윷놀이의 걸은 Goat다.
윷놀이의 도, 개, 걸, 윷, 모는 돼지, 개, 염소, 소, 말이다.
받침 T는 우리말에서 ㄹ로 변하는 패턴이 있다.
예) 붓다>불타, 잇壹>일, foot>발, 볫남>월남, 붓>필筆(옛 한어 ),
티에>테츠(일본어. 옛 한어)>철鐵, 삿대>살대, 샷shoot>살(화살), 끝-결結
bee>벌
한자어를 우리말로 옮겼을 때 받침이 ㄹ이면 거의 그렇다.
영어를 우리말로 옮겨도 마찬가지다.
영어나 중국어는 모음을 목구멍소리(아래아)로 발음하므로
ㄹ 받침을 우리말처럼 분명하게 발음할 수 없다.
애매한 발음을 표현하기 위해 없는 발음을 만들어넣은 것이다.
김치>기무치와 같이 일본어는 받침을 발음하지 못하므로 없는 모음 우를 삽입한다.
우리말도 같은 방식으로 애매한 부분에 ㄹ을 넣어 분명하게 처리한다.
ㄱ 받침이 들어가는 한자어도 마찬가지다.
강태공, 강유는 강姜씨는 강족羌族이다.
강羌은 양치기다. 강족은 원래 양치기였다.
강羌은 羊(양) + 어진사람인발(儿 사람의 다리 모양)의 합자로 회의문자다.
옛날에 면양은 없었고 한자로 표기되는 양은 모두 염소다.
산양을 학명으로 goral이라고 한다.
거세한 숫염소 갈羯도 있다. 고랄은 고라니의 어원이다.
도, 개, 걸, 윷, 모 다섯이 모두 국제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언어였다.
모 - 말, 마馬, 암말mare(horse는 탈것, 전투용 거세마), 으마(일본어)
윷 - 우牛, ox, 우시(일본어, 윷과 발음이 비슷하다)
걸 - goat > goral >고랄(고라니), 강 羌, 양羊(ㄱ 탈락)
개 - 구狗, 견犬, cane(이탈리아어) chien(프랑스어) dog는 묶어서 키우는 개라는 뜻
도 - 돼지(돛, 고슴도치는 가시돼지) 돈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