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팅을 만드는 방법에 따라
1. 수동용접(수접)
베어링바를 절단용 프레스를 이용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크기로 자르고
펀칭프레스를 사용하여 베어링바에 크로스바 홀을 뚫고,
지그를 사용하여 베어링바와 크로스바, 앤드바를 사람의 손으로 조직하고
CO2용접기를 사용하여 수동 용접하여 그레이팅을 제작합니다.
주로 소량으로 다양한 크기의 그레이팅 생산에 유리하며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그레이팅을 주로 생산합니다.
국내 대부분의 그레이팅이 이러한 방법으로 생산됩니다.

2. 자동용접(압접)
자동 압접 기계를 사용하여 베어링바를 베어링바 간격에 맞춰 기계에 물려주면 크로스바가 자동으로 베어링바 위에
놓여지면서 전기를 통해주면서 강한 압력으로 누르면 크로스바가 베어링바를 녹이면서 자동으로 용접이 되게 됩니다.
자동압접으로 용접이 되면 콘베이어 벨트를 크로스바 간격(보통 100mm)만큼 자동이송되면서 계속하여
자동압접(Presure welding)이 이뤄집니다.
완성된 그레이팅은 콘베이어로 이송되면서 불필요한 양옆의 크로스바를 자동으로 잘라내고
그레이팅의 크기를 필요한 크기로 자동 커팅 머신으로 잘라주게 됩니다.
기계의 고장이 없는한 24시간 가능이 가능하여 대량의 그레이팅 생산에 유리하며
베이링바와 크로스바의 간격과 용접 상태가 아주 양호합니다.
대형 플랜트, 해양용(조선용) 그레이팅에 주로 사용합니다.

(자동 압접 용접 머신)
압접 [ pressure welding , 壓接 ]
접합하는 재료에 용융 또는 이에 준하는 가열을 하고,동시에 기계적 가압을 하는 방법. 철근의 압접에는 주로 가스압접과 전기 압접, 레일의 압접에는 가스 압접과 불꽃 맞뎀 용접이 이용된다. 가스 압접은 철근의 경우 접합부를 산소 아세틸렌 가스로 백열시킨 후에 가압하여 접합하지만, 레일의 경우는 점화 이전부터 접합 종료시까지 가압하여 접합한다. 레일의 불꽃 맞댐 용접은 용융 후 가압 접합하는 방법이다. 또한 철근의 전기 압접은 전류를 통해 전기 저항에 의해 접합부를 백열하여 가압하는 방법이다. 어느 경우도 용접봉 등의 용착 금속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첫댓글 Xinxing Grating은 자동압접용접기(17 Sets)를 사용하여 모든 그레이팅을 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