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
근래 보기 드문 폭우로 부산 경남의 하천 주변과 제방들은 홍수와 자연재해로 몸살을 앓아야했다. 김해 조만강 상류 마찰교는 붕어들의 조황을 확인하기 힘들었고 30㎝짜리 베스 5~8 마리씩은 잡혔다. 화목 정수장 부근 역시 붕어보다 베스의 조과만 확인되었다. 술미수로에서는 20~28㎝의 붕어 5~8마리씩은 무난했다. 동판수로는 준척 이상 되는 붕어 몇 마리씩 잡았던 꾼들은 더러 있었다. 함안 악양수로와 양포수로에서는 수위가 다소 안정되자 20~30㎝ 정도의 붕어를 20 마리 이상 잡았던 꾼들이 더러 있었다. 입봉지수로 역시 20~33㎝의 붕어 10여 마리씩 잡을 수 있었으며, 가야둠벙에서도 20~28㎝의 붕어 10여 마리씩은 무난했다. 합천호는 무더위와 수온 상승으로 붕어 조황이 뚝 떨어져서 낱마리 조과에 불과했다. 집중호우의 영향이 비교적 적었던 의성권은 덕은지, 상신지, 개천지 등에서 20~28㎝의 붕어 8~15마리 정도는 무난히 잡을 수 있었다.
■바다
경북 울릉도에서는 선상낚시에 참돔과 부시리의 파워풀한 낚시를 즐길 수 있었다. 갯바위는 어디를 가나 30㎝ 전후의 벵에돔을 마릿수로 잡을 수 있었다. 포항앞바다는 열기가 잘 잡혔으며, 가까운 바다 선상낚시는 도다리 입질이 좋았다. 송정과 해운대앞바다 선상낚시는 제법 굵은 씨알의 전갱이가 잘 잡혔다. 오륙도 일자방파제에는 이따금씩 대물급 농어가 잡혔으며, 벵에돔과 굵은 씨알의 고등어까지 가세해서 재미있는 낚시를 할 수 있었다. 태종대앞 생도에서는 대물급 돌돔이 낱마리씩 잡혔다는 소식에 많은 꾼들이 몰렸으며, 좌대낚시터에서도 상사리급 참돔이 잡혀 가족 낚시객들이 많이 찾았다. 다대포앞바다 나무섬과 형제섬 부근에서는 참돔과 부시리입질이 좋아 출조객들이 많았고 내만권 낫개 갯바위에서는 감성돔의 모습이 간간이 비치기도 했다.
욕지도를 찾았던 피서객들은 상사리급 참돔과 벵에돔을 마릿수로 잡을 수 있었으며, 가까운 방파제에서는 굵은 씨알의 고등어와 전갱이로 손맛을 즐겼던 가족낚시객들이 많았다. 통영 국도에서는 상사리급 참돔으로 마릿수조과를 올렸던 꾼들이 많았다. 좌사리제도에서도 상사리급 참돔 입질이 활발했다. 내만권 바다에서는 루어낚시에 무늬오징어가 간간이 올라왔으며, 먼 바다 왕갈치낚시는 대체적으로 조황이 부진했다. 남해 미조권 갯바위에서는 벵에돔 조황이 좋았고 향촌일대 갯바위에서는 제법 굵은 씨알의 감성돔이 이따금씩 모습을 드러내었다. 여수 내만권 가족낚시터들에서는 백조기 조황이 좋았다. 완도 여서도는 대물급 부시리, 참돔, 돌돔 입질이 활발했다. 청산도에서도 대물 돌돔들이 이따금씩 모습을 드러냈다. 진도 밀매도에서는 50㎝가 넘는 감성돔이 잡혔으며, 돌돔조황도 좋았다.
박춘식·낚시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