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산 천년의 숲길(봉곡사- 갈매봉-오형제고개-송악저수지-송남휴게소)
◈ 일시 : 2023. 09. 03(일).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3.2 km. 8시간 02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7. 21 평화누리길 21(양구 방산면- 동면사무소)을 다녀오고 한달 반의 방학동안의 일지를 적어본다.
2021년가을에 울릉도에서 회먹고 탈이난 이후 2번의 대학병원 입원과 이병원 저병원 여려병원을 다녀봐도
계속 있어온 복통의 원인을 찾았으나 알수가 없었다.
처음 순천향 대학병원에 입원해서는 담낭에 문제라며 담남수술을 한다고 하다가
다음엔 췌장에 문제라며 췌장수술을 한다고 하다가 병명도 모른채 퇴원을 했고
두번째 입원해서는 일주일동안 금식하며 링거만 맞고 이것저것 검사만하고 또 병명도 모른채 퇴원하고
몇 군데 다른벙원을 거쳐 금년초부터는 천안 충무병원에서 진료를 봤는데 간. 담낭은 문제가 없는데
췌장에 있는 췌관이 넓어지고 2007년에도 있던 낭종의 크기가 2.5cm에서 1.5cm로 적어지는등
변화가 있으니 췌장을 수술할수있는 대학병원엘 가보는것이 좋을듯싶다하여
6월에 서울대병원에 예약을 했더니 8월2일로 예약이 잡혀 8.2일에 서울대병원엘 가서 피검사를하고
9일 결과를 보러 갔다.
그동안 찍은 초음파, CT. MRI. 두번 입원한 소견서등을 면밀히 살펴보더니 솔직히 모르겠다며
피검사는 별이상이 없는듯 3달후 10.26에 내시경 초음파를 해 보잔다.
낭종이 단순 양성 낭종인지 아니면 암으로 갈수있는 악성낭종인지를 검사할 모양이다.
다행히 근 1년 반동안 7~10일주기로 계속되던 복통은 4.20을 끝으로 지금은 복통이 멎었다.
초창기의 복통은 보통 밤 12시나 1시경에 명치끝이 뭐가 꽉 막힌듯 심하게 아프고 식은땀이 나며
눕지도 못하고 웅크리고 10~20분 지나면 언제 그랬느냐등 말짱한게 아무렇치도 않다.
어떨땐 119부르고 오는동안에 통증이 멎으면 다시 취소 하기도 하고
남해안 걸을때도 몇 번이나 낮에 그랬는데 복통이 오면 정자나 길가에 앉아서 10~20분 쉬면
복통이 끝나면 아무렇지도 않아 다시 가곤했다. 소화엔 별 지장이 없었고..
언제 부터인가는 모르겠는데 복통의 양상이 달라져서 식은땀은 안나고 꽉 막힌것보다는
뭔가 체한듯한 증상이 나오곤 하다 4.20일을 끝으로 다행히 복통은 없는데
췌장이란것이 원래 증상이 없는게 특징이란다.
염려하는것은 복통이 계속돼서 만성췌장염이 되는것과 췌관이 늘어나면 췌장암의 발병요인이기 때문이다.
9.1일엔 대전 보훈병원엘 다녀왔다.
요즘 TV를 보는데 안경을 안쓰면 흐릿한게 글자가 선명치않아 동네 안과엘 갔더니
백내장이라며 백내장 수술날짜를 잡아준다.
막상 수술을 할려고 하니 백내장 수술을 하면 불편한것이 많을것같아 일단 취소를 하고
돈적게 드는 대전보훈병월엘 갔더니 백내장수술은 환자의 선택사항이라며 넣는안약 처방을 해주고
6개월후에 다시 검사하잖다. 약값 200원.
8월 휴가를 시작하며 옛날에 오래했던 맨발걷기를 다시 했다.
요즘 한참 붐이 일어 우리동네 봉서산에도 맨밭걷기를 하는 사람들이 많다.
아침 5.30~06에 봉서산 한바퀴 돌고 오면 7km에 2시간 20분에 13000보.
저녁 먹고는 19~21시 아내와 둘이 하천걷기 12000보.
맨발걷기를 처음 시작한건 40년전.
1996년도 백두대간 할때도 날이 밝기 시작하면 맨발로 걸었다.
눈덮힌 함양 백운산도 맨발로 넘었고 2002년 6.6 현충일날엔 kBS 생방송 오늘에 맨발산행 출현도 하고..
신발을 신은것보다 편해서 좋은데 요즘엔 야자매트를 모두 깔아서 맨땅 밟을곳이 마땅찮다.
맨발걷기는 지압효과보다는 어씽(접지)효과가 주목적인데
몸안의 활성산소(+)를 땅속의 -와 접해서 없애준다는 이론으로 요즘 각종암까지 치료했다는 얘기가 많다.
06 : 25. 천안 봉명역에서 신창행 전철을 타고
06 : 41. 온양온천역 하차.
06 ; 46. 길 건너가서 시장입구의 아산축협온천지점 앞 정류소.
봉곡사입구인 유곡1리가는 버스가 07.00.08.00에 있는 줄 알았더니 거산2리가는 16번 버스는 08.00에 있고
07 :10에 있는 17-1번 버스는 터미널에서 온양온천역으로 오지 않고 직접 송악으로 간다.
길건너편으로 가서 터미널 가는 버스를 타고 터미널 환승장으로 갔더니 2분 늦어 방금 전에 떠났다.
08 : 00. 온양터미널 환승장에서 17-1번 버스 타고 ( 75세 이상 충남도민은 충남 전 지역 시내버스 무료).
08 : 30. 유곡 1리 정류소 하차. 유구 쪽으로 몇 발짝 가서 우측 봉곡사 2km. 유곡리. 대술 쪽으로 간다.
08 ; 36. 유곡 1교를 건너 천년의 숲길(천년비손길)은 좌측으로 가서 봉곡사입구 삼거리로 가고
우리는 도로 따라가며 유곡 1리 마을회관을 지난다.
08 ; 50. 봉곡사입구 삼거리 봉곡사입구 정류소. 좌측으로 간다. 우측은 강장리. 616도로 대술면 가는 길.
유곡 1교에서 좌측으로 갔던 천년 숲길이 좌측에서 오는데 길이 시원찮다.
09 ; 09. 봉곡사 주차장. 버스종점. 천년비손길안내판. 보기 좋은 소나무 거송들이 700여 m 이어진다.
09 ; 23. 임도삼거리. 봉곡사는 직진해 오른다. 천년의 숲길 노선안내도.
09 : 29. 좌측으로 등산로 입구. 봉수산 2.3km. 오 형제고개 2.3km. 직진해 봉곡사를 둘러보고 내려와 이길로 올라갈 것이다.
09 : 32. 봉곡사 주차장위 만공탑. 봉곡사는 만공스님이 1895. 7.25 이곳에서 깨달음을 얻은 곳이다.
09 : 37. 봉곡사(鳳谷寺). 충남문화재자료 323. 887 도선국사가 창건. 대웅전은 보수 중. 만공 선사가 득도한 곳.
09 ; 48. 등산로 입구. 봉수산 2.3km. 오 형제고개 2.3km. 우측 산길로 오른다.
10 : 09. 지능선 넘어 삼거리. 봉곡사 02km. 우측으로 올라간다. 아산시와 예산군경계가 산능선이 아니고 산허리에 있다.
10 : 16/27. 능선위고개. 좌측 봉수산(535.1m)에서 우측 오 형제고개로 가는 능선의 고개다. 벤치 2. 봉수산 1.9km. 수골 1km.
긴 통나무계단을 로프를 잡고 올라간다.
10 ; 39. 395.2m 봉. 벤치 3. 로프를 잡고 쭈욱 내려간다.
10 : 49. 갈매봉 390m. 평상과 이정표. 우측으로 누에마을 신성강정하산길. 뒤로 봉곡사(1.1km)
오 형제고개 1.2 km 방향으로 급경사를 내려간다.
11 ; 08. 좌측으로 송석저수지와 수골마을을 내려다보고
11 : 13/38. 전망대 쉼터. 벤치 2. 오 형제고개 0.4km. 봉수산정상 3.1km. 두유와 미숫가루. 토마토와 견과류로 점심.
로프 잡고 급경사를 내려간다.
11 ; 43. 도고산(482m)과 덕봉산(473.3m), 예산 뒷산인 안락산(424m), 토성산(406.2m). 관모산(390.5m) 능선을 바라본다.
11 : 54. 오 형제고개. 616 지방도로. 좌측은 예당저수지. 대술면, 우측은 송악면. 온양 가는 도로. 식당이 3개나 있다.
알았으면 여기 와서 점심을 먹었으면 좋았을 것을 그랬다. 부엉이 공예체험장을 지나 조금 가다 우측길로 간다.
12 ; 05. 언덕을 넘어 임도 삼거리. 우측 봉곡사 주차장 3.6km. 좌측 송남 휴게소 7.2km 방향으로
12 : 12. 오돌개마을 . 강장리 교회.
12 ; 20. 좌측에서 올라오는 포장도로를 만나 우측으로. 모양이 비슷한 전원주택 마을을 지나간다.
12 ; 23. 갈매봉에서 내려오는 지능선 고개를 넘어 바포장 길을 간다. 강장마을 0.5km.
12 : 32. 2차선 도로의 강장 1리 정류소. 우측은 봉곡사입구로 가는 도로이고 좌측으로 강장마을로 들어간다.
12 : 35/48. 강장마을 초입의 그늘에서 쉬고
12 : 49/13 ; 00. 바로 위 수돗가 평상에서 또 쉬어간다.
13 : 03. 마을 끝 산길초입. 묵은 임도엔 잡풀이 무성하다. 송남휴게소 5.9km. 이후 능선 위까지는 어디로 가야 하는지?
천년의 숲길은 트랙이나 리본이 없다. 박공묘 오르기 전에 우측 계곡으로 오르는 게 빠르겠는데?
13 ; 11. 밀양박공문중묘터. 묘터만 공사를 해놨다. 강장마을과 갈매봉 능선을 돌아보고 길이 끝나 다시 좌측으로 올랐다.
13 ; 16. 능선 위. 송남휴게소 5.7km. 강장마을 0.4km 이정표. 길은 없으나 이정표를 보니 이 길이 맞나 보다. 우측으로 간다.
13 ; 23. 봉. GPX는 205m를 가리킨다. 길이 나온다. 송남휴게소 5.6km. 배골마을 1.2km. 강장마을 0.4km.
13 ; 28/36. 긴 골산 정상 삼거리. 벤치 2. 긴 골산과 황 안내판. 천년의 숲길 노선안내도. 송남휴게소 5.5km. 좌측 능선길로 간다.
13 : 44. 광덕산-설화산능선을 바라보고
13 : 46. 시멘트길 안부. 직전에 상수도 물탱크. 시멘트길 따라 우측으로 간다. 송남휴게소 5.1km.
13 : 56. 은행나무골. 송남휴게소 4.8km. 좌측으로 내려간다. 우측밑에 연꽃밭을 지난다.
14 ; 06. 백학동 생태습지 연못 앞 삼거리. 좌측으로 내려간다. 우측은 백골마을, 동백골에서 내려오는 길. 천년의 숲길 안내도.
14 : 22. 백학동 입구. 우측으로 송악저수지를 보며 약봉천둑길을 따라간다.
좌측 앞쪽에 오 형제고개에서 오는 616번 지방도로. 송남휴게소 3.5km. 봉곡사주차장 7.2km.
14 : 45/54. 송악저수지 건너편 제방과 수문을 바라보며 잠시 쉬어간다.
14 : 58. 임도 차단기. 계속 임도를 따라 산모랭이를 돌아간다.
15 ; 10. 고개. 쉼터와 우측에 도상 긴 골산과 황산으로 가는 등산로 입구. 천년의 숲길 안내도. 송남휴게소 1.8km.
15 ; 30. 임도 차단기. 고기 구워 먹고 있는 부부에게서 시원한 물 한 병 얻어 마시고
15 ; 33. 등산로 입구. 송남휴게소 0.6km. 송악저수지 건너로 방미마을을 건너다보고 봉수산을 보며 간다.
15 ; 39. 좌측으로 궁평다리를 건너가며 송악저수지(궁평저수지) 수변데크를 바라본다.
15 ; 41. 39번 국도. 우측 300m에 산행을 시작한 대술. 유곡리 가는 삼거리. 유곡교 정류소. 좌측에 송남휴게소가 보인다.
15 : 44/16 ; 03 송남 휴게소. 송남 주유소와 식당. 이마트 편의점에서 음료수 사 마시고.
16 ; 07. 궁평리 정류소. 20-1번은 16 : 50에 봉안당에서 출발하는데 그전에 16 : 00에 유구에서 출발하는 130번 버스가 있다.
16 : 33. 120번 버스 타고-온양터미널 17 : 05 도착.
17 : 08. 온양터미널 환승센터에서 910번 버스 타고-계광중학교 앞 하차(17 : 53).
06 : 25. 천안 봉명역에서 신창행 전철을 타고
06 : 41. 온양온천역 하차.
06 ; 46. 길 건너가서 시장입구의 아산축협온천지점 앞 정류소.
봉곡사입구인 유곡1리가는 버스가 07.00.08.00에 있는 줄 알았더니 거산2리가는 16번 버스는 08.00에 있고
07 :10에 있는 17-1번 버스는 터미널에서 온양온천역으로 오지 않고 직접 송악으로 간다.
길건너편으로 가서 터미널 가는 버스를 타고 터미널 환승장으로 갔더니 2분 늦어 방금 전에 떠났다.
08 : 00. 온양터미널 환승장에서 17-1번 버스 타고 ( 75세 이상 충남도민은 충남 전 지역 시내버스 무료).
08 : 30. 유곡 1리 정류소 하차. 유구 쪽으로 몇 발짝 가서 우측 봉곡사 2km. 유곡리. 대술 쪽으로 간다.
유곡 1리 정류소 하차.뒤돌아 보고.
유구 쪽으로 몇 발짝 가서 우측 봉곡사 2km. 유곡리. 대술 쪽으로 간다.
08 ; 36. 유곡 1교를 건너 천년의 숲길(천년비손길)은 좌측으로 가서 봉곡사입구 삼거리로 가고
우리는 도로 따라가며 유곡 1리 마을회관을 지난다.
뒤돌아 보고.
08 ; 50. 봉곡사입구 삼거리 봉곡사입구 정류소. 좌측으로 간다. 우측은 강장리. 616도로 대술면 가는 길.
유곡 1교에서 좌측으로 갔던 천년 숲길이 좌측에서 오는데 길이 시원찮다.
좌측 안쪽에 봉곡사.
봉곡사주차장 우측마을의 조각품.
09 ; 09. 봉곡사 주차장. 버스종점. 천년비손길안내판. 보기 좋은 소나무 거송들이 700여 m 이어진다.
천년의 숲길.
봉곡사에 오르는 우거진 소나무 숲길은 최근에 ‘천년의 숲길’로 명명한 아름다운 길이다.
길가의 소나무들은 일제강점기에 송진을 채취하여 공출했던 상처와 흔적을 보여 주고 있다.
09 ; 23. 임도삼거리. 봉곡사는 직진해 오른다. 천년의 숲길 노선안내도.
09 : 29. 좌측으로 등산로 입구. 봉수산 2.3km. 오 형제고개 2.3km. 직진해 봉곡사를 둘러보고 내려와 이길로 올라갈 것이다.
09 : 32. 봉곡사 주차장위 만공탑. 봉곡사는 만공스님이 1895. 7.25 이곳에서 깨달음을 얻은 곳이다.
공산이기고금외(空山理氣古今外)[빈 산의 이치와 기운은 고금 밖인데]
백운청풍자거래(白雲淸風自去來)[흰 구름 맑은 바람은 스스로 오고 가누나]
하사달마월서천(何事達摩越西天)[무슨 일로 달마는 서천에서 건너왔는고]
계명축시인일출(鷄鳴丑時寅日出)[축시에는 닭이 울고 인시에는 해가 뜨네]
만공탑.
세계일화(世界一花)는 만공스님의 친필.
09 : 37. 봉곡사(鳳谷寺). 충남문화재자료 323. 887 도선국사가 창건. 대웅전은 보수 중. 만공 선사가 득도한 곳.
봉곡사.
봉곡사(鳳谷寺)는 아산시 봉수산 북쪽 산능선의 갈매봉 동쪽 중턱에 자리한 고려시대 사찰이다.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봉곡사는 아산 지역의 대표적 고찰 중 하나이지만 그 내력과 관련된 이야기는 대부분 구전이다. 887년(진성왕 1)에 도선국사(道詵國師)[827~898]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데 근거 기록은 없으며 사찰 명칭도 알 수 없다. 고려 의종 대에 보조국사 지눌(知訥)[1158~1210]이, 조선 전기에 함허(涵虛)[1376~1433]가 중창하였다 전하고, 이 시기 여러 산내 암자가 있을 정도로 사세가 컸다고 전하나 관련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조선 중기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석암사 재송악산(石菴寺在松岳山)"[석암사는 송악산에 있다.]이라는 내용이 지금까지 확인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원래는 근처 다른 곳에 절이 있었다고 하는데 그 이야기가 사실인지, 그 위치가 어디인지 등은 확인되지 않는다. 임진왜란[정유재란] 때 사찰이 모두 전소하고 1646년(인조 24)에 현재 위치에 중창되었다.
1760년대의 『여지도서』「온양군읍지」에는 "석암사 재군남이십리 송악산(石庵寺在郡南二十里松岳山)"이라 기록되어 있다. 1794년 중수 과정에서 봉곡사로 개칭하였다 전해진다. 1795년 다산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봉곡사 방문 기록이 문집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의 여러 곳에 남아 있다. 그런데 「서암강학기(西巖講學記)」에 "온양서암지봉곡사(溫陽西巖之鳳谷寺)", 「봉곡사술지시서(鳳谷寺述志詩序)」에 "온양지봉곡사(溫陽之鳳谷寺)", 정약용 자찬 「묘지명(墓誌銘)」에 "온양지석암사(溫陽之石巖寺)" 등으로 기록하여 석암사와 봉곡사가 혼재되어 있어 이 시기 전후로 ‘봉곡사’로 개칭된 것으로 보인다. 1911년의 『조선지지자료』에 ‘봉곡사’로 기록하고 우리말로 ‘석암절’이라 한다고 하여 ‘봉곡사’라는 명칭이 공식화되어 있고, 주민들은 오랜 관행에 따라 석암절[석암사]로 부르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1929년에 발간된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는 봉곡사가 송악면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봉곡사는 규모가 작은 사찰이지만 오랜 역사를 지닌 전통 사찰로서 법등이 이어져 왔다. 그 과정에서 봉곡사와 관련된 역사적 인물로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과 불교 중흥에 기여한 근대의 큰스님인 만공(滿空)[1871~1946]의 일화가 알려져 있다. 정약용은 34세 때인 1795년(정조 19)에 중국인 주문모(周文謨) 신부 밀입국 사건의 영향으로 7월에 충청남도 청양에 있는 금정도찰방으로 좌천되어 5개월간 근무하였다. 정약용은 1795년 10월 26일부터 11월 5일까지 봉곡사에 열흘간 머물며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종손인 이삼환(李森煥)과 함께 봉곡사에서 성호 이익의 유고를 정리, 교정하였다. 그때 내포 지역 명문가의 자제들과 함께 문답한 내용으로 「서암강학기(西巖講學記)」를 저술하였고, 당시 봉곡사에서 지은 시 한 수가 남아 있다.
만공은 23세 때인 1893년부터 2년 동안 봉곡사에 머물며 면벽수행을 하였는데, 1895년 7월 26일에 활연대오의 깨달음을 얻어 다음과 같은 오도송(悟道頌)을 읊었다고 전한다.
공산이기고금외(空山理氣古今外)[빈 산의 이치와 기운은 고금 밖인데]
백운청풍자거래(白雲淸風自去來)[흰 구름 맑은 바람은 스스로 오고 가누나]
하사달마월서천(何事達摩越西天)[무슨 일로 달마는 서천에서 건너왔는고]
계명축시인일출(鷄鳴丑時寅日出)[축시에는 닭이 울고 인시에는 해가 뜨네]
봉곡사는 중심 불전인 대웅전과 요사채·고방이 고건축물로 남아 있고, 근래에 건립한 향각전과 삼성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절 입구의 둔덕에는 만공 스님의 친필 세계일화(世界一花)를 새겨 1993년에 건립한 만공탑이 있다. 2001년부터 최근까지 몇 차례의 보수 공사를 통한 정비가 이루어져 지금의 단정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봉곡사에 오르는 우거진 소나무 숲길은 최근에 ‘천년의 숲길’로 명명한 아름다운 길이다. 길가의 소나무들은 일제강점기에 송진을 채취하여 공출했던 상처와 흔적을 보여 주고 있다.
봉곡사대웅전및고방은 1993년 7월 20일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3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조선 후기의 목조 건축물로 17세기 봉곡사의 중수 과정에서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며, 내부에는 조선 후기의 목조석가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기둥이 기울고 벽에 틈이 생기는 등 시급한 보수가 필요한 상황이다.
’ㅁ’ 자형 요사채의 북쪽 모서리를 이루고 있는 고방(庫房)은 사찰의 여러 물건을 보관하는 창고 건물이다. 내부는 2층 구조로 판벽과 판문으로 이루어진 특이한 형태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고방은 인근 충청남도 공주 마곡사에도 남아 있어 사찰 건축물의 지역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요사채의 전면은 불전으로 꾸며져 있으며, 내부에는 목조문수보살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목조문수보살좌상은 대웅전에 봉안된 석가여래좌상과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본래 보현보살좌상 1구와 함께 삼존불로 대웅전에 봉안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관음보살도인 봉곡사불화 1점도 1984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으나 1985년에 도난당해 소재가 불명인 상황이다.
봉곡사(鳳谷寺) 대웅전.
고방(庫房).
방(庫房)은 사찰의 여러 물건을 보관하는 창고 건물이다. 내부는 2층 구조로 판벽과 판문으로 이루어진 특이한 형태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고방은 인근 충청남도 공주 마곡사에도 남아 있어 사찰 건축물의 지역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삼성각. 늘어지게 낮잠을 즐기는 고양이는 건드려도 꿈쩍도 안하고 길게 기지재만 켠다.
09 ; 48. 등산로 입구. 봉수산 2.3km. 오 형제고개 2.3km. 우측 산길로 오른다.
능선위에 올라서 우측으로
10 : 09. 지능선 넘어 삼거리. 봉곡사 02km. 우측으로 올라간다. 아산시와 예산군경계가 산능선이 아니고 산허리에 있다.
지능선 넘어 삼거리.직진은 봉수산. 우측 위로 올라간다.
10 : 16/27. 능선위고개. 좌측 봉수산(535.1m)에서 우측 오 형제고개로 가는 능선의 고개다. 벤치 2. 봉수산 1.9km. 수골 1km.
긴 통나무계단을 로프를 잡고 올라간다.
10 ; 39. 395.2m 봉. 벤치 3. 로프를 잡고 쭈욱 내려간다.
395.2m 봉.
갈매봉 오름길의 바위군. 육산인데 능선엔 여기만 바위가 보인다.
10 : 49. 갈매봉 390m. 평상과 이정표. 우측으로 누에마을 신성강정하산길. 뒤로 봉곡사(1.1km)
오 형제고개 1.2 km 방향으로 급경사를 내려간다.
갈매봉 390m. 좌측 흰돌이 갈매봉 표지석.
11 ; 08. 좌측으로 송석저수지와 수골마을을 내려다보고
11 : 13/38. 전망대 쉼터. 벤치 2. 오 형제고개 0.4km. 봉수산정상 3.1km. 두유와 미숫가루. 토마토와 견과류로 점심.
로프 잡고 급경사를 내려간다.
전망대 쉼터인데 전망은 없다.
11 ; 43. 도고산(482m)과 덕봉산(473.3m), 예산 뒷산인 안락산(424m), 토성산(406.2m). 관모산(390.5m) 능선을 바라본다.
도고산(482m. 우) -덕봉산(473.3m. 구운데뒷봉),예산 뒷산인 안락산(424m.좌측 2번째), 토성산(406.2m. 맨좌측).
11 : 54. 오형제고개. 616 지방도로. 좌측은 예당저수지. 대술면, 우측은 송악면. 온양 가는 도로. 식당이 3개나 있다.
알았으면 여기 와서 점심을 먹었으면 좋았을 것을 그랬다. 부엉이 공예체험장을 지나 조금 가다 우측길로 간다.
오형제고개.
배방산 28.8km. 광덕산 15.2km.봉수산 3.5km. 우측 도고산 9.3km.
우측의 공방과 식당들. 흑두부집. 추어탕집. 생선조림된장찌게집등 식당 3집이 있다.
언덕에서 뒤 돌아 보고
언덕에서 갈 방향.
12 ; 05. 언덕을 넘어 임도 삼거리. 우측 봉곡사 주차장 3.6km. 좌측 송남 휴게소 7.2km 방향으로
12 : 12. 오돌개마을 . 강장리 교회.
강장리 교회.
오돌개마을
12 ; 20. 좌측에서 올라오는 포장도로를 만나 우측으로. 모양이 비슷한 전원주택 마을을 지나간다.
12 ; 23. 갈매봉에서 내려오는 지능선 고개를 넘어 바포장 길을 간다. 강장마을 0.5km.
강장마을.
12 : 32. 2차선 도로의 강장 1리 정류소. 우측은 봉곡사입구로 가는 도로이고 좌측으로 강장마을로 들어간다.
2차선 도로에서 온길을 뒤돌아 보고
우측으로 조금가면. 이길은 봉곡사입구 가는 도로다.
강장 1리 정류소.
좌측으로 꺽어 강정마을로
12 : 35/48. 강장마을 초입의 그늘에서 쉬고
12 : 49/13 ; 00. 바로 위 수돗가 평상에서 또 쉬어간다.
13 : 03. 마을 끝 산길초입. 묵은 임도엔 잡풀이 무성하다. 송남휴게소 5.9km. 이후 능선 위까지는 어디로 가야 하는지?
천년의 숲길은 트랙이나 리본이 없다. 박공묘 오르기 전에 우측 계곡으로 오르는 게 빠르겠는데?
묵은길은 잡초에 맏혀있고
13 ; 11. 밀양박공문중묘터. 묘터만 공사를 해놨다. 강장마을과 갈매봉 능선을 돌아보고 길이 끝나 다시 좌측으로 올랐다.
밀양박공문중묘터에서 뒤 돌아 본 강정마을과 갈매봉능선.
밀양박공문중묘터. 이직 묘지는 없고 터만 닦아놨다.
13 ; 16. 능선 위. 송남휴게소 5.7km. 강장마을 0.4km 이정표. 길은 없으나 이정표를 보니 이 길이 맞나 보다. 우측으로 간다.
능선 위. 송남휴게소 5.7km. 강장마을 0.4km 이정표.
13 ; 23. 봉. GPX는 205m를 가리킨다. 길이 나온다. 송남휴게소 5.6km. 배골마을 1.2km. 강장마을 0.4km.
205m봉.
13 ; 28/36. 긴 골산 정상 삼거리. 벤치 2. 긴 골산과 황 안내판. 천년의 숲길 노선안내도. 송남휴게소 5.5km. 좌측 능선길로 간다.
긴 골산 정상 삼거리.
13 : 44. 광덕산-설화산능선을 바라보고
광덕산(우)-설화산(좌)능선.
13 : 46. 시멘트길 안부. 직전에 상수도 물탱크. 시멘트길 따라 우측으로 간다. 송남휴게소 5.1km.
시멘트길 안부.
우측으로 가다 좌측 아래로 내려간다.
13 : 56. 은행나무골. 송남휴게소 4.8km. 좌측으로 내려간다. 우측밑에 연꽃밭을 지난다.
은행나무골.
14 ; 06. 백학동 생태습지 연못 앞 삼거리. 좌측으로 내려간다. 우측은 백골마을, 동백골에서 내려오는 길. 천년의 숲길 안내도.
백학동 생태습지 연못. 우측길로 내려왔다.
14 : 22. 백학동 입구. 우측으로 송악저수지를 보며 약봉천둑길을 따라간다.
좌측 앞쪽에 오 형제고개에서 오는 616번 지방도로. 송남휴게소 3.5km. 봉곡사주차장 7.2km.
사진 좌측 앞쪽에 오 형제고개에서 오는 616번 지방도로.
백학동입구에서 뒤 돌아 본 모습.
우측으로 송악저수지를 보며 약봉천둑길을 따라간다.
14 : 45/54. 송악저수지 건너편 제방과 수문을 바라보며 잠시 쉬어간다.
송악저수지. 우측 끝이 수문.
송악저수지 낚시배?
14 : 58. 임도 차단기. 계속 임도를 따라 산모랭이를 돌아간다.
15 ; 10. 고개. 쉼터와 우측에 도상 긴 골산과 황산으로 가는 등산로 입구. 천년의 숲길 안내도. 송남휴게소 1.8km.
15 ; 30. 임도 차단기. 고기 구워 먹고 있는 부부에게서 시원한 물 한 병 얻어 마시고
15 ; 33. 등산로 입구. 송남휴게소 0.6km. 송악저수지 건너로 방미마을을 건너다보고 봉수산을 보며 간다.
송악저수지 건너로 방미마을을 건너다보고.
봉수산을 보며 간다.
15 ; 39. 좌측으로 궁평다리를 건너가며 송악저수지(궁평저수지) 수변데크를 바라본다.
송악저수지(궁평저수지) 수변데크.
수변데크 입구.
15 ; 41. 39번 국도. 우측 300m에 산행을 시작한 대술. 유곡리 가는 삼거리. 유곡교 정류소. 좌측에 송남휴게소가 보인다.
15 : 44/16 ; 03 송남 휴게소. 송남 주유소와 식당. 이마트 편의점에서 음료수 사 마시고.
천녕의 숲길 안내도.
천년의 숲길 노선도.
16 ; 07. 궁평리 정류소. 20-1번은 16 : 50에 봉안당에서 출발하는데 그전에 16 : 00에 유구에서 출발하는 130번 버스가 있다.
버스 시간표.
유구 -온양을 잇는 120번 버스 시간표.
16 : 33. 120번 버스 타고-온양터미널 17 : 05 도착.
17 : 08. 온양터미널 환승센터에서 910번 버스 타고-계광중학교 앞 하차(17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