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식생호안 수생식물의 생태계 역할 · 식생호안의 도입으로 육상과 하천의 생태통로 연결 · 호안에 다양한 하천 동식물 생육으로 먹이사슬 연결 · 수생식물은 물속에 산소를 공급하고 수서곤충 및 어류의 산란.서식장소를 제공 · 수생식물의 군락은 자연적인 수질정화능력을 제공 · 수생식물 군락은 유속의 조절과 토사유출 억지력이 탁월 · 자연스런 수변경관의 제공으로 인간과 자연의 조화
2. 수생식물의 수질정화 효과 · 유입되는 실트와 부유물의 거름-오수가 수생식물과 접촉하는 순간 오염물질이 침전.퇴적한다. · 유입 유기물의 분해-수생식물에 착생한 미생물에 의함 · 유해물질의 흡수-수생식물의 뿌리에서 인.질소등을 영양분으로 흡수 · 용존산소의 생성-수생식물이 물속에 산소를 공급하여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하고 녹조 원인인 식물 플랑크톤의 증식을 억제
3. 수생식물의 분류 수생식물은 일명 수초로도 불리는 수중식물이다. 보통 물가에서 살거나 식물체 일부 혹은 전부가 물속에 잠겨 있고 대롱모양의 관다발을 가지고 있어 수분과 양분을 흡수한다. 이들 수생식물은 처음에는 육지에서 살다가 수중생활을 시작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분포지역은 통 늪이나 호수.하천등 민물지대이다. 전세계 식물의 약2%를 차지하며 고착성 수생식물과 부표성 수생식물로 나뉜다.
1) 고착성 수생식물 : 뿌리를 바닥에 착근하고 물속에 고정되어 사는 식물
구분 |
주요특성
|
식물명 |
추수식물 |
흙중에 근경을 신장시키고 줄기와 잎을 수면보다 위로 추출해서 대기중에 잎을 전개시키는 식물이다.
|
갈대,줄,큰부들류, 물옥잠,물냉이등 |
부엽식물 |
수면하의 바닥에 근경을 내리고 줄기와 잎을 수면까지 신장시켜 잎을 수면에 뜨게하는 식물이다.
|
마름,노랑어리연꽃, 어리연꽃,수련,순채등 |
침수식물 |
수면하의 바닥에 근경을 내리고 줄기.잎 모두 수중에 침수되어 식생하며 꽃은 수면위로 나와 개화하는 것이 많다.
|
말즘,대가래,말,솔잎가래, 물수세미등 | 2) 부표성 수생식물 : 바닥에 뿌리를 착근하지 않고 물위에 떠 다니는 식물
구분 |
주요특성
|
식물명 |
부수식물 |
줄기와 잎등 식물의 몸체 대부분이 물위에 떠있고 뿌리도 바닥이 아니라 물속에 떠있는 식물이다.
|
개구리밥,생이가래, 물개구리밥 |
부유식물 |
줄기와 잎이 물밑에 있을 뿐만아니라 뿌리도 없는 식물이다.
|
통발, 벌레먹이말, 약간의 뿌리가 있는 좀개구리밥 | 3) 대표적 수생식물과 생태적 특성
|
갈 대 ·대형 추수식물-다년초 ·근경이 발달-광대한 군락 ·전국분포 ·호안안정.자연경관. 생태 조성
|
|
부 들 ·대형 추수식물-다년초 ·근경이 발달-광대한 군락 ·오탁에 강함 ·자연경관.생태조성
|
|
꽃창포 ·물가.수중 추수식물 -다년초 ·지하경을 가지며 군락 형성 ·꽃의 수변경관 ·자연경관.생태조성 |
|
연 꽃 ·대형 추수식물-다년초 ·굵은 지하경. 대군락 형성 ·식용으로도 재배 ·자연경관.생태조성
|
|
석창포 ·중형 추수식물-다년초 ·물가.습지에 생육 ·지하경을 가짐 ·경관조화.생태조성
|
|
벗 풀 ·중형 추수식물-다년초 ·도출지를 낸다. ·끝에 소괴경을 만듬 ·경관조화.생태조성 |
|
보 풀 ·중형 추수식물-다년초 ·도출지가 없다. ·잎의 기부에 소구아 ·경관조화.생태조성 |
|
물수세미 ·소형 추수식물-다년초 ·포복지 신장.밀생군락 ·난지 ·경관조화.생태조성 |
|
물옥잠 ·소형 추수식물 ·1년초 ·지소의 천수대.논.호소 ·경관조화.생태조성 |
|
마 름 ·부엽식물-1년초 ·밀생군락 ·이질을 좋아함 ·경관조화.생태조성 |
|
어리연꽃 ·부엽식물-다년초 ·지하경이 군락형성 ·잎의 출소에 식아로 증식 ·경관조화.생태조성
|
|
노랑어리연꽃 ·부엽식물-다년초 ·지하경 대군락 형성 ·부영양화.물빠짐에 강함 ·경관조화.생태조성 |
|
자라풀 ·호소의 물가 부엽식물 ·수중으로 줄기가 자람 ·밀생군락 형성 ·경관조화.생태조성 |
|
순 채 ·호소 부엽식물-다년초 ·진흙속 근경 군락형성 ·어린순은 식용 ·경관조화.생태조성 |
|
가 래 ·부엽식물 ·호소.천수대에 식생 ·지하경 군락형성 ·자연경관.생태조성 |
|
말 즘 ·침수식물-다년초 ·지하경 발달-밀생군락 ·부영양화에 강함 ·자연경관.생태조성 |
|
수염가래 ·침수식물-다년초 ·지하경 발달-밀생군락 ·부영양화에 강함 ·자연경관.생태조성 |
|
네가래 ·침수식물-다년초 ·지하경 발달-밀생군락 ·부영양화에 강함 ·자연경관.생태조성 |
|
나사말 ·침수식물-다년초 ·지하경 발달-밀생군락 ·사지를 좋아함 ·자연경관.생태조성
|
|
붕어마름 ·침수성 부표식물 -다년초 ·호소,천수대에 생육 ·부영양화에 강함 ·경관조화.생태조성 |
|
매화마름 ·침수성 부표식물-다년초 ·호소,천수대에 생육 ·부영양화에 강함 ·경관조화.생태조성 |
|
부레옥잠 ·대표적 부표식물 ·자주를 만들어 번식 ·수질정화에 이용 ·수질정화.생태조성 |
|
생이가래 ·부표식물 ·소하천.호소 ·뿌리가 물에 떠있다. ·경관조화.생태조성 |
|
물개구리밥 ·부표식물 ·뿌리가 있는 부수식물 ·수서곤충의 먹이 ·경관조화.생태조성 |
|
좀개구리밥 ·부표식물 ·뿌리가 없는 부유식물 ·수서곤충의 먹이 ·경관조화.생태조성 |
|
물부추 ·침수식물 ·호소.천수대 ·경관조화.생태조성
| 4. 수생식물의 식생조건 수생식물의 생육조건에 대해서는 투명도,수온,수심,수소이온농도(PH)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겠으나 식물의 종류별로 세부 생태조건을 정의하는 것은 어려우며 다만 확실 하게 생육조건을 논할수 있는 것은 지형.지질이다.
■ 지형조건 지형의 기울기는 완만할수록 좋으나 갈대, 줄,띠,부들등 정수식물쪽이 급경사에서 생육할 수 있고 부엽,침수식물은 평탄한 지형이 적합하다. 정수식물중에서는 갈대쪽이 완경사 지형에 식생하고 있다.
■ 토양.토질조건 수생식물의 뿌리는 토양의 입자가 0.25~0.5mm이상의 거친 토양 단일층에서는 성장이 빈약하거나 군락이 형성되기 어려우며 토질은 사질,점질이 적합하다. 토양층 흙의 깊이는 갈대등의 대형 정수식물은 1m, 소형 정수식물 및 부엽식물은 50~60cm 의 토양층을 필요로 한다.
■ 수심조건 문헌자료에 의하면 갈대, 줄, 마름종류의 분포한계 최대수심은 일반적으로 부엽식물 및 침수식물이 생육가능한 수심은 정수식물 군락의 선단에서 그 수역의 초여름부터 가을의 평균적인 투명도의 약 2배의 깊이까지로 되어져 있다. 더욱이 침수 식물이 생육하는 수심은 2.0m까지로 되어져 있다.
■ 유속조건 수생식물은 일반적으로 2m/s이내의 수역에서 생식한다. 따라서 강폭이 넓고 흐름이 빠르며 수심이 1 m이상이나 되는 수역에서는 거의 수초를 볼 수가 없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는 하상에서 강하게 뿌리 내리는 정수 식물은 유속 0~1.5m/s, 침수 식물 등에서는 항시 수중에 있기 때문에 0.1~0.45m/s의 범위가 그 생식 조건이라고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