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구 개인전에 나타난 주요한 關係語
1. 제1회 : 言語進行(Progress of language) 1990
-일상에서 언어가 소통되는 것처럼 작가가 선택한 이미지나 형상들은 끊임없이 대중에게 소통된다는 기본 입장아래 선택된 주제이다. 그러나 서로의 뜻이 통하지 않을 경우도 있어 소통을 전제로 하지만 개별적인 강제성도 포함하는 '진행'이란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①日常的인 道具의 나열 ②事象 표현 ③우호적 조형성 발견 ④오래된 벽화
2. 제2회 : 觀念의 庭園(Garden in Notion) 1993
-그림 그리기란 주관적인 관심사로 출발하여 객관적 검증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한국에는 실경산수(實景山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관념산수에 反하는 단어이다. 실경산수란 서양의 사실화(寫實畵 realistic art)를 이야기하는 것인데, 이미지가 나타나는 화면에서 실제(實際)가 있을 수 있는가. 다만 일루전(illusion)일뿐이라는 관심사에서 명제를 붙였다. 여기서 일루전과 실제의 관계는 관념의 집적체이다.
①民畵의 구도 차용 ②名畵들의 패러디(parody) ③民畵가 가진 繪畫로서의 의미
3. 제3회 : 觀念의 庭園(Garden in Notion) 1995
①회화 속의 繪畫 - 場으로서의 평면 ②패러디(parody) ③기표, 기의(표면, 피부)
4. 제4회 : 觀念의 庭園(Garden in Notion) 1997
①이미지로서의 회화 ②일루전(illusion)-허상에 관하여 ③ 날염(捺染)된 천의 기존 이미지 패러디(parody)
④ 畵面 그 자체의 확인 ⑤의자,sofa - 삶의 場으로서 선택
5. 제5회 : K의 喪失(Loss of K) 1998
①歷史(日常의 연장) - 현대를 근대사로 ②群衆 ③가족단위 -사회구성요소
④평등 - 불평등의 관계인식 ⑤사진이 끼워진 액자
6. 제6회 : 觀念의 庭園 Ⅱ(Garden in Notion Ⅱ) 2000
①手作業의 실행에 대한 완성성 ②事物의 확대 ③딱딱함과 부드러움
④공간 -구석설정 -平面畵 ⑤무늬(꽃, 반복, 풀 무늬) ⑥피부로 기어가기
7. 제7회 : 이미지가 의미하는 것, 2002
①무의식은 극장이 아니라 공장처럼 기능한다. 따라서 재현이 아니라 생산이 문제다.
②세계와 세계사 속에는 사방에서 환각과 소설이 넘쳐나고 있는데 이것들은 전혀 가족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인종, 부족, 대륙, 문화, 사회적 지위 등을 끊임없이 망상한다.)
③보편사는 존재하지만 이것은 우발성의 역사이다.
(역사의 대상인 원시적 코드를 넘어, 전제 군주적 덧 코드화를 넘어, 자본주의적 탈 코드화를 넘어, 독립적인 흐름들의 연합을 가능하게 하는...) 안티-오이디푸스(질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④의미의 바깥쪽
⑤역사란 개인과 그에 속한 사회와, 국가와 국가 사이에 일어난 시간의 누적된 결과물들이지만, 인식하지 않으면 그것은 순간이며 찰나(刹那)이다.
⑥끊임없이 이어지는 關係項들과 욕망들 사이에서도 의욕과 의도가 무가치한 순간들이 있다.
⑦바보의 길이란 ‘어려운 것들, 감각으로 포착되지 않는 것들, 감각의 증거들과는 배치되는 것들에 대해서만 이야기 한다’는 것에 대해 아무 생각이 없는 것이다.
⑧Image의 수렵시대Ⅰ- 농경시대 - 채집시대 - 수렵시대Ⅱ
⑨문화(文化)의 문(文)은 무늬'문'자이고 채색, 얼룩을 뜻하며, 화(化)는 될 화자로서 ‘되다, 문양을 바꾸다, 고쳐지다, 따르다’의 뜻이 있다. 결국 문화는 무늬가 바뀌는, 무늬의 변화를 따르는, 또는 가져오는 상황.
8. 제8회 : 카투니즘 2005
①미술과 만화사이
②신 이미지 개념창출
③이코노텍스트와 이미지의 효용성
④시각예술의 복합성
9. 제9회 : 길을 가다 2006
①화두로서의 '길을가다'
②복제와 복제사이
③포토그라피
④자의식과 타의식
⑤이미지의 맥
10. 제10회 : 이미지가 의미하는 것 Ⅱ 2006
①복제와 복제사이Ⅱ
②기시감(旣視感 dejvu)와 미시감(未視感 jamaisvu)
③나르키소스(Narcissus)와 에코(Echo)
④분절
11. 제11회 : 웃기 시작한 회화(웃는얼굴) 2008
①소통
②사랑
③애증
④해학
⑤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