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미디어다음 블로거뉴스로 게재되었습니다 MY블로거뉴스▶
가중나무(가죽나무,참중나무) 재배 법 |
▣원산지 : 중국
▣분포지역: 한국, 중국, 일본, 사할린섬, 몽골, 유럽등에 분포하며 우리나라 전국 각처에 난다..
▣성상 : 낙엽활엽교목
▣수형 : 직립형
▣크기 : 수고20m~25m, 직경50cm에 달한다.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길이 60-80cm이며 소엽은 13-25개이고 피침상 난상형이며 점첨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7-13cm, 폭 5m로서 연모가 있고 하반부에 2-4개의 톱니와 선점이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다.
▣꽃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10-30cm이며 꽃은 자웅이가화로서 지름 7-8mm이고 녹색이 도는 백색으로 6-8월에 개화한다. 꽃 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꽃잎은 끝이 안으로 꼬부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5심피로 된 지방의 암술대가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시과는 3-5개씩 달리고 연한 적갈색이며 얇고 피침형이며 길이 3-4cm, 폭1cm로서 프로펠러처럼 생긴 날개 가운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9-10월에 성숙하고 봄까지 달려있다.
▣가지 : 수피가 잘게 갈라짐, 가지는 굵은편
▣줄기 및 수피 :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간이 통직하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소지는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털이 있으나 없어지는 것도 있다.
▣생육 입지 및 특성
전국의 도로변이나 황폐된 임야의 경계지, 주택주변에 많이 심고 있으며 특히 황폐하고 상층목이 없을 때 무성하게 자란다. 내한성과 내조성, 내건성이 강하고 해변가에서도 생장이 양호하며 대기오염에도 강하지만 미국흰불나방의 피해가 심하다. 생장속도는 빠르다.
- 광선: 중생 - 내한성 : 강함
- 토양:보통 - 수분: 건조
▣용도
조경수종, 내공해수종으로 도시의 가로수, 녹음수, 염해에 강해 해변가 식재 , 공원수로 식재하고 목재는 농기구재, 차량재 , 무늬목 단판으로 사용된다.
* 이질(적리), 치질, 혈변, 위궤양에 쓴다.
* 설사를 멈추고 적리균, 아메바성 원균의 성장을 억제한다.
봄과 가을에 뿌리껍질을 말려 달임액으로사용한다.
1일 16~30g을 2~3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과 삽목으로 행하며 9-10월에 종자를 채취하였다가 노천매장한 후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전처리없이 파종해도 발아가 잘되는 편이다. 삽목은 뿌리를 15-20cm로 잘라 삽목하면 발근이 잘 된다. 분주로도 증식이 된다.
- 개화기: 6월 - 꽃의색 : 흰색
- 파종기 3월,4월 - 결실기 : 9월
▣병해충
-병해 : 흰가루병, 겹둥근무늬병, 갈색무늬병, 가지마름병
-병충 : 미국흰불나방, 가죽나무산누에나방
▣방제
- 미국흰불나방 : 유충가해기에 슈리사이드 1,000배액, 디프50%유제, 80%수용제 1,000배액을 수관에 살포한다.
- 갈색무늬병, 겹둥근무늬병 : 7월 상순부터 2주간격으로 4-4식보르도액을 뿌린다.
- 흰가루병 : 한 여름에 다이센, 카라센, 보르도액(4-4식), 톱신 등을 뿌린다.
- 가지마름병 : 방제법으로는 6-9월 사이에 포리옥신 수화제 또는 베노밀수화제를 수회 살포한다.
▣기타설명
1. 소태나무과(―科 Simaroubaceae)에 속하는 교목.
중국이 원산지이지만 지금은 그밖의 다른 곳에도 널리 퍼져 있다.
빨리 자라며 대기오염에도 잘 견디고 곤충이나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며, 땅의 종류나 비옥도에 상관없이 자랄 수 있으므로 도시의 포장된 땅이나 도로에 많이 심는다.
키가 18m 이상 자라고, 잎은 길고 많은 잔잎으로 이루어졌으며 상처가 나면 고약한 냄새가 난다.
수나무에 피는 꽃은 역겨운 냄새가 난다.
암나무에는 시과(翅果)가 열리며 이 시과는 연한 적갈색으로 익는다.
변종들 중 아일란투스 알티시마 수트쿠에넨시스(A. altissima var. sutchuenensis)는 잎자루가 자주색이고 잎 뒷면에 흰빛이 돌며 붉은가죽나무(A. altissima var. erythrocarpa)는 반짝이는 붉은 열매가 열린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에서 들여온 가죽나무를 가로수나 조경수로 널리 심고 있으나 종종 흰불나방에 의해 큰 피해를 입는다.
2. 껍질을 벗긴 뿌리를 말려서 한방에서는 이질(痢疾)·치질·장풍(腸風)에 쓰기도 하며, 이질을 앓을 때나 위궤양에는 뿌리를 진하게 달여 먹기도 한다.
3. 중국 원산으로 가중나무라고도 한다.
가죽나무는 가짜 죽나무란 뜻이며, 학교나 공원 등지에 심지만, 각지에 야생하기도 한다.
성장이 빠르며 줄기 지름 50 cm, 높이 20~25m에 이르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며 길이 45∼80cm이다.
작은잎은 13∼25개로 길이 7~12cm, 나비 2~5cm이다.
넓은 바소꼴로 위로 올라갈수록 뾰족해지고 털이 난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다.
꽃은 집성화로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6~7월에 녹색이 도는 흰색의 작은 꽃이 핀다.
열매는 시과로 긴 타원형이며 길이 3~5cm, 나비 8~12mm이다.
프로펠러처럼 생긴 날개 가운데 1개의 씨가 들어 있다.
목재를 가구재·기구재·농기구재로 쓰고, 잎은 가죽나무누에의 사료로 쓴다.
가로수로 심기도 한다.
4. 가중나무뿌리 껍질에는 쿠아찜이라는 성분은 설사 멈추는 작용과 적리균, 아메바성 원충의 성장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이질에는 가중나무뿌리껍질 16~30g을 잘게 썰어 물에 달여서 하루 2~3번에 나누어 먹는다.
봄과 가을에 뿌리의 껍질을 채취하여 겉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려서 이질(적리)·치질·장풍 치료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이질·혈변·위궤양에 뿌리를 진하게 달여 먹는다.
어린 순의 독특한 향기가 봄철의 미각을 돋구는 참죽나무,
나물로도 먹고, 빈대떡도 부치고, 부각도 만들어 먹고, 장아찌도 만들어 먹는.. 특히 영호남 등 남쪽 지방에서 인기 있는 봄나물이며, 사찰음식에서도 중요한 요리재료 중 하나이다.
지방에 따라 참죽나무(표준용어), 죽순나무(충청지역), 가죽나무(영호남 등 남쪽지역) 등로 불리는 탓에 이놈을 주제로 이야기를 하려면 용어정리부터 해 놓고 시작해야 하는 놈이기도 하다.
특히 남쪽 지역에서 부르는 '가죽나무'는 참죽나무와 모양은 아주 비슷하지만 냄새가 고약하고 독성이 있는 소태나무과의 '가죽나무' 또는 '가중나무'와 혼동이 되기 쉽다.
참죽나무는 아마 대나무 순처럼 먹을 수 있다해서 竹나무라고 불리다가 이 나무와 너무도 똑같아서 헷갈리기 쉽지만 먹을 수 없는 가죽나무(가중나무)와 쉽게 구분하기 위해서 참죽나무라고 부르지 않았나 싶다.
가죽나무의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으며(두세개 정도만 요철이 있다), 솜털이 참죽나무보다 많다.
참죽나무와 가죽나무는 족보도 다르다. 참죽나무과 쥐손이풀목 멀구슬나무과의 나무인데 비하여,
가죽나무는 쥐손이풀목 소태나무과의 나무이다.
가죽나무는 소태나무과라는 족보가 말해주듯이 맛이 매우 쓰며 고약한 냄새가 나서 사람이 먹을 수 없다.
또 한편으로는 가죽나무를 가중나무라고도 부르는데, 한자이름이 假僧木(가승목)인 것으로 보아 사찰에서 즐겨먹은 참죽나무와 달리 중도 먹지 못하는 가짜 중나무란 뜻의 가승목 즉, '가중나무'라 부르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이와 관련되어 참죽나무를 절에서 중이 많이 먹는다는 뜻의 '중잎'이라고 부르는 지역도 있다.
두나무 다 목재는 단단하고 결이 좋아서 가구재로 좋다고 한다.
|
|
이 글은 미디어다음 블로거뉴스로 게재되었습니다 MY블로거뉴스▶
첫댓글 감사합니다...제가 원래 나무에 지식도 없이 이것저것 조금씩 심었는데 작년에 가죽나무 60주심어서 다죽고 35주 남았습니다..이제는 잘키울수 있을것같네요...꾸~벅
참죽나무를 이야기 하는줄 착각했습니다. 설명을 자세히 읽어 보니 다르네여
퍼갑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좋습니다.~
가죽나무도 심어야겠습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