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살영락경 제1권
1. 보칭품(普稱品)[1]
[법회의 인연]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 마가다의 보승강당(普勝講堂)에서 큰 비구 대중과 함께 계셨는데, 비구 1만과 보살 1만 5천 그리고 온갖 큰 성현들이 구름처럼 모여들지 않음이 없었다.
그들은 많은 덕을 갖추어서 잃어버리지 않고 총지(摠持)하며,
그 뜻이 크고 넓어서 감싸지 않은 바가 없으며,
변재가 통달하여 의심의 그물을 없애버렸으며,
신통을 통해 깊은 뜻을 풀어 설명했고,
권도(權度)의 방편으로 적절히 교화하여 시의(時宜)에 맞게 하였고,
자비함[慈]이 열등한 이에게까지 미쳐서 피안(彼岸)에 이르게 되었다.
또 여래(如來)의 삼매정수(三昧正受)를 널리 창달하며,
여러 부처님이 찬탄하시고 천상과 인간이 공경하며,
원하는 바가 자재해서 걸림이 없으며,
탁월하고 뛰어난 경지(境地)에 널리 노닐며,
신족(神足)의 변화로 온갖 모습[衆相]을 갖추고,
뭇 마군을 항복시켜서 법의 슬기를 깨우치게 하였으며,
여러 가지 법을 분별하여 본제(本際)를 깊이 알고,
중생의 옛날 근원된 곳을 살피며,
도품의 공(空)ㆍ무상(無相)ㆍ무원(無願)을 펼쳐서 창달하며,
세상의 여덟 가지 일에 물들어 집착함이 없으며,
대자비를 더욱 가해서 중생을 구제하며,
몸과 입과 뜻을 단속하여 삿된 소견이 없으며,
뜻을 정진에 두어 숭상하고 마음이 금강 같으며,
비록 부지런히 노력하면서 무수한 겁을 지났지만 마음은 언제나 용맹하여 싫증내거나 게으름이 없으며,
여러 대중들과 있으면서 사자의 위엄을 나타내며,
다른 학파를 항복시켜 다시 빠지거나 떨어지지 않게 하며,
거룩한 별호(別號)로써 인가(印可)를 하며,
여러 부처님이 유행(遊行)한 곳은 모조리 밟고 다니니, 이 모두가 정각(正覺)이 닦아 행하는 바이다.
장엄하고 청정한 도량이 크고 높아 한량이 없으며,
다니거나 앉거나 간에 밑바닥 없는 지혜에 들어가며,
마음이 늘 기꺼워서 겁내거나 나약함이 없으며,
법을 강연하는 바도 평등하여 둘이 없으며,
이룬 이나 못 이룬 이나 똑같이 평등하게 보며,
공로의 칭송이나 명예의 훈장에 늘 초연(超然)하며,
깊은 법요(法要)를 닦아서 도(道)의 가르침으로 훈도하며,
대중 가운데 있으면 위엄스런 모습의 광휘가 빛나고,
신령한 지혜가 묘하게 통달해서 뭐라고 형용하거나 이름할 수 없느니라.
손가락 튀길 사이에 한량없는 여러 부처님 국토에 노닐면서 시방(十方)의 정각(正覺)들에게 공양하나니, 그 이름은 환요(歡曜)보살ㆍ산뢰(山雷)보살ㆍ혜밀(慧密)보살ㆍ보명(普明)보살ㆍ제피(濟彼)보살ㆍ총지(摠持)보살ㆍ금강(金剛)보살ㆍ석마왕(石磨王)보살ㆍ뇌진(雷震)보살ㆍ우제(雨渧)보살ㆍ선산(善算)보살ㆍ지적(智積)보살ㆍ법상(法上)보살ㆍ식의(息意)보살ㆍ제환(除幻)보살ㆍ선칭(善稱)보살ㆍ허공장(虛空藏)보살ㆍ위력(威力)보살ㆍ염광(焰光)보살ㆍ식기(識機)보살ㆍ진혜(盡慧)보살ㆍ무변제(無邊際)보살ㆍ견고지(堅固志)보살ㆍ월광(月光)보살ㆍ법치(法熾)보살ㆍ무견(無見)보살ㆍ무등(無等)보살ㆍ일성명(日盛明)보살 등이니라.
이처럼 시방 부처님 세계의 뭇 보살들이 구름처럼 두루 모여서 사바세계에 나아가려 함은 여래께서 설법하시는 영락대지근문(瓔珞大智根門)으로 보살장(菩薩藏)에 취향(趣向)하여 불가사의한 방편의 나타냄이 한량없음을 듣고자 함이니라.
그리하여 현겁(賢劫) 가운데의 미륵(彌勒), 유수(濡首), 16대성(大聖), 발타화(颰陀和) 등, 8대신사(大神士), 제석사천왕(帝釋四天王)과 도리천(忉利天) 사람, 구염천(具焰天:야마천), 도솔천[兜術天], 불교락천(不橋樂天), 화자재천(化自在天), 마자도사(魔子導師), 범천왕(梵天王), 범정천왕(梵淨天王), 선범천왕(善梵天王), 범구족천왕(梵具足天王), 대신묘천(大神妙天), 정거천(淨居天), 이구광천(離垢光天) 등 위로는 일선주천(一善住天)에 이르고,
연거천(燕居天)의 선신(善神) 및 여러 나무 신들, 산신(山神), 금시조신(金翅鳥神) 및 나머지 온갖 여러 대존신(大尊神)과 각각의 존귀하고 존귀한 이들,
그리고 여러 하늘ㆍ용ㆍ귀신ㆍ아수라[阿須倫]ㆍ가루라[迦留羅]ㆍ긴나라[眞陀羅]ㆍ마후라가[摩休勒] 등 사람인 듯 사람 아닌 것들이 각각 권속들과 함께 부처님 처소에 와서 머리 숙여 절하고 서 있었으며,
비구ㆍ비구니와 청신사(淸信士)ㆍ청신녀(淸信女)가 각각 스스로 공경함을 내어 앞에서 부처님께 절하고 각각 한쪽에 앉았다.
그때에 세존께서는 백천(百千)쯤 되는 대중에게 둘러싸이셨는데, 부처님께서는 청정하게 장엄된 높고 넓은 사자좌에 오르셔서 여러 대중들에게 법 영락(法瓔珞)을 설하셨다.
부처님께서 대중 가운데 수미산(須彌山)처럼 계시면서 환하게 빛나심이 마치 황금 노적가리 같으시며,
위신(威神)의 광명이 세간을 초월하여 짝할 이 없으며,
도덕과 위의가 우뚝 높아서 한량이 없으며,
큰 광명을 놓아서 비추지 않는 데가 없었다.
다시 신통변화로써 시방을 감응해 진동시키자,
때에 맞춰 공중에서 백천의 보배 교락[寶珓珞] 일산이 갖가지 보배가 섞인 채 그 위를 널리 덮었고,
값을 따질 수없는 보배구슬과 허공을 비추는 보배구슬이 공중에 매달려 그 빛이 구슬로부터 나오니 그 빛깔과 모양이 비할 바가 없었다.
그 공중에서 미미한 구름이 일어나서 갖가지 향기로운 꽃을 비처럼 내리니, 당시 공중에서 내린 꽃이 무릎까지 쌓였다. 그리고 다시 큰 소리를 내어서 세계에 두루 채우셨다.
그때 보살이 있었으니 이름을 보조(普照)라고 하였다. 부처님의 거룩하신 뜻을 받들어 즉시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앞에 꿇어앉아 합장한 채 부처님께 여쭈었다.
“지금의 신령스런 감응은 일찍이 보고 들은 적이 없나이다.
이것은 무슨 상서로운 감응이기에 이 정도까지 이른 것입니까?
오직 원하옵건대, 부처님께서는 그 뜻을 펼쳐 연설하시어, 여기 모인 사람들로 하여금 의심이 완전히 없어지게 하소서.”
부처님께서 보조에게 말씀하셨다.
“네 자리로 돌아가 있어라. 내가 마땅히 너를 위하여 법 영락의 뜻[法瓔珞義]을 낱낱이 밝혀 주리라.
그리하여 근문(根門:感官)을 새로 고쳐 세우고 망상을 초월해서 일체지(一切智)의 온갖 통달한 슬기의 경지에 다가가게 하리라.”
그때 세존께서는 다시 신족(神足)으로 여러 보살이 들어간 선정의 뜻을 관찰하였다.
그 법의 이름은 도수(道樹) 영락이니,
여러 대사의 장엄 도량을 깨끗이 하고,
바른 법을 깨달아서 두려운 바가 없고,
여러 거룩한 슬기에 노닐어서 자재함을 얻고,
들어간 도(道)의 문(門)에서 변재를 잃지 않고,
다시 신통으로 그 자리를 영락으로 장엄하고,
물러나지 않는[不退轉] 경지를 분별하여 펼치고,
하나의 법계(法界)가 공(空)하여 있는 바가 없음을 이해하고,
중생의 날카롭고 무딘 성품을 관찰하고,
그 마음을 견고하게 하여 온갖 법을 결정하고,
번뇌를 제거하여 법의 요체(要諦)를 수순하고,
말에 신용이 있어서 물들고 집착함이 없으며,
응대함에 의심이 없고 오고 감에 영접과 전송을 하며,
걸림 없는 지혜[無礙智]를 설해서 속박과 집착을 영원히 여의며,
공을 쌓고 덕을 모으면서 희망을 품지 않으며,
설해진 모든 법이 진여(眞如)로 진리[諦]를 살피며,
유위(有爲)를 계교하지 않아도 반드시 판단력을 이루며,
상념(想)이 곧 상념 없음[無想]으로 상념의 행위를 일으키고,
깊고 미묘한 12연기(緣起)를 완전히 깨닫고,
근원을 궁구(窮究)하면서도 한정할 수 없다.
[보초보살의 질문들]
이때 보조보살이 다시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께 나아가 여쭈었다.
“원하옵건대 여쭙고자 하는 것이 있사옵니다. 들어주시길 허락하시면 스스로 모두 여쭙겠나이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좋다, 묻고 싶은 대로 물으라. 만일 의심이 있거든 스스로 펼쳐 내거라. 여래는 마땅히 그대를 위하여 자세히 말하리라.”
이때 보조는 허락을 얻자 크게 기뻐하다가 이윽고 여쭈었다.
“어떤 것을 보살의 법 영락의 몸이라 하며,
어떤 것을 보살이 그 망령된 소견을 제거함이라 하며,
어떤 것을 보살이 세간을 초월해 나가는 법이라고 하며,
어떤 것을 보살이 세계를 유행하여 이름이라고 하며,
어떤 것을 보살이 여래를 가까이함이라고 하며,
어떤 것을 보살이 어머니 태(胎)에 처하지 않는다고 하며,
어떤 것을 보살이 나면서 문득 신식(神識)의 착란이 없다고 하며,
어떤 것을 보살이 돈독한 믿음을 품는다고 하며,
어떤 것을 보살이 스스로 자기를 위하지 않는다고 하며,
어떤 것을 보살이 뭇 인연의 고통을 구원한다고 하며,
어떤 것을 보살의 법 보시와 재물 보시[財施]라 이르며,
어떤 것을 보살이 공의 뜻을 분별함이라고 이르며,
어떤 것을 보살이 그 번뇌[陰蓋]를 없앤다고 이르며,
어떤 것을 보살이 법의 계(戒)를 널리 빛낸다고 이르며,
어떤 것을 보살이 법을 듣되 싫증을 냄이 없다고 이르며,
어떤 것을 보살이 지관(止觀)에서 유희한다고 이르며,
어떤 것을 보살이 금계(禁戒)를 받들어 닦는다고 이르며,
어떤 것을 보살이 세상의 법을 완전히 여읜다고 이르며,
어떤 것을 보살이 가업(家業)에 처하지 않는다고 이르며,
어떤 것을 보살이 집착함이 없다고 이르며,
어떤 것을 보살이 한번 앉고 한번 일어섬이라고 하며,
어떤 것을 보살이 입은 비밀스럽고 마음은 연민한다고 이르나이까?
이 질문한 뜻의 요지는 이와 같나이다.”
부처님께서 보조 보살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도다. 바로 여래에게 이와 같은 뜻을 물었으니, 너는 이제 귀 기울여 듣고 잘 사유해야 할 것이며, 마음에 품고서 범부의 행실처럼 버리지 않아야 하느니라.”
보조보살이 부처님께 대답하였다.
“예,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대성인(大聖人)의 법을 기꺼이 듣길 원하옵나이다.”
[열 가지 덕의 영락]
이때 부처님께서 보조에게 말씀하셨다.
“보살의 도를 행하매 마땅히 열 가지 덕을 생각하여서 그 몸[體]을 영락(瓔珞)하여야 하느니라.
몸ㆍ입ㆍ뜻의 법에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같이 배우는 이들을 경시하거나 업신여기지 말며,
마음이 허공처럼 평등해서 또한 늘거나 줄어듦이 없으며,
여러 악취(惡趣)를 여의어서 남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며,
저 중생들을 보기를 자기와 다름이 없이 하며,
뜻은 몸을 말미암은 앎이 다함없음을 얻으며,
4제(諦)로써 중생을 가르치며,
마음을 고요하게 지녀서 깨달음을 이루게 하며,
다시 뭇 지혜로써 묘문(妙門)을 영락하며,
3승을 가르치고 교화하여 갈 바에 이르게 하고,
대승을 부지런히 배워서 온갖 법을 달관하게 하며,
여래의 행을 닦은 공훈의 덕으로 점진적으로 가르치고 인도하되 너무 사납게 하지 말며,
[修如來行功勳之德, 教導以漸不行暴逸]
자기의 허물을 스스로 살피고 남의 단점을 인식하지 말며,
뭇 어려움을 뛰어넘어서 늘 법을 사랑하고 즐길지니라.
고요한 선정으로 흐트러짐이 없고,
갖가지 의심과 망령된 소견의 일을 덜어 없애며,
망설이는 자가 있거든 제때에 깨침을 얻게 하며,
도의 마음이 세운 덕의 근본을 버리지 말며,
또 사람을 교화하되 계(戒)를 허물게 하지 말며,
언제든지 크게 불쌍히 여기는 마음으로 남을 위하여 경전을 설하며,
유행(遊行)는 세계에서 여러 부처님을 여의지 말며,
금계(禁戒)를 선언해 보여서 일체지(一切智)에 이르러야 하느니라.
다시 찬란히 비추는 영락으로 여러 부처님의 보배롭고 청정한 도량을 장엄하고,
광명의 영락이 두루하지 않음이 없이 삼천대천세계를 모조리 비추어서 저 해와 달을 가리어 광명이 없게 하며,
신묘한 제석ㆍ범왕ㆍ사천왕이 갖춘 위엄의 빛도 모조리 다시 나타나지 못하게 하지만,
여래의 지극히 참되고 헤아리기 어려운 광명은 홀로 밝고 홀로 나타나서 견줄 이가 없느니라.
보조야, 이것을 보살의 도를 닦아서 열 가지 덕의 영락으로 스스로 감싼[纏裏] 것이라고 이르느니라.
[보살법의 영락]
항상 여러 부처님을 생각하면서 여래께 공양하고,
성현의 가르침을 찬탄하면서 중생에게 권하고 교화하여 도의 문에 들어가게 하며,
다시 중생에게 고하여 큰 서원을 발하게 하며,
그 취향(趣向)한 곳에서 부처님의 명호를 듣고 장차 싹을 길러 저 나라에 태어나길 원하며,
뜻이 크고 넓어서 겁이나 나약함을 품지 않고,
성현의 지혜에 깊이 들어가서 아래 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으며,
미묘함을 항상 즐겨서 말하는 바가 부드럽고 온화하여 자만함이 없으며,
욕심 없이 살기를 좋아해서 온갖 탐욕과 질투를 없애버리며,
불도(佛道)를 수행하는 이를 보면 그를 대신하여 기뻐하며,
공덕의 힘으로써 보리수[道樹]를 영락(瓔珞)하나니,
과보의 힘과 마음의 힘과 젖 먹이는 힘乳哺力은 여러 성현이 거처하는 해탈의 힘이니라.
언제나 이 법으로 중생을 양육하며,
자비로 기쁘게 수호하여 중생을 버리지 아니하며,
여러 연(緣)을 수호하여 그 근본을 빼어 버리며,
3세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없어서 선악의 보응이 도무지 생기는 바가 없다고 관하여 요달하며,
법마다 스스로 멸하고 법마다 스스로 생해서 법의 멸함도 봄이 없고 법의 생겨남도 봄이 없으며,
마음에 상념이 없으니 나도 남도 수명도 없으며,
또한 가고 옴도 없고 돌아갈 곳도 없느니라.
다시 공한 법으로 여러 근(根)을 영락해야 하나니,
나의 옛적 성불은 모두 청정하고 공무(空無)한 상념으로부터 저절로 정각을 불러들였고,
선의 근본을 닦아 행해서 온갖 연을 짓지 않았으며,
선한 법을 일으켜서 방일한 행이 없었고,
세속 일을 멀리 여의어 세속 법에 처하지 않았으며,
연설한 바는 가히 시방에 유포하였으며,
여러 부처님 세존을 친히 모시고 배알(拜謁)했으며,
보시가 청정해서 탐심을 버리고 욕심이 없었으며,
마음과 뜻이 곱고 깨끗하여 때나 더러움이 없었으며,
슬기가 끝없고 모든 것을 훤히 꿰뚫어 보았으며,
세 가지 걸림과 6진(塵)이 영원히 사라져 다하였으니,
이것을 보살법의 영락이라고 말하느니라.
[보살의 영락이 건립한 것]
보살은 다시 큰 서원을 내는 마음을 마땅히 발하여 지(智)바라밀을 장엄하고 영락해서 그 근기(根機)에 따라 법을 수여해야 하느니라.
들은 바의 지혜대로 문득 건립할 수 있어서 응당 그와 같이 행한다면 퇴전(退轉)하지 않을 것이며,
집념의 뜻이 견고하고 선한 벗을 따르면 행하는 언교(言敎)가 끝내 허망하지 않으리라.
생각[念]은 늘 공경히 하여 경업(經業)을 어기지 말며,
마음이 익힌 깊은 지혜를 받아들여서 잃지 말며,
항상 일심(一心)에 전념해서 생각을 흐트러뜨리지 말며,
병의 깊고 얕음을 밝게 깨달은 뒤에 약을 투여하며,
뜻은 인욕을 즐기고 다닐 때는 제(諦)를 살피며,
보시하는 재물에도 또한 시비(是非)를 가림이 없고,
그 뜻이 맑고 밀밀해서 번거롭고 심란함이 없으며,
근본을 배워 익혀서 마음이 흘러 달아나지 않으며,
사람이 법을 듣고자 하면 평소대로 가르쳐서 요긴한 도를 알게 하며,
곤경에 빠져 스스로 구제하지 못하는 이를 보면 능히 은혜롭게 보시하되 자기의 진기한 보배를 내놓으며,
게다가 선의 근본인 온갖 묘함의 행으로 계를 지니라고 남에게 권하며,
배운 지혜로 보살의 도를 이루며,
가령 배우는 사람이 범지(梵志)에 처해 있더라도 다시 능히 건립하며,
생기는 바를 깨달아 요달해서 인욕을 여의지 않으며,
가업을 버리고서 정진을 닦으며,
무상한 인연의 근본을 관해 요달하며,
온갖 미움과 애착에 대해 두 가지 상념을 일으키지 않으며,
하는 바의 평등으로 중생으로 하여금 좇아 일어난 바 없는 법인[無所從生法忍]을 얻게 하며,
늘 그 무극(無極)의 대애(大哀)에 능히 의지하며,
점진적인 가르침으로 큰 서원의 법을 권하여 인도하며,
일체에게 베풀어서 배워서 알게 하며,
뜻의 성품[志性]이 고요하여 ‘나’가 없음을 알며,
한마음의 선사(禪思)로 그 지혜를 일으켜서 끊어지지 않게 하며,
그 시설하는 것에서 4은(恩)을 여의지 않으며,
위난과 재액을 구제하여 무위(無爲)에 이르게 하며,
몸과 입의 허물을 수호해서 3사(事) 을 범하지 않으며,
지극히 참되고 위없는 법을 건립하며,
뜻이 끊어지고 뜻이 그친 진여 법성을 닦아서 잃지 말아야 하느니라.
보조야, 이 모두가 보살의 영락이 건립한 바라고 하느니라.
[지혜로 영락한 것]
다시 보조야, 보살은 다시 마땅히 바라밀을 사유하고 계교하고 헤아림에 한계가 없어야 하느니라.
즉 보시를 행하고, 계행을 닦고, 온화한 얼굴로 인욕(忍辱)하고, 정진하고, 적정(寂靜)하고, 뜻의 그침[意止]을 잃지 말아야 한다.
다시 거룩하고 밝은 일심의 정해진 뜻으로 감로(甘露)의 길인 4제(諦)를 깊이 살펴서 무위에 곧장 이르러 다시는 허망한 거짓이 없어야 하니,
이것을 지혜로 영락한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언제나 한뜻으로 그 마음을 순수하고 맑게 해야 하며,
온갖 가지고 있는 것을 보시하면서 아끼지 말아야 하며,
공훈(功勳)을 개화해서 공탈문(空脫門)을 이해해야 하며,
만일 행업에 있으면 금계를 가르쳐 인도해야 하며,
중생을 널리 접해 수순(隨順)하면서 제도해야 하며,
그리고 특별히 훌륭한 인화(仁和)의 덕이 있어야 하며,
약간의 품류(品類)를 시의 적절하게 깨우쳐 요달해야 하며,
그 자비심을 선포하되 괴롭고 즐거움에 집착하지 말아야 하며,
온갖 것을 불쌍히 여겨서 큰 어려움을 피하지 말아야 하며,
저 중생을 일깨워서 응당 정법으로 가르쳐야 하며,
베푸는 마음이 세상에 가득해서 성취하도록 수호해야 하며,
영락의 광명으로 비추지 않음이 없어야 하며,
온갖 것을 널리 불쌍히 여겨서 피안으로 건너가도록 해야 하며,
어떤 사람이 은폐된 곳에 있으면 그 어두움을 없애서 영원히 여지가 없게 해야 하며,
두려움 없는 힘으로 일체의 방일함을 연민하여 길러야 하며,
그 늙고 병드는 것을 없애서 방일한 행이 없게 해야 하며,
인도하는 스승[導師]이 이르렀던 가르침에 따르지 않음이 없어야 하며,
바다처럼 담고서 남에게 배움을 베풀어야 하며,
번뇌를 개화(開化)하여 망상이 없게 해야 하며,
거처하는 곳은 꽃처럼 애착함이 없어야 하며,
온갖 법의 적멸과 청정을 요달해야 하며,
그 연설한 가르침으로 인연을 분별해야 하며,
짓고 있는 덕의 근본을 익혀서 이루어야 하며,
세상을 불쌍히 여기고 고통을 애달프게 여기므로 중생을 가르쳐야 하느니라.
허공은 실답지도 않고 또한 참으로 있지도 않으니 세간의 법은 물거품 같고 허깨비 같은 줄 알아야 하느니라.
중생이 깨어나지 않더라도 익혀서 버리지 말며,
비록 집에 있더라도 삶의 고난을 능히 여의며,
도의 눈이 청정하여 또한 연꽃과 같으며,
신령한 덕이 높고 높아서 말로는 헤아릴 수 없으니,
가령 세계의 중생들이 모두 다 찬탄해도 그 근원을 알 수 없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