 멈추고 다시 리트리브를 하여 바닥에 부딪히는 것이다. 반복적으로 계속 해나가면서 능숙해지면 바닥의 지형과 기복을 알 수 있게 된다. 머리를 숙여 립을 앞세워 유 영하므로 바늘보다 립이 바닥에 닿으므로 밑걸림을 회피할수 있다.
그리고 불규칙적인 액션을 연출하여 보다 더 어필하는 방법으로서는 바닥의 돌출 부분, 수중 나무등의 장애물에 의도적으로 립을 부딪혀서 낚싯줄을 약간 느슨하게하면 루어가 불규칙적 으로 흔들흔들 떠오르는 액션을 연출할수 있으며 이 순간 히트될 확률이 높다.크랭크 베이트 를 조작할 때 우선적으로 숙지해야 될것은 수중에서 수직방향액션 그리고 표층에서의 액션이 다. 립이 크면서 잠행각도가 큰 딥(deep) 크랭크 베이트를 단숨에 잠수시킨 후 멈추어서 뜨게 하고 다시 잠수시키고 뜨게 하는 것을 반복한다. 표층에서는 샐로우(shallow) 크랭크 베이트 를 사용하여 수면 직하를 루어가 잠수하지 않을 정도로 조용히 끌어 당겨서 물결과 파장을 일 으키든지 작은 움직임을 낸다든지 하여 대상어를 유인한다.
그리고 구조물 또는 바닥층에 부딪히면서 포즈로서 균형을 잃은 채 리액션 바이트(reaction bite) 를 유도한다. 소어가 비틀거리는 형상을 연출하는 것이다.

|
|
5. 바이브레이션 (Vibration)↑top |
|
|
바이브레이션은 립이 없고 세신의 형태로 공기 저항을 적게 받고 크기에 비해 중량감도 있어서 원투 성능이 우수하다. 일명 립리스 크랭크베이트(lipless crankbait)라고 한다. 또한 깊은 곳을 속도빠르게 침하시킬 수 있다.
바이브레이션은 빠른 속도로 감아들이더라도 발란스를 유지하면서 파동을 일으키며 계속 유영 한다. 크랭크베이트는 물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계속 사용하게 되면 체력의 소모가 많지만 바이 브레이션은 세신 타입으로 물의 저항이 적다. 몸체가 납짝하게 생겨서 공기저항이나 물의 저항 이 작아서 원투가 용이하며 장시간 리트리브해도 피로하지 않다.
가장 큰 특징은 진동이다. 머리의 편평한 부분이 물의 저항을 받아 몸체를 진동시켜서 강렬한 어필을 한다. 바이브레이션의 머리부분은 수류의 영향을 받게 끔 납작하게 생겼는데 머리 부분 이 좁은 것은 바이브레이션이 가늘게 발생되고 유영 자세도 수평가까이 되어서 보다 자연스러 운 움직임을보인다.반면 머리부분이 넓은 것은 진동이 강하고 어필력이 높으나 과다한 수류 영 향으로 머리가 내려가 부자연스러운 단점이 있다. 래틀이 내장된 타입은 음으로서도 배스를 자 극한다. 배스의 활성도가 높을 때, 혼탁한 물, 물결 칠 때 등 래틀음이 효과적일수도 있으나 역 효과가 생길 수도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배스가 머무는 수심층을 모를때는 카운트다운으로서 여러 수심층을 탐색가능하다. 광대한 지역 을 공략하거나 맞바람이 불어서 다른 루어로서 비거리를 내지 못하거나, 배스가 넓은 범위에 흩 어져 있을때에 루어를 멀리 던져서 탐색하기에 좋다. 그리고 루어를 먼거리에 유영시킬 수 있으 므로 도보 낚시에도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것은 싱킹 타입이다. 중층을 탐색하는것 이 기본이지만 상황에 따라서 카운트다운을 하면서 표층부터 바닥근처까지 내려서 탐색을 할수 있다. 저층을 탐색할 때는 밑걸림에 유의해야한다.아주 길게 뻗은 수초지역은 플로팅 바이브레 이션으로 표층을 리트리브하는 것이 편리하다.

리트리브만으로도 진동 액션을 일으키므로 초보자들도 사용하기 쉽다. 바이브레이션이 가장 적합한 시기는 포인트를 찾아내기 힘든 산란후 또는 가을이다. 먹이고기를 쫓아서 광범위하 게 흩어져있는 배스를 템포 빠르게 탐색하기에 좋다. 리프트앤폴, 스톱앤고로서 액션을 연출 하면 효과적이다. |
|
6. 이미테이션 (Imitation)↑top |
|
|
이미테이션은 말그대로 곤충,벌레,개구리,새우 등의 동물을 형상화하여 만든 하드베이트 이다.미노우, 새드 등의 하드베이트도 이미테이션이라 할 수도 있으나, 이미테이션이라고 별도 구분 할 때는 미노우, 새드 등을 포함 시키지 않는다. 액션은 형상에 따라 고유의 액션 이 있으나, 대체적으로 워블링 액션을 구사한다. 이미테이션은 대상어가 탐식을 하는 먹이 와 유사하거나 같은 외관적 모습으로서 움직임을 연출하여 대상어를 홀린다. 물에 빠져서 허우적 거리는 거미,수중에 빠져 흘러가는 메뚜기,뒷걸음 치는 듯한 새우,수초 위를 슬금슬금 기거나 폴짝 뛰는 개구리 등의 움직임을 상상하면서 낚싯대를 조작하여 액 션을 구사하면 더욱 흥미로운 루어낚시를 즐길 수 있다.
■ 홉퍼 : 메뚜기 형상의 루어로서 송어, 배스 등을 대상으로 한다.

■ 미스터 프로그 : 개구리 형상의 가물치 낚시용 루어
 |
|
|
※ 소프트베이트 기초↑top |
|
1. 소프트베이트 (Sottbait) ↑top |
|
|
소프트베이트(soft bait or soft worm)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만든 루어이다. 원래는 지렁이 등을 형상화한것이 주를 이루었으나, 유충,게,가재,소어, 개구리 등 형태가 다양화해졌다. 이를 모두 통틀어 일반적으로 웜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소프트 웜은 싱킹형태로서 가라앉는다. 빠르게 가라앉는 패스트 싱킹 고비중 웜 이 있는데 바닥층 공략시에 유리하고,느리고 자연스러운 낙하 액션을 연출하는 슬로싱킹 웜 은 폴링시에 입질을 유도한다. 또한 부력이 높은 플라스틱 주 원료를 사용한 플로팅 웜도 사 용되고 있다.
소프트웜은 바늘, 싱커등을 별도로 셋팅하여 사용하므로 사용하는 채비방법-리그(rig)를 알 필요가 있다. 리그는 싱커의 종류, 셋팅하는 위치등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며 리그의 종류 에 따라 모양,사용법,루어의 움직임도 크게 변한다. 즉 무거운 싱커를 사용하면 바닥의 상황 을 파악하기 쉬우며, 가벼운 싱커를 쓰면, 소프트웜의 움직임이 보다 자연스럽다.
■ 소프트베이트의 기초 (1) 웜의 색상 자연 조건에 부합되는 색상을 선택한다. 맑은물에서는 대상어에게 경계심을 주지 않는 자연 색이 효율적이고 흐린물에서는 유혹적인 색상이 유리하다. 빛은 수중에서 굴절되는데, 색상 에 따라서 굴절률이 다르다. 따뜻한 색 계열(적색,황색)은 굴절률이 커서 깊은층에 도달하기 어려운 반면 찬색 계열 청색 등은 굴절률이 작아서 깊은층까지 도달하는 빛 굴절 현상을 이용 하여 수심 층에 따라서 색상을 선택한다.
(2) 소프트 웜 낚시의 장점 소프트 웜 낚시는 바닥 층을 쉽게 공략할 수 있으면서도 비교적 밑걸림 현상을 피해 나갈 수 있다.스트락쳐에 꼭 붙어 있는 배스도 바닥층에 있는 배스도 또는 표층으로 떠오르는 배스도 모두 공략할수있다. 보다 가벼운 싱커를 사용하든지 부력이 있는 웜을 사용하여 천천히 느린 낚시를 할 수있는 장점도 있다. 더운 날씨의 낮시간,또는 프레셔가 높은 지역의 배스는 바닥 층에 머무는데 소프트웜을 사용하는 것이 하드 베이트보다 유리하다.
(3) 소프트 웜의 배스 입질 하드베이트는 리트리브 도중 배스가 입질을 하면 툭하고 명확히 전달되나 소프트웜의 경우는 여러경우가있다. 낚싯대 끝을 강하게 끌어당기거나 낚싯대 끝이 미미하게 끄떡끄떡하거나 낚 싯줄이 움직이는 입질이 있다. 활성도가 높고 바람과 물결이 없을 때는 입질을 알기 쉬운 반면, 활성도가 낮은때는 낚싯줄의 변화로서 입질을 판단하 는 수뿐이다.
(4) 배스 포인트 소프트 웜은 하드베이트와는 달리 어필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교각, 교목 등 스트락쳐에 붙어 있는 배스에게 더 가까이 접근하도록 스트락쳐에 바짝 붙여서 캐스팅한다. 목표물이 눈에 보 이지 않는 경우에는 우선 캐스팅하여 바닥을 탐색하여 브레이크 또는 요철부분의 바닥을 찾아 낸다. 바닥층에 변화가 있는곳을 중점적으로 공략한다. 물흐름이 있고 지형의 기복이 풍부한 곶부리는 좋은 포인트로서 연안을 따라 바닥을 탐색하면서 낚시를 한다.
■ 소프트베이트의 기본 액션 (1) 바닥 끌기(Bottom crawl) 바닥에 닿으면 팽팽하게 실을 감아 들이면서 천천히 바닥으로 끈다. 낚싯대를 수평으로 하여 옆으로 천천히 당기면 바닥의 지형을 파악하기 쉽다. 끌어당길때 손가락을 낚싯줄에 접촉하 고 있으면 바닥의 상황을 더욱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중에 장애물 등 밑걸림이 있을때는 낚 싯대를 들어올려서 피해나간다.
(2) 보텀 범프(Bottom bump) 바닥에 닿으면 낚싯대를 살짝 들어 올려 느슨한 줄을 감고 다시 살짝 들어올려감고를 반복 하면서 낚싯대가 12시방향에 도달하면 낚싯대를 아래로 내려서 느슨한 낚싯줄을 감아들인 다. 소프트웜으로바닥을 툭툭 치듯이 연출한다.
■ 소프트베이트의 종류 스트레이트(Straight) : 지렁이 모양의 형태로서 웜의 기본형이며 소어형상의 웜도 출시 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웜이다.
그럽(Grub) : 중량감 있는 몸체에 넓고 길쭉한 꼬리가 달린 형태로서 꼬리가 격렬한 움직임을 나타낸다. 고활성도 낚시에 적합하다.
패들 테일(Paddle tail) : 낙하시에 물의 저항을 받은 패들이 뛰어난 액션을 연출한다.

컬리 테일(Curly tail) : 기다란 몸체에 길고 큰 꼬리가 달려있다. 리트리브 또는 낙하시에 꼬리가 자연스럽게 나풀거리는 모양을 연출한다.
크리쳐(Creature) : 어떠한 기능을 부가하면서 새로운 형상을 만들어낸 웜
스틱 베이트(Stick bait) :자연스러운 수평 낙하의 움직임을 보인다.
저크 베이트(Jerk bait) : 저킹에 따른 불규칙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튜브 웜(Tube worm) : 회전하면서 떨어지는 독특한 움직임을 보인다.
크로/쉬림프 웜(Craw or Shrimp worm) : 새우,가재 등의 형상으로 집게다리 움직임을 보인다.
트레일러 웜(Trailer):러버지그,스피너베이트 트레일러로 사용
리저드(Lizard)류 : 도마뱀,날벌레등의 형상으로 꼬리,날개등의 움직임을 연출한다.
■ 리그(Rig)의 종류 1. 텍사스/플로리다 리그 (Texas/Florida Rig) 2. 캐롤라이나 리그 (Carolina Rig) 3. 스플리트샷 리그 (Splitshot Rig) 4. 드랍샷/언더샷/다운샷 리그 (Dropshot/Undershot/Downshot Rig) 5. 지그헤드/웨이티드훅 리그 (Jighead / Weighted Hook Rig) 6. 와키/네코 리그 (Wacky/Neko Rig) 7. 노싱커 리그 (No Sinker Rig)
|
|
2. 텍사스/플로리다 리그 (Texas/Florida rig) ↑top |
|
|
소프트 루어를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채비이다. 현재는 여러 종류의 리그가 나와 있지만 텍사스 리그의 중요성은 변하지 않는다. 유동적인 싱커는 바늘 가까이 있고 중량감도 있으 므로 캐스팅과 조작성이 쉽고 밑걸림이 되기도 어려운 채비이다. 소프트웜 채비 중 위들리 스(weedless) 성능이 가장 우수하여, 장애물을 적극 공략할 수 있다.
플로리다 리그는 텍사스 리그의 변형으로서 패킹을 싱커 위쪽에 끼워서 싱커를 웜과 밀착 고정시켜 웜과 싱커가 같이 가라앉게 하는 채비이다. 수초등 장애물 지역에서 유용하게 사 용된다.
텍사스 리그를 채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 싱커를 고정하지 않는 방법 ■ 싱커와 웜이 일체가 되게 고정하는 방법 ■ 웜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에 싱커를 고정하는 방법 ■ 일정 길이를 싱커가 움직이게 하는 방법이 있다.
유동식의 경우에는 낙하시에 싱커가 먼저 떨어지고 나중에 웜이 떨어진다. 라인을 당기면 싱커와 웜이 일체가 되어 미세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자갈 밭, 바위 주변, 데트라포트 등의 헤비카버 지역에서는 싱커와 웜이 일체가 되는 고정식을 하면 밑걸림을 줄일 수 있다.
 소프트 루어낚시는 바닥을 탐색하는 것이다. 루어가 착저된것을 감지하여 바닥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텍사스리그는 이의 용도로서는 최적이다. 싱커는 대체로 1/4oz 전후를 사용한다. 초보자는 1/4oz로서 바닥의 지형을 읽기 힘들므로 1/2oz부터 시작하여 서서히 가벼운 싱커에 능숙해지도록 한다. 텍사스리그는 장애물이 많은 지역을 탐색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싱커구멍안에 고무찌,이쑤시개 등을 넣어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1) 텍사스 리그 채비방법 ① 싱커와 비드를 낚싯줄에 끼우고바늘을 묶는다.

② 웜의 머리 중앙에 바늘을 찌른다.

③ 바늘을 전체 찔러넣고 웜 머리를 중심으로 바늘을 그림과 같이 반전시킨다.

④ 웜의 몸통에 바늘을 찌를 위치를 확인한다.

⑤ 바늘 끝이 몸통 밖으로 살짝 나오게 하고 웜이 구부러지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2) 텍사스 리그의 기본적 사용법 ■ 바닥을 탐색한다. 기복이 있거나 장애물이 많은 장소에도 텍사스리그는 비교적 밑걸림 회피성이 좋다. 바닥 크롤(bottom crawl)로서 바닥의 상황을 파악해 나간다.바닥에 무언가 변화를 느낀다면 그 곳에서멈추든지, 리프트 앤폴을 실행한다. 캘리포니아 리그와 동일하다.
■ 바닥을 공략한다. 바닥의 지형을 파악하고 난 다음 이곳에 배스가 있을 가능성이 있을 포인트 지역에 액션을 가한다.바닥크롤을 하면서 커다란 변화를 감지하면 그곳에서 쉐이킹(shaking)을 한다. 그 때 낚싯줄에 텐션(tension)을 주는데 앞으로 당겨오지않게 하여야 한다. 또한 낚싯대를 살짝 움직여서 루어를 띄웠다 떨어지게 하는 바닥범핑 (bottom bumping)도 좋다.
■ 헤비 카버(heavy cover)지역 갈대밭사이, 테트라포트사이 등 장애물을 직접 공략할때는 바늘 가까이에 싱커를 고정시 켜서 러버지그와 같이 폴링과 쉐이킹으로 유혹한다. 낚싯줄은 두터운것을 사용하는것이 좋다. 갈대밭,호안주변에는 보텀크롤,보텀범핑으로 좋다.수중의 장애물 가까이에 근접했 을때는 쉐이킹을 연출한다.또는 보텀범핑으로 가재 등이 도망가는 형상을 연출하는것도 유효하다.핀포인트(pinpoint)에 낙하시켜서 루어를 이동시키지 않고 싱커가 바닥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 웜 만을 미세하게 움직이게 하는 쉐이킹(shaking)을 하여 배스에게 어필 한다. 낚싯대를 세운 상태에서 낚싯대를 미세하게 흔든다.
|
|
3. 캐롤라이나 리그 (Carolina rig) ↑top |
|
|
싱커를 통과한 원줄 끝에 도래를 연결하고 그 끝에 약 50cm 정도의 리더줄을 단다. 싱커 가 멈추었을 때는 루어가 싱커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자연스럽게 수중에서 떠돌아 다닌다. 소프트루어 리그 중에서 가장 빠르고 광범위하게 탐색할 수 있다. 무거운싱커를 사용하므로 멀리 원투하여 깊은 곳을 공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싱커가 무거우므로 수심 깊은 포인트에 빠르게 도달할 수있다. 싱커가 착저 되면 웜이 자연스럽게 움직여 배스를 유혹한다. 무거운 싱커는 바닥의 상태를 파 악하는데도 보다 용이하다. 두터운 낚싯줄과 헤비택클을 사용하기 때문에 밑걸림 과 장애물을 회피 할 수 있다.

비드는 소리와 빛으로 어필하는 효과 외에 도래 매듭이 싱커에 직접닿지않게 하여 실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한다. 리더가 길수록 웜이 자연스럽게 움직이고 바닥의 상황을 파악하는데 쉬운반면 캐스팅 성능이 저하된다. 처음에는 리더 길이를 짧게 쓰다가 숙달되면 길게 사용한다.
리더 낚싯줄은 원줄보다 한단계 낮게 가는 실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밑걸림을 당 했을때 리더가 떨어지더라도 싱커 회수가 가능하다. 3/16oz싱커 이하를 사용하는 것을 라이트 캐롤라이나, 1/2oz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헤비 캐롤라이나라고 한다. 헤비 캐롤라이나의 가장 큰 특징은 원투능력이 월등하고 무거워서 빠르게 가라 앉 는 반면 라이트 캐롤라이나는 스플리트 샷 리그와 유사한 사용법이 가능하다. 캐롤라이나 리그는 속도 빠르게 자연스러운 액션의 낚시이나 스플리트 샷 리그는 느린 리트리브의 낚시이다

캐롤라이나리그는 리더가 길어 싱커와 웜의 거리가 떨어져있어서 오버헤드 캐스 팅으로서는 비거리를 내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낚싯줄이 얽힐 수가 있다. 그래서 사이드핸드(side hand)로서 호를 크게 그리듯이 캐스팅하면 비거리와 얽히는 문제를 다소 해결할 수 있다.
(1) 캐롤라이나 리그의 채비 방법
① 원줄에 먼저 싱커, 비드를 끼우고, 원줄 끝에도래를 맨다.
② 목줄에 바늘을 맨다 (50~100cm 정도)
③ 목줄을 도래에 맨다.
④ 웜을 셋팅한다.

(2) 캐롤라이나 리그의 기본적 사용법
■ 기본은 마찬가지로 바닥 크롤이다. 낚싯대를 옆으로 당긴 다음, 느슨한 줄을 감고 다시 당기고 감는 것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바닥의 기복이 싱커로부터 루어에 전달되어 아주 미묘한 액션을 일으키므로 낚싯대 움직임에 변화를 줄 필요가 없다.

■ 바닥을 공략한다. 바닥 탐색이 끝나면 짧은 저킹을 해본다. 낚싯대를 멈추면 수중에 떠 올랐다가 가라앉는 액션으로 어필한다. 리저드계열의 웜도 유효하다. 다트 액션을 중시하 면 스틱베이트(stick bait), 스트레이트(straight)루어를 사용한다.길게 표류하고 싶지않으 면 튜브(tube)웜 등이 좋다.싱커가 바닥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집중하는 것이 좋으며 컬 리 테일(curlytail)계통의 웜이 좋다.

(3) 싱커의 선택 ■ 바위가 흩어져 있는 경사 지역에서는 가벼운 싱커를 사용하여 싱커가 수중에 뜨듯이 장애물을 피한다. ■ 원투하여 광범위하게 탐색할 때 무거운 싱커 사용. ■ 위드 탐색 시에는 스플리트샷, 다운샷, 지그헤드리그 등 가벼운 싱커를 사용. ■ 위드 포켓 탐색에는 무거운 싱커를 사용. ■ 깊은 바닥 탐색에는 무거운 싱커를 사용. ■ 닳아빠진 배스 공략시에는 웜의 크기를 줄이고 가벼운 싱커를 사용한다. |
|
4. 스플리트샷 리그 (Split shot rig) ↑top |
|
|
낚시바늘에 소프트웜을 끼우고 스플리트샷싱커를 낚시줄에 다는 간단한 채비이다. 초보자 도 간단히 채비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며,베테랑 낚시꾼에게도 조과가 좋지 않을때 최후 의 방법으로 시도해보는 채비이기도 하다. 광범위한 지역을 하드베이트로 탐색한다음, 배 스의 반응이 있으나 히트되지 않는 일정한 장소는 스플리트샷 채비로 승부를 건다.가벼운 싱커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프트웜 본래의 움직임을 최대한 살릴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싱커가 착저하면 리더(leader) 부분은 자유로워져 보다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보여 대상어 를 유혹한다.
(1) 스플리트샷 리그의 채비 방법
피네스 피싱, 닳아 빠진 배스에게 효과를 발휘한다.스플리트샷 리그는 캐롤라이나 리그를 단순화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리더(leader)의 길이(바늘과 싱커 간의 길이)는 약 30 cm가 표준이나 가벼운 싱커(1/32~1/16 oz)사용시에는 15cm정도로 조절한다. 스위밍시 에 보다 자연스러운 유영을 원한다면 더 길게 사용하고, 트위칭 등으로 리액션 바이트 (reaction bite)를 유도할 때는 길이를 짧게한다. 리더가 길면 캐스팅이 힘들고 조작성도 떨어진다.스플리트샷에 사용되는 싱커의 무게는 수심이 표준.되도록이면 가벼운것을 사 용하는것이 좋으며 무거운 것을 사용할수록 밑걸림이 많다. 1/32~1/8oz정도의 싱커가 사용되는데 가벼워 웜의 움직임이 보다 더 자연스러워진다.수심이 깊을 수록 무거운 것 을 사용한다. 낚싯줄의 보호를 위하여 내부에 고무가 부착된 싱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싱커를 낚싯줄에 달때는 줄을 2~3회 감아서 셋팅한다. 광범위한 지역을 탐색하는 목적이 아니라 배스가 있을 만한 곳을 어느정도 압축 할 수 있는 상황에서 위력을 발휘한다. 특히 산란 직후에 활동이 왕성하지 못한 배스에게 잘 사용된다. 닳아 빠진 배스, 경계심이 높은 배스를 슬로우 템포로서 유혹한다.리그 자체가 아주 가벼우므로 스피닝 택클로서 팁이 부 드러운 낚싯대가 좋은 채비이며,리프트앤폴,스위밍 등 여러가지 기법이 있지만 기본은 바 닥을 탐색하는 것이다.

(2) 스플리트 샷 리그의 기본적 사용법
■ 바닥을 탐색한다. 싱커가 바닥에 닿는 느낌이 들면, 싱커가 가벼워서 뜨기 쉬우므로 낚싯대를 옆으로 천천히 당겨서 유영을 시킨 다음 바닥에 가라앉히고 당기고 가라앉히고를 반복한다. 당긴 다음, 느슨한 줄을 감아들이면서 낚싯대를 원위치 한다. 싱커가 가벼우므로 바닥의 상황을 알기 가 힘들다.

■ 리프트 앤 폴(lift & fall) 확실히 보이는 장애물에는 리프트앤폴을 시도한다. 싱커가 바닥에 가라앉고 루어가다 가 라 앉을때를 기다려 들어올린다. 때로는 리더를 짧게하여 트위칭을 가해본다.

■ 스위밍(swimming) 일정한 수심층을 유영하도록 일정한 속도로 리트리브하면서 때로는 폴링을 하여 배스가 입질할 타이밍을 준다.얕은 층의 수초지역에서는 수초 윗부분을 쓰다듬듯이 유영을 시킨 다. 도중에 움푹 파인곳이 있으면 멈추어서 낙하시킨다. 반응이 없으면 다소 느리게 감아 들여 본다. 수초지역의 외곽 부분을 같은 요령으로 수심층을 달리하며 탐색하고 바닥을 끌면서 스톱앤고를 한다.

|
|
5. 드랍샷/언더샷/다운샷 리그 (Drop shot/Under shot/Down shot rig) ↑top |
|
|
 드랍샷 리그가 다른 채비와 차이가 나는것은 싱커가 제일 밑쪽에,바늘이 싱커 윗부분에 달린다. 그래서 낚싯대 액션이 직접 웜에게 전달되며 다른 채비에 없는 액션을 구사 할 수 있다. 싱커가 바닥에 떨어져 웜을 수중에 표류하게 하며 웜과 싱커의 거리를 조절하여 바닥에 가까운 배스, 어느정도 떠있는 배스에게도 유인 할 수 있다.배스가 있으리라 예상되는 지점에서 아주 유효한 채비이며 중층 스위밍으로 공략하는 것도 자주 사용된다. 다른 리그에 흥미를 보이지않는 닳아 빠진 배스에게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배스가 있는 지역을 모르면 다소 무거운 싱커를 사용하여 멀리 던져서 광범위하게 탐색 할 수도 있다.드랍샷리그(또는 다운샷리그)는 리그를 끌지 않고 바닥에 정지된 상태에서 멈출수 있다. 배스가 있다고 예상되는 포인트에서 계속적으로 배스를 자극할 수있다.초보자도 비교적 사용하기 쉬운 채비인데, 탐색용 리그로서 배스의 포인트를 찾 아낸 다음 드랍샷 리그로서 그 포인트를 집중 공략한다. 바닥에서 쉐이킹,중층 스위밍에 배스에 게 어필할 수 있는 스트레이트 웜이 좋다.드랍샷 바늘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장애물이 많 은 지역은 와이드갭 훅을 사용하기도 한다.

(1) 드랍샷 리그의 채비방법
 ① 바늘을 위로 향하도록 맨다. ② 한번 더 바늘귀에 넣어 맨다. ③ 바늘과 싱커의 간격은 25 cm가 기본이나 상황에 따라 조절한다. ④ 전용 싱커를 건다.
(2) 드랍샷 리그의 기본적 사용법
■ 쉐이킹 싱커가 착지할때를 기다려 천천히 질질 끌어 당긴다.기복 또는 장애물이 느껴지면 그곳에서 싱커를 이동을 시키지 말고 쉐이킹을 해본다. 싱커를 움직이지 않고 웜을 움직이게 한다. 느슨한 줄을 다시 감아서 쉐이킹한다.50cm 정도 이동되면 다시 캐스팅하여 쉐이킹한다. 초보자나 바람이 센날은 무거운 싱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어느경우라도 긴시간을 걸려서 하는 것이 좋다.

■ 스위밍 바닥에서의 스위밍은 25~30cm 정도의 리더 길이로서 하며 일정한 수심을 유지하는것이 중 요하다.중층에서의 스위밍은 5~10cm로 짧게 하는데 낚싯대 조작에 따른 싱커의 움직임에 따라 웜의 액션이 연출된다.
■ 깊은 지역의 공략 보트로서 깊은 지역을 공략할 때는 먹이 고기가 있는 장소,경사진 바닥을 집중 공략 한다. 또는 배를 바람에 흘려보내면서 천천히 바닥을 끌면서 일정수심을 유지하면서 낚시를 한다.

|
|
6. 지그헤드/웨이티드훅 리그 (Jighead/Weighted hook rig) ↑top |
|
|
바늘과 싱커가 일체화된 채비로서 웜을 끼우는 것만으로서 완성되는 아주 간단한 방법이다. 라인아이(line eye)가 상부에 돌출되어 있어서 리트리브하면 안정된 자세로 유영을 한다. 리트리브시,폴링시에도 균형된 자세를 유지하므로 사용하기가 쉽다. 바늘이 돌출되어 있어서 훅킹력은 우수한 반면 밑걸림이 심한 편이다. 낚싯대의 조작이 직접적으로 웜에 전달되므로 여러가지 액션 연출이 가능하며, 작은 미세한 입질 이라도 파악하기 용이하고 짧은 입질에도 훅킹될 확률이 높다.활성도가 높은 시기에 적합한 채비이다. 형태는 라운드형,풋볼형,옵셋형, 위들리스형 등이 있으나 라운드형이 가장 일반적이며 스위밍,폴링이 다 좋다. 1/4oz 전후가 기본적으로 사용되지만 프레셔가 높은 지역,닳아 빠진 배스에게는 좀 더 섬세한 1/8oz가 유 효하다. 웜 규격과 형태가 다양해지므로 웜 사이즈와 지그 헤드의 발란스를 볼때는 무거운 지 그헤드도 좋은 채비가 될 수있다. 특히 바다 낚시 어종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대형 웜 등이 나와서 1~3oz등도 자주 사용된다. 웨이티드훅 채비는 스프링에 훅을 고정시켜 셋팅하는 것 으로 무게 중심이 낮아서 리트리브시 안정된 발란스를 맞출 수 있고 롤링액션, 커브액션,폴링 액션 등을 연출 할 수 있다.

(1) 지그헤드리그의 채비방법 ① 지그헤드를 웜에 맞추어서 먼저 어느 위치에 셋팅할것인지 미리 확인한다 ② 웜의 머리중앙부에 바늘을 찔러 넣는다. ③ 확인한 지점까지 바늘끝을 뚫는다. ④ 웜이 굽었는지, 중앙에 관통되었는지, 지그헤드와 웜이 밀착 되었는지를 확인 하면서 바르게 고친다.
(2) 웨이티드훅 리그의 채비방법
① 먼저 웜머리 중앙에 스프링을 꽂아 돌려서 고정한다. ② 바늘을 웜에 맞추어서 꽂을 위치를 확인한 다음 꽂아 넣는다.
(3) 지그헤드리그의 기본적 사용법
■ 스위밍 가장 효과적인 사용법은 스위밍이다. 릴을 일정한 속도로 감아 들이면서 일정수심을 유영 한다. 표층 가까이도, 중층에도 특히 일정 수심을 유지하는 것이 키포인트이다.일정 수심 을 유지하기 위해서 웜과 지그헤드의 무게에 따라 리트리브 속도를 사전에 점검한다.
■ 폴링앤 리프트 착수후에 그대로 폴링시키는데 폴링시에 입질의 기회가 많으므로 낚싯대를 수평의 상태에두고 집중을 한다. 리프트의 속도를 여러가지로 변해 나가는 것도 좋다.수초 지역에서는 버티컬 폴링 (vertical falling)이 사용될수도 있다. 웜과 지그헤드가 수평상태에서 떨어져 바늘포인트 위로 향하도록 한다.
고목,교각등의 수직적 구조 : 프리폴(free fall)시켜서 착저되면 느슨한 줄을 감아 당겨 팽팽하게 당긴다. 리프트앤폴을 구사. 광범위한 수초지역인 수평적 구조 : 일정한 속도로 일정 수심층을 유영시킨다.
■ 바닥에 사용한다. 지그헤드는 밑걸림이 심하여 바닥사용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풋볼(foot ball),스탠드업 (standup)형의 지그 헤드는 바늘이 위로 향하므로 쉐이킹 또는 바닥범핑을 시도해 볼수 있다.

■ 지깅( jigging) 수심이 깊은 호수나 댐에서 또는 바다에서 중층과 바닥을 겨낭하여 지그헤드 리그로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 또는 멀리 캐스팅하여 사선방향으로 지깅을 한다. 1/2 ~ 3oz 정도의 지그헤드가 많이 쓰이며 심해용으로는 5oz이상도 사용된다.1/2 온스 이상 무게감 있는 지그헤드를 사용하여 메탈 지그의 지깅낚시와 같이 수직낙하하여 입질을 받아낸다.또는 멀리 원투를 하여 바닥에 가라앉으면 천천히 끌어서 바닥을 탐색하면서 배스를 유혹한다. 고목, 장애물 지역에 붙어 있는 배스에게는 지 그헤드의 무게를 줄이든지,그럽 또는 컬리테일 계열의 웜을 사용하여 낙하속도를 낮추어서 유인한다.
|
|
7. 와키/네코 리그 (Wacky/Neko rig) ↑top |
|
|
 와키 리그는 노싱커 리그의 일종이며 변형이다. 바늘을 웜 중앙에 옆으로부터 끼우는 것이 특징이다. 중앙에 바늘이 달리는 관계로 수평의 상태에서 낙하 시키는것이 가능하다. 낚싯 대를 당기면 "U"자 형태로 구부려지고 다시 펴지는 독특한 액션을 보여준다. 중층에서 격렬 하게 액션을 구사하면서도 보다 느리게 리트리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양쪽이 같은 형 상의 스트레이트 웜 계열을 사용한다.바늘을 꼽는 위치를 변경하면 변형된 액션을 연출한다. 양쪽 끝이 다르면 한쪽 끝에 싱커를 넣어서 균형을 맞추거나, 낙하속도를 조절하거나, 비거 리를 늘일수 있다. 다른 리그에서 나오지않는 독특한 움직임이 나온다. 트위칭 등의 액션을 보태면 강한 어필력이 생기며 일정한 포인트를 공략할 때 위력을 발휘한다. 바늘은 일반적 인 송어 바늘 또는 드랍샷 바늘을 사용한다. 네코리그는 와키리그의 변형된 리그로서 웜의 한쪽끝에 네코용 싱커를 삽입하여, 싱커 부분이 바닥으로 향하고 꼬리를 흔드는 액션이 연 출된다.

 (1) 와키리그의 채비방법 ① 웜의 머리 부분에 인서트싱커(insert sinker, nail sinker)를 넣어서 사용하면 침하속도가 다소 빨라지며 액션을 주었을 때 움직임도 좋아질수 있다. ② 인서트싱커를 사용하지 않으면 천천히 낙하되는데 웜이 수평으로 낙하 될 수 있도록 바늘을 꼽 는 위치를 조정한다.
(2) 와키리그의 기본적 사용법 수평 폴링이 기본 사용 방법이다. 착수 되면 낚싯대를 앞으로 숙여서 프리폴시키고, 바닥층 또는 목표 수심층에 도달하면 낚싯대를 쉐이킹하면서 천천히 들어올렸다가 다시 낚싯대를 앞으로 내 리면서 느슨한줄을 감아들인다. 낚싯대를 움직이면 웜은 물의 저항을 받아 구부러진 형태로 구불 구불 움직이게 된다. 바람 없는날에 쓰면 더욱 효과적이다.
|
|
8. 노싱커 리그 (No sinker rig) ↑top |
|
|
말 그대로 싱커를 사용하지 않고 바늘에 웜을 끼워서 사용하는 것이 노싱커 리그이다. 아주 간편하고 싱커가 없으므로 아주 가볍다. 스플리트샷 리그에서 싱커를 없앤 것이기도 하다. 싱커의 영향을 받지 않아 보다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연출 할수 있고 잠수속도가 느려서 표층 또는 중층에 천천히 유영 또는 낙하시켜서 배스에게 보다 확실히 웜을보도록 하여 유인한다. 활성도가 낮거나, 닳아 빠진 배스에 한몫하는 채비이다. 싱커가 없어 비거리가 짧을수 있으나, 웜 내부에 인서트싱커, 래틀러 등을 삽입하여 무게감을 늘이거나,비교적 무거운 스트레이트웜, 비중높은 스틱베이트 웜,볼륨있는 그럽등을 사용하면 라이트 스피닝 장비로서 캐스팅의 어려 움을 다소 해소할수 있다.스틱베이트(stick bait)가 노싱커 채비에 많이 쓰이는데 낙하시에 자 세도 좋고 소어처럼 유영을 시키면서 리트리브하거나 또는 트위칭으로 불규칙적인 움직임을 연출할수있다. 그럽웜을 사용하여 표층을 쓰다듬듯이 끌어주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노싱커 리 그는 배스의 활성도가 높을 때 표층,중층을 탐색하며,싱커가 없이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액션과 슬로우 리트리브가 가능한 점을 고려해 볼 때 하이프레셔지역에 적합하다. 바람이 불거나 파도 가일거나 하면 입질파악하기가 힘들다. 사용 장비는 와키 리그와 동일하다.
노싱커리그의 기본적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 스위밍 수평방향으로 당기면서 스위밍한다. 큰사이즈의 스트레이트웜, 스틱베이트를 수면 직하에서 스위밍하거나, 때로는 트위칭, 포즈를 가해본다. 배스가 표면층을 의식하고 있을 때 유리한 낚시이다.
■ 버징(buzzing) 컬리테일, 그럽을 수면에서 유영시키는 방법이다. 캐스팅 후 낚싯대를 세운채 리트리브하면 웜의 꼬리부분이 수면의 물과 마찰하면서 너풀거리면서 움직인다. 여름부터 가을의 아침 저녁,배스의 활성도가 높을 때, 좋은 반응이 기대된다.
■ 폴 앤 리프트 배스의 활성도가 낮을 때는 폴앤리프트를 한다. 노싱커의 장점을 살려 웜을 수평으로 낙하시킨다. 물의 저항을 받아 천천히 가라 앉는데 줄의 텐션을 없애고 수평낙하 시키며 입질은 낚싯줄의 움직 임을 보고 파악한다. 루어가 착지되면 낚싯대를 크게 들어올려서 다시 수평 낙하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