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호걸들의 병법책’
그 하나,
“夫佳兵者不祥之器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 兵者不祥之器 非君子之器”
‘무릇 능력 있는 군대는,
상서롭지 못한 그릇이라서
만물이 혹 그것을 싫어한다.
고로, 도가 있는 사람은
그곳에 머물지 않는다.
군자는, 평소엔 왼쪽을 귀하게 여기고,
군대를 쓸 때는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
군대는 상서롭지 못한 그릇이다.
군자의 그릇이 아니다.’
『老子』31장
좋은 리더는, 즐겨 싸우지 않는다
전쟁은 어느 누구를 막론하고
‘기혐(忌嫌, 기피하고 싫어 함)한다.
때문에, 도를 체득體得한 지도자는
전쟁(싸움)을 좋아 하지 않는다.
평소는 좌측을 상위로 인정하는 군자가.
전쟁에서는 우측을 상위로 하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우리의 일상에 적용해보면,
‘부득이 싸워야 할 때는,
그 사항에 대해서만 논쟁하고,
인간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한다.
특히 마지막 말은 반드시 하면 안 된다.
혹, 논쟁에 이겨도 미안해 하고,
져도 원망을 품지 않아야 한다.
전쟁을 찬미하는 것은,
살인을 찬미하는 것과 같다.
말다툼을 좋아 하는 것은
자기를 상대 위에 높고 싶은
열등감 때문이다.
또 좌측인가/우측인가의 문제에 대해서는,
‘보통 길사에서는 좌측을 상석으로 하고,
흉사에서는 우측을 상석으로 한다.’
그런데, 군대에서는,
부장군이 좌측에 서고,
대장군은 우측에 선다.
그렇다면 군대는, 흉사의 작법에 따르고 있는 것이다.
불교에도, ‘좌우보처’가 있다.
참고로, 한번 적용시켜보는 것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