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철B469소크라테399
인철15그소크 철인1405소크라
*** 소크라테스 생애 및 계승 연보
# 소크라테스(Socrate, Σωκράτης, 전469-399; 70세) 연표
[파르메니데스(Παρμενίδης, 전510경-전450경) 엘레아학파]
[아낙사고라스(Ἀναξαγόρας, 전500경-전428경) 이오니아 클레소메니아 출신]
[엠페도클레스(Ἐμπεδοκλῆς, 전493경-전430경) 시칠리아 출신]
[엘레아의 제논(Ζήνων ὁ Ἐλεάτης, 전490경-430경) 엘레아 학파]
[프로타고라스(Πρωταγόρας, Protagoras, 전490경/485년-전415년/410년)]
[고르기아스(Γοργίας, 전485경-전385경), 시실리아 출신 소피스트]
[에우리피데스(Ευριπίδης, 전480경-전406), 아테네에서 활동한 비극시인.]
[아스파시아(Ἀσπασία; 전470년–약전400경), 이오니아인 여성, 페리클레스의 동반녀].
[프로디코스(Πρόδικος, 전470/460-399), 키오스출신]
[히피아스(Ἱππίας, 전443-399) 엘리스 출신]
490 페르샤와 전쟁: 소크라테스는 페르샤식의 동방의 전재정(참주정)을 거부한다. 기원전 490-479년 사이에 세 차례에 걸쳐 일찍이 페르시아가 헬라스에 굴종(douleia)을 강요하며 침략했던 것도 ‘히브리스’[오만 무례함]의 사례이다.
470? 고르기아스(Gorgias, Γοργιας/Gorgias) (fr 위키, 전480-370) 시실리 출신, 엠페도클레스의 제자, 108세까지 살았다.
469(470)-399 소크라테스(Socrate, Σωκράτης, 469-399; 70살)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는 기원전 470년경에 아티카(Attique) 지방의 알로페케(Alopèce, Ἀλωπεκή, Alōpekē) 데모스에서 태어나서, 399년에 아테네에서 죽었다. - 아버지 소프로니코스(Sophronisque Σωφρονίσκος)는 조각가, 어머니 파이나레테(Phénarète, Φαιναρέτη)는 조산원이다. 부인 크산티페(Xanthippe, Ξανθίππη)와 세 자식이 있다.
- 쇠파리(μύωψ, 박차): 신이 "아테네를 각성, 설득, 비판하기 위해" 보낸 뮈옵스(μύωψ)
466 의학자 히포크라테스(Hippocrate, Ἱπποκράτης, 466-377)[거의 아흔] 탄생 ?? 서아시아 코스 출신, 마술과 철학에서 의학을 분리해내어 의사라는 직업을 만들었다. 모든 병은 자연적 원인에 의해 일어난다. - 데모크리토스와 거의 같은 시절에 같은 나이로 활동했다.
460 히포크라테스(Hippocrate v.460-v.377) 데모크리토스(Démocrite, gr. Dêmokritos, v. 460-v. 370)와 고르기아스(Gorgias 전485경-전385경)와 더불어 공부했다.
460 역사가, 투키디데스(Thucydides,Θουκυδίδης, 전 460-400) 펠로포네소스전쟁(Histoire de la guerre du Péloponnèse)(Θουκυδίδης Ἀθηναῖος ξυνέγραφε τὸν πόλεμον τῶν Πελοποννησίων καὶ Ἀθηναίων. « Thucydide l’Athénien a raconté la guerre des Péloponnésiens et des Athéniens. »)
460? 프로디코스(Prodicos de Céos, Πρόδικος, 전470/전460-399년 이후) 프레소크라틱 철학자. 언어와 문법 연구자.
?-? 크라튈로스(Cratyle, Κρατύλος/Kratýlos 기원전 5세기경.)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의 제자. 플라톤은 그에 대해 작품을 썼다.
460? 류키포스(Leucippe, Λεύκιππος / Leúkippos 480년경 v. 460 ?- 370 av. J.-C.), 원자론 창시자(?) 440년 주로 활동, 데모크리토스는 430년경에 주로 활동. 스승겸 친구로 지낸 것이 아닐까?
460 데모크리토스(Démocrite, Δημόκριτος/Dêmókritos, «choisi par le peuple», 전v. 460-v. 370)(90살?) 아브데라( Ἄϐδηρα/Ábdēra) 출신이다. 원자론자 53권의 저술을 썼으나 남아있지 못하다. [소크라테스에 비해 10여 년 어리다. 플라톤 보다 33살정도 많다.]
450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 Ἀριστοφάνης/Aristophánês, 450-386)는 그리스 아테네 희극작가이다.
450 알키비아데스(Alcibiade, Ἀλκιβιάδης Κλεινίου Σκαμβωνίδης / Alkibiadês Kleiniou Scambônides, 전450-404) 클리니아스(Clinias)의 아들, 연설가, 아테네의 국가인물, 장군. 페리클레스의 양자이다.
450? (열아홉 가량) 파르메니데스편에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가 파르메니데스 65살, 제논이 마흔 가량일 때 만났다고 가정한다.
450 에우클레이데스(Euclide de Mégare, Εὐκλείδης Eukleidês, 전450경-전366경)는 소크라테스학파에 속하는데 전405년경에 메가라학파를 세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메가라에서 와서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참석했다고 한다. 그리고 소크라테스 사후에 플라톤도 메가라에 은신했다. 그는 엘레아의 일자를 소크라테스의 선과 동일시하였다.
449-422 아테네 전성기: 페리클레스(Périclès, Περικλῆς, signifiant littéralement « entouré de gloire », 전495년경- 429))의 시대 (소씨 마흔 살 페리클레스 사망)
444 안티스테네스(Antisthène, Ἀντισθένης / Antisthénês, 기원전 444-365)(79살) 고르기아스와 소크라테스 제자(25살 어렸다, 플라톤보다 17살 많다), 키니코스 학파 창설자. (스토아의 제논보다 109년 즉 한 세기 앞섰다.) Cynosarge (Κυνόσαργες)에서 배웠다. 이 학교는 Héraclès에게 헌정하고 있다.
443 히피아스(Hippias d'Élis, Ἱππίας 443-396/390) 소피스트, 엘레아 귀족 출신이다. 살아있는 백과사전이라 불렸다고 한다.
440(스물아홉) 시실리아에서 피타고라스학파의 학살이 있었다. 여기서 살아남은 타렌테 출신 뤼시스는 테베에 가서, 에파미노다스(Épaminondas)의 아버지인 폴륌니스(Polymnis)의 보호를 받았다.
440 크세노폰(Xénophon, Ξενοφῶν, 전440경-전355경) 그리스 철학자, 역사가, 장군. 부유한 귀족 출신, 소피스트들에게 배우다가 소크라테스 제자. 많은 저술이 있다.
436 이소크라테스(Isocrate, Ἰσοκράτης / Isokrátês, 전436–338) 아테네 10연설가 중의 한사람 수사학파 창시자. Nicoclès(roi de Chypre et fils d'Évagoras) 8살 나이 많은 그를 플라톤이 경쟁자로 생각해서 아카데미아를 세웠다고 한다.
435 퀴레네 학파의 아리스티포스(Aristippe, Ἀρίστιππος, 전435-356), 북아프리카 출생. 소크라테스에게 배웠다.
434(35세)소크라테스가 학교를 열지 않고 교육을 시작했다 (리보 견해)
432(37세) 포티다이아 전투(La bataille de Potidée, Ποτίδαια / Potidaia) 참전, 펠로포네소스 전쟁 시작, 아테네와 코린트 사이에 전쟁.
431 펠로포네소스 전쟁(la guerre du Péloponnèse, 기원전 431-404) 시작 / 델로스 동맹(477년 결성) 해체.
431 아낙사고라스(Anaxagore, Ἀναξαγόρας 전500–전428) 불경건(l'impiété)의 죄목으로 사형언도를 받고 추방당하다. 그는 기원전478년에 아테네로 왔었다.
430 아테네 페스트 창궐 ..
430 크세노폰 (Xenophon, Ξενοφῶν, 430경-355경) 그리스 철학자, 역사가, 장군. 부유한 귀족 출신, 소피스트들에게 배우다가 소크라테스 제자. 많은 저술이 있다.
429 페리클레스(Periclès, Περικλῆς/Periklễs Perikles, v. 495-429) 페스트 때문에 사망(66살). 아테네 민주정시대의 정치가. 그는 아낙사고라스와 엘레아학파의 제논을 스승으로 삼았다. <페리클레스 시대>라는 명칭은, 그리스 문명에서 가장 빛나는 시기를 지칭한다.
트라쉬마코스: 플라톤의 국가편 등장 그는 비튀니아 지방의 칼케돈 출신 소피스트다.
칼리클레스(Kallikles) -강자가 항상 약자보다 많이 가짐은 자연의 이치이다
427 플라톤(Platon, Πλάτων, 본명 아리스토클레스 Aristoclès 427-347; 80살) 플라톤이란 ‘어깨가 넓음’을 의미한다. 이데아의 철학자. (소크라테스 나이 42살이었고) [그리고 18년 후에 배울 수 있을 있었다면, 소크라테스 나이 60살이었으며 10여년을 따라다니며 배울 수 있었을 것이다.] 아버지(Ariston) 가계는 불확실하며, 어머니(Périctionè)는 솔론과 친척인 드로피데스(Dropidès) 후손이며, 30인 참주체 속했던 크리티아스와 사촌이며 카르메니데스의 누이이다.
[427 자주권을 요구하는 레스보스 섬의 미틸레네(Mytilēnē, Μυτιλήνη)를 아테네인들은 민회에서 성인 남자들을 모두 사형에 처하고 아녀자들은 노예로 삼을 것을 의결하고 전함을 파견하였으나, 다음날 민회에서 결정을 철회하고 후속 전함을 보내 참극은 없었다.]
에 끔찍스런 아테네인들의 결정이었다. 미틸레네에 대해 427년에 아테네인들은 민회에서
424(45세), 426? 펠로포네소스 전쟁들 중에서 델리온(Délion, Δήλιον / Dêlion) 전투에 참여하다. 그는 이 전투에서 알키비아데스를 구출했다. / Au cours de la guerre du Péloponnèse, elle est le théâtre d'une importante bataille qui voit les Thébains vaincre les Athéniens (426 av. J.-C.).
423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 Ἀριστοφάνης, 전450-386)의 구름(Nuées, Νεφέλαι / Nephélai, 423) 공연, 이 작품에서 작가는 소크라테스를 “등에” 쇠파리(Les Guêpes, Σφῆκες/Sphễkes)라 부르며 소크라테스를 조롱한다. - 희극 주인공 페이디피데스와 그의 아버지 스트렙시아데스 ... 부자(父子) 둘 다 소크라테스의 <사색의 집(phrontisterion)>에 가서 변론술을 배운다.
422(47세) 암피폴리스(Amphipolis, Ἀμφίπολις / Amphípolis) 전투 참여, 아테네 북쪽 마케도니아 동쪽.
420(50세경)년경(?) 카이레폰(Chéréphon Χαιρεφῶν, ?-전400)는 ‘아테네에서 누가 가장 현명한 자인가’라고 물었다고 한다. 델포이 신전의 여사제(la Pythie de Delphes)는 “소크라테스보다 더 현명한 자는 없다”(Il n'y a pas d'homme plus sage que Socrate)고 대답했다.
418 〈만티네이아 전투〉에서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충돌했다. 아테네는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반 스파르타 동맹을 설립하려고 아르고스, 만티네이아와 다른 펠로폰네소스 도시를 지원했다. 이 시도는 아테네의 귀족 알키비아데스가 주도한 것이며, 만약 성공한다면 펠로폰네소스 동맹에 대한 스파르타의 지배를 타개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 기획은 실패했지만, 알키비아데스는 기원전 417년 봄에 장군으로 선출되었다.
416 제국주의화 된 아테네가 스파르타 식민지인 멜로스(Μήλος)섬 섬멸과 학살 (미국의 섬멸전 선전도 이와 같은 맥락) [427년 레스보스 섬의 미틸레네(Mytilēnē, Μυτιλήνη)의 조치를 참조.]
415 아테네인들은 시라쿠스에 반대하여 시실리 원정팀을 조직했고, 원정대는 대실패.
415 알키비아데스의 배신, 스파르타로 망명,
413 디오게네스(Diogène de Sinope, Διογένης 전413-327) 퀴니코스 학파. 철학자.
411(58세) 아테네에서 400인 과두제 쿠데타로 민주정을 전복하였다. 이 과두제는 고작 몇 달간 버텼다. 여기에 소크라테스 고발자가 될 아뉘토스가 가담했다.
410경(59세) 플라톤(17살)는 헤르모게네스(Hermogène Ἑρμογένης)에게 배웠고(아리스토텔레스 전하는 바), 그리고 소크라테스에게 배우기 전에 크라튈로스(Cratyle, Κρατύλος)에게 배웠다. [아마도 그 다음에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된 시기는 20세쯤이라 한다. 그러면 소크라테스에게 9년 정도 배웠다는 것이 된다.]
407(62세)년경 플라톤(20살)은 소크라테스를 만났다고 한다. [리보(A. Rivaud)의 견해, p. 154)]
406? 플라톤(21살) 소포클레스 사망(Sophocle, Σοφοκλῆς, 기원전 496/495 - 406/405) 그리스 3대 비극 시인의 한사람. 에우리피데스(Euripide, 480-406). 아이스킬로스(Eschyle, 526-456) [플라톤 21살 때 아테네 두 비극시인이 사망했다. 아마도 많이 읽었으리라. ... ]
406(63세) 아르기누사이 해전(La bataille navale des Arginuses Ἀργινούσ(σ)αι) 30년 가까이 아테네와 스파르타 간에 치른 펠로포네소스 전쟁의 마지막 큰 에피소드들 중의 하나이다. 이 전투의 장군들의 단죄에 대해 소크라테스가 반대 하였다. / 소크라테스가 아테네 의회의 최고위원(prytane)이었다.
405 에우클레이데스(Euclide de Mégare, Εὐκλείδης Eukleidês, 기원전 450경-전366경)는 소크라테스학파에 속하는데 전405년경에 메가라학파를 세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404 펠로포네소스 전쟁(Guerre du Péloponèse, 431-404)이 스파르타의 승리로 끝나다. 스파르타 장군 뤼산드로스(Lysandre, Λύσανδρος)가 아테네 함대를 굴복시켰다.
404(65세)년 플라톤(23살) 4월 30인참주(三十人僭主, οἱ Τριάκοντα / hoi Triakonta, Trente tyrans, Thirty Tyrants 전404-403) 집권. 이들은 고대 그리스 과두정치(寡頭政治)를 이끈 30명의 세력이 집권자이다. 그리스에서 기원전 404-403년 펠로폰네소스전쟁에 패한 아테네는 스파르타의 장군 리산드로스(Lysandre, Λύσανδρος / Lýsandros)의 후견(後見)하에 민주정치가 폐지되고, 크리티아스(Critias, Κριτίας), 테라메네스(Théramène, Θηραμένης) 등을 대표로 한 30명의 과두정치 체제가 수립되었다. 이들은 민주파 시민 1,500여 명이 살해되고 다수가 추방되어 재산이 몰수되는 등 공포정치가 시행되었다. .. [이 당시 민주파는 테베로 망명갔다?가 다시 반격을 한 것이다..] 알키비아데스 사망..
403(66세) 플라톤(24살) 9월 30인 참주 전복되다. 민주파의 트라시불로스(Thrasybule, Θρασύϐουλος/Thrasýboulos)가 [아뉘토스(Anytos, Ἄνυτος)와 더불어, 이는 소크라테스 고발자의 한사람이다] 그의 추종자들을 이끌고, BC 403년 1월 페레우스에서 크리티아스군과 싸워 승리를 거두고, BC 403년 6월 아테네의 민주정치가 부활되었다. [아테네의 주요 항구 도시 페이라이에우스(Le Pirée, ὁ Πειραιεύς / Peiraieús, en gr. moderne ο Πειραιάς / Pireás)]
401? 크세노폰 아테네를 떠나 페르샤의 퀴로스 왕자에게 가다. 그는 30년간(전369년까지) 아테네에 들어오지 못했다.
400(69세) 카이레폰(Chéréphon Χαιρεφῶν, ?-전400)이 델피 신탁에 물었던 친구. 암살당하다. [소크라테스의 어린 시절부터 가장 친한 친구가 암살당했다.]
399(70세) 비극 시인 멜레토스(Μέλητος / Mélétos), 연설가인 뤼콘(Lycon, Λύκον), 무두(가죽)장이였지만 정치가가 된 아뉘토스(Ἄνυτος/Ánytos)와 함께 소크라테스를 399년 4월에 고발했다.
399 501명 심판관 중에서 사형언도 280표 무죄방면 221표였다. 재판결과 사형을 언도 받고, 30일간 감옥에 있으면서, 일상처럼 친구들과 한담을 했다. 소크라테스는 탈옥을 거부했다.
399(70세) 크산티페, “어린 아들 둘과 장성한 아들 하나가 있었습니다.” (파이돈 116a). 소크라테스는 가족과 여성 친척들을 독배를 마시기 전에 감옥에서 나가게 했다.
- 독배를 마실 때 참석자들: (fr.Wiki) 조각가 아폴로도로스(Apollodore de Phalère, Ἀπολλόδωρος), 크리톤(Criton, Κρίτων)과 그의 아들(son fils Critobule), 헤르모게네스(Hermogène), 에피게네스(Épigénès), [아마도] 아버지 아이스키네스(Eschine de Sphettos, Αἰσχίνης 기원전435경-350경), 안티스테네스(Antisthène), 메넥세네스(Ménéxène)와 그의 사촌 (son cousin Ctésippos de Péanie), et quelques anonymes. / 이방인들로는 테베출신 심미아스(Simmias le thébain, notamment)와 케베스(Cébès), 페돈데스(Phédondès); 메가라에서(venus de Mégare), 에우클리데스(Euclide)와 테릅시온(Terpsion)등이다. [파이돈(Phédon d'Élis, Phaedo of Elis Φαίδων ὁ Ἠλεῖος)은 독배 마시는 때는 없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 플라톤도 없었다.]
- 크리톤(심미아스와 케베스) 등은 여러 준비를 하여, 소크라테스에게 국외 망명을 권했다. 소크라테스는 거절하고 독배를 마심으로써, 어떤 이는 그가 스토아적 죽음을 보여준 첫 사례라고 하다. / 박홍규는 “철학가로서 처형당한 최초의 사람이다”라 한다(전집 I, 소크라테스, 308)
- 플라톤(28살)에 소크라테스(Socrate, 469-399) 70살)사망 - (당시 플라톤 28살: 플라톤이 20세 때 소크라테스를 만났다면, 소씨는 62살로 활발한 사상을 가질 것이다. 플라톤의 젊은 8년의 공부는 매우 중요했을 것이다.) [소크라테스가 죽고 데모크리토스가 30여년을 더 산다. 그러면 플라톤이 데모크리토스를 잘 모른다는 것이 말이 안 되네... 플라톤과 동시대를 30여년을 산 셈인데 말이야.... 아리스토텔레스는 데모크리토스를 잘 알았다고 하고... (45RMG))] (47PMI) (3:24, 47RKC) (4:17, 47ULC)
398? 파이돈은 자기 고향 엘리스(Élis, Ήλις)에서 학교를 열었다.
396 크세노크라테스(Xénocrate de Chalcédoine, Ξενοκράτης, 전396 -전314)는 플라톤의 조카(스페우시포스, Speusippe Σπεύσιππος, 전407-전339)에 이어서 제3대 아카데미 학장이다.
390 안티스테네스(Antisthène, 전444-365) 퀴니코스 학당을 창설하다. 항구도시에서 거주하였다. 그는 의
387 플라톤(마흔) 시실리에 정치적 여행을 했다. 이 정치활동의 좌절로, 플라톤은 콜론부근에 아카테모스 체육관(le gymnase d'Acadèmos)을 사서, “아카데미아”(l'Académie)를 세웠다.
378 스파르타가 테베에게 예기치 못한 패배를 하였다.
371 레욱트라 전투(La bataille de Leuctres, Λεῦκτρα)에서 테베가 스파르타에 대한 확고한 승리를 거두었다. 레욱투라는 테베 남서쪽 마을..
367?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Ἀριστοτέλης, 전384-322) [열일곱] 아테네에 공부하러 오다.
365 퀴니코스 학파의 창설자인 안티스테네스(Antisthène, Ἀντισθένης, 기원전 444년-365년)(79살) 사망 - [안티스테네스도 학교를 열었다고 한다, 그 학교는 3대 학교 중의 하나였다.]
365 크라테스(Cratès de Thèbes, Κράτης, 전365-285) 퀴니코스학파 철학자. 제논의 스승. 성교자체가 도덕과 무관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부인 히파르키아(Hipparchia, Ἱππαρχία, 전350-280)와 공공장소에서 성교를 한 일화도 있다.
[메트로클레스(Métroclès, s.d.) 퀴니코스 철학자, 크레테스의 친구 히파르키아의 오빠.
362 테베의 장군인 에파메이논다스(Épaminondas, Ἐπαμεινώνδας, 전418경-362)가 죽고 난뒤 테베의 몰락.
360 스틸폰(Stilpon, en grec Στίλπων, 전360경-280) 메가라학파 그리스 철학자. 변증법 기술, 특히 논박적 변증법으로 알려졌다.
356 퀴레네 학파 창설자 아리스티포스(Aristippe de Cyrène, Ἀρίστιππος, 전435경-356) 사망.
355 데모스테네스: 마케도니아의 침공에 부당함을 알리는 연설. [데모스테네스(Démosthène 기원전 384-322) 최고의 연설가, 마케도니아 왕에게 연설하기도 하였다..]
347 플라톤(Platon, Πλάτων, 본명 아리스토클레스 Aristoclès 전427-347) 사망(80살) / 이때 아리스토텔레스는 나이 37세이며. 22년을 더 산다.
338 카이로네이아(Chéronée, Χαιρώνεια)[전투]의 재앙, 아테네의 최후의 군대가 마케도니아 왕 필립2세(Philippe II, Φίλιππος, 전382-336)의 밀집군단에 의해 괴멸된 사건이다.
336 필립2세(Philippe II ὁ Φίλιππος, 전382-336) 마케도니아 왕(재위 전359-전336), 자신의 경호원에 의해 살해당했다.
335 알렉산드로스가 마케도니아의 왕위에 오르다.
335 제논(Zenon, Ζήνων, 전335-264) 퀴프로스(Chypre (Chypre, Κύπρος,)의 키티온(Cition, gr. Κίτιον, lat. Citium) 출신, 스토아 학파의 창시자. 크라테스에게 배웠다. (아리스토텔레스 사망시 제논은 13살, 디오게네스(87살에 사망) 사망시 제논 8살이었다.)
334 알렉산드로스 아시아 원정을 떠나다.
327 디오게네스(Diogène de Sinope, Διογένης, 전413경–전327경) 사망. 그가 알렉산더를 만났다는 설화는 정황상 덧붙인 이야기일 뿐이라고 하는 설이 더 많다.
323 알렉산드로스(Alexandre le Grand, Ἀλέξανδρος ὁ Μέγας 전356-323) 사망(33살)
322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Ἀριστοτέλης, 전384-322) 사망(62살), 그리스 철학자.
310? 메네데모스(Ménédème, Μενέδημος, 전350경–전277경/265경)가 고향 에레트리에우스(Érétrie ὁ Ἐρετριεύς)에서 학교를 열었다.
306 에피쿠로스(Épicure, Ἐπίκουρος 전342-270) 에피쿠로스학교를 세웠다.
(4:33, 47SKJ) (5:7, 47ULC) (6:12, 54UKI) (6:15, 55NMC)
*** 소크라테스와 연관 역사적 사건 인물들
8??경 호메로스(Homère, Ὅμηρος /Hómêros, «otage» ou «celui qui est obligé de suivre», av. J.-C. 9세기) 그 시인(le Poète, ὁ Ποιητής/ho Poiêtếs)이라 불린다. 이오니아인으로 추정하며 맹인일 것이다.『일리아드(Iliade Ἰλιάς/Iliás,)』와 『오딧세이(Odyssée Ὀδύσσεια/Odússeia)』
80? 헤시오도스(Hesiode. gr. Ἠσίοδος / Hēsiodos, lat. Hesiodus, VIIIe siècle av. J.-C., environ vers -700). 고대 그리스의 시인으로 '이오니아파'의 호메로스와 대조적으로 종교적, 교훈적, 실용적인 특징의 '보이오티아파' 서사시를 대표한다. 농경기술과 노동의 신성함을 서술한 노동과 나날 Les Travaux et les Jours (Ἔργα καὶ Ἡμέραι / Erga kaì Hêmérai)은 설화성(說話性)과 목가적 서술이 뛰어나다. 신통기(La Théogonie Θεογονία /Theogonía, 神統記)도 있다.
[630 네부카드네자르(Nebuchadnezzar, 전630-562)재위: 전604-전562) 신바빌로니아 칼데아 왕조의 2대왕이었다. / 전587년 솔로몬 성전을 파괴하다.]
[에제키엘(Ézéchiel)/에스겔 BC 597년 바빌로니아로 포로로 끌려간 (레위 파)사제 출신. 그에 의하면 바빌로니아의 강가에서 하느님의 영광스런 환상[환시(幻視)]을 보고 예언자가 되었다고 한다.]
610-547 아낙시만드로스(Anaximadre 기원전 610-547): 무규정자(l'indétermine, apeiron)
580 크세노파네스(Xénophane Ξενοφάνης 기원전 580경-485) fr.Wiki 570-475, 신=존재(l'Etre), 이오니아 콜로폰(Colophon Κολοφών) 출신
540-450 파르메니데스(Parménide, Παρμενίδης/ Parmenídês, 기원전 540-450) 존재가 있다(L'Etre est) / fr.Wiki 520/510 - vers 450-448[2]. [소크라테스가 20살정도일 때 파르메니데스가 죽었다. 소씨는 명성과 이론을 들었을 수 있었으나 만나지는 못했을 것이다]
526 아이스퀼로스(Eschyle, Αἰσχύλος / Aiskhúlos, 전526경-전456) 그리스 3대 비극 시인 중 한사람. L’Orestie Les Perses Les Sept contre Thèbes
500 아낙사고라스(Anaxagore, Ἀναξαγόρας, 전500-428) 이오니아 클라조메네(Clazomènes en Ionie), 전체(Tout) 밖에 정신(Noûs)있다. 태양을 불타는 돌이다. 전431년경에 불경건 죄로 사형을 언도 받고 추방당했다. [소씨 마흔살 정도로, 직접 배웠을 수 있다.]
??? 디오게네스(Diogène d'Apollonie, Διογένης, fils d'Apollothémis) 밀레토스의 아폴로니에서 태어나다 아낙시메네스 제자, 아낙사고라스와 동시대.
495 페리클레스(Périclès, Περικλῆς, signifiant littéralement « entouré de gloire », 전495년경- 429), 아테네 전략가. 연설가, 국가적 인물.
490 프로타고라스(Protagoras, Πρωταγόρας 전490-420), 압데라 출신, 소피스트. 인간의 만물의 척도.
484 헤로도토스(Hérodote, Ἡρόδοτος / « donné par Héra », 전484-전 420), 그리스 역사가. 역사(Les Histoires ou l'Enquête, Ἱστορίαι, 전445경)
487-380?? 고르기아스(Gorgias, Γοργίας 487-380??) 시실리 레온티노이(Léontinoi en Sicile)출신, 못말리는 자(Enfant terrible), 때 맞는 시간(Kairos, καιρός) 개념 창안. / 460? 고르기아스(Gorgias en gr. Γοργιας/Gorgias) 경활동 (fr 위키) 시실리 출신, 엠페도클레스의 제자, 108세까지 살았다.
48? 아르케라오스(Archelaos, Ἀρχέλαος, 전5세기경) 밀레토스출신 그리스 철학자. 아낙사고라스의 제자. 소크라테스의 스승이었을 것이다. 자연학자(« Physicien »)란 별명을 얻었다. [소크라테스가 초기에 아낙사고라스 계열의 학문을 배웠다. 그가 이오니아 학파의 자연을 온영혼으로 받아들였을 것으로 나는 추측한다. (48UKA)] / 안티스테네스의 작품 제목 중에 아르케라오스가 있다고 한다.
480 제논(Zénon Ζήνων /Zếnôn,기원전 480[490]-420경) 변증법(상대부정을 통한 자기긍정)의 발명자 [소크라테스보다 10살[20살]많다. 소씨가 한 수 배웠을 확률이 있다]
480 에우리피데스(Euripide, Εὐριπίδης / Euripídês, Salamine 480 -Macedoine 406) 그리스 비극작가. 소크라테스(Socrate, 470-399)의 친구였다. / 그리스 3대 비극 작가(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469 소크라테스(Socrate, Σωκράτης, 469-399; 70살), 아테네 철학자. 아리스토파네스(Ἀριστοφάνης, 450-386)가 소씨를 아테네의 “등에”라고 불렀다.
469 크리톤(Criton, Κρίτων) 소크라테스 동갑내기 친구. 그는 부자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소크라테스 벌금형도 제의했고, 사형 판결 후 소크라테스의 탈옥을 도우려했다.
466 의학자 히포크라테스(Hippocrate, Ἱπποκράτης, 466-377) 탄생 ??
465 테오도로스(Théodore de Cyrène, Θεόδωρος ὁ Κυρηναῖος, 전465경-전398) 키레네 출신이며 아테네를 자주 방문하고 키레네에서 죽었다. 그리스 수학자. 특히 기하학자. 천문학과 음악에 관심이 있다. 피타고라스학파 학자이며 퀴레네 학파의 초기 인물이다. 소크라테스와 테아이테토스의 선생(같은 또래이나 학문적으로 선배이다)이었다. / 무리수를 기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 그림은 나선형이며 달팽이 모양이다. fr. la construction de la spirale, escargot; en. Spiral of Theodorus / 그는 플라톤의 테아에테토스, 소피스트, 정치가편에 등장한다.
460 역사가, 투키디데스(Thucydides,Θουκυδίδης, 전 460-400) 펠로포네소스전쟁(Histoire de la guerre du Péloponnèse)(Θουκυδίδης Ἀθηναῖος ξυνέγραφε τὸν πόλεμον τῶν Πελοποννησίων καὶ Ἀθηναίων. « Thucydide l’Athénien a raconté la guerre des Péloponnésiens et des Athéniens. »)
460? 프로디코스(Prodicos de Céos, Πρόδικος / Prodikos, 470 et 460 -mort après 399) 프레소크라틱 철학자. 언어와 문법 연구자.
?-? 크라튈로스(Cratyle, Κρατύλος/Kratýlos 기원전 5세기경.)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의 제자. 플라톤은 그에 대해 작품을 썼다.
460? 류키포스(Leucippe, Λεύκιππος / Leúkippos 480년경 v. 460 ?- 370 av. J.-C.), 원자론 창시자(?) 440년 주로 활동, 데모크리토스는 430년경에 주로 활동. 스승겸 친구로 지낸 것이 아닐까?
460 히포크라테스(Hippocrate, Ἱπποκράτης / Hippokrátēs, v. 460-v. 377) 그리스 의사이다. 그는 데모크리토스(Démocrite, gr. Dêmokritos, v. 460-v. 370)와 고르기아스(Gorgias)와 더불어 공부했다.
460 데모크리토스(Démocrite, Δημόκριτος/Dêmókritos, «choisi par le peuple», 전v. 460-v. 370)(90살?) 아브데라( Ἄϐδηρα/Ábdēra) 출신이다. 원자론자 53권의 저술을 썼으나 남아있지 못하다. [소크라테스에 비해 10여 년 어리다. 플라톤 보다 33살 정도 많다.]
450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 Ἀριστοφάνης/Aristophánês, 450-386)는 그리스 아테네 희극작가이다. 구름(Nuées, Νεφέλαι, 전423)(3등상)
- 아메입시아스(Amipsias, Ἀμειψίας)(전5세기경) 그리스 희극시인, 코노스(Le Connos, 전423)(2등상), 오입장이(Μοιχοί, Adulterers), 사포(Σαπφώ, Sappho), (Σφενδόνη, The Sling)
450 알키비아데스(Alcibiade, Ἀλκιβιάδης Κλεινίου Σκαμβωνίδης fils de Clinias, du dème de Scambonide, 450-404) [소크라테스와 열아홉 살 차이이다]
449-422 아테네 전성기: 페리클레스(Périclès)의 시대
445 글라우콘(Glaucon, Γλαύκων; 전445경–4세기) 플라톤의 맏형 / 아데이만토스(Adimente, Ἀδείμαντος, Adeimantus of Collytus 전432경–전382) 플라톤의 둘째형?
444 안티스테네스(Antisthène, Ἀντισθένης / Antisthénês, 기원전 444-365)(79살) 고르기아스와 소크라테스 제자(25살 어렸다, 플라톤보다 17살 많다), 키니코스 학파 창설자. (스토아의 제논보다 109년 즉 한 세기 앞섰다.) / 퀴노사르게스(Cynosargue (Κυνόσαργες) 학교는 아틱지방 동쪽 외방에 있는데, 알로페케 데모스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non loin du dème d'Alopèce Ἀλωπεκή, de la tribu Scambonide).
443 히피아스(Hippias d'Élis, Ἱππίας 443-396/390) 소피스트, 엘레아 귀족 출신이다. 살아있는 백과사전이라 불렸다고 한다.
440 시실리아에서 피타고라스학파의 학살이 있었다. 여기서 살아남은 타렌테 출신 뤼시스는 테베에 가서, 에파미논다스(Épaminondas)의 아버지인 폴륌니스(Polymnis)의 보호를 받았다
440? 크세노폰(Xénophon, Ξενοφῶν / Xenophōn, 전440경-전355경) 그리스 철학자. 장군 소크라테스 제자.(서른살 차이로 한세대 다음이다). / 430 크세노폰(Xenophon, Ξενοφῶν Xenophōn, v. 430- v.355) 그리스 역사가. 소크라테스의 제자였다 / 에르키아 데모스(dème d’Erchia Ἐρχιά en Attique)출생 5
436 이소크라테스(Isocrate, Ἰσοκράτης / Isokrátês, 전436–338) 아테네 10연설가 중의 한사람 수사학파 창시자. Nicoclès(roi de Chypre et fils d'Évagoras) 8살 나이 많은 그를 플라톤이 경쟁자로 생각해서 아카데미아를 세웠다고 한다. /에르키아 데모스(dème d’Erchia Ἐρχιά en Attique)출생
435 아르퀴타스(Archytas de Tarente, Ἀρχύτας ὀ Ταραντίνος, 전435-전347) 피타고라스학파 철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정치가, 그리스 장군. 에우독소스의 스승이며 플라톤의 친구이다. 플라톤과 같은 시기에 죽었으며, 플라톤주의의 옹호자였다.
435 아리스티포스(Aristippe de Cyrène, Ἀρίστιππος, 435-356)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 제자. 전399년에 퀴레네 학파를 창설했다. 이 학파는 즐김주의(l'hédonisme)를 학설의 본질로 삼는다. 그의 딸 아레테(Arété de Cyrène Ἀρετή)도 이 학파 학자이며 아들 아리스티포스(Aristippe le Jeune)도 학자이다.
434(35세)소크라테스가 학교를 열지 않고 교육을 시작했다 (리보 견해)
431 펠로포네소스 전쟁(la guerre du Péloponnèse, 기원전 431-404) 시작
429 페리클레스(Periclès, Περικλῆς, v. 495-429) 사망(66살). 아테네 민주정시대의 정치가. 그는 아낙사고라스와 엘레아학파의 제논을 스승으로 삼았다. <페리클레스 시대>라는 명칭은, 그리스 문명에서 가장 빛나는 시기를 지칭한다.
트라쉬마코스: 플라톤의 국가편 등장 그는 비튀니아 지방의 칼케돈 출신 소피스트다.
칼리클레스(Kallikles) -강자가 항상 약자보다 많이 가짐은 자연의 이치이다
?-? 티마이오스(Timée de Locres, Τίμαιος) 그리스 피타고라스 학파의 철학자 5세기경 활동, 플라톤의 작품이 있다.
408? 에우독소스(Eudoxe de Cnide, Εὔδοξος ὁ Κνίδιος/ Eúdoxos ho Knídios -408 ? -355 ou -395 ? -342) 그리스 천문학자가 기하학자 의사 철학자.
427 플라톤(Platon, Πλάτων, 본명 아리스토클레스 Aristoclès 427-347; 80살) 플라톤이란 ‘어깨가 넓음’을 의미한다. 이데아의 철학자. (출생시 소크라테스 나이 42살이었고) [그리고 18년 후에 배울 수 있을 있었다면, 소크라테스 나이 60살이었으며 10여년을 따라다니며 배울 수 있었을 것이다.]
421 니키아스 평화(La Paix de Nicias)조약은 421년 아테네와 스파르타 사이에 10년 전쟁을 끝낸 [1차] 평화 조약이다. [니키아스(Nicias, Νικίας, 전470-413) 펠로포네소스 전쟁 동안에 아테네 정치인 장군.]
407 스페우시포스(Speusippe Σπεύσιππος, 전407-전339) 플라톤의 조카. 정통 플라톤주의자. 플라톤 사후 아카데미아 초대 학장.
375 디오클레스(Dioclès de Caryste, Διοκλῆς ὁ Καρύστιος; latin, Diocles Carystius; en, Diocles of Carystus, 전375경–295경) 그리스 의사
372 테오프라스토스(Théophraste, Θεόφαστος/Théophrastos 기원전 372-287)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계승자 초대 리케이온 학장(322 à 288) 식물학자, 박물학자. 다방면의 작가, 연금술사.
367 프톨레마이오스 1세(Ptolémée Ier Sôter, Πτολεμαῖος / Ptolemaios, 전367경-전283) (Sôter, Σωτήρ, « le sauveur ») 이집트의 총독(Un satrape, σατράπης, « protecteur du pouvoir [royaume] ») 이집트의 왕(전305–전283), 전297경 알렉산드리아 등대 건설시작, 전288년경, 처음에는 뮈제이온(Museion)으로 시작하여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건설 시작. 스틸폰(Stilpon à Mégare)의 제자이며 그리스 역사가인 클레이타르코스(Clitarque d'Alexandrie, Κλείταρχος, ?-전290)를 불러서 강론을 듣는다. 이집트 정통 사제인 마네톤(Manéthon de Sebennytos, Μανέθων, Μανέθως, 3세기영)에게 이집트 역사를 그리스어로 쓰게 한다. 그리고 수학자 에우클리데스(Euclide, Εὐκλείδης)를 도서관에 불러들였다고 하고, 여기서 유클리드 기학학 원론(Éléments d'Euclide)이 나온다.
- 타이스(Thaïs, Θαΐς, hétaïre, courtisane) 알렉산더 원정에 참여해 330년에 페르세폴리스, 323년에 프톨레마이오스 1세와 결혼 3자녀를 낳았다. 그리고 세 번 더 결혼했다.
왕위계승 다른 장군들, Séleucos, Cassandre et Lysimaque가 있다.
- 베로니케(Bérénice Ire, Βερενίκη, 전340경-전279 et 전268) 프톨레마이오스의 넷째 부인, 아들 프톨레마이오스 2세와 아르시노에 2세(Arsinoé II, Ἀρσινόη)의 어머니이다.
- 프톨레마이오스 2세(Ptolémée II Philadelphe, Πτολεμαίος Φιλάδελφος, « Qui aime son frère / sa sœur », 전309/308-전246) 파라오의 칭호를 얻다. 왕실에서 클레오파트라7세에 와서야 이집트와 소통이 되었다 한다.
367 시실리 시라쿠사에서 드니 2세가 드니 1세를 계승하다. [드니, 디오뉘시오스(Denys, Διονύσιος / Dionýsios, 전431-전367) Denys l'Ancien 시라쿠사의 그리스 식민지 참주. / 드니 2세(Denys le Jeune, Dionysios II de Syracuse, 전397-전354) 그리스 식민지 참주. 367년에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았다. 전354년 암살 당했다. ]
365 크라테스(Cratès de Thèbes, Κράτης, 전365-285년) 그리스 퀴니코스 학파 철학자. 제논의 스승
360 스틸폰(Stilpon, gr. Στίλπων, 전360경-280년경) 그리스 철학자. 메가라 학파. 변증법, 논쟁술, 연설대담(l'art de la joute oratoire)에 인기있었다. 테오프라스토스(Théophraste)와 가까웠으며, 에우클레이데스(Euclide de Mégare)의 제자였다.
360 오네시크리토스(Onésicrite Ὀνησίκριτος; 전360경–290경), 퀴니코스 철학자. 역사가. 알렉산더 원정의 동시대인이다. 알렉산더 교육에 관한 책을, Alexandropédie 썼으나 소실되었으며, 이 책은 문명화된 왕에 대한 찬사라 한다. 참조: Paul Pédech, Historiens compagnons d'Alexandre : Callisthène, Onésicrite, Néarque, Ptolémée, Aristobule, 2011
345 메네데모스(Ménédème d'Érétrie, Μενέδημος ὁ Ἐρετριεύς, 전345/4–전261/0) 에레트리애우스 출신, 그리스(퀴니코스) 철학자. 파이돈의 엘리스학파에 속하며, 스틸폰의 제자이다. 소크라테스의 교육을 받아들이고 플라톤의 교육을 배척했다. 메가라학파와 뒤섞여 있다.
342 메난드로스 (Ménandre, Μένανδρος, 342-292) 아테네 희극 시인 탄생.
340 테오도로스(Théodore de Cyrène, Θεόδωρος, 전340경-전250경) 무신론자, 퀴레네 학파, 그리스 철학자. 점쟁이 테오도로스(Théodore le Divin), 아리스티포스 제자. Sur les Dieux, Les questions
335 제논(Zenon, Ζήνων, 전335-264) 사이프러스 키티움 출신의 스토아학파의 창시자. 크라네스에게 배웠다. (아리스토텔레스 사망시 제논은 3살, 디오게네스(87살에 사망) 사망시 제논 12살이었다.)
325 헤르마르코스(Hermarque de Mytilène Ἕρμαρχoς, "reign of Hermes"; 전325경-전250경) 에피쿠로스 철학자. 에피쿠로스를 계승해 정원학파의 초대 학장이다. Έπίστολίκα περί Εμπεδοκλεους: Contre Empédocle(22권), Περί των μαθηματων: Des sciences, Προς Πλατωνα : Contre Platon, Προς Αρίστοτελην : Contre Aristote
106 키케로(Cicéron, Marcus Tullius Cicero, 전106-전43) 로마 철학자. 정치가
O
46 플루타르코스(Plutarque, Πλούταρχος/Ploútarkhos 46-125) 케로네(Chéronée en Béotie)태생, 그리스 출신 로마 역사가 사상가. 중기 플라톤주의 영향을 받았다. 위인 전기(Vies parallèles des hommes illustres, en grec Βίοι Παράλληλοι / Bíoi Parállêloi),『도덕작품(Oeuvres morales)』이 있다.
160 섹스투스 엠피리쿠스(lat. Sextus Empiricus, gr. Σέξτος Ἐμπειρικός / Sextos o Empeirikos, 160경-210, 190년경 활동, 3세기 초 그리스의 철학자, 의사. 피론의 유파에 속하는 회의론자이다. 저서에 피론 사상 개설 Esquisses pyrrhoniennes (Πυῤῥώνειοι ὑποτύπωσεις ou Pyrrhōneioi hypotypōseis)(3 Livres)이 있다.
2??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Diogène Laërce Διογένης Λαέρτιος / Diogenês Laertios, Diogenes Laertius, 3세기경) 역사가, 철학자 시인 학설사가. 철학에서 유명한 학자들의 생애와 사상(Λαερτίου διογένους βίων καὶ γνωμῶν τῶν ἐν φιλοσοφία εὐδοκιμησάντων καὶ τῶν ἑκάστη αἱρέσει ἀρεσάντων τῶν εἰς δέκα τὸ πρῶτον (manuscrit de Florence : De Diogène Laërce, vies et pensées de ceux qui en philosophie se sont illustrés, et recueil des doctrines de chaque école en dix livres - livre premier)
1814 젤러(Eduard Zeller, 1814-1908) 독일 역사가 철학자. 그리스의 역사 발전에서 그리스철학(Die Philosophie der Griechen in ihrer geschichtlichen Entwicklung (1844-1852). - La philosophie des Grecs dans son développement historique (1844-1868, 2e éd. 1 856 t. I p. 361-617), I, 1, trad. de l'all. É. Boutroux, 1877, t. I, p. 280-474.
1838 푸이예(Alfred Fouillée, 1838-1912) 프랑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철학(La philosophie de Socrate, 1874), Histoire de la philosophie, 1875(여기서 소크라테스를 공산주의로 서술하고 있다.) 프랑스 인민의 심리학(Psychologie du peuple français, 1898)
1957 스미스(Herbert Weir Smyth, 1857–1937) 미국 언어학자, 고전 문헌학자. 대학교수 고전연구학회 회장. 미국 예술과학 아카데미 회원. 그리스 문법(A Greek Grammar for Schools and Colleges, 1916) 그리스 문법(A Greek Grammar for Colleges, 1920)
1861 게프켄(Karl Heinrich Johannes Geffcken, 1861-1935) 독일 고전 문헌학자. 그리스 문학전공
1863 버넷(John Burnet, 1863–1928) 스코틀랜드 고전문헌학자. 초기 그리스 철학(Early Greek Philosophy. 1892(4판 1930)
1863 루토슬라브츠키(Wincenty Lutoslawski, 1863-1954), 폴란드 철학자. 작가. 독일의 철학자인 타이히뮐러(Gustav Teichmüller, 1832-1888)의 제자 Principes de stylométrie appliqués à la chronologie des oeuvres de Platon (1898) “Sur une nouvelle méthode pour déterminer la chronologie des Dialogues de Platon”, mémoire lu le 16 mai 1896 à l'Institut de France... (1896) - 벩송이 주목한 발표문, 이 속에 스타일방법론이 나온다.
1865 봐자끄(Émile Boisacq, 1865-1945) 벨기에 언어학자.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 la langue grecque, 1907-1916
1867 마이어(Heinrich Maier, 1867-1933) 독일 철학자, 형이상학자. 튀빙겐 대학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다. 괴팅겐 대학에서 그리고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가르쳤는데 그 후임자가 칼 야스퍼스이다. Sokrates: Sein Werk Und Seine Geschichtliche Stellung, 1913
1869 테일러(Alfred Edward Taylor, 1869-1945), 영국 철학자, 형이상학, 관념론 전문이다. Socrates: The Man and His Thought. 1933
1888 예거(Werner Jaeger, 1888-1961) 독일 문헌학자 철학사가. 초기 그리스 철학자들의 신학(Die Theologie der frühen griechischen Denker, 1953
1890 마튜(Georges Constant Mathieu, 1890-1948) 프랑스 헬레니스트. 파리대학 문학부(현4대학) 교수. 이소크라테스의 정치적 생각들(Les Idées politiques d’Isocrate, 1925)(Paris, Belles Lettres, 1925)
-1892 책 초기 희랍 철학(Early Greek Philosophy 1892) 출판 - 버넷(John Burnet, 1863–1928) 작품이다.
1899 샹트렌(Pierre Chantraine, 1899-1974) 프랑스 언어학자, 헬레니스트. Histoire du parfait grec, 1927,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 la langue grecque, 1968-1980(4 vol.).
1901 윙베르(Jean Humbert, 1901-1980) 프랑스인 그리스전공. ENS, 소르본 교수. 박사학위논문 폴리크라테스; 소크라테스 고발과 고르기아스(Polycrate, l'accusation de Socrate et le Gorgias, 1930), 소크라테스와 소소크라테스학자들(Socrate et les petits Socratiques, 1967)
1902 쉴(Pierre-Maxime Schuhl, 1902-1984) 프랑스 철학자. 1921년 ENS. 플라톤의 상상적 허구에 관한 연구(Étude sur la fabulation platonicienne (1947)
1905 랑누(Clémence Ramnoux, 1905–1997) 프랑스 철학자. 소크라테스 이전 그리스 사상 전공 그리스 사상에서 밤과 밤의 어린이들(La Nuit et les enfants de la Nuit dans la tradition grecque, 1959)
1905 포겔(Cornelia Johanna de Vogel, 1905-1986) 네델란드 여성 철학사가, 신학자. Greek Philosophy I(1950), II(1953), III(1959).
1914 어원사전 그리스 언어의 어원사전(Dictionnaire étymologique de la langue grecque, 1907-1914) 봐자끄(Émile Boisacq 1865-1945) 벨기에 언어학자.
1922 오웬(Gwilym Ellis Lane Owen, 1922-1982) 영국 철학자, 고대철학사가. 예거(Werner Jaeger)와 로스(David Ross)를 본 따서, 그는 철학사를 발생적 방법으로 고찰하였다.
1923 볼락(Jean Bollack, 1923-2012) 프랑스 철학자, 문헌학자. 엠페도클레스(Empédocle, 1965, 1969)(3권) 파르메니데스(Parménide, de l'étant au monde, 2006)
1932 기안난토니(Gabriele Giannantoni, 1932–1998), 이탈리아 철학자. 정치가. 키레네학파(Cirenaici: raccolta delle fonti antiche 1958, 소크라테스(Socrate. 1971),
1934 리차드 소랍지(Richard Rustom Kharsedji Sorabji, 1934) 영국 서양고대철학사가
1943 파쩌(Andreas Patzer, 1943-) 독일 고대 문헌학자. Der Historische Sokrates, 1987
1968 어원사전 그리스 언어의 어원사전(Dictionnaire étymologique de la langue grecque, 1968) - 편집자 샹트렌(Pierre Chantraine, 1899-1974) 프랑스 언어학자.
(7:35, 48TMJ) (8:26, 48UKA) (10:12 48WNA) (11:25, 53LMD) (12:21, 54UKI)
# 참조, 알파벳 순
제1장 소크라테스 이전 Les presocratiques 37
**지명과 인명
오르페우스-피타고라스파의 금박판: 이에 대하여 학자들 간에 의견이 분분하다. 거드리(William K. Guthrie, 1906–1981)에 따르면 오르페우스의 것, 토마스(Taylor Thomas, 1758–1835)에 의하면 피타고라스파의 것, 지글러(Ziegler 1884-1974)와 뀌몽(Franz Cumont, 1868–1947)은 오르페우스-피타고라스파, 드띠엔(Marcel Detienne, 1935-)은 바쿠스적이이라고, 브와앙세(Pierre Boyancé 1900-1976)와 빠카르(Charles Picard, 1883-1965)는 엘류시우스 비의적이라고 한다. 다른 책으로, 이탈리아의 카라텔리(Giovanni Pugliese Carratelli,1911–2010)의 저술이 있는데, 그에 의하면 오르페우스-피타고라적인 것은 단지 이들 도시들(Hippanion, Pétélia, Pharsale, Entella, Éleutherna et Mylopotamos)만이라 한다. .
참조: Lamelles d'or orphico-pythagoriciennes (fin Ve s.-IIe s. av. J.-C.). Orphiques selon William K. Guthrie (en), pythagoriciennes selon Taylor Thomas, orphico-pythagoriciennes selon Ziegler et Franz Cumont, bacchiques selon Marcel Detienne, éleusiniennes selon Pierre Boyancé et Charles Picard. Giovanni Pugliese Carratelli (it), Les Lamelles d'or orphiques. Instructions pour le voyage d'outre-tombe des initiés grec, trad., Les Belles Lettres, 2003, 151 p. [1] Pour Giovanni Pugliese Carratelli (2001), seules sont orphico-pythagoriciennes celles d'Hippanion, Pétélia, Pharsale, Entella, Éleutherna et Mylopotamos.
에르네스트 르낭 학회 Société Ernest-Renan (fr.Wiki, 없음)
아브데라(Abdère, Ἄϐδηρα/Ábdēra)는 고대 그리스 트라키아 지방의 도시. 전656–654경에 건설되었다. 오토만 제국에 점령당하기 전에 9세기경에는 폴뤼스튈론(Polystylon, Πολύστυλον / Polístilon : « aux nombreuses colonnes »)이라 불렸다.
아크라가스, 아그리장뜨(Agrigente, noms antiques: Ακράγας / Acragas, Girgenti) 이탈리아 시실리 섬의 남서부에 있는 작은 도시. 현 인구 6만. 로도스에서 온 그리스인들이 689년에 겔라(Gela)를 개척하고 그 가까이에 있는 아크라가스(Akrágas Ακράγας)에서도 기원전 582년 경에 식민지 개척하였다.
아폴로니아(Apollonie ou Apollonia, Ἀπολλωνία, 또는 Apollonie du Pont) 밀레토스인이 건설한 도시이름(현 불가리아 소조폴 Sozopol). 이 도시이름은 그리스 전역에 여러 곳에 있다. 디오게네스(Diogène d'Apollonie, Διογένης Ἀπολλωνία, fils d'Apollothémis)의 출생지라 한다.
클라조메나이(Clazomènes, Κλαζομεναί/Klazomenaí ou Klazomenae) 그리스의 이오니아 식민도시. 오늘날 터키의 이즈미르(Izmir)가까이 있는 우를라(l’île-ville d’Urla, en grec Vourla)이다. 아마도 전5세기경에 이 도시는 반도에 있다가 페르샤 침공으로 섬으로 옮긴 것 같다. 알렉산더가 다시 반도로 옮겼다고 하며, 그 유허지는 오늘날에도 남아 있다.아낙사고라스(Anaxagore, Ἀναξαγόρας, 기원전 500-428)와 헤르모티모스(Hermotime, Ἑρμότιμος, penseur et "chaman" vers -480/500)의 고향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헤르모티모스는 아낙사고라스보다 먼저, 정신은 모든 사물의 원인이라 했다고 한다.
콜로폰(Colophon, Κολοφών/Kolophốn "au sommet") 소아시아 이오니아지방의 그리스 도시. 에페소스(Éphèse) 북동쪽에 위치한다. 시인이며 철학자 크세노폰(Xénophane 전v.570/-v.480), 시인 밈네름(Mimnerme, -v.630/-v.600), 시인 호머(Homère, 기원전 8세기말)의 고향이다.
코스(Kos ou Cos, Κῶς) 에게해에 있는 도데카네사(Dodécanèse Δωδεκάνησα, Dōdekánēsa) 군도에 있는 그리스 섬이다. 터키에서는 이스탄코이(en turc Istankoy)라 부른다. 이 이름은 호머의 일리아드(l'Iliade d'Homère)에 나온다. 고대 의학학파의 도시이기도 하다. 호메로스 시대의 의사 영웅인 아스클레피오스(Asclépios, Ἀσκληπιός/Asklêpiós, en latin Aesculapius)와 히포크라테스(Hippocrate, Ἱπποκράτης, v. 460-v. 377)는 이곳 출신이다. / 콘스탄 티노플 태생이며, 비자틴 문법학자이자 시인인 요아네스 체체스(Jean Tzétzès, Ἰωάννης Τζέτζης/Iôánnês Tzétzês, v. 1110-v. 1180)는 역사의 책(Chiliades, Χιλιάδες, or Book of Histories)에서 아스클레피아데스(Asclépiades)가계를 소개하면서 이 코스 섬의 후손들을 즉 의사 가계의 후손들을 16대를 나열하였고 16대가 아스클레피오스란다. 족보법(the ahnentafel of Hippocrates II)을 참조해보라. 프랑스어로는 (La numérotation de Sosa-Stradonitz)인데 1670년에 소사(Jérôme de Sosa)라는 프란체스코파 수사가 계보(족보) 수 매김을 설명한 한 것이 있다. (Elle fut mise au point par le franciscain et généalogiste Jérôme de Sosa en 1676 dans son ouvrage Noticia de la gran casa de los marqueses de Villafranca, reprenant en cela la méthode publiée à Cologne en 1590 par Michel Eyzinger qui avait déjà utilisé ce système de numérotation.) (47NME)
크로톤(Crotone, it. Crotone) 이탈리아 칼라브레(Calabre, Italie)에 있는 도시이름. 기원전 710년경에 아케엔족(des Achéens)과 스파르타족(des Spartiates)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도시는 재빨리 번성하여 느슨한 풍습을 지닌 시바리스(Sybaris)와 대립되었다. 전530년에, 피타고라스가 학교를 열었고, 귀족정의 법률을 부여한다. 그럼에도 450년경에는 민주정이 휩쓴다. [440년에 피타고라스학파가 쫒겨난다] 510년경에 크로톤은 시바리스를 점령하고 그 도시는 완전히 파괴된다. 이 도시는 나중에(연대 불확실) 피루스 1세(Pyrrhus Ier roi d'Épire)에 점령당하고, 277년에 다음에 로마인들이 장악한다. 194년에는 로마 식민지가 된다.
퀼론(Cylon, Κύλων / Kýlôn, s.d.) [기원전 450년경 민주정 때 이야기 인가?] 크로톤에서 가장 품위있고 부유한 인물들 중의 한사람이다. 그는 새로운 주인들(피타고라스학파들)에 반대하여 봉기를 했고 성공했다. 이 봉기에서 집들을 포위하고 불 질렀는데, 이때 크로톤의 피타고라스학자들의 주요한 집들도 파괴되었다.
델포이(Delphes, Δελφοί / Delphoí). 포시드에 있는 파르나스 산 기슭에 있는 전그리스인들의 성소의 자리이다. 여기서 아폴론의 신탁이 여사제들을, 피티(la Pythie)를 통해서 말한다. 또한 여기에는 옴팔로스(l'Omphalos ou « nombril du monde »)도 보호하고 있다. 델피는 기원6세기에서 4세기까지 그리스 세계의 진실한 중심이자 상징이었다./ 단수 델피스((δελφίς / delphís)은 호머의 시에서 돌고래« dauphin »(황태자?) 를 의미한다.
엘레아(Élée, Ελέα, Vélia pour les Romains, Velia en latin) (이탈리아 본토와 샤르데냐 섬사이의 바다를 티레니엔 해라 한다) 살레른(Salerne)만에서 가까운 티레니엔(tyrrhénienne) 해변에 있는 캄파니아(Campanie, it. Campania)지역(나폴리가 주도)에 있는 그리스인의 도시, 이 도시에서 엘레아학파가 생겼다. 크세노파네스(Xénophane), 파르메니데스(Parménide), 제논(Zénon d'Élée), 멜리스(Mélisse) 등이다. de la côte tyrrhénienne, en Campanie, près du golfe de Salerne.
엘류테르나(Eleftherna, Eleutherna, parfois Éleutherne, gr. Ελεύθερνα) 크레타의 옛 도시. 이 도시는 도리아인들이 기원전 11세기에 세웠다. 크노소스의 킨도니아와 이다 산의 성소 사이의 길이 만나는 지점에 있다. 이오니아(L'Ionie) 소아시아 지방에 위치한 고대의 역사적 지역 이름. 그리스 신화에서 나오는 이온(Ion, Ἴων/Iôn)에서 빌어왔다. 이온은 아버지로서 후토스(Xouthos) 또는 아폴론(Apollon)과 어머니 크레우스(Créuse)의 아들이다.
에페소스(Éphèse Ἔφεσος / Éphesos, en lat. Ephesus en turc Efes) 소아시아 그리스 도시들 중의 가장 중요하고 가장 오래된 도시. 이오니아 지방의 첫째 도시이며, 에게해 지역의 항구 도시였다. 케스트르(Caystre)강 하구 옆에 있다. 아르테미스에 헌정한 아르테미스신전(L’Artémision)이 있다.
메디아 왕국(le Mède, Royaume mède) fr.Wiki
고대 이란 왕국, 메디아(Médie) 이름이다. 메디아족(les Mèdes) 기원전 835년경에 처음 언급되었다. 나중에(609) 바빌론과 앗시리아 왕국을 치고 그리스로 진격하였다. 553년에 키루스 2세에게 패했다. / 키루스 2세(Cyrus II, roi vers 559 av. J.-C. à 529 av. J.-C.), 소위 키루스 대왕(Cyrus le Grand, Cyrus, vieux-persan, Kūraš, « soleil »). 그는 페르샤 제국(현재 이란 지역)의 건국자, 메디아 왕국을 계승했다. / 이 왕국의 인민으로서 메디아인들(Les Mèdes)은 페르샤에 이웃하는 이단의 인민이다. 메디아족(Les Mèdes)은 이란의 민족이다. 현재 2천년의 마지막 세기에 이란의 북서쪽에, 서쪽의 자르로스 산악지역과 남쪽의 엘부르즈 사이에 자리잡고 있는 종족이다. (47NKB)
메디아 전투(les guerres médiques)는 기원전 5세기경에 그리스인들과 아케메니드 제국의 페르샤인들 사이의 전쟁이다. 이 전쟁은 페르샤 지배에 대항하는 이오니아 지방 그리인 들의 봉기(la révolte, 반항)에서 촉발되었고, 아테네가 개입했다. 다리우스 1세(Darius Ier)와 크세르세스 1세(Xerxès Ier)의 두 번의 군사적 원정은 있었는데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이끈 그리스 도시연합이 승리 한다.
- 기원전 547년, 크레수스(Crésus) 현 터기 내륙의 리디(la Lydie)지방을 합병하다.
- 전508년에는 사모트라스 섬(l'île de Samothrace)도 페르샤가 점령하였다.
- 밀레토스가 499년 봉기(le soulèvement)를 일으키다.
- 494 Bataille de Ladé (494 av. J.-C.).
세 전투(Marathon, Salamine, Platée)이후, 페르샤에 대한 그리스 승리에 결정적 역할을 한 아테네, 그 아테네가 그리스 동맹의 주도권을 차지한다.
- 490년 마라톤 전투 Bataille de Marathon. / L'armée perse est conseillée par Hippias, l'ancien tyran d'Athènes qui espère pouvoir reprendre le pouvoir[59]. Le débarquement a lieu le 12 septembre 490 av. J.-C. (date la plus communément admise) sur une plage d'environ quatre kilomètres de long qui borde la plaine de Marathon, à quarante kilomètres d'Athènes. Les Athéniens n'attendent pas l'ennemi derrière leurs remparts, mais, conduits par le stratège Miltiade[Note 3], les hoplites athéniens et platéens, environ 10 000 hommes[Note 4], se rendent à la rencontre des Perses[60].
- 480년 살라미스 해전 Salamine Σαλαμίς / Salamís, actuellement Η Σαλαμίνα - I Salamína) est une île grecque de l'Attique, En 480 av. J.-C., l'île a également été le théâtre de la bataille de Salamine opposant la flotte grecque menée par Eurybiade et Thémistocle à la flotte perse de Xerxès Ier.
- 479년 Le 27 août 479 av. J.-C., au cours de la bataille de Platées, les troupes alliées provenant d'au moins 24 cités affrontent le gros des forces perses et grecques médisantes.
메타폰티온(Métaponte ou Metapontion ou Metapontum, aujourd'hui Metaponto) 고대 이탈리아 항구로서 타렌테 만에 있다. 이는 전8세기 경에 포세니아(phocidienne)인들의 식민지였다. [라포시(La Phocide, 포키스 Φωκίς, Phôkís)는 그리스 본토에 있다] 삼니트(les Samnites)에 의해 파괴되었다가 680년경에 시바리트(Sybarites)에 의해 재건되었다.
밀레토스(Milet, Μίλητος/Mílêtos)는 이오니아 지방의 그리스 옛도시이다. 메앙드로스(Le Méandre Μαίανδρος/Maïandros, turc: Büyük Menderes, Grand Méandre)강의 충적토에 의해 만들어졌다. 출신학자들 아낙시만드로tm(Anaximandre, philosophe grec, -610 -546) / 아낙시메네스(Anaximène) / 아르케올로스(Archélaos de Milet, philosophe grec présocratique du Ve siècle av. J.-C) / 아스파지(Aspasie, hétaÏre et compagne de Périclès, Ve siècle av. J.-C.e siècle av. J.-C.) / 산문가인 헤카테(Hécatée, logographe) / 헤시키오스(Hésychios, historien et biographe grec, VIe siècle av. J.-C.) / 도시건설가 히포다모스(Hippodamos, urbaniste et architecte, Ve siècle av. J.-C.) / 건축가 이시도르(Isidore, architecte grec, Ve et IVe siècles av. J.-C.) / 시인 포실리드(Phocylide, poète) / 시인 티모테(Timothée, poète / 철학자 탈레스(Thalès) 등이 있다. // [히포다모스(Hippodamos de Milet, Ἱππόδαμος, 전498-408) 건축가 도시계획가, 수학자, 피타고라스학파. 밀레토스 재개발 계획에 참여했을 것으로 추측. - 페르샤에 의해 기원전 486년 밀레토스 멸망, 파괴되었다.]
펠로포네소스 전쟁(La guerre du Péloponnèse, 기원전 431-404): 아테네가 이끈 델로스 동맹(la Ligue de Délos) 대 스파르타가 주도권을 쥔 펠로포네소스(la Ligue du Péloponnèse) 동맹 사이의 전쟁, 세 시기로 구분한다. la période archidamique de 431 à 421, la guerre indirecte de 421 à 412, et la guerre de Décélie de 412 à 404.
페텔리아(Pétélia) 오르페우스-피타고라스파들의 금박판(5세기 영에서 2세기 경)이 발견된 도시 (en.Wiki) 페틸리아(Petilia or Petelia) 이탈리아 반도 브루티움(Bruttium, 시실이아와 접해있는) 해변에 있는 도시. 필록테테스(Philoctetes)부족이 세웠다.
참조: Lamelles d'or orphico-pythagoriciennes (fin Ve s.-IIe s. av. J.-C.). Orphiques selon William K. Guthrie (en), pythagoriciennes selon Taylor Thomas, orphico-pythagoriciennes selon Ziegler et Franz Cumont, bacchiques selon Marcel Detienne, éleusiniennes selon Pierre Boyancé et Charles Picard. Giovanni Pugliese Carratelli (it), Les Lamelles d'or orphiques. Instructions pour le voyage d'outre-tombe des initiés grec, trad., Les Belles Lettres, 2003, 151 p. [1] Pour Giovanni Pugliese Carratelli (2001), seules sont orphico-pythagoriciennes celles d'Hippanion, Pétélia, Pharsale, Entella, Éleutherna et Mylopotamos.
사모스(Samos, Σάμος) 소아시아에 가까운 에게해에 있는 그리스 섬이다. 터키의 이즈미르(Izmir 옛 Smyrne)에서 7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이 섬은 면적 476 km2이고, 주민은 30 800명(2001 ; Samiens ou Samiotes)이다. 이 섬은 고대에 붉은 도자기로 유명했다. 그리고 청동, 보석, 건축재료 나무, 담배, 포도주, 과일들, 올리브 기름등이 유명하다.
호머의 일리아드 속에서는 사메(Samé)라 불리고 호머가 사모스라 부른 섬은 사모트라스(Samothrace)이다. 우화가 이솝(Ésope), 철학자 피타고라스(Pythagore), 수학자 아리스타르크(Aristarque), 헤라의 첫신전(l'Héraion de Samos)을 세운 건축가 로에스(Rhoèce)의 조국이다. 콘스탄티노플의 교회공동 총주교의 교구직의 자리이다. 사모스 메트로폴(La Métropole de Samos et Icarie)라는 대주교가 있는 도시란 그리스 정교의 종교생활에 참여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허가한 자리이다.
시실리아(La Sicile, it. Sicilia) 이탈리아 남단에 있는 섬, 지중해에서 가장 큰 섬이다. 25 711 km2 인구 5 046 654 hab. (31/07/2010)이다. 삼각형의 섬 중앙에 에트나(Enna)화산이 있다. 시실리아 관련 인물들: Archimède - scientifique et philosophe / Empédocle - philosophe / Diodore de Sicile - historien / Gorgias - philosophe, 출신철학자로는 겐틸레(Giovanni Gentile)가 있다.
투리오이(Thurioi Thourioi, Thurii ou Thurium) 대 그리스의 건설도시 중 하나 즉 이탈리아 타렌테 만의 도시.(현 이탈리나 남부) 기원전 452년에 건설했다. 랑 était une ville de la Grande Grèce sur le Golfe de Tarente, près du site antique de Sybaris. La fondation de la ville remontait à 452 av. J.-C., et était l'œuvre d'exilés de Sybaris et de leurs descendants qui souhaitaient repeupler le site de l'antique Sybaris.
*인명*
아에티우스(Aétius, Aetius le Doxographe, 후 1세기에서 2세기) 로마시대의 그리스 학설사가. 작가. Placita philosophorum(= Opinions des philosophes), in Hermann Diels, Doxographi Græci (Berlin, 1879, rééd. 1965), p. 267-444 (en grec). Beaucoup de correspondances avec les Eclogae physicae de Jean Stobée.
아이스퀼로스(Eschyle, Αἰσχύλος / Aiskhúlos, Sicile 525-Eleusis 456) 비극 시인이다. 『사슬에 묶인 프로메테우스(Prométhée enchainé)』/ 아이스퀼로스. 고대 아테네의 3대 비극 작가 가운데 최초의 인물. 철학자 도덕론자로서 그는 복수의 욕망에 과한 권리의 우월, 법에 관한 정의의 우월, 힘에 관한 정신의 우월을 표현했다.
알키비아데스(Alcibiade, Ἀλκιβιάδης Κλεινίου Σκαμβωνίδης /Alkibiadês Kleiniou Scambônides) 아테네의 유명한 정치가 장군. 그는 이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를 방어하기 위해 여러 번 개입한다. 알키비아데스I(le Premier Alcibiade)에서처럼 그는 소크라테스를 항상 사랑한다고 한다. / 그(전 450- 404)는 클리니아스의 아들이다. 페리클레스의 양자이다. 페리클레스는 알키비아데스의 어머니와 (이종인지 고종인지 모르지만)사촌간이다.(46UMJ)
알렉산드로스 대왕(Alexandros the Great, BC 356-BC 323.6) 마케도니아의 왕(재위 BC 336∼BC 323). 그리스 ·페르시아 ·인도에 이르는 대제국을 건설하여 그리스 문화와 오리엔트 문화를 융합시킨 새로운 헬레니즘 문화를 이룩하였다
아미나스(Aminias s.d.) 디오케타스(Diochètas, s.d.)의 아들, 파르메니데스의 친구이다. 아미나스는 파르메니데스에 연구의 취향을 갖게 했다. 이 정직한 인간은 가난하게 살았다. 파르메니데스가 그의 죽음 이후에 작은 무덤을 세우게 했다.
아낙사고라스(Anaxagore, Ἀναξαγόρας, 기원전 500-428): 이오니아 클라조메네(Clazomènes en Ionie), 전체(Tout)밖에 정신(Noûs)있다. 태양을 불타는 돌이다.
아낙시만드로스(Anaximandre, Ἀναξίμανδρος/Anaxímandros 기원전 610-546): 무규정자(l'indétermine, apeiron)
아낙시메네스(Anaximène Ἀναξιμένης/Anaximếnês, 기원전 59?/585-524/525) : 공기(l'air) vers 585 av. J.-C., mort vers 525 av. J.-C.
안티폰(Antiphon, Ἀντιφῶν, Rhamnos, Attique v.-480–Athènes -410) 아틱지방의 고대 10대 연설가중의 한사람이다. 쾌락주의자에 속한다. 해몽술(onirocrisie) 점, 언어 치료술등의 영역에 지혜가 있다. Oxyrhynchus Papyri 1915[이 파피루스는 영국의 이집트 탐험학회에서 발표한 것이다.]
아르케라오스(Archélaos de Milet, Άρχέλαος) 철학자. 아낙사고라스의 제자이며 소크라테스의 스승들 중의 하나이다. 아테네에 살면서 이오니아의 자연철학을 가르쳤다.
아르키포스(Archippos); 후기 피타고라스 학파인물. 장블리코스에 따르면, 퀼론의 부하들이 피타고라스 형제애[종파]들을 금지하고 집들에 불을 질렀는 데, 살아서 피했던 사람들은 둘이다. 아르키포스와 리쉬스이라고 한다. 풀타크에 의하면 살아남은 자들은 필로라오스(Philolaos)와 뤼시스(Lysis de Tarente) 이다. 화재이후 아르키포스(Archippos)는 타렌스(Tarence)로, 뤼시스는 테베(Thèbes)로 돌아갔다고 한다.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 Ἀριστοφάνης /Aristophánês, 450-386)는 그리스 아테네 희극작가이다. 구름들(les Nuées, Νεφέλαι / Nephélai, 423) 이 작품에서 소크라테스를 쇠파리(Les Guêpes, Σφῆκες/Sphễkes)라 불렀다. 새들(les Oiseaux, 414), 개구리들(les Grenouilles, 405)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Ἀριστοτέλης/Aristotélēs, 384-322: 62살) 스타지르(Stagire)에서 탄생. (플라톤 나이 33세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367년(17살)에 플라톤의 나이 50살에 아카데미아 입학했다고 한다.
아리스톡세노스(Aristoxène de Tarente, Ἀριστόξενος ὀ Ταραντίνος, 기원전 4세기영) 타란데 출신. 반플라톤주의 소요학파 그리스 철학자. 기원전 330년경에 활동. 음악과 리듬 이론가. 화음론(Éléments harmoniques, Άρμονικὰ στοιχεῖα). 그는 음악을 수학과 별도의 학문으로 만들었다. 그러기 위해서 두 개의 기준, 하나는 청각(l'oreille, αἴσθησις)과 합리적 추론(a pensée rationnelle, διάνοια)을 기초로 하였다.
방셀(Jean Larguier des Bancels, 1876-1961) 스위스 생물학자, 교육자. 심리학자. 1902 파리에서 생물과학을 박사학위를 했다. 「Sur les origienes de la notion de l'âme, à propos d'une interdiction de Pythagore」 dans Archives de Psychologie, XVII, 1918.
베르나이스(Jacob Bernays, 1824-1881) 독일 문헌학자. 사서직. 유태인으로 랍비의 아들. 하빌리타찌온을 했으나 개종하지 않아서 사서직에 있었다. 그는 프로이트 부인(Martha Bernays, femme de Freud)의 삼촌이다.
비데(Joseph Marie Auguste Bidez, 1867-1945) 벨기에 고전문헌연구자. 사가. 엠페도클레스 전기(La biographie d'Empédocle, 1894)
비뇬(E. Bignone, s.d.) 영,프위키에 없음. 이탈리아철학자? Bignone, Empédocle, Studio critico, Turin, 1916 p. 570.
보드레로(Emilio Bodrero, 1874-1949) 이탈리아 철학교수. 엠페도클레스(Empedocle 1910) E. Bodrero, 프로타고라스(Protagora 1914) Rivista di filologia, XXXI, p. 558.
볼락(Jean Bollack, 1923-2012) 프랑스 철학자, 문헌학자. 엠페도클레스(Empédocle, 1965, 1969)(3권) 파르메니데스(Parménide, de l'étant au monde, 2006)
부르제(L. Bourgey, s.d.) .. L. Bourgey, Observation et expérience chez les médecins de la collection hipporatique, Paris, 1953.
브로샤르(Victor Brochard, 1848-1907) 프랑스 철학자, 고대그리스 철학사 전공, 그리스 회의주의자들(Les Sceptiques grecs, 1887) 이작품은 니체가 이용하며 고맙게 생각한 것이라 한다. Études de philosophie ancienne et de philosophie moderne, 1912에서 「Zénon d'Elée」 3-22. 마르셀 프루스트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브리쇼(Brichot)의 주인공의 모델이란다.
브룅(Jean Brun, 1919-1994) 프랑스 철학자. 고대철학 전공. 엠페도클레스(Empédocle, 1966)
버넷(John Burnet, 1863–1928) 스코틀랜드 출신 플라톤 전공자. 초기 희랍 철학(Early Greek Philosophy)(1892. 4th edition, 1930)(fr,. L'aurore de la philosophie grecque, tr. Reymond, 1919) 그는 옥스퍼드에서 1900-1907년에 플라톤 판본을 낸다.
바이워터(Ingram Bywater 1840–1914) 영국 그리스 고전연구자. 에페소스의 헤라클레이토스 단편들(Heracliti Ephesii Reliquiae (1877), Prisciani Lydi quae extant (edited for the Berlin Academy in the Supplementum Aristotelicum, 1886) Aristotle, Ethica Nicomachea (1890), De Arte Poetica (1898), Contributions to the Textual Criticism of the Nicomachean Ethics (1892). [프리스키아노스(Priscien de Lydie, Πρισκιανός Λυδός / Priskianós Lydos, en lat. Priscianus Lydus en. Priscian, fl. 6세기, 532년경죽음) 리디아 출신(Lydie) 아테네 네오플라톤주의의 마지막 인물 중의 하나이다. 두 작품이 있다. 감관의 지각에 관한 테오프라스토스의 전형(une incarnation de Théophraste, Sur la perception des sens(en.eng. An epitome of Theophrastus' On Sense-Perception), Réponses à Chosroès, Solutiones ad Chosroem)(Answers to Chosroes)
칼리클레스(Calliclès Καλλικλῆς) 고르기아스의 맞이한 주인. 그는 소피스트의 고객일 구성하는데 공공연하게 전형적 인물이다. 플라톤이 발명한 소피스트로서 보증할 만한 인물이며, 현존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 소크라테스에 이의를 제기하는 그는 힘과 연약함을 대립시키는 귀족정 옹호자의 인물로 설정되었다.
칼로게로(Guido Calogero, 1904–1986) 이탈리아 철학자. G. Calogero, Studi sull'Eleatismo, Rome, 1932
카피찌(Antonio Capizzi, 1926–2003) 이탈리아 철학자, 역사학자. 프로타고라스: 문헌들과 단편들?(Protagora. Le testimonianze e i frammenti, 1955)]
체니스(Harold Fredrik Cherniss, 1904–1987) 미국 고전철학, 그리스 전공자.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주의(Aristotle's Criticism of Presocratic Philosophy, 1935) 플라톤과 아카데미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주의(Aristotle's Criticism of Plato and the Academy, 1944)
치아펠리(Chiapelli, s.d.) .. Chiapelli, Sui fragmenti e sulle dottrine di Melisso di Samo (Rendiconti della Academia degli Lincei) 1890.
키케로(Cicéron, Marcus Tullius Cicero, av. 106-43) 로마 철학자. 정치가
클리브(F. M. Cleve, s.d.) 영국? 네델란드?, F. M. Cleve, The philosophy of Anaxagoras, 1949.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 1473-1543)는 행성의 겉보기 운동을 설명해주는 색다른 가설을 냈다.
콘포드(Francis Macdonald Cornford, 1874–1943) 영국 고전학전공, 신화역사가 투키디데스(Thucydides Mythistoricus 1907), 종교에서 철학으로(From Religion to Philosophy: A Study in the Origins of Western Speculation 1912), 지혜의 원리: 그리스 철학적 사유의 기원(Principium Sapientiae: The Origins of Greek Philosophical Thought(posthumously published, 1952).
크라티노스(Cratinos, Κρατίνος/Kratínos, en lat. Cratinus, 전520경—423경) 아테네 출신, 희극시인.
크라튈로스(Cratyle, Κρατύλος / Kratýlos 5세기경)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전하는 바로는 플라톤이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기전에 제자였다고 하고,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의하면 소크라테스에게 배우고 난 뒤에 크라튈로소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크리티아스(Critias Κριτίας/Kritías ?460 et 450-기원전 404/3) 아테네 정치가, 철학자, 시인이다. 글라우콘의 조카이다. 글라우콘은 플라톤의 할배이다. 결국 플라톤과 사촌간이다.
알프레드 크르와제(Alfred Croiset 1845-1923) 프랑스 헬레니스트이며 1886 비명문예아카데미 회원. / 모리스 크르와제(Maurice Croiset, 1846-1935) 프랑스 헬레니스트. ENS 출신, 1903년 비명문예아카데미 회원 Aristophane et les partis politiques à Athènes, 1906
다리우스 1세(Darius Ier, 전550경-전486, en vieux-persan Dārayawuš, en gre. Δαρεῖος / Dareios) 페르샤 제국의 아케메니데스(Achéménides)왕조의 왕이다. 이오니아 지방을 점령하고 도시들을 파괴시켰다.
들라뽀르뜨, Delaporte, La Mesopotamie, 1923, p.260-261 참조. 이들의 수학적 인식에 관해서는 다음 자료를 참조하시오. Thureau-Dangin, Revue d'Assyriologie, 1940, [들라뽀르뜨(Delaporte, s.d.) La Mesopotamie, 1923, / 뛰로-다냥(François Thureau-Dangin 1872-1944) 프랑스 앗시리아학자, 고고학자, 비명학자. 앗시리아학의 창설자중의 한 사람이다]
들라뜨(A. Delatte, s.d) 벨기에 학자? 프랑스언어 사용?.] 피타고라스 전공자..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에서 피타고라스의 생애(La vie de Pythagore, de Diogène Laërce, 1922), 피타고라스학파의 정치학(La Politique pythagoricienne, 1922)
데모크리토스(Démocrite, Δημόκριτος/Dêmókritos, «choisi par le peuple», 전v. 460-v. 370)(90살?) 아브데라( Ἄϐδηρα/Ábdēra) 출신이다. 원자론자 53권의 저술을 썼으나 남아있지 못하다. [소크라테스에 비해 10여 년 어리다. 플라톤 보다 33살정도 많다.]
- 다이몬 démon (δαίμων / daímôn, lat. daemon, fr. démon) 이 단어는 정신« esprit », 정령« génie », 단골(un« familier »)을 뜻한다. 요즘에 들어서, 크리스트교에서 악마(démon)처럼 쓰이고, 많은 문화에서는 현재있는 피조물들을 지칭한다.
드띠엔(Marcel Detienne, 1935-) 벨기에 출신 프랑스 대학인, 그리스 연구자
디케(Dicé ou Diké, Δίκη / Dikê) 도덕과 형벌의 관점에서 인간적 정의를 인격화한 것이다. 아테네에서 기원전 5세기경에 철학적 분위기에서 도덕적 정의(la justice morale)의 여신으로 인격화 될 수 있었다.
헤르만 딜스(Hermann Alexander Diels, 1848–1922) 독일 그리스 고전학자. 그리스 학설사(Doxographi Graeci, 1879)(재 1929),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에 대한 심플리키우스(Simplicii In Aristotelis Physicorum libros quattuor priores commentaria (2 vol. 1882–1895)(재 1962), 소크라테스 이전시대의 단편들(Die Fragmente der Vorsokratiker, 1903) 파르메니테스의 교훈시(Parmenides Lehrgedicht, 1897),
디에스(Auguste Diès, 1875-1958) 프랑스 고위성직자(주교이상) 문학박사. 대학학장, 헬레니스트 -신비적 순환: 소크라테스이전 철학에서 개별적 현존들의 신성, 기원 그리고 종말(Le Cycle mystique. La divinité, origine et fin des existences individuelles dans la philosophie antésocratique, 1909
디오게네스(Diogène d'Apollonie, Διογένης Ἀπολλωνία, fils d'Apollothémis) 밀레토스의 아폴로니에서 태어나다 아낙시메네스 제자, 아낙사고라스와 동시대. / 아폴로니아(Apollonie ou Apollonia, Ἀπολλωνία, 또는 Apollonie du Pont) 밀레토스인이 건설한 도시이름(현 불가리아 소조폴 Sozopol). 이 도시이름은 그리스 전역에 여러 곳에 있다.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Diogène Laërce, Διογένης Λαέρτιος / Diogenês Laertios, lat. Diogenes Laertius, 기원후 3세기경) 그리스 시인 학설사가(doxographe) 전기작가. 시실리아 출신, 그에 관해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가 전하는 것 중에 그가 유일하게 전하는 것은 에피큐로스 편지와 격률들 그리고 몇몇 철학자의 유언등이 있다. 저작으로는 유명 철학자들의 생애, 학설, 명제들(Vies, doctrines et sentences des philosophes illustres(titre parfois abrégé en Vies des philosophes) 두 판본 -1* Λαερτίου διογένους βίων καὶ γνωμῶν τῶν ἐν φιλοσοφία εὐδοκιμησάντων καὶ τῶν ἑκάστη αἱρέσει ἀρεσάντων τῶν εἰς δέκα τὸ πρῶτον (manuscrit de Florence : De Diogène Laërce, vies et pensées de ceux qui en philosophie se sont illustrés, et recueil des doctrines de chaque école en dix livres - livre premier) -2* Λαερτίου διογένους βίοι καὶ γνῶμαι τῶν ἐν φιλοσοφία εὐδοκιμησάντων καὶ τῶν ἑκάστη αἱρέσει ἀρεσκόντων (manuscrit de Paris)
도즈(Eric Robertson Dodds, 1893–1979) 아일랜드 고전학자. 그리스인과 비합리(The Greeks and the Irrational, 1951)
뒤프레엘(Eugène Dupréel, 1879-1967) 벨기에 철학자. 도덕론 전공, 소피스트들(Les sophistes; Protagoras, Gorgias, Prodicus, Hippias, 1948) (Neuchatel/ Paris Editions du Griffon/ P.U.F. "Bibliotheque scientifique. 14. Philosophie et histoire")
디로프(Adolf Dyroff, 1866-1943) 독일 철학자. A. Dyroff, 데모크리토스 연구(Demokritstudien, 1899)
에이레네(Eiréné ou Irène, Εἰρήνη / Eirếnê) 제우스와 테미스의 딸, l'une des trois (ou cinq) Heures et incarne la Paix.
엠페도클레스(Empédocle, Ἐμπεδοκλῆς, 490-435) 시실리 아크라가스(Ακράγας, 아그리장뜨Agrigente)출신, 4원소(물, 공기, 흙, 불) 사랑과 증오 (소크라테스보다 25년쯤 선배)
에파메이논다스(Épaminondas, Ἐπαμεινώνδας/Epameinốndas, v.418-362) 테베의 장군. 그의 아버지 폴림니스(Polymnis)는 타렌테 출신 뤼시스를 한동안 받아들였다. 뤼시스는 기원전 440에 시실리아에서 피타고라스 학파 학살에서 추방되어 테베로 갔다. 에파마이논다스는 뤼시스로부터 매우 질 좋은 교육을 받아 장군이 되었다.
에피메니데스(Epimenides of Knossos, Ἐπιμενίδης) 크레타 출신 7세기에서 6세기 철학자 시인, “크레타인은 항상 거짓말쟁이다”는 거짓말쟁이 역설
에리누에스(les Érinyes Ἐρινύες / Erinúes, d'ἐρίνειν / erínein, « pourchasser, persécuter »), ou parfois « déesses infernales » (χθόνιαι θεαί / khthóniai theaí), 박해하는 신성이다. 아이스킬로스에 따르면(Selon Eschyle) 이 여신들은 셈나이(σεμναὶ / semnaì, « vénérables »)로 변형된다. / 이 여신들은 로마인들에게서는 화, 분노(Furies, en latin Furiæ ou Diræ)에 해당한다.
에스피나스(Alfred Victor Espinas, 1844-1922), 프랑스 사회학자. 기술의 기원들(Les Origines de la technologie: étude sociologique, 1897), 18세기 사회철학과 프랑스 혁명(La Philosophie sociale du XVIIIe siècle et la Révolution (1898)
에우노미아(Eunomie, Εὐνομία / Eunomía) est une déesse mineure. Son nom est aussi un nom commun qui peut se traduire en français par « ordre bien réglé, bonne législation, justice, équité »
에우리피데스(Euripide, Εὐριπίδης / Euripídês, Salamine 480 -Macedoine 406) 소크라테스(Socrate, 470-399)의 친구였다. 인간의 성격을 다룬 비극시인 안티오페(Antiope, Ἀντιόπη)(vers 410) [이 작품은 사라졌다. 그래서 안티오페가 정확하게 누군지 모르겠다. 테세우스의 아들 히폴리트의 계모, 아마존의 여왕인 이 사람은 아닌 것 같다.]
프란크(E. Franck, s.d.) E. Franck, Plato und die sogenannten Pythagoreer, Halle, 1923.
프랭켈(Hermann Ferdinand Fränkel, 1888-1977) 독일-미국인 그리스 고전문헌학자. 초기 그리스 정신의 시와 철학(Dichtung und Philosophie des frühen Griechentums, 1951) 초기 그리스 사유의 길과 형식(Wege und Formen frühgriechischen Denkens, 1955(1961 재판)
프레이저(James George Frazer, 1854-1941) 스코틀랜드 인류학자. 황금 가지: 마법과 종교의 연구(The Golden Bough: a Study in Magic and Religion(1st edition, 1890) 황금가지(The Golden Bough 1890), Rameau d'or ,
갈레노스(Claude Galien, Κλαύδιος Γαληνός / Klaúdios Galīnós, en lat. Claudius Galenus, 129경-201) 고대 의사. 약학의 아버지. 중세 의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게프켄(Karl Heinrich Johannes Geffcken, 1861-1935) 독일 고전 문헌학자. 그리스 문학전공 Die Asebeia von Anaxagoras, Hermes, XLII, no 1.
곰페르쯔(Theodor Gomperz, 1832-1912) 오스트리아 철학자, 고전문헌학자. 헤라클레이토스와 헤로도토스의 작품들이 있다. 헤라클레이토스 학설과 그의 작품들의 유물(Zu Heraklits Lehre und den Überresten seines Werkes, 1887) 의술의 옹호(Die Apologie der Heilkunst, 1890) 그리스 사상가들: 고대 철학의 역사(Griechische Denker. Eine Geschichte der antiken Philosophie, 1896-1909)(3권)
/ 아들 곰페르쯔(Heinrich Gomperz, 1873-1942) 오스트리아 철학자. 심리학에 관한 저술이 있다. 소피스트와 수사학(Sophistik und Rhetorik, 1912) 헤라클레이토스의 몇몇 단편들의 순서(Reihenfolge einiger Bruchstücke des Heraklits, 1923는 deu.Wik에서 두 사람에게 나오지 않는 작품인데, 아마도 아들이 아버지의 작업을 유작으로 낸 것이 아닌가 추측해본다.
윌리엄 거드리(William Keith Chambers Guthrie, 1906–1981) 스코틀랜드 그리스 고전학자. 오르페우스와 그리스 종교: 오르페우교 운동의 한 연구(Orpheus and Greek Religion, a study of the Orphic Movement, (1935)(개정판, 1952), 그리스 철학사(History of Greek Philosophy(1962-1981)
해리슨(Jane Ellen Harrison, 1850–1928) 영국 고전학자, 언어학자, 여성주의자. 그리스 종교 연구 서설(Prolegomena to the Study of Greek Religion, 1903)(개정판 1908, 1922)
헤카타이오스(Hécatée de Milet Ἑκαταῖος / Hekataïos 전 550경-480경) 밀레토스 출신 산문가(le Logographe), 역사가 지리학자. 아낙시만드로스와 그는 그리스세계의 지도를 그린 초기 과학자.
헬라니코스(Hellanicos, Ἑλλανικός/Hellanikós, 기원전 5세기경 불확실하지만 480 et 395에 죽었다) 그리스 산문가(un logographe gre) 그의 저술은 주로 신화서술(la mythographie)과 인종서술(l’ethnographie)에 있다. 투키디데스가 비판함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역사서술( l’historiographie grecque)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신화, 인종에 관한 많은 작품을 쓰고 아테네 역사도 서술했다. 투키디데스가 비판하지만 그도 그를 이용하고 있다.
헤라클레이토스(Héraclite d'Éphèse, Ἡράκλειτος ὁ Ἐφέσιος / Hêrákleitos ho Ephésios)(전544-480년경) 에페소스 출신 기원전 6세기 말경의 그리스 철학자. [수다(Souda)에 따르면,Sur la nature (Περὶ φύσεως / Perì phýseôs) 또는 Mousai, les Muses라는 작품이 있다. 여기는 세부분으로 되어있다. Sur le tout ou Sur l'univers (en grec ancien Περὶ φύσεως), Sur la politique et Sur la théologie.]
우주[자연]에 관하여(Sur le tout ou Sur l'univers (en grec ancien Περὶ φύσεως), 정치에 관하여(Sur la politique)(Sur le Régime), 신학에 관하여(Sur la théologie)이다. 이 분류는 헬레니즘 시대에 시작된 학적 분류를 기초로 하는 시대착오(un anachronisme)에서 유래한다. Sur Régime [나로서는 이 삼 분류는 매우 흥미있는 것이다. 심층(자연) 표면(생활) 상층(이상으로서 신)이다. 철학사를 관통하는 이 분류를 플라톤에서는 심층(티마이오스, 필레보스), 표면(국가 소피스트, 테아이테토스) 상층(법률, 크리티아스)인 셈이다. (47MLA)]
헤로도토스(Herodotos, Ἡρόδοτος/Hêródotos 484?-430, 420?) 그리스의 역사가. 고대에 창작된 최초의 위대한 이야기체 역사인 그리스와 페르시아 전쟁의 역사(Histoires, Ἱστορία / Historía Historiae(〈페르시아 전쟁사〉라고도 함)(서설+9권)를 썼다
헤카타이오스(Hécatée de Milet, Ἑκαταῖος / Hekataïos, 550경-480년경) 산문으로 쓴 그리스 역사 지리 작가.
히케타스(Hicétas, Ἱκέτας or Ἱκέτης; ca. 400 – 335전) 전4세기경 그리스 천문학자, 철학자. 시라쿠스 태생으로 360년경에 활동하였다. 천문학자 엨판토스(Ecphantos, Ἔκφαντος)는 그의 제자이다. 이 둘은 태양중심으로 지구가돈다고 주장했다.
헤시오도스(Hésiode Ἡσίοδος/Hêsíodos, en lat. Hesiodus, 기원전 7세기) 그리스 시인. 보에티 지방의 아스크라(Ascra de Béotie) 출신으로 추측. La Théogonie (Θεογονία / Theogonía) Les Travaux et les Jours (Ἔργα καὶ Ἡμέραι / Erga kaì Hêmérai)
히포크라테스(Hippocrate, Ἱπποκράτης / Hippokrátēs, v. 460-v. 377) 그리스 의사이다. 그는 데모크리토스(Démocrite, gr. Dêmokritos, v. 460-v. 370)와 고르기아스(Gorgias)와 더불어 공부했다. 소크라테스(469-399)보다 열 살 정도 어리다.
히피아스(Hippias d'Élis, Ἱππίας 443-396/390) 펠레포네소스 반도 북서부 엘리스(Élis, Ήλις) 출신인, 엘레아의 귀족이었다. 플라톤의 작품에 나온다.
히폴리트(Hippolyte, Hippolyte de Rome, v.170–†235) 교회전통에 다르면, 해석학자(un savant exégète) 신학자. 말시밀리안 1세(Maximin Ier le Thrace)치하에서 사르데냐(Sardaigne)에서 반교황파로 순교했다.
위-히폴리트(Pseudo-Hippolyte de Rome (= Josippe ?)) 위의 히폴리트에 이름을 빌어 쓴 저자들이 많단다. Réfutation de toutes les hérésies (vers 230), Archè, 1991. Autres titres : Elenchos (Réfutation), Philosophoumena (car le livre I traite des philosophes), Refutatio omnium haeresium (version latine).
히폰(Hippon, Ἵππων, 전5세기) 철학자. 설에 의하면 다양한 출신지로 묘사된다. 즉 Rhegium,[1] Metapontum,[2] Samos,[3] and Croton,[4]
호메로스(Homère Ὅμηρος / Hómêros, 기원전 8세말« otage » ou « celui qui est obligé de suivre » ) 유명한 시인. 별칭« le Poète » (ὁ Ποιητής / ho Poiêtếs) 일리아스(Iliade, Ἰλιάς / Iliás)와 오딧세이아(Odyssée, Ὀδύσσεια / Odússeia)의 저자로 여긴다.
이소크라테스(Isocrate, Ἰσοκράτης / Isokrátês, 전436–338) 아테네 10연설가 중의 한사람 수사학파 창시자. 일찍이 그의 아버지가 풀륫제작으로 돈을 벌어 중류가정이 되었고, 이소크라테스는 소크라테스에게 배웠고, 그에게도 유명한 제자들이 많다. 그와 그의 제자들는 교육에 관심이 많았다. 수줍어서 연설문 작성자(logographe)였다고 한다. [평민 출신] 8살 선배인 그를 플라톤이 경쟁자로 생각했다. 니콜레스는 그의 제자이다 니콜레스(Nicoclès)(roi de Chypre et fils d'Évagoras), 소피스트 취향의 특성이 있는 엘렌 찬미(Éloge d'Hélène, 그의 교육에 관한 견해가 들어있는 소피스트들에 반대하여(Contre les Sophistes), / 그의 영향으로 아프토니오스(Aphthonios)가 있으며, 그는 4세기말 그리스 수사학자. 그는 또한 아마도 리바니오스의 제자. <"Ἰσοκράτης τῆς παιδείας τὴν ῥίζαν πικρὰν ἔφη, γλυκεῖς δὲ τοὺς καρπούς." Isocrates said that, "the root of education is bitter, but the fruits are sweet."(From the Progymnasmata of Aphthonios. A similar sentence is found in the Progymnasmata of Libanios.)> 예비훈련(Progymnasmata)(모음집)
예거(Werner Jaeger, 1888-1961) 독일 문헌학자 철학사가. 초기 그리스 철학자들의 신학(Die Theologie der frühen griechischen Denker, 1953(The Theology of the Early Greek Philosophers, 1947)
쟝블리코스(Jamblique, Ἰάμβλιχος, Iamblicos 242년경-325)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전집의 일부로서 작품 피타고라스의 생애(Vie de Pythagore, βίος πυθαγορικός), 프로트렙티끄(장려) 즉 철학의 권고(Protreptique, Exhortation à la philosophie(contient des fragments du jeune Aristote sur la Protreptique) (en trad. latine : Protrepticus) ... // ? 뤼시스(Lysis, s.d.) /? 히파르코스(Hipparque, Ἵππαρχος 전v.190–전120) 그리스 천문학자 지리학자, 수학자. // 히파르코스(Hipparque le Pythagoricien, 기원전 4세기영) 그리스 철학자.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가 전함에 의하면 데모크리토스의 죽음(370년)에 참여했다고 함 109살을 살았다고, 쾌락철학자라고 한다 / 두 사람(Clément d'Alexandrie et Jamblique)이 전하는 바 Lettre de Lysis à Hipparque에서 뤼시스는 히파르코스가 피타고라스학파의 비밀을 배반했다고 비난했다. 히파르코스는 추방당하고 죽음으로 간주하는 묘지를 세웠다고 한다. 그런데 편지는 의심스럽고, 또한 히파르코스는 히파즈(Hippase de Métaponte)와 혼동될 수 있다. (47MKG)
쟝메르(H. Jeanmaire, s.d.), ?? H. Jeanmaire, Dionysos, Histoire du culte de Bacchus, 1951.
쟈니에르(Abel Jeannière, s.d.) 프랑스 철학자?, 소크라테스 이전 전공자. 에페소스의 헤라클레이토스의 사유(La pensée d'Héraclite d'Epèhse, 1950)(Paris), 소크라테스이전 철학자들: 그리스 사유의 여명(Les Présocratiques: l’Aurore de la pensée grecque, 1966)(Le Seuil, coll. « Écrivains de toujours », Paris,)
카프카(Kafka, s.d.), Zur Physik des Empedokles, Philologus, vol. 78. p. 283. [소설가 카프카(Franz Kafka, 1883–1924)는 아닌듯하다. 독일위키에 20명 정도 있지만 고전연구자로서 카프가는 찾을 수 없다.]
커크(Geoffrey Stephen Kirk, 1921–2003) 영국 고전철학자. 고대 그리스 문학과 신화전공. 헤라클레이토스: 우주에 관한 단편들(Heraclitus, The Cosmic Fragments, 1954), 「Logos, harmonie, ... dans Héraclite(헤라클레이토스에서 로고스와 조화)」, Revue Philos., 1957, p. 289-299.
쿠차르스키(P. Kucharski, s.d.) 폴란드계? P. Kucharski, Etude s ur la doctrine pythagoricienne de la Tétrade, Paris, 1952.
레비(M. Levi, s.d.) 이탈리아철학자?, Senofane et la sua filosofia, Turin, 1904.
레비(Isidore Lévy, 1871-1959) 동방셈족의 고대사 전공, 꼴레쥬 드 프랑스 교수(1932-1945). 피타고라스 전설의 근원에 관한 탐구(Recherches sur les sources de la légende de Pythagore, 1926
레비-브륄(Lucien Lévy-Bruhl, 1857-1939) 프랑스 철학자, 사회학자, 인류학자. 열등사회에서 정신적 기능들(Fonctions mentales dans les sociétés inférieures, 1918), 원초적 정신성(La Mentalité primitive, 1922)
류키포스(Leucippe, Λεύκιππος / Leúkippos 480년경 v. 460 ?- 370 av. J.-C.), 원자론 창시자(?) 440년 주로 활동- 그래야 데모크리토스의 스승이 될 수 있지 않을까? 데모크리토스는 430년경에 주로 활동
류크레티우스(Lucrèce, Titus Lucretius Carus, 기원전98-55) 에피큐로스 학파 로마 시인, 『사물의 본성에 대하여(De rerum natura)』(De la nature des choses)
메오띠(G. Méautis, s.d.) 발표지명으로 보아 스위스인? G. Méautis, 피타고라스주의 탐구(Recherches sur le pythagorisme, 1922)(Recueil de travaux de la faculté des lettres de Neuchâtel) 1922.
멜리소스(Mélissos de Samos, Μέλισσος ὁ Σάμιος/Mélissos ó Sámios) 그리스철학자. 정치가, 이오니아 제독. 엘레아 학파 최후의 인물 444년경에 활동
몬돌포(Rodolfo Mondolfo, 1877–1976) 이탈리아 철학자. L'infinito nel pensiero dei Greci, 1934; 재판본은 제목이 좀 바뀌었다. (L'Infinito nel pensiero dell'antichità classica, Bompiani, 1956). 젤러(E. Zeller)와 함께 그리스의 철학(La filosofia dei Greci)(I, 4, 1961) L'infinita dell'Essere in Melisso, 1993, Sofia, p. 159.
나우크(August Nauck, 1822-1892) 독일 문헌학자. Euripidis tragoediae(Leipzig 1854, Bd. 1 u. 2; 3. Aufl. I871; Bd. 3 [Fragmente] 1869)
네스틀레(Wilhelm Albrecht Nestle, 1865-1959) 독일 고전문헌학자. Die Schrift des Gorgias über die Natur, Hermes, LVII, 1922, p.51. 그의 아들 발터(Walter Nestle, 1902–1945)도 고전문헌학자이다. // 네스틀레(Eberhard Nestle, 1851-1913) 독일 신학자, 동방학자. 그리스어 신약(Nouveau Testament grec)편집자이다.
올리비에리(A. Olivieri, s.d.) 이탈리아 고전학자? A. Olivieri, Civilia Greca nell'Italia Meridionale, Naples, 1931.
오니언스(Richard Broxton Onians, 1899-1986) 영국 고전학자. 런던대 교수. 유럽 사상의 기원: 신체, 정신, 영혼, 세계, 시간, 운명에 대하여(The Origins of European Thought: About the Body, the Mind, the Soul, the World, Time and Fate, 1951).
오노마크리토스(Onomacrite Ὀνομάκριτος,/Onomacritos, 전 6세기경)는 그리스 고문헌학자(chresmologue?) 신탁 수집가(un compilateur d'oracles, 표절자) 아테네에서 참주 히파르코스(Hipparque à Athènes)시기에 살았다. 그는 무사이온의 시들을 모았다고 한다. 헤로도토스(Hérodote) 에 따르면, 목가적 시인 라소스(Lasos d'Hermione)가 점쟁이 오노마크리토스의 사기를 증명해서 히파르코스 왕이 그를 추방했다고 전한다. 그리고 나서 둘째 메디아 전쟁(la seconde guerre médique, 그리스 대 페르샤 전쟁) 조금 전에, 페이시스트라 부족(les Pisistratides)은 오노마크리토스와 화해를 했다. 그는 크세르세스 왕 앞에서 새(鳥 조)점 신탁을 한 적이 있다. 포지아니아스(Pausanias)에 따르면 디오니소스 재현에서 오르지(les Orgies)라 불리는 시를 구성했고, 여기에서 오르피즘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있다고 한다. / 무사이오스(Musée, Μουσαῖος/Mousaîos) 그리스 신화의 시인. 다양한 근원에 따르면, 그는 오르페우스의 아들(le fils d'Orphée)이라고 하기도 하고, 안티페모스의 아들(fils d'Anthiphémos)이라고 하기도 한다./ 페이시스트라토스(Pisistrate, Πεισίστρατος/Peisistratos, vers 600-527 av. J.-C) 아테네 참주. 귀족가문출신이다. 솔론의 개혁 이후에 귀족정이었으나, 가난한 농민을 대표가 되어서 참주제로 만들었다. / 이집트 27왕조를 다스린 크세르크세스1세(Xerxès Ier, ou Assuérus Ier, Perse: خشایارشا, Khšāyāršā, Vieux-persan: Xšayāršā, 전519-전465)의 일원이며, 아케메니데스 왕조의 페르샤의 왕이다. 크세르세스라는 명칭은 마네톤이 21년간 통치에 붙인 이름이라 한다. / 마네톤(Manéthon de Sebennytos, Μανέθων, Μανέθως, 기원전 3세기) 이집트사(Histoire de l'Égypte (Ægyptiaca)를 쓴 이집트 신관(프톨레마이오스조)
오르페우스(Orpheus, Ὀρφεύς) 그리스 신화와 종교에서 전설의 시인 음악인.
파르메니데스(Parménide, Παρμενίδης/ Parmenídês, 기원전 540-450) 존재가 있다(L'Etre est) / fr.Wiki 520/510 - vers 450-448.
페리클레스(Périclès, Περικλῆς / Periklễs, v. 495-429) 아테네의 장군
페트론(Pétron s.d.) 피타고라스 학파의 초기 학자. 세계의 수가 183과 같다고 했다. [183x3= 336, 일년의 계산이 아닐까 즉 태양의 위치상으로 반년이란 세상이 있다].
파니아스(Phanias, Φανίας 전 4세기경) 소요학파 철학자. 식물학자. 레스보스 섬 에레즈( Érèse sur l’île de Lesbos)에서 태어났다.
필리스티온(Philistion de Locres, Philistion de Sicile, Φιλιστίων, 기원전 4세기 전반 활동) 그리스 자연학자, 의사.
페레퀴데스(Pherecydes of Syros, Φερεκύδης, 6세기경 활동) 우주발생론 저자이다. 피타고라스 학파일 것이다.
삐까르(Charles Picard, 1883-1965) 프랑스 역사가 고고학자. 고대 그리스 전공 Manuel d'archéologie grecque(la sculpture, vol. I (VIIe – VIe siècle av. J.-C., 1935), 이 책의 총서(4권)은 1963년에 완성한다.
핀다로스(Pindare Πίνδαρος/Píndaros 전518-438), né à Cynoscéphales, Thèbes (Béotie), 그리스 유명한 목가적 시인.
플라톤(Platon, Πλάτων, 본명 아리스토클레스 Aristoclès 427-347; 80살) 플라톤이란 ‘어깨가 넓음’을 의미한다. 이데아의 철학자. (소크라테스 나이 42살이었고) [그리고 18년 후에 배울 수 있을 있었다면, 소크라테스 나이 60살이었으며 10여년을 따라다니며 배울 수 있었을 것이다.] 크라틸로스(Cratyle, Κρατύλος, Du langage), 테아이테토스(Théétète, Θεαίτητος, De la science)
플루타르코스(Plutarque, Πλούταρχος/Ploútarkhos 46-125) 케로네(Chéronée en Béotie)태생, 그리스 출신 로마 역사가 사상가. 중기 플라톤 주의 영향을 받았다. 위인 전기(Vies parallèles des hommes illustres, en grec Βίοι Παράλληλοι / Bíoi Parállêloi), Oeuvres morales 중에서 「De la face qui paraît sur la Lune」(전집4권), 「Sur les sanctuaires dont les oracles ont cessé」(전집 2); 「On the Decline of the Oracles」, 「On the Delays of the Divine Vengeance」, 「On Peace of Mind」. 여기 소개된 「신탁의 결함(Défaut des oracles)」 영어판 명칭의 번역처럼 보인다. / 「Stromata: fr. Fragment du traité des Stromates」(전집 5권) [stromata: en [명사] (생명과학) 자좌(子坐) / 지구가 천체 속에서 위치하는 자리. 즉 씨앗의 자리처럼 설명하는 것이 아닐까?(47LNA)]
동명이인 /프루타르코스(Plutarque d'Athènes 350-432),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아테네에서 가르쳤다. P. 115-137 : commentaire sur le Traité de l'âme ; p. 137-138 : commentaire sur le Phédon. /
프로디코스(Prodicos de Céos, Πρόδικος / Prodikos, 470 et 460 -mort après 399) 아테네 남쪽 에게 해에 있는 섬 케오스(Céos, (Κέως). 프레소크라틱 철학자. 언어와 문법 연구자.
프로타고라스(Protagoras d'Abdère, Πρωταγόρας, 기원전 485-411) 압데라 출신, 인간 만물척도(L'homme est la mesure de toutes choses) [(ἄνθρωπος μέτρον)]이며, “인간은 만물의 척도이며, 존재하는 것에서 존재의 척도이고 존재하지 않은 것에서 비존재의 척도이다”라고 전해진다. [πάντων χρημάτων μέτρον ἐστὶν ἄνθρωπος, τῶν μὲν ὄντων ὡς ἔστιν, τῶν δὲ οὐκ ὄντων ὡς οὐκ ἔστιν. - « L'homme est la mesure de toutes choses : de celles qui sont, du fait qu’elles sont ; de celles qui ne sont pas, du fait qu’elles ne sont pas. »]
피타고라스(Pythagore, Πυθαγόρας/Pythagóras 기원전 580-497) 사모스 출생 83살. 수(le nombre) / (580-485년경) 그는 종교개혁자이며 수학자.
랑누(Clémence Ramnoux, 1905–1997) 프랑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이전 그리스 사상 전공, ENS출신, 그리스 사상에서 밤과 밤의 어린이들(La Nuit et les enfants de la Nuit dans la tradition grecque, 1959) 1965년 리꾀르와 리요타르와 함께 낭떼르 분교에 있었다.
레이븐(John Earle Raven, 1914–1980), 영국 고전학자. 철학과 식물학관심, 피타고라스학자들과 엘레아학자들(Pythagoreans and Eleatics: An accoun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opposed schools during the fifth and early fourth centuries B.C, 1948
레(Abel Rey, 1873-1940) 프랑스 철학자 과학사가. 그리스 과학의 청년기(La jeunesse de la science grecque, 1933)
레몽(Reymond s.d. 버넷의 “그리스 철학” 프랑스어로 번역.
리보(Albert Rivaud, 1876-1956) 프랑스 철학자. 정치가. 생성의 문제: 기원에서 테오프라스토스에까지 그리스 철학에서 물질의 개념(Le problème du devenir et la notion de la matière dans la philosophie grecque depuis les origines jusqu'à Théophraste, 1906
에르빈 로데(Erwin Rohde, 1845-1898) 독일인, 그리스 고전문헌학자. 영혼(Psyche. Seleenkult und Unsterblichkeitsglaube der Griechen, 1890–1894(2권)
롤랑 드 르네빌(J. Rolland de Renéville, s.d.) .. 플라톤과 소피스트들에서 일자-다자와 그 속성 문제에 관한 시론(Essai sur le problème de l'un-multiple et de l'attribution chez Platon et les Sophistes, 1962(Paris).
섀러(R. Schaerer, s.d.) 호머에서 소크라테스까지 고대인간과 내적 세계의 구조(L'homme antique et la structure du monde intérieur d'Homère à Socrate, 1958). [섀러(R Schärer, s.d.) fr.deu.en에 없음]
쉴(Pierre-Maxime Schuhl, 1902-1984) 프랑스 철학자. 1921년 ENS. 그리스 사유의 형성에관한 시론: 플라톤철학의 연구에서 역사적 입문(Essai sur la formation de la pensée grecque, introduction historique à une étude de la philosophie platonicienne, (박사학위논문 1934, 1949), 기계주의와 철학(Machinisme et philosophie (1938 ; 1947) 플라톤의 상상적 허구에 관한 연구(Étude sur la fabulation platonicienne (1947)
심플리키오스(Simplicius, Σιμπλίκιος; c.490–c.560) 실리시아(Cilicia)출신이며 암모니우스(Ammonius Hermiae)와 아마스키우스(Damascius)의 제자이며 네오플라톤니즘의 마지막 사람 중의 한 사람이다. / 심플리키우스(Simplicius)에 의해 인용된 테오프라스토스(Théophraste) (Diels, Doxographi graeci, 376, 3-6). 참조, Burnet, L'aurore de la philosophie grecque, p. 61-66.
소크라테스(Socrate, Σωκράτης, 469-399; 70살) 아리스토파네스(Ἀριστοφάνης, 450-386)가 구름들(les Nuées, Νεφέλαι / Nephélai, 423)에서 소크라테스를 쇠파리(Les Guêpes, Σφῆκες/Sphễkes)라 불렀다.
스토베우스(Jean Stobée, en lat. Joannes Stobæus, 원명 Stobi (Macédoine) (2세기경?) 이교도이며, 학설사가 편집자. Anthologie 여기에는 많은 단편들이 있는데 다른 곳에서 없는 것이 있다./Florilegium, ou Sermones(Floriège=Anthologie, 선문집, 選文集, 사화집詞華集)
스트라본(Strabon, Στράϐων / Strábôn, « qui louche », en latin Strabo, 전 64-후21/25) 그리스 지리학자. 아마세(현 터키지방)에서 태어났다. 지리학(Géographie, Γεωγραφικά / Geôgraphiká)
딴느리(Paul Tannery 1843-1904) 프랑스 과학사가. 희랍과학의 역사: 탈레스에서 엠페도클레스까지(Pour l'histoire de la science hellène, de Thalès à Empédocle, 1887)(재판 1930)
탈레스(Thalès Thales 기원전640-548)/(fr.Wiki Θαλῆς ὁ Μιλήσιος/Thalễs ho Milếsios vers-625-vers-547 ): 원질(arche)을 물(l'eau). 7현인.
테오프라스토스(Théophraste, Θεόφραστος / Théophrastos 기원전 371-287) 아리스토텔레스 제자. 리케이온 첫 학장(322 à 288)., 식물학자, 박물학자. 다방면의 작가, 연금술사.
투키디데스(Thucydides,Θουκυδίδης, 전 460-400) 역사가, 펠로포네소스전쟁(Histoire de la guerre du Péloponnèse)(Θουκυδίδης Ἀθηναῖος ξυνέγραφε τὸν πόλεμον τῶν Πελοποννησίων καὶ Ἀθηναίων. « Thucydide l’Athénien a raconté la guerre des Péloponnésiens et des Athéniens. »)
운테르스테이네르(Mario Untersteiner, 1899–1981) 이탈리아 그리스 고전학자, 문헌학자, 철학자 소피스트들(I sofisti, 1949), M. Untersteiner, 소피스트들(I sofisti, 1949), Turin.
베르데니우스(Willem Jacob Verdenius, 1913–1998), 네델란드 고전 문헌학자. 파르메니데스(Parmenides, 1942), Groningen, 1942. [
베르낭(Jean-Pierre Vernant, 1914-2007) 고대 그리스 신화 연구자. 그리스 사유의 기원(Les Origines de la pensée grecque, 1962) 그리스인들에서 신화와 사유: 역사적 심리학의 연구(Mythe et pensée chez les Grecs. Etudes de psychologie historique, 1965, Le fleuve Amélès, Rev. phil., 1960, p.163.
볼그라프(Wilhelm Vollgraff, 1876–1967), 네델란드 고고학자. 고르기아스의 장례사(L'Oraison funèbre de Gorgias, 1952)(Leyden)
벨만(Wellmann)의 Fragmentsammlung der griechischen Aerzte, 1901)(1권)속에서 필리스티온(Philistion, Φιλιστίων)의 단편들, [벨만(Wellmann,s.d.) 독일위키에 없음]
분트(Max Wundt, 1879-1963) 독일 철학자, 반유태주의 및 국가사회주의자. 그리스 철학에서 주지주의(Der Intellektualismus in der griechischen Philosophie, 1907)
크세노파네스(Xénophane, Ξενοφάνης 기원전 580-485) 신=존재(l'Etre) 이오니아(Ionie) 지방의 콜로폰(Colophon) 출신(-570 -475), 페르샤 지배로 추방되었다. 시실리아(Sicile), 잔클레(Zancle), 카타네(Catane)를 거쳐 엘레아(Élée)로 갔다. 여기서 학교를 열고, 제자 파르메니데스(Parménide)를 갖는다. 어디서 죽었는지 콜로폰에 돌아갔는지 등은 모르나, 남아있는 몇몇 싯구로 보아 그는 매우 오래 살았다.
크세노폰(Xénophon, Ξενοφῶν/Xenophōn, v.-440, 426 ou 430 - v.355) 철학자, 역사가, 장군.
속기술(sténographie)발명자이다. 아바나즈(Anabase), 헬레니끄(Les Helléniques: Histoire de la guerre du Péloponnèse), 회상록(Mémorables, Memorabilia, Ἀπομνημονεύματα; Apomnemoneumata)
자몰키스(Zalmoxis), 사몰키스(Salmoxis, Σάλμοξις)는 헤로도토스가 부른 이름이고 일반적으로 자몰키스(Zalmoxis)라 불린다. 그는 피타고라스의 해방노예이라 한다. 트라키아( Thrace, Θρᾴκη / Thrákê, en bulgare Тракия Trakiya, en turc Trakya - 발칸반도 지역)인이라고도 한다. / 포르피리오스는 어원에 대해 곰신« dieu-ours » 또는 곰의 가죽을 지닌 신« dieu à peau d'ours »이라 하고 그를 샤마니즘과 연결시켰다. « Zeu Moxei »라는 이들은 산스크리트어 목샤(Moksha, « la vie éternelle »)와 연결하기도 한다. / 등장: Platon, Charmide, 156 D - 157 B
제논(Zénon Ζήνων/Zếnôn,기원전 480[490]-420경) 변증법(상대부정을 통한 자기긍정)의 발명자 [소크라테스보다 10살[20살]많다. 소씨가 한 수 배웠을 확률이 있다]
(9:9 47NKB) (12:17OKB) (16:3 OLJ) (17:29 OMB)
# 책브레이1404철1A02인
제2장 소크라테스 Socrate 79 - (Socrate Σωκράτης / Sōkrátēs, 전470/9경-399).
***
아카데미아(L’Académie, Attic Greek: Ἀκαδήμεια; Koine Greek Ἀκαδημία) 플라톤이 아테네에 세운 철학학교. 기원전 387년경에서 기원전 86년까지 지속되었다.
델포이(Delphes, Δελφοί) 신전: 포키스(La Phocide, Φωκίς, Phôkís) 지방에 있는 몽파르나스 산아래 있는 아폴론 신전. 여사제(sa prophétesse), 퓌티아(la Pythie Πυθία, vgl. Python)를 통해서 아폴론의 신탁을 말해왔던 전 그리스적 성소이다. 그 성소는 세계의 배꼽(un nombril du monde, ὀμφαλός)[상징모습은 팔루스적이다]을 감추고 있다고 한다. 기원전 6세기에서 4세기까지 그리스 통일의 중심지였다.
뤼케이온(Lycée, Λύκειον/Lúkeion) 아리스토텔레스가 세운 철학학교. 335년에 세워서 안드로니코스(Andronicos de Rhodes)와 함께 47년에 끝난다. 산보학파(l'école péripatétique)
퓌티아(la Pythie, Πυθία)는 괴물뱀을 뜻하는 피톤(le Python)에서 나왔다. 델포이 신전의 여사제를 칭한다. 그녀는 일년에 한번 신탁을 한다. / 영어판(en.wiki)에서 시빌(Sibyl, σίβυλλα sibulla; plural σίβυλλαι sibullai)이다.
펠로포네소스 전쟁(La guerre du Péloponnèse 431 à 404) : 아테네(Athènes)가 이끄는 델로스 동맹과 스파르타(Sparte)가 주도권을 쥔 펠로포네소스 동맹 사이의 전쟁이었다.
소크라테스가 참여한 세 번의 전쟁에서 중갑보병이었다. 431-430년에 포티다이아(Potidée, Ποτίδαια / Potidaia)전쟁, 424년에 델리온(Délion, Δήλιον / Dêlion) 전쟁, 422년에 암피폴리스(Amphipolis, Ἀμφίπολις / Amphípolis)전투였다.
* 펠로포네소스 전쟁(la guerre du Péloponnèse, 기원전 431-404)의 전투 장소들(Batailles) - 크게 보아 26번의 전투였다. 즉 27년간 매년 전투를 한 셈이다.
Sybota — 포티다이아(Potidée, Ποτίδαια / Potidaia) 431-430 — Chalcis — Patras — Naupacte — Mytilène — Tanagra — Étolie — Olpae — Idomene — Pylos — Sphactérie — 델리온(Délion, Δήλιον / Dêlion) 424 — 암피폴리스(Amphipolis, Ἀμφίπολις / Amphípolis) 422 — Mantinée — Hysiai — Mélos — Expédition de Sicile — Symi — Érétrie — Cynosséma — Abydos — Cyzique — Notion — Arginuses — Aigos Potamos (26번 전투)
*
알키비아데스(Alcibiade, Ἀλκιβιάδης Κλεινίου Σκαμβωνίδης / Alkibiadês Kleiniou Scambônides, 전450-404) 클리니아스(Clinias)의 아들, 연설가, 아테네의 국가인물, 장군. 페리클레스의 양자이다.
알렉산드로스(Alexandre le Grand, Ἀλέξανδρος ὁ Μέγας / Aléxandros ho Mégas ou Μέγας Ἀλέξανδρος / Mégas Aléxandros, 356-323) 마케도니아 왕. 페르샤제국 정복.
아메입시아스(Ameipsias, Ἀμειψίας, 기원전 5세기 후반 활동) 그리스 희극시인. 코노스(Κόννος, 423 BC)(술취한광대?)는 2등 이었고 아리스토파네스의 구름(les Nuées)가 3등이었다고 한다. 그는 구름에서 소크라테스를 조롱한다. 소크라테스가 희극에 등장하는 것은 아리스토파네스의 구름들 이외에도 네 편이 있다. 아메입시아스(Ameipsias), 텔레클리데스(Téléclides), 칼리아스(Callias), 에우폴리(Eupolis)의 작품들 속에서이다. .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 Ἀριστοφάνης / Aristophánês, 450-386)는 그리스 아테네 희극작가이다. 구름들(les Nuées, Νεφέλαι / Nephélai, 423) 이 작품에서 소크라테스를 쇠파리(Les Guêpes, Σφῆκες/Sphễkes)라 불렀다. 새들(les Oiseaux, 414), 개구리들(les Grenouilles, 405) / 크라티노스(BC 520~BC 423), 에우폴리스(BC 446~BC 416), 아리스토파네스(BC 445~BC 385) 등을 3대희극시인이라 하였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Ἀριστοτέλης/Aristotélēs, 384-322: 62살) 스타지르(Stagire)에서 탄생. (플라톤 나이 33세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367년(17살)에 플라톤의 나이 50살에 아카데미아 입학했다고 한다.
아리스톡세노스(Aristoxène de Tarente, Ἀριστόξενος ὀ Ταραντίνος, 기원전 4세기경) 330년 활동, 반플라톤주의자이며 소요학파인물이다. 그는 수학과 독립적으로 음악의 기원을 찾았다. 즉 청각(l'oreille, αἴσθησις)과 사유(la pensée rationnelle, διάνοια)이다.
바스띠드(G. Bastide, s.d.), 소크라테스의 역사적 계기(Le moment historique de Socrate, 1939)
브레이어(Émile Bréhier, 1876—1952) 프랑스 작가, 철학자, 역사가. 플로티누스 철학(La Philosophie de Plotin, 1928), 철학사(Histoire de la philosophie(7권, 보론1권, 1948) 샤를 뻬기와 함께 벩송의 플로티누스 강의를 들었다. « Images plotiniennes, Images bergsoniennes », in Les études bergsoniennes, II, 1949.
칼리아스(Callias, Καλλίας)는 아테네 부유한 귀족이다. 그는 426년에 베이티안(les Béotiens)과 전투에서 타나그라(la victoire de Tanagra)를 했다. 여기서 그의 역할은 다른 사람들이 말하게 용기를 복돋우며 요약하곤 한다. / [다른 버전: 칼리아스(Callias, Καλλίας/Kallías)-(fils d'Hipponicos Ammon)는 기원전 5세기경 아테네 정치가이다. 그의 이름은 “칼리아스 평화”(la paix de Callias, 449)라는 이름 속에 있다. 이는 칼리아스2세라 부른다. 그는 아테네 운동선수이며 정치가인 칼리아스1세(Callias, fils de Phésippe)의 손자이다.]
칼리클레스(Calliclès Καλλικλῆς) 고르기아스의 맞이한 주인. 그는 소피스트의 고객일 구성하는데 공공연하게 전형적 인물이다. 플라톤이 발명한 소피스트로서 보증할 만한 인물이며, 현존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 소크라테스에 이의를 제기하는 그는 힘과 연약함을 대립시키는 귀족정 옹호자의 인물로 설정되었다.
카르미데스(Charmide, Χαρμίδης, 기원전 5세기경) 소크라테스의 제자이며, 클라우콘의 아들, 플라톤의 어머니인 페릭티오네(Périctionè)의 오빠이다. 즉 플라톤의 외삼촌이다. 플라톤은 그 세대에서 가장아름답고 가장 현명한 젊은이로 묘사한다. 크리티아스는 그에게 피레 지역의 총독(la préfecture du Pirée)을 맡겼다. 아테네 민주정에 반대하는 거리 전투에서 그와 크리티아스와 함께 죽었다.
카이레폰(Chéréphon, Χαιρεφῶν ?? -400경) 소크라테스의 어린 시절부터 가장 친한 친구로서 조력자이다. 소위 불알친구였다. 델포이 신전에서 퓌티아(la Pythie, Πυθία)에게 그의 친구에 관해서 신탁한 이는 그였다고 한다. 그도 404년경에 추방되어 외국에 2년 후에 아테네로 돌아왔다(403). 399년 소크라테스 재판에 그의 동생이 증인으로 참여하였는데 이때는 그가 죽었다고 한다.
콘포드(Francis Macdonald Cornford, 1874–1943) 영국 고전학전공, 신화역사가 투키디데스(Thucydides Mythistoricus 1907), 종교에서 철학으로(From Religion to Philosophy: A Study in the Origins of Western Speculation 1912), 소크라테스이전과 이후(Before and after Socrates, 1922), 지혜의 원리: 그리스 철학적 사유의 기원(Principium Sapientiae: The Origins of Greek Philosophical Thought(posthumously published, 1952).
크리티아스(Critias, Κριτίας, 460/450 - 403) 작가, 시인, 철학가. 어머니계의 플라톤의 사촌, 30인 참주 중의 리더였다. . 대화편 작품 크리티아스(Critias ou Sur l’Atlantide, Κριτίας ἢ Ἀτλαντικός / Kritiás ề Atlantikós)는 플라톤의 것이다. La République와 Ménéxène에서처럼, 플라톤은 신들 사이의 언쟁을 수용하는 대표인물로서 보고, 대화편에서 적대적이다.
크리톤(Criton d'Athènes, Κρίτων) 전5세기경 아테네 철학자. 소크라테스 제자. 동명의 제목으로 플라톤 작품이 있다.
데모크리토스(Démocrite, Δημόκριτος/Dêmókritos, «choisi par le peuple», 전v. 460-v. 370)(90살?) 아브데라( Ἄϐδηρα/Ábdēra) 출신이다. 원자론자 53권의 저술을 썼으나 남아있지 못하다. [소크라테스에 비해 10여 년 어리다. 플라톤 보다 33살 정도 많다.]
드렌(E. Derenne, s.d.) Les procès d'impiété intentés aux philosophes à Athènes aux Vé et IVé siècle, 1930 (Universite de Liége)
디에스(Auguste Diès, 1875-1958) 프랑스 고위성직자(주교이상) 문학박사. 대학학장, 헬레니스트. 신비적 순환: 소크라테스이전 철학에서 개별적 현존들의 신성, 기원 그리고 종말(Le Cycle mystique. La divinité, origine et fin des existences individuelles dans la philosophie antésocratique, 1909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Diogène Laërce, Διογένης Λαέρτιος / Diogenês Laertios, Diogenes Laertius, 3세기경) 역사가, 철학자 시인 학설사가.
아이스키네스(Eschine, Αἰσχίνης/Aiskhínês, 전390-322) 아테네출신 10인 연설가중의 한사람, 정치가.
유리피데스(Euripide, Εὐριπίδης / Euripídês, Salamine 480 -Macedoine 406) 소크라테스(Socrate, 470-399)의 친구였다. “안티오페(Antiope Ἀντιόπη / Antiópê) vers 410. / 그리스 3대 비극 작가(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
에우티프론(Euthyphron, Εὐθύφρων) 예언가(devin, 점쟁이) 에우튀프론(유티프론)은 모호한 인물이지만, 실재로 그 시대에 아테네인들에게 알려진 현존했던 인물인 것 같다. “공정함”과 “경건”의 영역 관한한 까다롭기로 명성을 날인 예언가이다. 그는 노동자를 구덩이에서 죽게 내버려 두었다고 자기 아버지를 법원에 소환시켰을 것이다. 그 노동자는 다른 곳에서 어떤 이를 막 살해했던 자이다. / 이 유티프론은 크라틸로스(Cratyle)에서 등장하는 사람과 동일 인물로 보기는 어렵다고 한다.
올로프 지공(Olof Gigon, 1912-1998) 스위스 고전문헌학자. 고대철학의 문제(Probleme der antike Philosophie)(deu.Wiki에 작품 없음, 발음은 지공으로 하라고 나옴)
고르기아스(Gorgias, Γοργίας) 수사학으로 살아가는 소피스트, 소크라테스 이전에 태어나 소크라테스 죽은 후에도 살았다. 108살을 살았다고들 한다. [때 맞는 시간(Kairos, καιρός)개념에 주목하였다고 한다].
호르네퍼(Ernst Horneffer, 1871-1954) 독일 문헌학자. 니체 문헌연구. 청년 플라톤(Der junge Platon, 1922,
욍베르(Jean Humbert, 1901-1980) 프랑스인 그리스전공. ENS, 소르본 교수. 박사학위논문 폴리크라테스; 소크라테스 고발과 고르기아스(Polycrate, l'accusation de Socrate et le Gorgias, 1930), 소크라테스와 소(小)소크라테스학파들(Socrate et les petits socratiques, 1967)
쿤(Helmut Kuhn, 1899-1991) 독일 철학자. 소크라테스: 형이상학의 근원에 관한 탐구(Sokrates. Versuch über den Ursprung der Metaphysik. 1934)
라케스(Lachès Λάχης, 전475경–418) 펠로포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의 장군. 아테네 귀족이다. 멜라토포스(Melanopos)의 아들. [플라톤의 동명 작품에서 전형적인 보수인물이라 한다]
리바니오스(Libanios, Λιϐάνιος / Libánios, lat. Libanius, 314-393) 그리스 수사학자. 소피스트. 342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명성을 얻었으나 모함를 받고 추방되었다.
마갈하에스-빌레나(V. de Magalhaes-Vilhena, s.d.) 소크라테스 문제(Le problème de Socrate, et Socrate et la légende plationicienne, 1952). [브라질 출신? Vilhena라는 지역을 브라질에 있다고 한다]
마이어(Heinrich Maier, 1867-1933) 독일 철학자. 소크라테스: 그의 작업과 그의 역사적 입장(Sokrates: sein Werk und seine geschichtliche Stellung, 1913.
몽떼뉴(Montaigne) 프랑스 철학자, 문학자. {* *}
나우크(Johann August Nauck, 1822–1892) 독일고전학자. 문학 비평쪽이다.
니키아스(Nicias, Νικίας, 전470경–413) 펠로포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의 장군, 정치가. 그는 아테네 귀족정치의 구성원이었다.
파토카(Jan Patočka, 1907-1977), 체코 철학자. Remarques sur le problème de Socrate Revue philosophique, 1949, p.186)
파이돈(Phédon d'Élis, Φαίδων) 5세기경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 제자. 작품으로 Zopyros, Simon이 있다. 전승에 따르면, 귀족인데 해적에게 잡혀 노예가 된 것을 소크라테스가 크리톤에 부탁하여 대가를 지불했다. 잘나서 사창가에서 일하고 있었다고 한다. / 동일인물일까? 플라톤의 파이돈(Phédon, Φαίδων(전 383경)편은 소크라테스의 죽음과 사형 전 마지막 말씀을 이야기한 것이다. / 신기료 장수 시몽(Simon)의 이름을 지닌 파이돈도 있다.
필로데모스(Philodème de Gadara, Φιλόδημος ὁ Γαδαρεύς, Philodēmos, "love of the people" 전110경-전40경) 시리아의 가다라(Gadara, Coele-Syria)출신 에피쿠로스철학자.
플라톤(Platon, Πλάτων, 본명 아리스토클레스 Aristoclès 427-347; 80살) 플라톤이란 ‘어깨가 넓음’을 의미한다. 이데아의 철학자. (소크라테스 나이 42살이었고) [그리고 18년 후에 배울 수 있을 있었다면, 소크라테스 나이 60살이었으며 10여년을 따라다니며 배울 수 있었을 것이다.]
폴뤼크라테스(Polycrate, Πολυκράτης, 전440-370경) 그리스 수사학자 소피스트, 문법학자 조일로스(Zoïle d’Amphipolis, Ζωΐλος, 전400경–320)의 스승, 393년경에 소크라테스 고발(Accusation de Socrate)을 썼다.
포르피리오스(Porphyre, Πορφύριος, Porphyrios, 232경-305경)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역사가. 262년 로마에 가 플로티누스에게 신플라톤파 철학을 배웠다.
프레히터(Karl Praechter, 1858-1933) 독일 고전문헌학자. 철학사 개요 1: 고대 (Grundriß der Geschichte der Philosophie, Band 1: Das Altertum(s.d. 1907)
프로타고라스(Protagoras, Πρωταγόρας, 기원전490경-420경) 트라키아지방 아브데라(Abdère) 출신,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이다. 그의 아버지는 메안드리오스(Méandre ou Méandrios)이다. 그는 여러 번 아테네에 거주하기도 했는데, 페리클레스(Périclès)와 가깝게 지냈다. [참조: 30살가량 어린 원자론자 데모크리토스(Démocrite, gr. Dêmokritos, 기원전v. 460-v. 370)(90살?) 아브데라 출신이다.]
로방(Léon Robin, 1866-1947), 「Les Mémorables de Xénophon et notre connaissance de la philosophie de Socrate」, dans 헬레나 사유, 기원에서 에피쿠로스까지(La Pensée hellénique, des origines à Épicure, 1942) p. 81-137.
소크라테스(Socrate, Σωκράτης, 469-399; 70살) 아리스토파네스(Ἀριστοφάνης, 450-386)가 소씨를 아테네의 “등에”라고 불렀다. 아버지 소프로니스코스(Sophroniscus, Σωφρονίσκος)와 산파(조산원)인 어머니 파이나레테(Phénarète, Φαιναρέτη)의 아들이다.
테일러(Alfred Edward Taylor, 1869–1945) 영국 관념론 철학자. Varia Socratica, 1911, 소크라테스(Socrates: The Man and His Thought. 1933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연구가 있다. :
볼프(Erwin Wolff, 1897-1966) 독일 고전 문헌학자. 플라톤의 변론(Platos Apologie, 1926)
크세노폰(Xénophon, Ξενοφῶν/Xenophōn, v.-440, 426 ou 430 - v.355) 철학자, 역사가, 장군. 속기술(sténographie)발명자이다. 아바나즈(Anabase), 헬레니끄(Les Helléniques: Histoire de la guerre du Péloponnèse), 회상록(Mémorables, Memorabilia, Ἀπομνημονεύματα; Apomnemoneumata).
(5:15 47PLB)
**
크산팁페(Xanthippe, Ξανθίππη) 소크라테스의 부인, 3자식이 있다고 한다. 크세노폰에 따르면, 크산티페는 아테네에서 매우 성마른 까다로운 여자로 소문이 났으며, 소크라테스는 부인을 지탱할 수 있을지 시험하기 위하여 그녀와 결혼했다고 말했다고 한다. 플라톤에 따르면 파이돈편에서,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셔야만 하는 날에 크산티페의 절망을 증명했다고 한다. / 설에 의하면, 크산티페는 소크라테스보다 마흔 살 정도 적었다고 한다. 세 자식의 이름은 Lamproclès, Sophronisque, et Ménexène 이다. / 크세노폰에 의하면 늦게서야 결혼했는데 전415년경(쉰다섯살쯤)이라 한다. / 다른 전승에 따르면, 아마도 아리스토텔레스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의심스런 전승에 따르면, 소크라테스는 중혼자였을 것이며, 크산티페와 결혼하고 또 금권정치 거두(Chef du parti oligarchique)인 아리스티데스(Aristide le Juste, Ἀριστείδης, 전530경-전467)의 손녀와도 결혼했다고 한다. [그리스에서 여성은 노예 다음의 지위였다?]
이도메네오스(Idoménée de Lampsaque, Ἰδομενεύς Λαμψακηνός, 전325경-전270경),그리스 철학자. 그는 에피쿠로스의 친구이자 제자였다. 스트라본이 전하는 바, 이도메네오스는 그 도시(람프사크)에서 레온테(Léontée Λεοντεύς)와 함께 가장 기술 좋은 사람 중의 한사람이라 한다. / 이도메네오스가 전하는 바에 의하면, 소크라테스는 굉장한 수사학자로 묘사되어 있으며, 소크라테스의 부인인 크산팁페(Xanthippe, Ξανθίππη)는 자신이 소유한 소크라테스의 자신의 저술들을 소씨의 제자 아이스키네스(Eschine de Sphettos, Αἰσχίνης, 전390-322)가 자기 이름으로 출판했다고 고발했다고 한다. (47QLB)
(등재, 34:24, 57W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