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연구소 강의안
강의제목; 대승기신론, 동양적 삶의 지표
1.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동아시아 최대의 사상서인 대승기신론은 대승불교 사상의 요제가
들어 있을 뿐 아니라 동양 3국(한국, 중국, 일본)의 시대적 요청에 따른
문화/정치서이기도 했다.
2. 한역본
A] 진제(眞諦) 역;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B] 실차난다(實叉難陀)역;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3. 영역본
A]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Doctrine-The New Buddhism
Translated by Rev. Timothy Richard
Assisted by Yang Wen Hwui, 1894
Published at Shanghai,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1907
B]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Translated by Teitaro Suzuki (鈴木大拙), The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Chicago, 1900
C] The Awakening of Faith
Tr. by Yoshito Hakeda, Columbia University, 1967
D] Traite sur l'acte de foi dans le Grand Vehicule
Tr. par Frederic Girard, Keio University Press,
Tokyo, 2004
4. 한글역
A] 대승기신론강해(大乘起信論講解), 지안스님 편역, 도서출판계창(鷄窓), 2007,
B] 大乘起信論, 송찬우 옮김, 世界社, 1991
C] 大乘起信論直解, 학담 과해, 큰수레, 2002
D] 大乘起信論, 이홍우 주해, 경서원, 1991
이민용 경력
영남대 국제교류원 교수 역임
한국불교연구원장 역임
참여불교재가연대 공동대표역임
조계종 총무원 국제교류위원(현재)
묘엄불교문화재단 학술선정위원장(현재)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이사/선임연구위원(현재)
INEB(International Network of Engaged Buddhism) 집행이사(현재)
첫댓글 솔바람 선생님!
늦게 부탁 드려 죄송합니다만,
화요일 수업을 들어 보고 싶은데 허락을 구합니다.
늦지 않았습니다. 화요일 7시에 오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