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사주(唐四柱)
- 조선시대(朝鮮時代)부터 600년간 전(傳)해 내려오는 당사주(唐四柱)의 비전(秘傳). - 당사주(唐四柱)는 한국에서만이 독창적으로 발전해온 점서(占書)다.
1.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
<명도(命圖)>  <참조;위 명도(命圖)에 대한 내용>
구분 지지 | 육도 六道 | 십이성 十二星 | 주적용 主適用 | 주적용 풀이 主適用 解釋 | 子(자) | 불도 佛道 | 천귀성(귀) 天貴星(貴) | 자비慈悲 부귀富貴 | 자비마음과 부귀영화 | 丑(축) | 귀도 鬼道 | 천액성(액) 天厄星(厄) | 간탐慳貪 질고疾苦 | 인색하고 욕심, 질명의 고통 | 寅(인) | 인도 人道 | 천권성(권) 天權星(權) | 지식知識 조지操持 | 지식이 있으며 품행을 지키다. | 卯(묘) | 축도 畜道 | 천파성(파) 天破星(破) | 탐매貪昧 패괴敗壞 | 재물을 탐내고 이익에 눈이 멀며 실패와 무너짐. | 辰(진) | 수라도 修羅道 | 천간성(간) 天奸星(奸) | 쟁영猙獰 교활狡猾 | 흉악하고 교활하다. | 巳(사) | 선도 仙道 | 천문성(문) 天文星(文) | 안일安逸 총명聰明 | 편안하고 총명하다. | 午(오) | 불도 佛道 | 천복성(복) 天福星(福) | 하후和厚 영화榮華 | 온화하고 영화롭다. | 未(미) | 귀도 鬼道 | 천역성(역) 天驛星(驛) | 음암陰暗 간신艱辛 | 음울하고 괴로워하다. | 申(신) | 인도 人道 | 천고성(고) 天孤星(孤) | 명달明達 자립自立 | 지혜롭고 이치에 밝으며 자립한다. | 酉(유) | 축도 畜道 | 천인성(인) 天刃星(刃) | 혼탁昏濁 형해刑害 | 정신이 혼탁하며 형벌의 해가 있다. | 戌(술 | 아수라도 阿修羅道 | 천예성(예) 天藝星(藝) | 능위能爲 교편巧便 | 능란하고 교묘하다. | 亥(해) | 선도 仙道 | 천수성(수) 天壽星(壽) | 청한清閑 강건康健 | 한가하며 건강하다. |
<불수장결도(佛手掌訣圖)>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에서 “세간다소영고자진재산승일장간(世間多少榮枯者盡在山僧一掌看)”이라 하였으니 “세간의 많고 적은 모든 영고성쇠(榮枯盛衰)가 산승 손바닥에 다 들었다.”라 하였습니다.

● 중국 남북조(南北朝;439년-589년) 시대에 서역에서 중국으로 건너와 중국선종(中國禪宗)을 창시한 달마대사(達磨大師)가 창안해냈다는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이라는 사주법(四柱法)을 당(唐)나라 현종 때 밀교 승려이자 천문학자로 유명한 대혜선사(大慧禪師) 일행(一行: 683~727)이 문서화하여 전파했으며 명(明)나라 때 호씨(胡氏)가 간행(刊行)하였습니다.
● 참고; 일행(一行)이 쓰고 호씨(胡氏)가 출간한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뒤에서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달마대사가 인도 불교의 운명법과 아라비아 문명과 함께 들어 온 점성술(占星術) 그리고 중국의 역학(易學)을 결합하여 중생들의 올바른 교화를 위해 만들었다는 의미에서 『달마일장경(達磨一掌經)』이라고도 합니다. 불가(佛家)에서는 불수장결도(佛手掌訣圖) 또는 명도(命圖)라고도 합니다.
● 사람은 태어난 해의 띠(지지(地支)가 있으며 이 띠는 12지지(地支)인 자(子;쥐띠), 축(丑;소띠), 인(寅;호랑이띠), 묘(卯;토끼띠), 진(辰;용띠), 사(巳;뱀띠), 오(午;말띠), 미(未;양띠), 신(申;원숭이띠), 유(酉;닭띠), 술(戌;개띠), 해(亥;돼지띠)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천귀성(天貴星), 천액성(天厄星), 천권성(天權星), 천파성(天破星), 천간성(天奸星), 천문성(天文星), 천복성(天福星), 천역성(天驛星), 천고성(天孤星), 천인성(天刃星), 천예성(天藝星), 천수성(天壽星) 등 12개의 하늘 별자리(십이천성(十二天星))에 부합(附合)하여 만든 역서(易書)가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입니다.
● 태어난 해의 지지(地支)에 따라 하늘의 12개 별자리의 정기(精氣)를 받아 태어났기 때문에 사람의 운명은 12개의 별자리의 정기에 따라 빈부귀천(貧富貴賤), 요수(夭壽), 우지(遇智)와 선악(善惡)이 이루어진다는 사상이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의 근본입니다.
● 또한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은 십이지지(十二地支)의 각 지지(地支;띠)에 배당된 십이천성(十二天星)을 육도(六道)로 구분해 길흉선악(吉凶善惡)을 가렸습니다. 불가에서는 육도(六道)라는 말로 윤회(輪回)의 세계를 표현합니다. 육도는 중생들의 업(業)에 따라 태어나는 세계를 의미한 것으로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을 말합니다.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에서의 육도 구분은 앞의 것과 약간 다릅니다. 여기서는 불도(佛道), 귀도(鬼道), 인도(人道), 축도(畜道), 수라(脩羅), 선도(仙道)로 구분하는데 이는 현실에서 사람의 몸으로 태어난 이상 인간의 물질적 욕망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는 상태인 주로 욕계(欲界)의 범위에서 육도를 구분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 간명일장금은 왼손((左掌) 손바닥에 엄지손가락으로 집어 12지지(地支)와 십이천성(十二天星)을 확인하여 간명합니다. 위 <불수장결도(佛手掌訣圖)> 그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손가락 집는 방향은 남자는 순행(順行;시계방향), 여자는 역행(逆行;시계반대방향) 즉 남순여역(男順女逆)의 방법을 취합니다.
2. 당사주(唐四柱)란? - 당사주의 기본은 12개의 별자리
● 당사주는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의 12개 별자리((십이성좌(十二星座))인 십이천성(十二天星)에 의해 주재된다는 설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인간의 생년월일시(生年月日時)와 관련시켜 길흉(吉凶)을 판단하였습니다. 특히 빨강∙파랑∙노랑색 등으로 채색된 그림만 보아도 자기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한눈으로 식별(識別)할 수 있고, 한글로 풀어 쉽게 설명한 책을 만들어 『당사주(唐四柱)』라고 불렀다합니다. 당사주(唐四柱)라 하여 당나라시대의 사주(四柱)가 아닌 중국에서 들어온 것임을 나타내는 의미로 당사주(唐四柱)라 칭하기도 합니다. 한국에서만이 가진 독특한 점서(占書)입니다. 당사주(唐四柱)란 명칭과 내용의 구성 등을 누가 창안하였는지 아직까지 정확한 고증(考證)은 없습니다.
● 십이천성(十二天星)은 천귀성(天貴星), 천액성(天厄星), 천권성(天權星), 천파성(天破星), 천간성(天奸星), 천문성(天文星), 천복성(天福星), 천역성(天驛星), 천고성(天孤星), 천인성(天刃星), 천예성(天藝星), 천수성(天壽星)을 말합니다.
● 당사주는 운세(運勢)를 초년운, 중년운, 말년운 그리고 총운 등 넷으로 분류하여 간명(看命)합니다. 초년운은 태어난 해의 띠(생년(生年))를 말하며, 중년운은 태어난 달(생월(生月)), 말년운은 태어난 날(생일(生日)) 그리고 총운은 태어난 시(생시(生時))에서 간명(看命)합니다. 이 생년월일시(生年月日時) 네 자리를 네 기둥이라 하여 사주(四柱) 또는 네 개의 별자리라 하여 사성(四星)이라 말합니다. 사주(四柱)의 별자리를 뽑아 십이천성(十二天星)에 부합을 시켜 초년, 중년, 말년, 총운(평생운)을 분류하여 간명(看命)하며 그 속의 빈부귀천과 성쇠와 길흉의 조화를 읽어내는 것입니다. 생년월일시(生年月日時)는 음력을 기준으로 합니다.
● 생년월일시(生年月日時)의 사주(사성(四星))이라 말하기도 합니다.)마다 12개의 별자리(십이천성(十二天星))가 있어 총 48개의 별자리로 운세를 간명합니다. 별자리로 운세를 보기 때문에 당사주란 명칭보다는「사성운(四星運)」이란 말이 더 합리적일 듯합니다.
● 당사주(唐四柱)가 수백 년 동안 생활 속에 널리 유포(流布)되어 애용된 것은 그 간명(看命) 내용이 일생을 초년∙중년∙말년∙평생운으로 구분하고 인명(人命)∙골격(骨格)∙유년행운(流年行運)∙심성(心性)∙12살(十二煞)∙부모∙형제∙부부∙자녀∙직업∙길흉∙가택 수명 등 일상생활과 직결된 궁금증을 쉽게 해소해 주었기 때문입니다. 오랜 역사와 함께 간명(看命)에 대한 내용에 있어서도 다양한 여러 가지 『당사주(唐四柱)』들이 간행(刊行)되었습니다.
● 당사주(唐四柱)는 한국에서만이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발전한 점서(占書)이며 토정비결(土亭秘訣)과 함께 쉽고 편리성 등으로 대중적인 점술서(占術書)입니다.
3. 12지지(地支)와 12천성(十二天星) 요약
● 당사주에서는 12지지(地支)별 구체적인 내용을 12별자리(十二天星)로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12천성(十二天星)에 대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내용들이 있으나 총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조; 『5. 당사주 12천성 간명(看命)풀이』를 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12지지 12地支 | 십이천성 十二天星 | 간명(看命) 풀이 | 자子 쥐 | 천귀성 天貴星 | 존경, 귀인, 자손 복, 인기, 귀여움, 사랑, 존귀함, 부귀, 총명, 고생안함, 기쁨, 조력 | 축丑 소 | 천액성 天厄星 | 고액(苦厄), 슬픔, 타향살이, 질병, 우울, 고통, 먹는장사, 고난, 슬픔, 주변도움이 작음, 치유, 생명력 | 인寅 호랑이 | 천권성 天權星 | 권세, 권력, 관직, 세력, 명예, 리더쉽, 카리스마 | 묘卯 토끼 | 천파성 天破星 | 파괴(破壞), 굴곡이 심하다. 모험. 도전정신이 있다. 무모하다. 의욕적. 용두사미. 호사다마로 끝남. 확장, 파재, 외형중시, 흩어짐, 파경, 창의성 | 진辰 용 | 천간성 天奸星 | 지혜가 넘치고 간사함. 부부이별, 사별, 배우자를 극하는 살, 영리함, 계략, 구설수, 화려한 언변, 기회, 권모 | 사巳 뱀 | 천문성 天文星 | 지식, 총명, 영리하다. 문장이 뛰어나고 학문에 열정이 많다. 두목, 출세, 대장, 급제 | 오午 말 | 천복성 天福星 | 복과 인덕이 많다. 의식주 풍부, 불쌍한 자를 돕는다. 복록, 부귀, 오복, 식복, 주변의 도움이 많다, 낙천성 | 미未 양 | 천역성 天驛星 | 이동, 전달, 중개, 중매, 인기가 많다. 할달하고 명랑하다. 역마살과 비슷하다. 떠돌이, 영업, 변화가 많다, 여행, 호기심 | 신申 원숭이 | 천고성 天孤星 | 외롭고 고독, 외톨이, 군중속의 고독, 인덕이 없다, 고귀, 관조, 몰입력 | 유酉 닭 | 천인성 天刃星 | 수옥(囚獄), 사고, 수술, 몸에 흉터가 있다. 관재구설, 흉터, 조상인연 박하다, 천도재, 생사, 강건함 | 술戌 개 | 천예성 天藝星 | 예술, 작품성, 고독성(홀로 고독하게 작업), 재능, 기술, 예능, 연예인, 멋쟁이, 재주로써 성공하리라. | 해亥 돼지 | 천수성 天壽星 | 건강, 장수, 고집, 아집, 손재주, 평화 |
● 년, 월, 일, 시에 대한 12천성(十二天星) 요약 12천성(十二天星)에 대한 년, 월, 일, 시에 해당하는 별자리의 내용입니다 여러 가지 다양한 내용들이 있으나 총체적이고 간략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조; 『당사주 12천성 간명(看命)풀이』를 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 時(시) | 日(일) | 月(월) | 年(년) | 貴(귀) | 노년부귀, 위용당당, 풍족공명 | 노년부귀, 배우자궁 불리, 백록희락, 상업길(吉) | 자수성가, 천금인연, 여색조심, 불명예초래 | 조상음덕, 소년시 행복, 학문하면 벼슬운 | 厄(액) | 재액중중, 세상만사가 그림의 떡 | 말년신병 아니면 관액, 공문출입길(吉), 실처(失妻) 아니면 실자(失子) | 유산불계, 부부불화, 외출빈번 | 조상무덕, 옛터이동길(吉), 질병곤고 | 權(권) | 불같은 성격, 사방권세,관록 아니면 사업대길 | 비범인물, 권세행사, 문무겸전 | 영화가득, 축하만발, 사교다접 | 총명준수, 사방출입, 사교, 씀씀이 | 破(파) | 상공불리, 가산대패, 사오십 풍년격 | 곤고가난, 조업실패, 활인공덕, 질병액고 | 의외실패, 타인조심, 골육무정, 풍상중중 | 초년성패, 신병불면 곤고, 주색으로 궁핍 | 奸(간) | 길흉상반, 벼슬 아니면 장사가 길(吉), 중년한탄 | 좌정천리, 벼슬은총, 오십횡액 | 중년곤액, 타인무시, 관액불면 부모근심 | 지략충만, 임기응변능함, 재록사방, 부와 권력항유 | 文(문) | 성품호쾌, 화재우려, 관록 아니면 처액 | 군자풍모, 벼슬 아니면 후학, 말년슬하 영화 | 중년영화, 벼슬유록, 가산충만 | 용모단정, 학문하면 출세, 공명부득이면노록 | 福(복) | 금의옥식, 말년경사 | 영귀재운, 말년태평, 상업천금희롱 | 두터운 복록, 곳간에든 쥐, 만사여의 | 귀인도움, 언행칭찬, 중복불길 | 驛(역) | 천금재산, 육친무덕, 초년곤고 | 출입무상, 가내불리, 이별후 상봉 | 식소사번, 탕진방랑, 중년관록 | 조기풍상, 출타유익, 사방재록 | 孤(고) | 성패빈번, 친척인연박, 말년고독, 불전기도 | 친척해악조심, 외로운 달밤, 평담방랑 | 일신고단, 부부나 형제이별, 영혼봉제사길(吉) | 부모조별, 고향별리 | 刃(인) | 동서분주, 언변출중, 한때곤궁 | 조업 고향 떠나라, 해액상신, 술집타령, 농사길 | 매사지체, 수족상처불면 질병고 | 초년신병, 연장상처, 불도인연 | 藝(예) | 불성취, 대기만성, 세업불길, 자수성가 | 초년곤고, 사입후 성가, 문무겸전, 부귀하나 처궁 근심 | 재예비범, 동서산수유희, 예술생예 | 재간, 사교, 출입빈번, 손재수 | 壽(수) | 노년태평, 의식풍족, 장수 | 천성정직, 공사분명, 말년독수공방, 시중중은 장수 | 두 어머니 봉양, 불면 일신고단, 한때풍상, 이십개사십폐 | 고단, 두 부모 봉양, 곤고 |
● 당사주의 간명(看命)시 유의사항 ※ 생년의 초년 운은 실제 감명에 크게 작용하지 않으며, 다만 참조할 수준이라고 보면 됩니다. 감명에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시의 평생 운과 월의 중년 운이라고 하겠습니다. ※ 부부 궁합을 볼 때 중년에 천간성을 보아 그 흉함을 대비하고 천인성을 보아 조상의 인연을 참조하십시오.
※ 특히 천간성은 부부 궁합을 볼 때 활용하고 있는대, 천간성은 배우자를 극(剋)하는 살(殺)인데 배우자가 같은 자리에 똑같이 천간성이 있는 배우자를 만나는 것이 해(害)를 면하여 좋습니다.
※ 생월에 천간성이 있는 사람은 배우자도 생월에 천간성이 있는 사람을 만나야 해로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며 강한 살에 상대방이 다칠 수도 있다고 해석합니다.
※ 생월의 천간성과 생시의 천간성에 주의하시고 천인성과 천파성도 적중률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사주감명에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 생일의 말년운에는 천파성을 보면 안정된 금전관리가 중요하며 천수성을 보면 외로움에 대비하십시오. 생일의 말년 천간성은 배우자 운을 불길하게 안보고 다만 배우자를 먼저 보내는 정도로 해석합니다.
※ 생시의 별자리는 평생을 관여한다고 보는데 대체로 천파성과 천간성, 그리고 천인성이 가장 좋지 못한 영향력을 미치니 주의를 요합니다.
※ 십이천성(十二天星)에서 7개의 길성(귀(貴), 권(權), 간(奸), 문(文), 복(福), 예(藝), 수(壽))과 5개의 흉성(액(厄), 파(破), 역(驛), 고(孤), 인(刃))으로 구분합니다.
※ 천간성과 천인성 그리고 천파성 등은 작용력이 크므로 숙지할 필요성이 있고 나머지 부분들은 참고하는 정도입니다.
※ 지지(地支)가 중복되었을 때 사주에 지지가 2개 중복되면 다음과 같은 경향이 있다. 년주와 시주 : 자식과의 연(連)이 박하고 무자식인 경우가 많다. 월주와 시주 : 배우자를 극(剋)하는 성향이 있고 자식만을 데리고 산다. 일주와 시주 : 배우자와 자식을 버리고 집을 나가는 경우가 있다.
※ 동착살(同着殺) 년주와 월주, 월주와 일주, 일주와 시주처럼 동일지지(地支)가 나란히 붙으면 동착살이라 합니다. - 늘 몸이 아프다. - 신경질적이 된다. - 히스테리가 극심한 경향이 있다. - 배우자를 혐오하는 등 부부연이 매우 불길해져 이혼하는 사례가 많다. ※ 불운(不運)을 감면(減免)하는 방법 - 심상(心想)이 중요하다 하였으니 매사 바르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한다면 가히 액을 면한다. - 신앙생활에 충실한 자에게는 흉명의 의미가 없다. - 산간벽지나 한적한 농촌에서 은거하면 고독으로 흉운을 면한다. - 육체적 고통이 따르는 업에 종사하거나 군대 등에서 혹독한 훈련을 받으면 흉운을 면한다. - 육친간의 생이별 내지 사별을 면하려면 서로 떨어져 살아야 한다. 주말부부 등은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