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仮名 かな
한자(漢字)의 일부를 따서 만든 일본 특유의 음절 문자((보통 片かな와 平がな를 일컬음)).
仮名で書く
かなで かく
仮名로 쓰다
■ 50音度
▶母音 → あ、い、う、え、お
▶子音 → あ、か、さ、た、な、は、ま や、ゆ、よ
※母音
성대의 진동을 받은 소리가 목, 입, 코를 거쳐 나오면서, 그 통로가 좁아지거나 완전히 막히거나 하는 따위의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子音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해 구강 통로가 좁아지거나 완전히 막히는 따위의 장애를 받으며 나는 소리.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ㅈ, ㅊ, ㅌ, ㅍ, ㅎ
▶ひらがな 平仮名
한자의 초서체에서 만들어진 일본의 음절 문자
平仮名の書き順を覚える
ひらがなの かきじゅんを おぼえる
平仮名의 필순을 익히다
平仮名の読み書きを練習する
ひらがなの よみかきを れんしゅうする
平ひら仮名がな의 읽고 쓰기를 연습하다
平仮名でさえ満足に書けない
ひらがなでさえ まんぞくに かけない
히라가나조차 제대로 못 쓴다
平仮名しか書けない
ひらがなしか かけない
平仮名밖에 못 쓰다
▶カタカナ 片仮名
‘かな’의 하나(대부분 한자의 일부분을 따서 만든 음절 문자로 외래어의 표기나 의성어·의태어 따위에 쓰임).
片仮名語
かたかな ご
‘片仮名’로 쓰인 언어(주로 외래어)
五十音圖
세로 다섯글자, 가로 열 글자씩을 모두 해서 50자를 배열한 일본어의 음절표.
ひらがな(平假名)
( # 청음인 か행,た행의 경우 2음절부터 까끼꾸께꼬, 따찌쯔떼또 로 )
カタカナ(片假名)