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변분별론 상권
1. 상품(相品)
1.0. 이 논의 내용 개관
부처님[善行]의 제자로서
이 바른 논을 능히 지으시어
우리들에게 연설하신 이에게
공경하면서 지금 그 뜻 밝히렵니다.
처음 논체(論體)를 세우리라.
모양[相]과 장애[障]와 진실(眞實)과
다스림의 도를 닦아 익힘[硏習對治道]과
닦아 머무름[修住]과 과위 얻음[得果]과
무상승(無上乘)인 그것이네.
그 일곱 가지 뜻을 바로 이 논에서 말했다.
무엇이 일곱 가지인가?
첫째는 모양[相]이요,
둘째는 장(障)이요,
셋째는 진실(眞實)이요,
넷째는 다스림을 닦아 익힘[硏習對治]요,
다섯째는 닦아 머무름[修住]이요,
여섯째는 과위 얻음[得果] [이요,
일곱째는 위없는 수레이다.]
[七無上乘]
1.1. 허망한 분별의 모양 있음과 모양 없음
{지금 이 모양]에 의하여 이 게송을 말하다.
{今依相]
허망한 분별(分別)에서 있음이니
저 곳에는 둘이 있지 않는지라
저 가운데에는 공(空)만 있을 뿐이요
여기에도 역시 저것이 있네.
여기에서 허망한 분별이라 함은, 분별이 능히 집착함[能執]과 집착할 바[所執]를 말한다.
있음이라함은, 다만 분별만 있을 뿐이다.
저 곳이라 함은, 허망한 분별을 말한다.
둘이 있지 않음이라 함은 능히 집착함과 집착할 바인 그 둘이 영원히 없음을 말한다.
저 가운데라 함은, 분별의 가운데를 말한다.
공(空)만 있을 뿐이라 함은, 다만 이의 분별은 능히 집착할 바를 떠났기 때문에 공(空)만 있을 뿐이다.
여기에도라 함은, 농(能)가 공한 가운데를 말함이다.
역시 저것이 있다함은, 허망한 분별이 있음을 말한다. 만일 법이 이곳에 없으면 그 법으로 말미암아 이곳에는 공(空)하고 그 밖의 것은 있음이 된다고 할 것이다.
만일 그와 같이 안다면 곧 공한 모양의지혜에 뒤바뀜이 없을 것이다.
다음의 게송으로 말한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온갖 법은
공함도 아니고 공 아님[不空]도 아니며
있고 없고 그리고 있음이라 하나니
그를 중도(中道)의 이치라 이름하네.
온갖 법이라 함은, 있음을 허망한 분별이라 이름하고 함이 없음을 공이라고 이름함을 의미한다.
공함도 아니라 함은, 공으로 말미암고 허망한 분별로 말미암음을 말한다.
공 아님[不空]이 아니라 함은, 능히 집착함과 집착할 바로 말미암기 때문임을 말한다.
‘있고’라 함은, 허망한 분별이 있기 때문임을 말한다.
‘없고’라 함은 능집, 소집이 없기 때문임을 말한다.
‘그리고 있음’이라 함은, 허망한 속에는 참다운 공[眞空]이 있기 때문이며, 진공 속에는 또한 허망한 분별이 있기 때문이다.
그를 중도(中道)의 이치라 이름한다 함은, 온갖 법이 한결같이 공함이 아니며, 또한 한결같이 공 아님[不空]도 아니다.
그와 같은 따위의 글이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따위와 어기지 않나니, 경에서 온갖 법은 공함이 아니며 공아님도 아니라고 말씀하신 것과 같다.
그와 같이 허망한 분별의 모양 있음과 모양 없음을 이미 설명하였으니,
1.2. 자체상(自體相)
지금에는 다음으로 그 자체상(自體相)을 설명하겠다.
그러므로 다음의 게송을 말한다.
대상과 감관과 ≺나≻와 그리고 식(識)임은
근본식(根本識)이 생기어 저와 같은지라
다만 식(識)만 있고 저가 없나니
저가 없으므로 식도 역시 없도다.
‘대상[塵]과 같음이란, 근본식의 나타나는 모양이 빛깔 따위와 같음을 말한다.
감관[根]과 같음이란, 식(識)이 5근(根)과 같아서 자타(自他)의 몸에서 나타남을 말한다.
≺나≻와 같음이란, 의식(意識)이 아견(我見)과 무명(無明)따위로 더불어 서로 응하는 때문임을 말한다.
식(識)과 같음이란, 여섯 가지 식(識)을 말한다.
근본식이란 아리야식(阿梨耶識)을 말한다.
생기어 저와 같음이란, 대상 따위인 네 가지 물건과 같음을 말한다.
다만 식만 있다함은, 다만 산란한 식(識)만이 있음을 말한다.
저가 없다함은, 네 가지 물건 없음을 말한다.
왜 그러한가?
대상과 같고 감관과 같음은 진실한 형체의 식이 아니기 때문이요,
≺나≻와 같고식과 같음은, 나타남이 대상[境]과 같지 않기 때문이다.
‘저가 없으므로 식(識)도 역시 없도다’라 함은, 대상이 이미 없으매 식도 역시 없다.
이 식(識)이 취하는 바 네 가지 경계(境界)란, 대상ㆍ감관ㆍ≺나≻ㆍ식(識)에 해당한 것들을 말함이니, 실로 그 체상(體相)이 없다.
취할 바[所取]가 이미 없으매 능히 취함(能取)인 산란한 식(識)도 역시 없다.
그와 같이 체상(體相)을 설명하였으니,
1.3. 명의(名義), 허망한 체상
지금에 명의(名義)를 밝히겠다.
그러므로 다음의 게송으로 말한다.
산란한 식은 허망한 성질임이
이 내용으로 말미암아 성립되나니
실로 있음과 실로 없음 아님이며
저를 없애기 때문에 해탈함이네.
산란한 식은 허망한 성질임이 이 내용으로 말미암아 성립된다 함은, 온갖 세간(世間)은 다만 산란한 식뿐이다.
이 산란한 식을 어찌하여 허망함이라 이름하는가?
대상이 진실하지 않음으로 말미암아서이며, 그 자체가 산란함으로 말미암아서이다.
실로 있음 아니라 함은, 나타남에 네 가지 물건과 같으나, 네 가지 물건은 영원히 없기 때문이다.
실로 없음 아니라함은, 온갖 것이 영원히 없음 아니라고 말함이니, 산란한 식(識)이 생기기 때문이다.
어찌하여 산란한 식이 영원히 없다고 인정하지 않는가?
그러기에 게송에서, ‘저를 없애기 때문에 해탈함이네’라고 말한 것이다.
만약 영원히 계박이 없다고만 고집한다면 해탈이 모두 성취되지 못할 것이며,
곧 삿된 소견을 일으켜 청정한 법과 청정하지 않은 법을 부정하게 될 것이다.
그와 같이 허망한 체상을 설명하였으니,
1.4. 허망에 해당하는 모양
지금에 다음으로 허망에 해당하는 모양을 설명하겠다.
만약 허망뿐이라고 말한다면, 어떻게 3성(性)을 능히 포섭할 것인가?
그러므로 다음의 게송을 말한다.
분별(分別)과 그리고 의타(依他)와
진실(眞實)이 오직 삼성(性)이니
대상과 산란한 식(識)이 없으며
그리고 둘이 없기 때문에 말함이네.
분별성(分別性)이란, 6진(塵)이 영원히 존재하지 않음이 마치 허공의 꽃과 같음을 말함이다.
의타성(依他性)이란, 오직 산란한 식(識)만 있을 뿐이고 진실함 아닌 것이 마치 눈흘림의 물건과 같음을 말한다.
진실성(眞實性)이란, 능히 취함[能取]과 취할 바[所取]는 둘다 없고, 진실은 있고 없기 때문이니 마치 허공과 같다.
허망에 해당하는 모양을 설명하였으니,
1.5. 허망하여 아무것도 없는 방편에 들어가는 모양
지금에는 허망하여 아무것도 없는 방편에 들어가는 모양을 설명하겠다.
그러므로 다음의 게송으로 말한다.
유식(唯識)에 의하므로 말미암아
대상의 실체 없다는 뜻이 성립되며
대상은 실체가 있지 않기 때문에
근본 식[本識]이 곧 생김 아니네.
온갖 3계(界)는 다만 식(識)만 있을 뿐이니, 그와 같은 뜻에 의하여 바깥 대상의 자체와 모양은 결코 있는 것 아닌 그 지혜가 성립된다.
소연(所緣)인 대상이 실체가 없으므로 말미암아 능연(能緣)인 유식도 역시 생김 아니니, 그러한 방편으로써 곧 능히 취함, 취할 바가 아무 모양이 없는 것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식(識)이라 함이 성립되며
식 아님으로 제 성품 되었나니.
인식할 바엔 모든 대상이 이미 그 실체가 없으니, 그러므로 식의 성품없다는 이치가 성립된다.
식(識)아님과 그리고 식 그것이
그 뜻으로 말미암아 다 평등하네.
식(識)아님이란, 제 성품이 성립되지 않으므로 말미암아 그 때문에 식이 아니다.
이 진실하여 아무것도 없는 법의 성품이 진실 아닌 대상을 능히 나타내기 때문에 식(識)이라 말한다.
허망하여 아무것도 없는 방편에 들어가는 모양을 설명하였으니,
1.6. 허망함인 총상(總相)
지금에는 허망함인 총상(總相)을 설명해야겠다.
그러므로 다음의 게송으로 말한다.
허망함인 총상(總相)의 종류란
3계(界)의 마음과 마음 법이네.
허망함이란, 만약 세계[界]를 들어 세운다면, 욕계(欲界)ㆍ색계(色界)ㆍ무색계(無色界)를 말한다.
만약 생김[生]을 들어 세운다면, 마음과 마음 법이 바도 총상의 종류라고 말한다.
총상을 이미 설명하였으니,
1.7. 별상(別相)
별상(別相)을 지금 곧 설명해야겠다.
대상만을 아는 슬기를 마음이라 하고
그의 차별을 마음 법이라 말하네.
마음이란, 다만 대상의 전체적인 모양[通相]만을 분별하는 것이며,
만약 대상의 개별적인 모양[別相]을 분별한다면 마음법이라 말하나니, 느낌[受]ㆍ생각[想]ㆍ지어감[行] 따위를 의미한다.
이미 총상과 별상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니,
1.8. 생기는 모양
다음으로는 생기는 모양을 밝히겠다.
첫째를 연식(緣識)이라 말하고
둘째는 바로 그 용식(用識)이며
대상에서 받아들이거나 분별하며
이끌어 행하는 것을 마음 법이라 하네.
연식(緣識)이란, 아리야식(阿梨耶識)을 말함이니, 여타의 식(識)이 생기는 인연이기 때문이다.
용식(用識)이란, 아리야식으로 인하여 대상 중에서 일어나는 것을 용식이라고 말한다.
대상에서 받아들임이란, 대상의 괴로움 따위를 받아들임을 말함이니, 느낌의 쌓임[受陰]을 의미한다.
분별하며 라고 함은, 대상의 차별을 이리저리 선택함을 말함이니, 생각의 쌓임[想陰]을 의미한다.
이끌어 행함이란, 능히 마음으로 하여금 이것을 버리고 저것을 취택함이니, 욕망ㆍ사유(思惟)ㆍ작의(作意) 따위를 말하는 것으로써 그를 지어감의 쌓임[行陰]이라고 한다. 그와 같은 느낌[受] 따위를 마음 법이라고 이름한다.
위에서 생기는 모양을 설명하였으니,
1.9. 허망한 더러움[汚染]의 모양
허망한 더러움[汚染]의 모양을 설명해야겠다.
그러므로 다음의 게송으로 말한다.
덮어 가리고 또는 내세우며
잡아 인도하고 역시 껴잡으며
원만하게 하고 세 가지로 이루며
받아 접촉하고 또는 끌어당기네.
집착하고 또는 앞에 나타나며
괴로움이기 세상은 괴롭기만 하고
세 가지 어려움, 두 가지 어려움
또 일곱 가지 어려움이 허망 때문이네.
덮어 가림이란, 무명으로 말미암아 능히 실다운 견해를 가리기 때문이다.
내세움이란, 온갖 지어감[行]으로 말미암아 업(業)ㆍ훈습(薰習)을 본식(本識) 속에 다 능히 내세우기 때문이다.
잡아 인도함이란, 본식과 의식(意識)으로 말미암아 능히 중생들로 하여금 태어날 곳에 가도록 하기 때문이다.
껴잡음이란, 이름[名]과 물질[色]로 말미암아 능히 자체의 다섯 무더기[五趣]를 껴잡기 때문이다.
원만하게 함이란, 여섯 감관[六八]으로 말미암아 능히 자라나게 하기 때문이다.
세 가지로 이룸이란, 감관ㆍ대상ㆍ의식[識]에 의하여 모든 닿음[觸]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받아 접촉함이란, 즐거움ㆍ괴로움 따위로 말미암아 덜하기도 하고 더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끌어당김이란, 탐애(貪愛)로 말미암아 업으로 하여금 능히 후생에 태어남을 끌어당기기 때문이다.
집착함이란, 4취[取]로 말미암아 능히 모든 식(識)으로 하여금 애욕 따위의 4처(處)에 물들고 집착하여 그에 따라 나게 되기 때문이다.
앞에 나타남이란, 업이 있으므로 말미암아 이미 지은 모든 업이 내생에 나아가게 된다고 하여 과보에 힘을 줌이 되기 때문이다.
괴로움이란, 나기[生]로 말미암아 늙어 죽음이 있기 때문이다.
세상은 괴롭기만 함이란, 3계(界)는 무명(無明)과 그리고 늙어 죽음 따위에게 괴롭힘을 당하므로 말미암아 언제나 괴로움과 어려움을 받기 때문이다.
세 가지 어려움, 두 가지 어려움과 또, 일곱 가지 어려움이 허망 때문이라 함은, 세 가지 어려움이란, 번뇌의 어려움, 업의 어려움, 나기의 어려움 따위를 말한다.
번뇌의 어려움이란, 무명(無明), 탐애(貪愛), 잡음[取]을 말한다.
업이 어려움이란, 지어감과 존재[有]를 말한다.
나기의 어려움이란, 그 밖의 일곱 부분을 말한다.
두 가지 어려움이란 이른바 원인의 어려움[因難], 결과의 어려움[果難] 그것이다.
원인의 어려움이란 번뇌업 부분을 말하고 결과의 어려움이란 그 밖의 부분을 말한다.
일곱 가지 어려움이란, 일곱 가지 원인을 말한다.
첫째는 뒤바뀐 원인이니 무명을 말하며,
둘째는 끌어당기는 원인이니 온갖 지어감을 말하며,
셋째를 잡아 인도하는 원인이니 본식(本識)과 의식(意識) 두 가지를 말하며,
넷째는 껴잡는 원인이니 이름과 물질과, 여섯 감관을 말하며,
다섯째는 수용하는 원인이니 닿음과 느낌을 말하며,
여섯째는 끌어내는 원인이니 욕망[愛]ㆍ잡음[取]ㆍ존재[有]를 말하며,
일곱째는 싫어하고 두려워하는 원인이니 나기와 늙어 죽음을 말한다.
허망 때문이라 함은, 그와 같은 괴로움과 어려움은 허망에서 생긴 것이다.
허망에 대한 내용을 간추려 보면 아홉 가지 모양이 있으니, 이른바 있는 모양, 없는 모양, 제 모양, 포섭되는 모양, 모양 없는 방편에 드는 모양, 차별의 모양, 온갖 명칭의 모양, 생기는 인연의 모양, 더러움의 모양이 그것이니, 그 뜻은 앞에서 밝혀졌다.
허망을 설명했는데,
1.10. 방편을 설명하여 공(空)의 뜻을 밝히다
앞으로는 방편을 설명하여 공(空)의 뜻을 밝히리니, 그로 말미암아 서로 응하기 때문이다.
다음의 게송으로 말한다.
자체와 모양과 그리고 뭇 명칭과
그의 내용과 또는 분별 그것과
이치를 성립함의 알아야함 그것을
그와 같이 대략 공을 해석하네.
1) 공의 모양
어떻게 공(空)의 모양을 알아야 할 것인가?
다음 게송으로 말하리라.
둘이 없고 이 없음만 있나니
그 둘을 공한 모양이라 말한다
그러므로 있음 아니고 없음 아니며
다름 아니고 또한 같음 아니네.
둘이 없음이란, 취할 바[所取]와 능히 취함[能取]이 없음을 말한다.
이 없음만 있다함은, 다만 취할 바와 능히 취함의 없음만 있을 뿐임을 말함이다.
그 둘을 공(空)한 모양이라 말한다함은, 둘이 없음과 없음만 있는 그것을 바로 공한 모양이라 이름한다고 말함이니, 이것은 참다운 공[眞空]에는 둘의 모양이 없음을 밝힘이다.
그 법은 둘이 없는 것으로써 그 성품이 되었기 때문에 있다고도 말할 수 없고 없다고도 말할 수 없다.
어찌하여 있는 것 아닌가?
바로 둘이 없기 때문이며,
어찌하여 없는 것 아난가?
바로 둘이 있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게송에서, ‘있음 아니고 없음 아니다’고 말한 것이니, 그를 참다운 공의 모양이라 이름한다.
다름 아니고 또한 같음 아니라 함은, 허망한 분별과 다른 모양이 아니며, 또 한 같은 모양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 것이다.
만약 다르다면 법의 성품이 법과 더불어 다를 것이니, 그 뜻이 옳지 못하다.
비유컨대 5음(陰)이 무상(無常)의 성질과 괴로움의 성질과 더불어 다름과 같을 것이다.
만약 같다면, 청정한 경계의 지혜와 그리고 전체적인 모양이 성립되지 못할 것이니,
그와 같은 도리로 참다운 공이 허망한 것과 더불어 같은 모양, 다른 모양을 떠났다는 것을 밝혔다.
그러므로 있는 모양이 아니며, 있지 않은 모양이 아니며, 같은 모양이 안이며, 다른 모양이 아니라고 말한다.
2) 뭇 명칭
어떤 것을 뭇 명칭이라고 알아야 할 것인가?
여여(如如)와 그리고 실제(實際)와
모양 없음(無相)과 또는 진실(眞實)과
법계(法界)와 법신(法身) 따위 그것으로
공(空)의 뭇 명칭을 대략 말하네.
3) 뭇 명칭의 내용
어떤 것을 뭇 명칭의 내용이라고 알아야 할 것인가?
변하거나 달라지지 않음, 뒤바뀜 아님과
모양 없어짐과 거룩한 지혜의 경지와
거룩한 법의 원인, 그리고 의지가
바로 뭇 명칭 내용의 순서이네.
다름이 없는 것으로 내용이 되었기 때문에 여여(如如)라고 이름하며,
항상 그와 같아서 버리지 않고 뒤바뀜이 없는 것으로 내용이 되었기 때문에 실제(實際)라고 말한다.
뒤바뀜의 종류와 그의 경계가 아니고, 모양이 없어짐으로 내용이 되었기 때문에 모양 없음이라고 말하며,
온갖 모양을 떠나고 분별이 없고 거룩한 지혜의 경계이고 제일의(第一義) 지혜로 그 자체가 되었기 때문에 진실(眞實)이라고 말한다.
거룩한 법의 원인으로 내용이 되었기 때문에 법계(法界)라고 말하나니, 거룩한 법이 그 경지에 의하여 생기는데, 이 중에서는 원인인 뜻이 바로 계(界)라는 뜻이 된다.
법의 몸을 껴잡아 지니는 것으로 내용이 되었기 때문에 법신(法身)이라고 말한 것이다.
그와 같이 공에 대한 뭇 명칭의 내용을 이미 밝히었다.
4) 공(空)의 분별
어떤 것을 공(空)의 분별이라고 알아야 할 것인가?
또한 더러움[染汚]이고 또한 깨끗함[淸淨]이니
그러한 것을 공의 분별이라 하네.
어느 자리의 지위가 공(空)의 부정(不淨)이며, 어느 자리의 지위가 공(空)의 깨끗함인가?
때[垢] 있음과 또한 때 없음이네.
만일 이 지위 중에 있어서 바로 온갖 때[垢]의 법을 벗어나지 못하고 그와 함께 서로 어울리면 그 지위 자리에서는 부정(不淨)하다고 말한다.
또 만일 이 지위에 있어서 온갖 때[垢]를 벗어나면, 그 지위 자리에서는 깨끗함이라고 말한다.
만일 이미 때[垢]와 서로 어울리었다가 그 후에 때[垢]가 없다면 변하여 달라지는 법을 떠나지 아니했기 때문에 어찌 무상(無常)이 아니겠는가?
그러한 물음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해답이 있다.
물의 한계[水界]와 전 허공이 고요하듯이
법계(法界)의 청정함도 그와 같네.
객진(客塵)이기 때문이고,
사라짐을 떠났기 때문이고,
그제 성품이 변하거나 달라짐이 아니기 때문이다.
[공의 열 여섯 가지]
다시 분별하면 이 공(空)에 열여섯이 있다.
첫째는 안[內]의 공함이요,
둘째는 바깥의 공함이요,
셋째는 안팎의 공함이요,
넷째는 요소[大]의 공함이요,
다섯째는 공(空)의 공함이요,
여섯째는 제일의(第一義)의 공함이요,
일곱째는 함이 있음의 공함이요,
여덟째는 함이 없음의 공함이요,
아홉째는 필경의 공함이요,
열째는 앞뒤가 없음의 공함이요,
열한째는 버리지 않음의 공함이요,
열두째는 성품의 공함이요,
열셋째는 모양의 공함이요,
열넷째는 온갖 법의 공함이요,
열다섯째는 있음 아님의 공함이요,
열여섯째는 있는 성품 아님의 공함이다.
그와 같이 공(空)을 대략 설명했다고 알아야 한다.
먹는 이와 먹을 대상이 공했으며
몸과 그리고 의지할 곳도 공했으며
능히 보는 그것과 진리 그대로와
구할 바와 얻음에 도달함이 공했네.
① 그 중에서 능히 먹는 이[能食]가 공했다 함은, 안의 감관에 의하여 말함이요,
② 먹을 대상[所食]이 공했다 함은 바깥 대상에 의하여 말한 것이다.
③ 몸은 바로 능히 먹는 이가 되고, 먹을 대상이란 의지할 곳이 되나니, 그 둘다 공하기 때문에 안팎의 공함이라고 말한 것이다.
④ 요소[大]의 공함이란, 그릇 누리[器世界]가 어디에나 두루하기 때문에 요소라고 말함이니, 그가 공한 것을 요소의 공함이라고 말한다.
⑤ 안의 감관과 몸과 그리고 그릇 누리인 그 법이 공한 것을 분별이 없는 지혜로만이 그 공한 것을 볼 수 잇나니, 이는 분별이 없는 지혜의 공이기에 공(空)의 공함이라고 말한 것이다.
⑥ 진리 그대로는 제일의(第一義) 모양에 의해서만이 그 법의 그 법의 공함을 관찰할 수 있나니, 그를 제일의(第一義) 공함이라고 말한다.
⑦⑧ 이 보살이 공(空)을 닦아 행하는 것을 얻으려 함은, 바로 법공(法空)인데 무엇을 닦아 행하는 것인가?
첫째, 함이 있음의 선(善)과,
둘째, 함이 없음의 선(善)인 두 선을 얻음을 달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그를 함이 있음의 공함[과, 함]이 없음의 공함이라고 이름한 것이다.
⑨ 언제나 남을 이익하게 하기 위하나니, 한결같이 언제나 남을 이익하게 하기에 그 공(空)을 닦으므로 필경의 공함이라고 말한다.
⑩ 보살은 나고 죽고 하는 것을 버리지 않기를 위하는데, 그 나고 죽음은 앞과 뒤가 없다. 중생들은 그것이 공한 것임을 보지 못하고 고달파 하고 싫어하기 때문에 나고 죽음을 버리고 떠나려 하나니, 그 공한 것을 앞뒤가 없음의 공함이라고 이름한다.
⑪ 착한 일 하기를 끝없이 하여 부처님은 남김 없는 열반에 들 수 있고, 그 공(空)으로 인하여 남을 이익하는 일을 버리지 않나니, 그를 버리지 않음의 공함이라고 이름한다.
⑫ 청정한 계성(界性)이 되는 성품 이치란, 종류 이치를 저절로 얻기 때문에 성품이라 이름함이니, 그 공함 성품의 공함이라고 이름한다.
⑬ 위대한 상호(尙好)를 얻기 위한 그 대인(大人)의 상호와 그리고 작은 상호인 그 두 상호를 얻기 위하여 그 공함을 수행하나니, 그를 모양의 공함이라고 이름한다.
⑭ 부처님 법을 청정하게 하기 위하여 보살이 저 십력(十力)ㆍ4무외(無畏) 따위와 부처님의 특수한 법을 닦나니, 청정하게 벗어나기 위한 것이다.
보살이 그 공함을 닦기에 그를 온갖 법의 공함이라고 이름한다.
그와 같이 열 네 가지 공함을 이미 내세웠으니, 응당 그 모양 분별함을 알아야 한다.
그 열 네 가지 중에서 어떤 법을 공함이라고 이름하는가?
사람[人]과 법(法) 둘 다 모두 없기에
이 중에서 공함이라고 이름 함이니
저 없음과 없음 아님 그것 때문에
이 중에서 별다른 공함을 두었네.
사람과 법은 둘 다 없기에 그 법을 공하이라고 이름한다.
그것은 바로 법 있는 것 아니어서 결정적으로 있는 그것도 역시 공한 것이니, 위에서 능히 먹는 이 따위인 열 넷의 자리를 설명한 것과 같다.
그 두 법을 바로 공함이라고 이름한 것은 공(空)의 진실한 모양을 밝히기 위함이니,
⑮⑯ 그러므로 최후에 두 가지 공[二空]을 내세운 것이다.
첫째는 있음 아닌 공[非有空]
[둘째는 있는 아닌 공[非有性空]이 그것이다.
두 가지 공을 세운 것은 무엇을 의미한 것인가?
사람과 법에 증가함을 떠나기 위해서이며,
사람과 법이 공했다고 훼방하는 것을 떠나기 위해서이다.
순서대로 그와 같이 공에 대한 분별을 알았으니,
5) 공의 성립함인 뜻
어떤 것이 공의 성립함인 뜻인가를 알아야 할 것이다.
만일 청정하지 않음이라고 말한다면
중생은 해탈할 수가 없을 것이며
만일 때[垢]가 없다고 말한다면
공덕을 베풀 것이 없게 되리라.
만약 모든 법의 공함에서 다스림이 있기 전에도 객진(客塵)에게 더렵히지 않았기 때문에 저절로 청정하다면,
번뇌장(煩惱障)이 없기 때문에 공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 모든 중생이 응당 해탈을 얻을 것이며,
만일 다스림이 이미 일어났더라도 제 성품이 청정하지 못한다고 한다면,
해탈을 얻기 위하여 도를 닦는 공력도 보람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와 같은 결과에 대하여[作如是果], 다음과 같은 게송으로 말한다.
더러움도 아니고 더러움 아님도 아니며
청정함도 아니고 청정함 아님도 아님은
마음이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며
번뇌인 객진에게 더럽힘이네.
어찌하여 더러움도 아니고 더러움 아님도 아닌가?
마음이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다.
어찌하여 청정함도 아니고 청정함 아님도 아난가?
번뇌인 객진에게 더럽힘이 되기 때문이다.
그와 같이 공(空)의 분별을 대략 설명하였다.
그리고 공의 뭇 내용을 내세움에는 두 가지가 있다고 알아야 하나니,
첫째는 자체 모양이 됨이요,
둘째는 내세움이 됨인 그것이다.
어떤 것을 자체 모양이 됨이라 하는가?
모양이 있기 때문이며, 모양이 없기 때문이다.
그 모양이 있음이란, 있음의 모양 떠나고 없음의 모양 떠나며, 같은 모양 떠나고 다른 모양 떠난 그것이다.
내세움이란, 뭇 명칭 따위의 네 가지 내용을 응당 분별함인 그것이라고 알아야 한다.
위에서 『중변분별론』 「상품(相品)」을 해석한 게송은 이미 끝냈다.
첫댓글 잘 읽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